KR100838797B1 -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97B1
KR100838797B1 KR1020060086316A KR20060086316A KR100838797B1 KR 100838797 B1 KR100838797 B1 KR 100838797B1 KR 1020060086316 A KR1020060086316 A KR 1020060086316A KR 20060086316 A KR20060086316 A KR 20060086316A KR 100838797 B1 KR100838797 B1 KR 10083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matching
content
service provid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2752A (ko
Inventor
김태성
김혜령
박현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즉,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상품을 조회하고자 원할 경우, 별도의 인터넷 검색을 해야만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으나, 통신 단말기에 이미 구비된 소정의 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인 콘텐츠 상품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사용종료 후에도 부가정보의 콘텐츠 상품을 조회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익성을 향상시키고, 콘텐츠 상품 매출액을 높인다.
부가정보 서비스, 매칭 부가정보, 시간정보 클럭신호, 멀티미디어 데이터

Description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for Offering a Serive in Additional Information and Offer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0 :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통신 단말기
200 : 콘텐츠 서버 300 :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400 : 무선 접속망 310 : 부가정보 링크장치
320 : 부가정보 입력기 311 : 부가정보 부여기
312 :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 이미 구비된 소정의 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해당된 콘텐츠 상품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디지털화된 어문/음악/사진/미술 등 다중 매체 저작물로서 읽기 전용 콤팩트 디스크 기억 장치(CD-ROM) 또는 컴퓨터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는 내용물. 또한 디지털화되어 정보 기기로 생산/유통/소비되는 정보 콘텐츠 또는 광대역 통신망이나 고속 데이터망을 통해 양방향으로 송수신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콤팩트디스크·CD-ROM·비디오테이프 등에 담긴 사진·미술·음악·영화·게임 등 읽기 전용의 다중매체 저작물과 광대역 통신망이나 고속 데이터망을 통해 양방향으로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 또는 내용물, 디지털화되어 정보기기를 통해 제작·판매·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상품으로 명명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그 내용에 따라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캐릭 터, 만화, 음악, 예술, 출판, e-book, 방송영상, 디자인, 패션, 공예, 에듀테인먼트 , 광고 등 다양하며, 유통방식에 따라 무선인터넷 콘텐츠, 유선인터넷 콘텐츠, 방송 콘텐츠, 극장용 콘텐츠, DVD, 비디오, PC 게임, 아케이드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모바일 콘텐츠 등 무선 콘텐츠, 디지털방송 콘텐츠,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 등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또는 사용종료 후,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제공되는 부가정보인 콘텐츠 상품을 조회할 경우, 별도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부가정보인 콘텐츠 상품을 검색해야 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이론적인 기술로만 개념화되어 있는 기존의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객체 인식가능하도록 하여 이를 사용자가 클릭함에 따라,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것인데 현재로선 이론적인 사항으로만 개념화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고,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객체 인식화하여 이를 사용자가 클릭하도록 하는 당해 기술은 아직 이론적으로만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상품을 조회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인터넷 검색을 해야만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 이미 구비된 소정의 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사용종료 후에도 통신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부가정보의 콘텐츠 상품을 조회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익성을 향상시키고, 콘텐츠 상품 매출액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접속망으로 통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부가정보를 서비스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발신함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이미 내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ID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와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 호와 매칭 비교함에 따라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접속망으로 통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부가정보를 서비스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콘텐츠 서버가 이미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콘텐츠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무선 접속망을 통하여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텐츠 서버로부터 송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입력기; 및상기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하고, 소정의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가정보 입력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부가정보 링크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링크장치가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전달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링크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접속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통신 단말기(100), 무선 접속망(400), 콘텐츠 서버(200) 및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 단말기(100)는 이미 구비된 부가정보 입력버튼을 활용하여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즉, 시간정보 클럭신호는 통신 단말기(100)의 부가정보 입력버튼의 선택 여부에 따라, 순차적인 시간 흐름에 의한 시연속성을 갖으며 생성된다. 시간정보 클럭신호는 순차적인 시간 흐름에 의해 생성된 신호인 것으로, 중복되거나 동일한 시간정보 클럭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무선 접속망(400)은 통신 단말기(100)가 생성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발신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에 응하는 신호인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무선으로 통신 단말기에게 착신시킨다. 일반적으로, 무선 접속망(400)은 동기식 무선 접속망과 비동기식 무선 접속망으로 구분된다. 동기식 무선 접속망에서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성되고, 비동기식 무선 접속망에서는 기지국(Node-B), 무선망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로 구성된다.
콘텐츠 서버(200)는 이미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ID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콘텐츠 서버(200)는 인터넷이나 유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 내용물, CD-ROM 등에 담긴 영화나 음악, 게임 등을 내장한다. 콘 텐츠 서버(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및/또는 제어를 하는 재생제어 프로그램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억매체에 기억하여 재생 및/또는 제어를 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백업 데이터를 기억매체에 기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사용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인증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부가정보 입력기(320) 및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를 포함한다.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구비된 부가정보 입력기(32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공급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분류 및 분석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한다.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구비된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는 부가정보 입력기(320)로부터 전달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무선 접속망(400)으로부터 전달된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저장한다.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비교함에 따라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무선 접속망(400)을 통해 송출한다.
부가정보 링크장치(310)에 대한 세부 구성요소 또는 세부 처리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접속망(400)을 통해 송출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한다.
여기서, 매칭 부가정보는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순간 시각과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저장된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되는 구매 콘텐츠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는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송출하고(S1),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부가정보 입력기와 통신 단말기로 전달된다.
부가정보 입력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이미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분석한다. 부가정보 입력기는 분류 및 분석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한다(S2).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출력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링크장치로 전달되며,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한다(S3).
통신 단말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S4). 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부가정보 입력버튼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한 다(S4).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통신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수신하며(S6),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비교한다(S7). 즉,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각각의 부가정보와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모니터링을 통해 비교 매칭(matching) 동작을 실행시킴으로써,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한다(S8).
여기서, 매칭 부가정보는 내부에 순간 시각과 구매 콘텐츠로 구성됨에 있어서, 순간 시각은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며, 구매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저장된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된다.
부가정보 링크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요소 및 세부 처리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며,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한다. 그리고, 매칭 부가정보마다 형성된 각 구매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와 링크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부가정보 입력기(320) 및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를 포함한다.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구비된 부가정보 입력기(32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공급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분류 및 분석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한다.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구비된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는 부가정보 입력기(320)로부터 전달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무선 접속망(400)으로부터 전달된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저장한다.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비교함에 따라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한다.
즉, 부가정보 링크장치(310)는 내부에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312)와 부가정보 부여기(311)를 구비함에 있어서,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312)는 부가정보 입력기(320)로부터 출력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한다. 또한, 부가정보 부여기(311)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모니터링하여, 비교매칭(matching)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한다. 부가정보 부여기(311)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무선 접속망(400)을 통해 송출한다.
여기서, 부가정보 부여기(311)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일괄처리 또는 채집 분류하여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채집하여 모아두는 가상 구조물인 것으로 반드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매칭 부가정보는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순간 시각과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저장된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되는 구매 콘텐츠를 포함한다. 그리고, 매칭 부가정보마다 형성된 각 구매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와 링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가정보 입력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후(S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이미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분석한다. 부가정보 입력기는 분류 및 분석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한다(S2').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링크장치로 전달되며,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한다(S3').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소정의 무선 접속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수신하고(S4'), 저장한다(S5').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비교한다(S6'). 즉,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각 각의 부가정보와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모니터링을 통해 비교 매칭(matching) 동작을 실행시킴으로써,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한다(S7')
좀 더 구체적으로,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내부에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부가정보 부여기를 구비함에 있어서,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한다(S3'). 또한, 부가정보 부여기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모니터링하여 비교 매칭(matching)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한다(S7'). 부가정보 부여기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송출한다(S8').
여기서, 부가정보 부여기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일괄처리 또는 채집 분류하여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채집하여 모아두는 가상 구조물인 것으로 반드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매칭 부가정보는 내부에 순간 시각과 구매 콘텐츠로 구성됨에 있어서, 순간 시각은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며, 구매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저장된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된다. 그리고, 매칭 부가정보마다 형성된 각 구매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와 링크를 설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 이미 구비된 소정의 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사용종료 후에도 부가정보의 콘텐츠 상품을 조회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익성을 향상시키고, 콘텐츠 상품 매출액을 높이는 효과를 준다.

Claims (20)

  1. 삭제
  2. 무선 접속망을 통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부가정보를 서비스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발신함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이미 내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ID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와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와 매칭 비교함에 따라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송출하는 부가정보 부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는,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순간 시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에 저장된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되는 구매 콘텐츠;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정보 입력버튼의 선택 여부에 따라, 중복없이 시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무선 접속망으로 통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부가정보를 서비스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발신함에 따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이미 내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ID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와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와 매칭 비교함에 따라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접속망은,
    동기식 무선 접속망에서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성되고, 비동기식 무선 접속망에서는 기지국(Node-B), 무선망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무선 접속망으로 통해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부가정보를 서비스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콘텐츠 서버가 이미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콘텐츠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구비된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구비된 부가정보 부여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무선 접속망을 통하여 상기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이미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부여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종료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일괄처리 또는 채집 분류하여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 내부에 형성된,
    순간 시각이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단계; 및
    구매 콘텐츠가 상기 부가정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품 내역으로부터 도출되어 기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에 기록된 콘텐츠 상품 내역을 각각 조회할 경우, 이미 링크 연결된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콘텐츠 서버로부터 송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입력기; 및
    상기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저장 및 수집 관리하고, 소정의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링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부가정보에는 상기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가 조회할 콘텐츠 상품 내역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가정보 링크장치는,
    상기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된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송출하는 부가정보 부여기;를 더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부여기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일괄처리 또는 채집 분류하여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는,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순간 시각; 및
    상기 부가정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품 내역이 도출되어 기록되는 구매 콘텐츠;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마다 형성된 각 구매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와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16. 삭제
  17. 부가정보 입력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부가정보 링크장치 내부에 구비된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부가정보 입력기로부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입력받은 후, 저장 및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링크장치가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전달된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 링크장치 내부에 구비된 부가정보 부여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와 하나 이상의 시간정보 클럭신호 간의 클럭 타이밍을 매칭 비교함에 따라 서로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접속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부가정보에는 상기 매칭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가 조회할 콘텐츠 상품 내역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부여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칭 부가정보를 일괄처리 또는 채집 분류하여 매칭 부가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 내부에 형성된,
    순간 시각이 상기 시간정보 클럭신호의 선택에 따라 매번 기록되는 단계; 및
    구매 콘텐츠가 상기 부가정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품 내역으로부터 도출되어 기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가정보마다 형성된 각 구매 콘텐츠가 해당 콘텐츠 상품 웹 사이트와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
KR1020060086316A 2006-09-07 2006-09-07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3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16A KR100838797B1 (ko) 2006-09-07 2006-09-07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16A KR100838797B1 (ko) 2006-09-07 2006-09-07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752A KR20080022752A (ko) 2008-03-12
KR100838797B1 true KR100838797B1 (ko) 2008-06-17

Family

ID=3939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316A KR100838797B1 (ko) 2006-09-07 2006-09-07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36B1 (ko) * 2008-04-14 2010-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기 화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947737B1 (ko) * 2008-04-17 2010-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과 동기 화면 검출 방법 및 방송컨텐츠와 부가 정보 간의 동기 방법
KR101695983B1 (ko) * 2010-03-05 2017-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비디오 서비스의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17A (ko) * 2001-07-13 2003-01-23 (주)아이트리컴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상에서 미들웨어를통한 서비스 모니터링 및 과금 시스템
KR20060020398A (ko) * 2004-08-31 2006-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다운로드 방법그리고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17A (ko) * 2001-07-13 2003-01-23 (주)아이트리컴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상에서 미들웨어를통한 서비스 모니터링 및 과금 시스템
KR20060020398A (ko) * 2004-08-31 2006-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다운로드 방법그리고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752A (ko)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of a cloud computing service
US202000149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levant supplemental content to a user device
US8180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ing evaluation values of content data stored for reproduction
US8996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739062B2 (en) Graphical playlist
US20130218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ed playback of media
US20070245376A1 (en) Portable media player enabled to obtain previews of media content
US20130007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a Computing Cloud
EP1921577A1 (en)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10161213A1 (en) Multimedia search engine
WO2011148452A1 (ja) 電子書籍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サーバ
US20140214849A1 (en) Correlating categories of attributes of contents with classification elements
JP2012511189A (ja) コレクションプロファイルの生成及びコレクションプロファイルに基づく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2502361A (ja) 類似性データに基づいてプレイリスト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171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n automatic license for mashups
US20150334204A1 (en) Intelligent auto-caching of media
US9203917B1 (en) Tracking user affin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media files
JP2004185456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JP2009064365A (ja) お勧め情報提供方法
KR100838797B1 (ko)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1297093A (ja) 音楽配給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3168051A (ja) 電子カタログ提供システム、電子カタログ提供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46724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33640A (ja) 端末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提供方法
JP2007265362A (ja) 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