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650B1 -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650B1
KR100836650B1 KR1020070054522A KR20070054522A KR100836650B1 KR 100836650 B1 KR100836650 B1 KR 100836650B1 KR 1020070054522 A KR1020070054522 A KR 1020070054522A KR 20070054522 A KR20070054522 A KR 20070054522A KR 100836650 B1 KR100836650 B1 KR 10083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denser
brackets
coupl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부백
강태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응축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해 응축기와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응축기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응축기, 송풍팬

Description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Combining structure of condenser and fan}
도 1은 종래의 응축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응축기 111 : 핀
113 : 입구 114 : 출구
120a, 120b : 제1브라켓 121 : 종삽입공
122 : 횡삽입공 123 : 개방홈
124 : 상부절곡부 125 : 전방절곡부
126 : 제1결합부 127 : 제2결합부
128 : 하부절곡부 210 : 제2브라켓
211 : 연결브라켓 212 : 설치브라켓
220 : 송풍팬 230 : 모터
한국등록특허 제624109호
본 발명은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응축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해 응축기와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응축기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김치저장고 응축기는 한국등록특허 제62410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김치저장고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의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기계실의 베이스판넬 위에 압축기와 응축기(42) 및 상기 응축기(42)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한 송풍팬과 팬모터를 비롯한 다수의 장치들이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상기 저장실의 외주면에 권선된 증발기(45)와 함께 냉각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구성을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스파이럴 타입 응축기(42)가 적용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관 형태의 응축기(42a)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콘 타입으로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타입 응축기(42)의 형상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근접한 응축기(42a)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응축기(42)의 형상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브라켓(70)에 관한 것이다.
즉, 고정브라켓(70)은, 상기 응축기(42)를 구성하는 응축기(42a)의 내 외측면에 동시에 접어서 체결될 수 있는 하나의 단품 형태로 제공된다.
고정브라켓(70)은, 상기 응축기(42)의 응축기(42a) 내측면을 감싼 상태로 지지하는 제1브라켓면과, 상기 응축기(42)의 응축기(42a)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지지하는 제2브라켓면과,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을 일체로 연장 연결하면서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을 수 있는 접힘면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접힘면은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었을 때, 상기 응축기(42)의 응축기(42a)이 갖는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음으로써, 상기 응축기(42a)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브라켓(70)의 길이는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을 접었을 때의 길이가 응축기(4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게 된다.
즉, 상기 거의 동일한 길이란, 상기 고정브라켓(70)으로 응축기(42)의 응축기(42a)을 지지 고정할 때, 상기 응축기(42)의 최전방 응축기(42a)과 응축기(42)의 최후방 응축기(42a)이 상기 고정브라켓(70)의 접힘면과 후술하는 상기 제1브라켓면 의 일측 끝단 사이에 서로 밀착된 구조로 놓일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됨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의 판상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이 응축기(42)의 내외측면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체결구(72)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은 각각 대략 디귿자 단면 형상을 갖는 판상구조로 형성되는 바, 그 양측면 가장자리선 전체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 형태의 리브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브라켓면과 제2브라켓면이 상기 응축기(42)의 내외측면에 접촉하여 근접한 응축기(42a) 사이를 지지 고정하게 될 때, 상기 리브면이 응축기(42a)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지지 고정하게 된다.
상기 리브면은 응축기(42a)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주어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리브면에 의한 접촉으로 인해 상기 응축기(42a)과 제1브라켓면 및 제2브라켓면 사이에는 각각 약간의 빈 공간이형성되는 바, 이 빈 공간은 응축기(42)에서 진동 소음이 발생할 때, 진동 소음을 약간 소멸시킬 수 있는 방음 공간 및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는 공간 구조로 제공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면의 자유단인 일측 끝단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브 라켓면과 접하면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2브라켓면의 자유단인 일측 끝단(70d)은 상기 제1브라켓면의 자유단인 일측 끝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방향으로 더 연장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42)의 방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착되는 송풍팬 및 팬모터 장착용 홀더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위로 제공되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응축기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비되어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게 되어 김치냉장고를 컴팩트하게 유지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축기의 용량을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응축기의 용량을 조절하려면 응축기에 용량에 따른 각각의 브라켓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응축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해 응축기와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응축기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는, 응축 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응축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해 응축기와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응축기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제2브라켓의 설치각도의 조절 폭을 넓힐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방법은, 응축기 양측에 제1브라켓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 사이 간격에 따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된 제2브라켓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 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는, 응축기(1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120a, 120b)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120a, 120b)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브라켓(120a, 120b)은 응축기(110)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응축기(110)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113)와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114)를 포함하며,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냉매가 이송된다.
응축기(110) 외주면에는 핀(11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응축기(110)에 설치된다.
핀(111)에는 방사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핀(111)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120a, 120b)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응축기(11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에는 적층하기 위해 절곡시킨 응축기(110)의 절곡되는 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삽입공(121)과 상기 횡삽입공(121) 측부에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종삽입공(122)을 포함한다.
횡삽입공(121)은 상하방향으로 2열로 각각 다섯개가 형성된다.
종삽입공(122)은 두개의 횡삽입공(121)의 왼쪽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종삽입공(122)은 상하방향으로 두개 형성된다.
종삽입공(122)의 하부에는 응축기(110)의 입구(113) 또는 출구(114)가 삽입되는 개방홈(123)이 형성된다.
즉, 개방홈(123)은 제1브라켓(120a, 120b)의 왼쪽 하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홈(123)으로 인해 응축기(110)의 입구(113) 또는 출구(114)가 효과적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응축기(110)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응축기(110)가 더욱 컴팩트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횡삽입공(121)과 종삽입공(122) 및 개방홈(123)이 배치되어 제1브라켓(120a, 120b)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컴팩트하게 유지된다.
제1브라켓(120a, 120b)은 두개가 구비되어, 응축기(110)의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응축기(110)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응축기(110)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반대편에 배치되는 브라켓(120b)은 마주보는 브라켓(120a)과 횡삽입공(121)과 종삽입공(122)은 좌우대칭되고, 개방홈(123)은 대각선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응축기 응축기(110)의 입구(113)는 브라켓(120a) 하부에 있는 개방홈(123)으로 유입되어 반대편에 있는 브라켓(120b)의 횡삽입공(121)으로 삽입된 후 절곡되어 다시 브라켓(120a)의 횡삽삽입공(121)에 삽입되며,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의 횡삽입공(121)에 모두 삽입되면 마지막으로 종삽입공(122)에 삽입되어 위로 절곡된 후 이미 제1브라켓(120a, 120b)에 삽입된 응축기(110) 위에 절 곡되어 적층된다. 적층이 완료된 응축기(110)의 출구(114)는 반대편에 있는 브라켓(120b)의 상부에 있는 개방홈(123)으로 인출되어 다른 장치에 연결된다.
여기서, 응축기(110) 외주면에 감겨진 핀(111)이 제1브라켓(120a, 120b)의 삽입공에 삽입된 후 제1브라켓(120a, 120b)에 걸려서 응축기(110)의 정해진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즉, 핀(111)은 응축기(110)의 걸림돌기 역할을 하여, 응축기(110)을 제1브라켓(120a, 120b)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횡삽입공(121)과 종삽입공(122)이 구비되어 하나의 긴 관으로 형성된 응축기(110)을 용이하게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박스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이 가능하게 되어 공간활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110)이 횡삽입공(121)과 종삽입공(122)을 포함한 삽입공에 삽입되어 적층되거나 절곡되더라도 응축기(110) 사이의 사이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응축기의 필요한 응축기(110) 길이에 따라 또는 허용되는 체적에 따라 응축기(110) 적층회수 또는 일정피치(27~28mm)로 감는 회수 또는 절곡 부위를 조절하여 응축기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응축기(110)의 용량이 조절될 경우에는 제1브라켓(120a, 120b)의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하나의 제1브라켓(120a, 120b)을 통해 다양한 용량의 응축기(110)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120a, 120b)을 통해 응축기(1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핀(111)의 주름진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관형상의 응축기(110)에도 상기와 같은 제1브라켓(120a, 120b)을 통해 용이하게 적용가능하여 종래의 응축기(110)에도 장치변경 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20a, 120b)에는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절곡부(124)와, 전방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전방절곡부(125)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치면에 밀착되는 하부절곡부(128)가 형성된다.
또한,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에는 제2브라켓(210)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126)가 각각 형성된다.
제1결합부(126)는 외측방향으로 제1브라켓(120a, 120b)의 전방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의 결합부(126)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에는 제1결합부(126)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127)가 각각 형성된다.
제2결합부(127)는 제1브라켓(120a, 120b)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일측의 제1브라켓(120a)에는 제2결합부(127)가 상부에 배치되고, 타측의 제1브라켓(120a)에는 일측의 제1브라켓(120a)에 형성된 제2결합부(127)보다 낮은 높이인 하부에 제2결합부(127)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26) 및 제2결합부(127)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210)은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제1브라켓(120a, 120b)에 설치 된다.
제2브라켓(210)은 전체적인 형상이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설치브라켓(212)과 설치브라켓(212)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브라켓(211)을 포함한다.
제2브라켓(210)은 상기와 같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제2브라켓(210)의 설치각도의 조절 폭을 넓힐 수 있다.
송풍팬어셈블리는 송풍팬(220)과 송풍팬을 회동시키는 모터(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송풍팬(220)과 모터(230)는 제2브라켓(210)을 통해 응축기(110)에 결합된다.
설치브라켓(212)은 중심부에 모터(230)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양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연결브라켓(211)은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되고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및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된다.
연결브라켓(211) 상부의 절곡부는 설치브라켓(212) 절곡부에 볼팅체결되고, 연결브라켓(211) 하부의 절곡부는 제1결합부(126) 또는 제2결합부(127)에 결합된다.
응축기(110)의 절곡간격을 변경하여 전체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용량을 변경시키더라도 제1브라켓(120a, 120b) 사이간격을 줄이거나 넓혀서 응축기(110)를 지지함으로써, 제1브라켓(120a, 120b)을 다양한 용량의 응축기(11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10)의 용량을 변경시켜 제1브라켓(120a, 120b) 사이간격이 변하더라도 제2브라켓(210)을 수평으로 설치하거나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10)의 절곡간격이 넓어서 응축기(11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응축기(110) 용량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브라켓(120a, 120b)의 사이간격도 넓어져서 제2브라켓(210)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10)의 절곡간격이 좁아져서 응축기(11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응축기(110) 용량이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브라켓(120a, 120b)의 사이간격도 좁아져서 제2브라켓(210)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방법은, 응축기(110) 양측에 제1브라켓(120a, 120b)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120a, 120b) 사이 간격에 따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된 제2브라켓(2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브라켓(210)을 상기 제1브라켓(120a, 120b)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응축기(110)를 절곡한 후 절곡된 부분을 제1브라켓(120a, 120b)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응축기(110) 양측에 제1브라켓(120a, 120b)를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은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응축 기(110)의 전체 길이에 따라(응축기의 용량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양측의 제1브라켓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제1브라켓 사이간격이 고정될 수도 있다.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 사이 간격에 따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된 제2브라켓(2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제2브라켓(210)을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상기 설치각도는 제2브라켓(210)의 양단이 양측의 제1브라켓(120a, 120b)의 제1결합부(126) 또는 제2결합부(127)에 근접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각도 조절 후 제2브라켓(210) 양단을 제1브라켓(120a, 120b)에 각각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응축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 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해 응축기와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응축기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제2브라켓의 설치각도의 조절 폭을 넓힐 수 있다.

Claims (3)

  1. 응축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브라켓;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3. 응축기 양측에 제1브라켓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양측의 상기 제1브라켓 사이 간격에 따라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된 제2브라켓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방법.
KR1020070054522A 2007-06-04 2007-06-04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083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22A KR100836650B1 (ko) 2007-06-04 2007-06-04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22A KR100836650B1 (ko) 2007-06-04 2007-06-04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650B1 true KR100836650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522A KR100836650B1 (ko) 2007-06-04 2007-06-04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28B1 (ko) 1998-11-14 2006-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냉각장치의팬쉬라우드어셈블리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28B1 (ko) 1998-11-14 2006-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냉각장치의팬쉬라우드어셈블리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7608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130168070A1 (en) Heat Exchanger Assembly Having a Distributor Tube Retainer Tab
US10197313B2 (en) Condenser for refrigerator
KR100308449B1 (ko) 냉장고용콘덴서
US5632330A (en) Twice bent heat exchanger coil
US2021010591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012569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EP2762809B1 (en) Refrigerator
KR100836650B1 (ko) 응축기와 송풍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080086725A (ko) 응축기
JP6715338B2 (ja) スパイラルフィンコンデンサ
US20200248912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921376B1 (ko) 응축기 마운팅 어셈블리
KR20080086724A (ko) 응축기
WO2021256563A1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10102736A1 (en) Air conditioner
KR102145546B1 (ko) 열교환기 간격유지용 브래킷
JP6060147B2 (ja) 特に自動車用の熱交換器用コレクターボックスおよびその熱交換器
US10254006B2 (en) Compressor noise suppressing structur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CN110017644B (zh) 冰箱
JP4680420B2 (ja) スパイラルコンデンサの固定装置
KR20160118572A (ko)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JP6985960B2 (ja) 冷蔵庫
JP3646033B2 (ja) フィン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100357110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