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449B1 - 냉장고용콘덴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449B1
KR100308449B1 KR1019980026247A KR19980026247A KR100308449B1 KR 100308449 B1 KR100308449 B1 KR 100308449B1 KR 1019980026247 A KR1019980026247 A KR 1019980026247A KR 19980026247 A KR19980026247 A KR 19980026247A KR 100308449 B1 KR100308449 B1 KR 10030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pipe
refrigerator
coi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751A (ko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449B1/ko
Priority to JP10264227A priority patent/JP2000018849A/ja
Priority to US09/156,658 priority patent/US6098705A/en
Priority to CN98120806A priority patent/CN1131401C/zh
Publication of KR2000000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454Heat exchange having side-by-side conduits structure or conduit section
    • Y10S165/495Single unitary conduit structure bent to form flow path with side-by-side sections
    • Y10S165/496Spiral or helical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06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코일형 콘덴서는 방열성능이 우수함에도 방열에 필요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와 규정치 이상의 피치(콘덴서를 구성하는 파이프와 인접파이프 간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대형냉장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기계실 공간을 갖는 중소형냉장고에서는 이러한 코일형 콘덴서를 사용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덴서를 이루는 파이프의 일부를 절곡형성하되 가로길이에 비해 세로길이가 다소 긴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며 다수회 감겨 배열되는 종방향파이프를 형성하고 이 종방향파이프와 어긋나도록 인접하여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며 종방향파이프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회 감겨 배열되는 횡방향파이프를 형성하며, 종방향파이프 및 횡방향파이프를 동일면에서 지지하도록 웰딩되는 제1지지대, 횡방향파이프들 만을 동일면에서 지지하도록 웰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지지대 및 종방향파이프들 만을 동일면에서 지지하도록 웰딩되는 제3지지대를 구비하여 규정치 이상의 피치는 유지하되 콘덴서의 길이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 뿐만 아니라 중소형 냉장고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임.

Description

냉장고용 콘덴서
본 발명은 냉장고용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간의 피치를 최소화하여 중소형냉장고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일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사용되는 콘덴서는 냉장고 뿐만 아니라 냉동고, 쇼케이스 및 아이스박스 혹은 에어컨 등과 같은 냉동, 공기조화기등에 사용되는 방열용 파이프로서 통상 콤프레서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에 함유된 고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켜 액화 냉매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콘덴서중 냉장고의 기계실과 같이 좁은 공간에 설치가능한 형태는 크게 두종류로 나누어지는 바, 이를 테면 사각형태로 다수회 절곡하고 횡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뱅크 타입 콘덴서(bank type condenser)와, 일방향으로 소정 반경을 갖도록 사각형태 또는 원형으로 감아 형성하되 인접 파이프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형성되는 코일 타입 콘덴서(coil type condenser)가 그것이다.
상기 뱅크 타입 콘덴서는 코일타입 콘덴서에 비해 방열능력 대비 설치공간이 크고 제조상의 비용되 많이 들기 때문에 보다 진보된 형태의 콘덴서로의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코일 타입 콘덴서는 콘덴서를 형성하는 파이프와 파이프간의 간격(이하 피치라 함)을 일정거리 이상 유지함으로써 비용과 성능에 적합한 최적의 설계가 가능한 바, 비교적 큰 기계실 공간을 갖는 대형 냉장고의 경우에는 큰 어려움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중형 냉장고의 경우 적정 피치에서 전체 콘덴서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지므로 냉장고 초기 기동시 응축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냉각회로를 구성하는 콤프레서의 신뢰성 및 소음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현재 중형 냉장고에는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냉장고에 사용되는 콘덴서는 그 방열성능에 따라 냉장고의 냉각성능을 크게 좌우하는 바, 이러한 콘덴서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켜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콘덴서 변형예들이 공개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15150호 "냉장고용 응축기", 공개특허공보 제90-5136호 "응축기" 및 제93-7697호 "자동차 에어컨용 응축기"등이 그것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공보 제96-5782호는 콘덴서(10a) 파이프의 배열을 이음매 없이 다행(多行), 다열(多列)의 형태로 제작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다수의 지지대(12)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다열 다행으로 적층된 콘덴서(10a)는 방열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공보 제95-28139호는 사각 형태의 콘덴서(10b)로 파이프를 다단으로 배열하되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하여 상기 콘덴서(10b)의 길이를 충분히 유지토록 하며 상기 콘덴서(10b)의 양측면에는 10°- 80°범위 내에서 방열 면적을 극대화시켜 주는 방열핀(14)을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7-66418호는 타원형 콘덴서(10c)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콘덴서(10c)는 대략 넓적한 형태로 장방형의 콘덴서(10c) 파이프를 일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그리며 휘감아 충분한 방열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는 파이프간의 간격 유지 및 방열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열편(18)이 부착되고 인접 위치에는 냉각팬(16)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콘덴서(10a, 10b)들은 다열 다행으로 배열되거나 혹은 다단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므로 방열에 충분한 길이는 확보한다 할지라도 인접 파이프와 매우 기밀하게 촘촘히 감겨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콘덴서들을 냉각시키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되어 오히려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또한, 상술한 도 3의 콘덴서(10c)는 방열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는 있지만 냉매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넓어 콤프레서에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다량의 냉매가스가 액화되기도 전에 그냥 지나쳐 버리기 때문에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제조되는 일반적인 콘덴서에 비해 현저히 낮은 냉각성능을 나타내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소형 냉장고에서도 방열에 충분한 콘덴서 길이를 확보하면서 피치도 충분히 유지하여 콘덴서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코일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소형 냉장고에서도 코일 콘덴서를 사용하되 방열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콤프레서 초기 기동시 발생되는 과다한 압력 상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코일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냉장고용 콘덴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냉장고용 콘덴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제3도는 종래 냉장고용 콘덴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가 기계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냉장고의 하측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가 설치된 냉장고 냉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제7a도는 종래 콘덴서의 피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의 피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덴서 110 : 콤프레서
120 : 냉각팬 200 : 기계실
300 :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 320, 340, 360 : 지지대
400 :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냉장고의 냉각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 일부가 코일형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냉장고용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파이프를 사각형상으로 다수회 절곡하되 횡방향 길이에 비해 종방향 길이가 다소 길게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와,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에 인접하여 횡방향의 길이가 종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횡방향으로 연장된 콘덴서가 교대로 이격 배열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코일형 콘덴서(100)가 설치된 중소형 냉장고의 배면 기계실(20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계실(200)에는 장입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콤프레서(110)와, 상기 콤프레서(110)의 인접측에 소정 직경을 갖고 나선형으로 감아 설치되는 코일형 콘덴서(100)와, 상기 콘덴서(100)의 내부에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냉각팬(120)과, 상기 장치들을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130)가 설치된다.
상기 콘덴서(100)는 인접 파이프와 적정 피치를 두고 감아 설치되는데, 통상 이러한 피치는 상기 냉각팬(120)의 회전으로 강제 유도된 기계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콘덴서(100)를 이루는 파이프들 사이를 원활하게 빠져 나갈수 있는 정도의 거리가 요구되며, 실험에 의하면 간격은 적어도 10 mm 이상 유지되어야 최적의 방열 성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콘덴서(100)는 적정한 피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 파이프와 어긋나게 형성된다.
냉각팬(120)은 상기 콤프레서(110)와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콤프레서(110)의 구동과 동시에 회동되어 상기 콘덴서(100)를 냉각시키며 또한 콤프레서(110)의 구동정지와 동시에 회동이 정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20)은 콘덴서(100) 내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송풍방향이 콘덴서(100)를 관토아여 콤프레서(110) 측을 향하도록 된다.
이러한 것은 일차적으로 콘덴서(100)를 냉각하는 동안 약 40℃ 정도로 가열된 공기를 보다 더 높은 온도, 즉 90 - 100℃의 콤프레서(110)로 강제송풍시켜 콤프레서를 냉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덴서(100)가 채용된 중소형 냉장고의 개략적인 냉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콤프레서(110), 콘덴서(100), 핫파이프(150), 캐필라리튜브(160), 증발기(140) 및 어큐뮬레이터(170)가 순차적으로 배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코일형 콘덴서(100)는 상술한 바와같이 적정한 피치를 유지하면서 인접 파이프와 어긋매김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중소형 냉장고에 형성된 비교적 좁은 공간의 기계실내에서도 방열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서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가능하다.
핫파이프(150)는 상기 콘덴서(100)의 일부가 연장되어 냉장고 전면에 배설됨으로써 콘덴서(100)의 폐열에 의해 고내의 찬 공기와 고외의 더운 공기가 접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진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콘덴서(100)의 방열 성능에 따라 증발기(140)의 증발능력이 좌우되므로 결국 냉장고의 냉각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기한 표 1과 표 2는 콘덴서(100)의 피치에 따른 냉매 봉입량, 냉각성능, 월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콘덴서(100)의 배설길이에 따른 콤프레서(110)의 초기 기동시 발생되는 최대 압력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고주파에 의한 냉장고의 소음관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또한, 이 실험은 상기 콘덴서(100)의 피치와 길이를 최소화 혹은 최적화시켜 냉장고의 소, 중, 대형에 관계없이 전기종에 코일형 콘덴서를 채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 실험결과이기도 하다.
상기 표1의 제목인 "RT 30℃ 기본 성능 시험결과"는 냉장고의 전원을 전부 오프한 상태에서 각 실, 즉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가 30℃에 도달되었을 때 전원을 온하여 냉장고를 가동시켜 KS 규정치인 냉동실 온도는 - 5℃, 냉장실 온도는 10℃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체크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F1/3은 냉동실의 상면으로부터 1/3되는 지점에서 고내 온도를 측정한다는 의미이며, R1/3은 냉장실의 상면으로부터 1/3되는 지점에서 고내온도를 측정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파이프간의 피치가 크면 클수록 그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전체 파이프 길이가 짧아짐에도 불구하고 피치가 작은 경우에 비해 동등 수준의 냉각 성능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 1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험에 의하면 상기 피치는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아무리 커지더라도 콘덴서의 방열 특성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이유는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정도로 피치가 유지된 상태라면 콘덴서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최적상태이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별도의 변수가 가미되지 않는 한 그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표 1은 콘덴서의 파이프간 피치가 적정하게 유지되면 콘덴서의 길이가 다소 짧아지더라도, 예컨대 기존품이 6.5 mm의 피치를 갖고 34회 감겨져 20.56 m를 유지하여 냉각속도가 냉동실의 경우 90.8분이 걸리고 냉장실의 경우는 118분이 걸린 반면에, 제2실시품은 10.0 mm의 피치를 갖고 23회 감겨져 13.98 m를 유지하면서도 냉각 속도는 냉동실의 경우 77분, 냉장실의 경우는 118분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수한 냉각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의 제목인 "풀다운(full down) 시험결과"는 냉장고의 전원을 풀가동한 상태에서 각 실, 즉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가 최저점에 도달되었을 때의 도달온도를 체크한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각 피치(예를들어 6.5mm, 8.0mm, 10.0mm)와 길이를 갖는 경우에 콤프레서의 초기 구동시 걸리는 최대 압력도 측정하였다.
상기 콤프레서 구동시 발생되는 초기압력은 냉장고의 소음과 깊은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콘덴서의 길이가 적정하게 유지되어야만 소음이 최대로 억제되게 된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피치가 6.5mm인 경우에 비해 피치가 다소 큰 10.0mm의 경우 냉장실 냉동실 공통적으로 6.5mm의 피치를 갖는 콘덴서와 거의 동등한 냉각온도를 나타내었다.
단, 피치 축소에 따라 동일한 콘덴서 설치공간에서 파이프 전체 길이가 축소되어 콘덴서 파이프 내부 부피가 감소하므로 초기 기동시 콤프레서 압력이 상승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은 비용으로 냉각회로 구성부품인 드라이어의 부피를 크게 하여 기존(피치 6.5mm)과 거의 같은 정도의 압력 유지가 가능하다.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콘덴서(10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콘덴서(100)는 파이프를 사각형상으로 절곡하여 다수회 감아 배열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종방향의 길이가 횡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횡방향의 길이가 종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가 인접하여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코일부(300,400)들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콘덴서의 안정을 위하여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들에 공통적으로 용접되는 제1지지대(320)와,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들만에 용접되는 제2지지대(340) 및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만에 용접되는 제3지지대(360)에 의해 상기 코일부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면, 즉 상부면만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파이프가 절곡되어 이루는 코일부들의 수를 n 이라 하면, n=1, 3, 5, 7, ...... 에 해당하는 코일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을 나타내고, n=2, 4, 6, 8, ..... 에 해당하는 코일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들을 나타낸다.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간의 피치(ℓ1)를 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부(400) 사이의 피치(ℓ2)도 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가 배설됨으로써 기존의 코일형 콘덴서에 비해 콘덴서(100)의 파이프 길이가 2배 정도 더 연장되게 배설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한 방열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각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들의 피치는 상기 표 1과 표 2에서 제시된 제2실시품에서와 같이 10mm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최상의 방열성능을 구유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를 기존품과 대비하여 명확하게 도시한 단면도가 도 7a와 도 7b이다.
도 7a에 나타난 기존 단일 형태의 배열 방식의 콘덴서는 파이프간 피치가 일정 거리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충분한 콘덴서 길이를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소형 냉장고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반면에, 도 7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중 형태의 배열 방식의 콘덴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들간의 피치(ℓ1)보다,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 사이의 피치(ℓ2)를 작게 하여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이중으로 서로 교대되게 배열가능하며, 따라서 충분한 파이프의 길이를 확보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들 사이의 피치도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덴서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 7a에 나타난 기존품의 경우에는 냉각팬(120)에서 강제 송풍된 공기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한 방향의 공기흐름이 유도되기 때문에 피치 간격이 좁을수록 콘덴서 파이프의 단위길이당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반면에, 도 7b에 나타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냉각팬(120)에 의해 강제 송풍된 공기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정삼각형을 이루는 파이프들 사이로 양방향의 공기 흐름이 유도되고 또한 피치 간격도 넓게 유지되므로 원활한 공기 흐름이 유도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도시된 사각형태로 감겨 형성된 콘덴서(100)의 적어도 두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는 그 일측 모서리가 정면에서 보아 겹쳐져 보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적어도 두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부위에는 이들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를 동시에 지지고정하는 제1지지대(32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그 나머지 부분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를 동시에 지지고정하는 제2지지대(340)가 용접고정되며,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300)들만을 지지고정하는 제3지지대(360)가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 고정된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콘덴서(100)의 형태를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를 절곡하여 감겨 배열되는 수인 n이 n=1, 3, 5, 7 ...의 배열을 이루어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를 형성하고, n=2, 4, 6, 8, ...의 배열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는 적어도 한점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토록 하여 그 점들을 연결하여 지지고정하는 제1지지대(320)가 용접고정된다.
따라서, 이들 콘덴서는 좁은 공간에서도 방열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피치도 규정치에 맞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2, 3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콘덴서 변형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예컨대 서로 다른 두 도형의 엇갈린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면이 일치되어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4면이 일치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들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별로 별도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콘덴서를 이루는 파이프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중소형 냉장고에서도 코일 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냉각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서, 상술한 바와같이 콘덴서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한 콘덴서 파이프의 길이가 확보되어 콤프레서의 초기 기동시 과다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콤프레서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냉장고의 냉각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가 코일형으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냉장고용 콘덴서에 있어서, 파이프를 사각형태로 절곡하여 다수회 감되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와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를 이웃하여 교대로 배열되게 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의 세로길이는 그에 이웃하여 배열된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의 세로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어 종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400)의 가로길이는 그에 이웃하여 배열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300)의 가로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어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콘덴서.
KR1019980026247A 1998-06-30 1998-06-30 냉장고용콘덴서 KR10030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247A KR100308449B1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용콘덴서
JP10264227A JP2000018849A (ja) 1998-06-30 1998-09-18 冷蔵庫用のコイル形コンデンサ
US09/156,658 US6098705A (en) 1998-06-30 1998-09-18 Coil type condenser for refrigerator
CN98120806A CN1131401C (zh) 1998-06-30 1998-09-30 用于冰箱的盘管式冷凝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247A KR100308449B1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용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51A KR20000004751A (ko) 2000-01-25
KR100308449B1 true KR100308449B1 (ko) 2001-11-30

Family

ID=1954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247A KR100308449B1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용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98705A (ko)
JP (1) JP2000018849A (ko)
KR (1) KR100308449B1 (ko)
CN (1) CN11314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9970B1 (en) 2001-11-13 2003-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side refrigeration unit assembly
US7954894B2 (en) 2003-05-15 2011-06-07 Audiovox Corporation Headrest mountable video system
US7609946B2 (en) 2003-05-15 2009-10-27 Audiovox Corporation Portable video system
US7007748B2 (en) * 2003-09-30 2006-03-07 Bradford White Corporation Indirect water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063132B2 (en) * 2003-12-29 2006-06-20 Bradford White Corporation Multi-wall heat exchanger for a water heater
US7281387B2 (en) * 2004-04-29 2007-10-16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Foul-resistant condenser using microchannel tubing
ES2451645T3 (es) 2005-11-07 2014-03-28 Audiovox Corporation Sistema audiovisual montable en un asiento de vehículo y procedimientos de montaje y visualización del mismo
WO2008119816A1 (en) * 2007-04-02 2008-10-09 Arcelik Anonim Sirketi A condenser
DE102007029179A1 (de) * 2007-06-25 2009-0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JP2012184860A (ja) * 2011-03-03 2012-09-27 Mitsubishi Plastics Inc 伝熱管及び熱交換器
EP2762809B1 (en) * 2011-09-26 2017-06-21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JP2013072620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冷蔵庫
SE537267C2 (sv) 2012-11-01 2015-03-17 Skanska Sverige Ab Förfarande för drift av en anordning för lagring av termiskenergi
SE536722C2 (sv) * 2012-11-01 2014-06-17 Skanska Sverige Ab Energilager
SE536723C2 (sv) 2012-11-01 2014-06-24 Skanska Sverige Ab Termiskt energilager innefattande ett expansionsutrymme
CN103398513B (zh) * 2013-07-30 2016-03-30 海尔集团公司 冷凝器及具有其的制冷器具
CN104165543A (zh) * 2014-08-01 2014-11-26 苏州威尔博机械有限公司 一种旋翅片热交换器
CN107560269A (zh) * 2017-09-14 2018-01-0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4169A (en) * 1979-12-26 1981-07-30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dens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373A (en) * 1904-05-17 1905-03-07 Henry A Allen Steam-reheater.
US1708625A (en) * 1925-03-07 1929-04-09 Safety Car Heating & Lighting Refrigeration
US1850527A (en) * 1927-08-31 1932-03-22 Edmund E Allyne Refrigerator
US1801563A (en) * 1927-11-12 1931-04-21 Copeland Products Inc Refrigerating apparatus
US1985950A (en) * 1932-03-07 1935-01-01 Perfection Stove Co Enameled condenser
US2203439A (en) * 1938-07-01 1940-06-04 Babson Bros Co Cooling apparatus
US2657020A (en) * 1949-09-20 1953-10-27 Bell & Gossett Co Heat exchanger
US4073045A (en) * 1973-01-16 1978-02-14 Aktiebolaget Atomenergi Convector for heating rooms
US5159976A (en) * 1991-05-20 1992-11-03 Indiana Tube Corporation Heat transfer device
US5832739A (en) * 1996-11-26 1998-11-10 Rti Inc. Heat exchanger for evaporative cooling refrig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4169A (en) * 1979-12-26 1981-07-30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d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18849A (ja) 2000-01-18
KR20000004751A (ko) 2000-01-25
CN1240922A (zh) 2000-01-12
CN1131401C (zh) 2003-12-17
US6098705A (en) 2000-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449B1 (ko) 냉장고용콘덴서
KR930001635B1 (ko) 열 교환장치
JP5636253B2 (ja) 蒸発器
EP0637724B1 (en) Refrigerator
US20030196783A1 (en) Refrigeration evaporator
JP200019338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US5183105A (en) Opposed canted evaporator
US7121328B1 (en) Condenser
JP3318381B2 (ja) ほぼ長円形のらせん形状を有するとげ状フィンの冷蔵庫用蒸発器を備えた冷蔵庫
KR101402674B1 (ko) 냉난방장치의 나선형 응축기
KR101468912B1 (ko) 가정용 냉장고들 및 냉동고들용 후벽 응축기
KR100493697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US20050126197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or wit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KR100593086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EP1538411A2 (en) Heat exchanger arrangement
JP5020159B2 (ja) 熱交換器、冷蔵庫及び空調装置
JP3326326B2 (ja) 熱交換器
KR19990022294U (ko) 냉장고용 콘덴서
KR100226417B1 (ko) 간냉식 냉장고의 증발기구조
KR100483068B1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KR0126750Y1 (ko) 열교환기
KR011376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KR200333694Y1 (ko) 나선형 열교환장치의 고정구조
JPH04356671A (ja) 冷蔵冷凍用蒸発器
WO2003050467A1 (en) Pin tube ty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