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77B1 -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77B1
KR100836277B1 KR1020060062189A KR20060062189A KR100836277B1 KR 100836277 B1 KR100836277 B1 KR 100836277B1 KR 1020060062189 A KR1020060062189 A KR 1020060062189A KR 20060062189 A KR20060062189 A KR 20060062189A KR 100836277 B1 KR100836277 B1 KR 10083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plasma display
barrier rib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676A (ko
Inventor
박태호
남영길
유종성
박기범
우정희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티클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티클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티클로지
Priority to KR102006006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01J9/242Spacers between faceplate and backp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4Spac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형성방법은 ZnO 10~60 중량%, B2O3 10~40 중량%를 포함하며, BaO, SiO2, P2O5 , Al2O3, MgO, Sb2O3, CaO, Bi2O3, Li2O, Na2O, K2O, TiO2, Fe2O3, Cr2O3, CeO2, MnO, V2O5, Cu2O, Co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을 65~75 중량부와 바인더 및 유기용매 15~35 중량부의 모유리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어드레스 전극과 유전체층이 형성된 후면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530~600℃에서 소성하여 결정화를 진행시켜 격벽층을 형성하고, 결정화가 진행된 격벽층을 패터닝하여 격벽을 형성한다.
유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결정, 무연, 소성

Description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Lead-free Crystallized Glass Frit And Method of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격벽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격벽의 결정화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격벽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식각 해상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납을 함유하지 않는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장치는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al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aly; FED), 진공형광소자(Vacuum Fluorescent Dispaly; VFD)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저소음 저전력 시대인 21세기 사회의 정보전달 매체로 각광을 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투명전도막(ITO) 전극, 버스(BUS) 전극, 유전층, 산화마그네슘(MgO) 보호층 등이 형성된 전면기판(upper panel)과 어드레스용 전극, 반사막, 격벽, 형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기판(lower panel)로 구성되며,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의 내부 공간에 플라즈마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은 방전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격벽은 표시품질과 발광효율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기판의 격벽층 재료로는 매트릭스(matrix) 역할을 하는 모유리와 골재 역할을 하는 필러(filler) 재료의 두 가지 재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고, 특히 모유리로는 소성 공정 후에 비결정질 유리 상태로 전이하는 재료 조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유리나 이를 포함한 혼합재료를 사용하면 소성막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격벽 셀(cell)의 두께 및 높이가 불균일하여 부분적으로 셀 결함이 다량 발생하고 식각 해상도가 낮아 고해상도(High Density)급 이상의 플라즈마 디 스플레이의 제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소성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이 균일하지 못하여 소성온도의 허용오차가 작게 됨으로써 격벽 제조시 공정 제어가 어렵게 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양품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납(PbO)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소성 공정에서 결정화가 발생하여 경도가 높고, 열적 특성이 우수하며, 식각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은 ZnO 10~60 중량%, B2O3 10~20 중량%를 포함하며, BaO, SiO2, P2O5 , Al2O3, MgO, Sb2O3, CaO, Bi2O3, Li2O, Na2O, K2O, Fe2O3, TiO2, Cr2O3, CeO2, MnO, V2O5, Cu2O, Co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500~600℃에서 결정화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형성방법은 ZnO 10~60 중량%, B2O3 10~40 중량%를 포함하며, BaO, SiO2, P2O5 , Al2O3, MgO, Sb2O3, CaO, Bi2O3, Li2O, Na2O, K2O, Fe2O3, TiO2, Cr2O3, CeO2, MnO, V2O5, Cu2O, Co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을 65~75 중량부, 및 바인더 및 유기용매 15~35 중량부의 모유리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어드레스 전극과 유전체층이 형성된 후면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530~600℃에서 소성하여 결정화를 진행시켜 격벽층을 형성하고, 결정화가 진행된 격벽층을 패터닝하여 격벽을 형성한다.
유리 조성물 중에서 B2O3의 비율은 10~4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낮을 경우 유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비율이 4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 결정화가 곤란해지고 유리의 용융점이 높아지고 산에 대한 식각특성이 불량해져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식각용 격벽재료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유리 조성물 중에서 ZnO의 비율은 10~6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낮으면 약산에 대한 식각특성이 나빠지며, 이 비율이 6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화가 되기 어렵다.
유리 조성물 중에서 BaO의 비율은 0~4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4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융점을 낮추는 효과는 있으나 열팽창계수가 과다하게 증가한다.
P2O5의 비율은 0~3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3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융점을 낮추는 효과는 있으나 열팽창계수가 높아지며, 유리분말의 흡습성이 높아져 초기 특성의 변질이 발생할 수 있다.
SiO2는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열팽창계수를 낮춘다. SiO2의 함량은 0~3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30중량%보다 높으면 결정화가 억제되고 식각특성이 나빠진다.
Al2O3는 0~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낮추는 반면에 다량 함유될 경우 유리가 형성되기 어려우며, 식각특성이 나빠진다.
MgO는 0~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높으면 열팽창계수가 과다하게 증가한다.
Sb2O3는 0~35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35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낮추는 반면에 다량 함유될 경우 유리가 형성되기 어려우며, 식각특성이 나빠진다.
CaO는 0~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융점을 낮추고 색상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다량 함유될 경우 유리의 열팽창계수가 높아진다.
Bi2O3는 0~3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30중량%보다 높으면 유리의 융점을 낮추지만,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증가시키며, 식각특성이 나빠진다.
Li2O와 K2O는 유리의 융점을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0~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높으면 열팽창계수가 증가한다.
Na2O는 유리의 융점을 낮추지만, 0~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비율이 10중량%보다 높으면 열팽창계수가 높아지며 PDP 전극 및 유전체 상에 도포하여 소성할 때, 황색계통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Fe2O, TiO2, Cr2O3, CeO2, MnO, V2O5, Cu2O, CoO를 적정하게 배합하여 투입하면 유리 색상을 진갈색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진갈색의 격벽은 플라즈마 패널의 콘트라스트 향상에 기여 한다.
상술한 유리 조성물은 무연 결정화 유리로서 500~600℃의 소성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식각 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균일하며 식각 공법용 격벽재료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소성 후에는 패널 전체가 색상이 균일하며 진갈색의 색상을 구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및 표 2는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에 사용된 모유리 조성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BaO 22.6 18.9 11.5 25.0 25.0 16.0 12.0 9.0 11.9 9.5
B2O3 22.4 37.5 26.7 22.0 15.0 22.0 18.0 22.5 13.8 21.6
ZnO 31.4 19.6 23.5 20.0 30.0 42.0 45.5 49.0 38.5 30.5
SiO2 15.12 9.1 9.5 20.0 - - 5.0 5.0 2.4 8.2
Al2O3 2.6 - - 3.0 - 3.5 - - - - -
CaO - - - - - - - - 3.4 - -
Bi2O3 - - - - 25.0 7.0 7.0 - 30.0 - -
MgO - 8 - - - - - - - - -
Na2O - - - 5.0 - - - 6.0 - -
SnO2 - - - - - 2 - - - - -
Sb2O3 - - 24.2 - - - - - - 30.2 -
Li2O 3.8 6.9 4.6 5.0 - - - 1 - - -
P2O5 - - - 5.0 7.5 12.5 7.5 - -
TiO2 2.08 - - - - - - - - -
Fe2O3 - - - - - - - - - -
V2O5 - - - - - - - - - -
CeO2 - - - - - - - - - -
Cu2O - - - - - - - - - -
K2Cr2O7 - - - - - - - - - -
MnO - - - - - - - - - -
CoO - - - - - - - - - -
sum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g(℃) 450 464 442 440 460 465 467 470 456 483
Tx(℃) 550 565 555 542 565 566 563 560 562 568 -
CTE (10-7/℃) 74.1 71.0 74.5 74 72.4 70.2 69.2 70.5 73.0 70.6
경도 483 479 482 478 480 495 488 472 478 487
주결정상 Ba2SiO4 BaZn2(PO4)2 Ba2B2O5
(단위 : 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aO 16.8 15.4 9.5 - 18.1 14.7 21.2 24.0 11.5 9.0 25.0
B2O3 36.2 21.1 18.0 19.9 36.0 26.7 23.1 28.8 24.0 18.0 9.5
ZnO 20.1 44.4 52.0 32.2 18.7 21.5 24.8 24.0 48.0 50.0 35.8
SiO2 8.8 - - 8.7 8.8 7.4 16.5 - 4.6 2.0 10.0
Al2O3 7.7 3.4 - - - - - 9.6 - - -
CaO - - - - - - - - 1.8 - -
Bi2O3 - - - - - 16.8 - 6.7 - - -
MgO - - - - 7.8 5.3 - - - - -
Na2O - 4.6 6.0 - - - - - 6.0 6.0 5.7
SnO2 - - - - - - 4.2 - - - -
Sb2O3 - - - 32.0 - - - - - - -
Li2O 6.5 - - 3.3 6.6 3.6 4.2 2.9 - 2.0 -
P2O5 - 7.2 9.0 - - - - - - 9.0 14.0
TiO2 - - 0.2 - - - 2.0 - - - -
Fe2O3 0.4 0.4 0.8 0.4 0.4 0.6 0.4 0.4 0.4 - -
V2O5 - - - - - 1.5 - - - 1.0 -
CeO2 - 0.2 0.8 - - - 1.0 - - - -
Cu2O 0.9 0.7 1.0 0.9 0.9 1.4 0.7 0.9 0.9 - -
K2Cr2O7 1.8 1.8 - 1.5 1.9 - 1.2 1.7 1.0 - -
MnO 0.8 0.8 2.7 0.7 0.8 0.5 0.7 0.8 1.8 2.0 -
CoO - - - 0.4 - - - 0.2 - 1.0 -
sum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g(℃) 462 463 460 470 464 457 461 446 456 461 459
Tx(℃) 567 560 555 568 565 552 558 548 562 560 -
CTE (10-7/℃) 73.1 72.8 71.9 69.1 70.4 72.0 71.2 74.8 73.0 72.5 56.1
경도 463 476 486 498 470 478 485 480 476 469 441
주결정상 Ba2B2O5 BaZn2(PO4)2 Zn2SiO4 Ba2B2O5 없음
(단위 : 중량부)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20에서는 ZnO 10~60 중량%, B2O3 10~40 중량%를 포함하며, BaO, SiO2, P2O5 , Al2O3, MgO, Sb2O3, CaO, Bi2O3, Li2O, Na2O, K2O, Fe2O3, TiO2, Cr2O3, CeO2, MnO, V2O5, Cu2O, Co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무연 결정성 모유리 조성물의 전이점(Tg), 격벽의 소성온도 범위인 600℃이하에서 발생하는 결정화온도(Tx), 실시예 1 내지 20의 분말유리를 소성온도 570℃에서 열처리한 후 50~350℃까지의 열팽창계수(CTE ;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및 질산 1% 용액에 대한 식각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20의 조성물을 갖는 유리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전이점은 440~470℃ 이며, 열팽창계수(CTE)는 69~75 ×10-7/℃ 이며, 경도는 460~500 정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조성물을 갖는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과 비교예의 유리 조성물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후면기판 상에 어드레스 전극과 유전체층을 형성한 후에 본 발명의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을 각각 75 중량부와 바인더와 유기용매로서 에틸 셀룰로스 5 중량부 및 부틸셀로솔브/텍사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이어서,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어드레스 전극과 유전체층이 형성된 후면기판 상에 도포하고 150℃에서 40분간 건조하고, 560℃에서 20분간 소성하여 100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결정질 격벽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격벽층이 형성된 후면기판 상에 감광성 필름을 도포하고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노광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격벽을 패터닝한다. 즉, 격벽층에 농도 0.5%(v/v)의 질산용액을 분사하여 격벽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한다. 이때, 스프레이 분사 압력은 3kgf, 스프레이 노즐의 직경은 0.5mm, 분사 높이는 120 mm로 한다.
이어서,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후면기판에 격벽을 형성한다.
이어서, 격벽이 형성된 후면기판에 형광체층을 도포하고, 전면기판과 함께 패널을 조립, 봉착, 배기, 가스주입 및 에이징 단계를 거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한다.
이하,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된 격벽의 특성을 살펴본다.
(경도)
소성온도 570℃로 소성막을 열처리 한 후 비커스 경도계로 측정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값이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결정질인 실시예 1 내지 20의 경우 비정질인 비교예보다 경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결정질로 인한 소성막 강도가 향상되어 격벽 셀의 강도가 높아짐으로 외부충격에 의한 셀 결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비결정질 격벽과 실시예 5에 의해 제조된 결정질 격벽의 X선 회절 패턴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해당하는 X선 회절 패턴은 비정질 유리 특유의 넓은(broad)폭의 할로우 패턴(hollow pattern)을 보이고 있는 반면, 실시예 5에 해당하는 X선 회절패턴은 결정에 의해 나타나는 샤프한 피크가 강하게 나타나고, 주결상이 BaZn2(PO4)2 의 새로운 결정상이 존재하는 X선 회절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및 표 2에서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주결정상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결정질 격벽은 통상적인 비결정질 격벽과 달리 유리의 결정화 반응(Crystallization of glass)이 진행되어 결정상으로 형성된 결정성 유리(Crystallized Glass, Glass Ceramics)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적 특성 비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5 및 비교예의 조성물로 형성한 격벽의 결정화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DSC)를 사용하여 결정화 온도(Tg)를 측정하였는데, 실시예 5에 의해 제조된 모유리만이 600℃ 미만에서 결정화 온도 피크(peak)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5의 경우 결정화 피크가 소성온도구역에서 존재하여 결정질 유리를 나타내지만 비교예는 결정화 피크가 없어 비정질임을 나타낸다.
표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소성 온도별로 열처리 한 후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낸다.
실시예5 비교예
540 ℃ 71.3 71.6
550 ℃ 71 69.3
560 ℃ 71.5 65.3
570 ℃ 71.9 56.1
( 단위:e-07/℃)
도 3은 표 3의 데이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표 3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5의 경우 결정화 유리로 된 후에는 소성온도에따라 열팽창계수의 변화가 없으나 비교예의 경우 비정질 유리로서 소성온도에 따라 열팽창계수가 급격히 변화되는 특성을 보임으로서, 소성온도의 허용 오차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식각 종횡비 및 속도)
식각 종횡비는 수직식각(a)을 측면식각(b)으로 나눈 것으로 식각 종횡비가 높을수록 식각률이 향상되어 식각 해상도(resolution)가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식각 해상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표 3은 도 4의 식각종횡비를 정리한 표이다.
a (um) b (um) 식각 종횡비
실시예 5 148 71.9 2.05
비교예 158 146.1 1.08
표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5인 결정질 유리의 식각 종횡비가 비교예인 비정질 유리의 식각 종횡비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결정질의 식각 해상도가 비정질보다 우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 크기를 축소함으로서 고해상도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정리하여 바람직한 조성범위를 설정하여 표로 정리하면, 다음 표 4와 같다.
성분 중량% 범위
B2O3 10~40
ZnO 10~60
BaO 40 이하
P2O5 30 이하
SiO2 30 이하
Al2O3 10 이하
Sb2O3 35 이하
MgO 10 이하
CaO 10 이하
K2O 10 이하
Bi2O3 30 이하
Li2O 10 이하
Na2O 10 이하
Fe2O3 10 이하
Cu2O 5 이하
SnO 10 이하
TiO2 10 이하
Cr2O3 10 이하
MnO 10 이하
V2O5 5 이하
CeO2 5 이하
CoO 5 이하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유리 조성물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재료뿐만 아니라, 유전체용 및 봉착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성과정 중에 결정화가 일어나는 무연 결정성 모유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무연 결정질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패널 전체 소성막의 균일성으로 인해 소성막의 얼룩을 방지하여 색상이 균일하게 되고 식각속도가 전체 소성액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식각 후에 격벽 셀의 두께 및 높이가 일정하여 식각속도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셀 결함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500℃ 정도의 저온의 소성온도에서의 소성막의 젖음성이 균일하여 함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정질로 인한 소성막 강도가 향상되어 격벽 셀 강도가 높아짐으로 외부충격에 의한 셀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식각 종횡비가 개선되어 셀 크기를 축소함으로서 고해상도가 월활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소성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이 균일하여 소성온도에 따른 허용오차가 큼으로 인해 플라즈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의 공정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ZnO 10~60 중량%, B2O3 10~40 중량%를 포함하며, BaO, SiO2, P2O5, Al2O3, MgO, Sb2O3, CaO, Bi2O3, Li2O, Na2O, K2O, Fe2O3, TiO2, Cr2O3, CeO2, MnO, V2O5, Cu2O, Co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결정성 유리 조성물을 65~75 중량부, 및 바인더 및 유기용매 15~35 중량부의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어드레스 전극과 유전체층이 형성된 후면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격벽 형성용 모유리 페이스트를 500~600℃에서 소성하여 결정화를 진행시키며 격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화가 진행된 격벽층을 패터닝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형성방법.
KR1020060062189A 2006-07-03 2006-07-03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KR10083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89A KR100836277B1 (ko) 2006-07-03 2006-07-03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89A KR100836277B1 (ko) 2006-07-03 2006-07-03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76A KR20080003676A (ko) 2008-01-08
KR100836277B1 true KR100836277B1 (ko) 2008-06-10

Family

ID=3921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189A KR100836277B1 (ko) 2006-07-03 2006-07-03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04B1 (ko) * 2017-03-30 2017-10-17 알무스이앤티 주식회사 바나듐계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바나듐계 유리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926A (ja) * 1999-10-29 2001-05-15 Okuno Chem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JP2003048750A (ja) * 2001-08-03 2003-02-21 Okuno Chem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926A (ja) * 1999-10-29 2001-05-15 Okuno Chem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JP2003048750A (ja) * 2001-08-03 2003-02-21 Okuno Chem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04B1 (ko) * 2017-03-30 2017-10-17 알무스이앤티 주식회사 바나듐계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바나듐계 유리재
WO2018182143A1 (ko) * 2017-03-30 2018-10-04 알무스이앤티 주식회사 바나듐계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바나듐계 유리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76A (ko) 200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4849B1 (en) AC plasma display gray scale drive system and method
KR101178980B1 (ko) 전극 피복용 유리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유리페이스트
US20050242725A1 (en) Glass composition and paste composition suitable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US20070298956A1 (en) Composition of glass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600005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용 무연 유리 조성물
JP4799043B2 (ja) 低融点ガラス組成物
KR100836277B1 (ko) 무연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JP200113092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JP200304875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KR20040080522A (ko) 무연 ac-pdp 전극용 은 페이스트 프릿 개발
JP200427721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用ガラス組成物
KR2009002479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39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 유전체용 유리 조성물
KR100663413B1 (ko)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US2005001764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9312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전체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12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02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전체용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0521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214144A (ja) 誘電体組成物とこの誘電体組成物を用いた誘電体および誘電体ペースト
KR2006007625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판
KR1008608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용 저융점 유리 조성물
KR1009054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전체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86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전체용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15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에칭격벽용 무연 유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