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192B1 -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 Google Patents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192B1
KR100834192B1 KR1020070068927A KR20070068927A KR100834192B1 KR 100834192 B1 KR100834192 B1 KR 100834192B1 KR 1020070068927 A KR1020070068927 A KR 1020070068927A KR 20070068927 A KR20070068927 A KR 20070068927A KR 100834192 B1 KR100834192 B1 KR 10083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water
discharge pipe
ai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07006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192B1/ko
Priority to PCT/KR2008/004055 priority patent/WO2009008671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내측으로 흡입하여 기화되는 물로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냉풍기에 있어서, 냉각된 냉풍이 토출되는 냉풍토출관을 외부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하고, 이를 통해 상온의 외부공기가 냉풍토출관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게 하여 1차적으로 공기가 냉각되는 효과를 얻으며, 이와 동시에 냉풍토출관 내측의 냉풍이 내외측 온도차이로 인해 결로현상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냉풍의 습도를 낮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전방측에 공기 흡입부(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0)의 공기 흡입부(11)에 구비되는 습흡패드(20)를 구비하고, 상기 습흡패드(20) 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20)를 통과하는 공기를 타측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30)을 구비하며, 상기 습흡패드(20) 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20)를 반복하여 가로지르는 냉풍토출관(40)을 구비하고, 상기 냉풍토출관(40)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공기 토출구(50)와, 상기 케이스(10) 하부측에 위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수조(60)를 구비하며, 상기 수조(60) 일측에 위치되어 물을 내측으로 공급하는 급수관(70)과, 상기 수조(60)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상측 습흡패드(20)로 공급하여 흘려 내리게 함으로써 습흡패드(20)를 적셔주는 순환펌프(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습기, 냉풍, 냉풍기, 기화식

Description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A Dehumidifier air coo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횡류팬과 냉풍토출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물의 흐름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공기의 흐름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냉풍토출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냉풍토출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열전소자를 이용한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중 열전소자의 구성 예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공기 흡입부
11A: 그릴망 20: 습흡패드
30: 횡류팬 31: 토출관
32: 흡입구 33: 날개
40: 냉풍토출관 41: 드레인관
42: 방열핀 43: 주름관
50: 공기 토출구 51: 방향조절수단
60: 수조 70: 급수관
80: 순환펌프 90: 열전소자
91: 흡열부 92: 발열부
93: 냉각수 이송라인 L: 물공급관
A: 연통부 B: 부표
O: 배수관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후 냉풍을 토출하는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화식 냉풍기로 흡입되는 상온의 공기가 냉각된 냉풍토출관을 경유하여 습흡패드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냉풍토출관 내외측의 온도차이와, 냉풍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냉풍토출관을 거치면서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냉풍에 혼입된 습기가 제거되어 외부로 토출되게 한 제습 기능을 구비한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사용되는 냉방장치로는 선풍기와 에어컨이 있으며, 선풍기는 후방측 공기를 전방으로 빠르게 토출함으로써 냉풍을 발생하는 것으로 공기 자체가 더우면 토출되는 바람도 더운 공기가 토출됨으로 냉방 효과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어컨은 냉기를 제공하는 실내기와 냉매의 온도를 저감하는 실외기로 나뉘며 냉방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제작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에어컨의 냉방 용량이 커질수록 실외기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며 외부로 더운 공기를 배출하여 거리를 지나는 행인들에게 불쾌감을 주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는 환경을 파괴하는 요주의 오염원으로 사용에 문제가 있었으며, 전기 에너지 소모가 커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얼음 또는 물의 증발을 이용한 냉풍기가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얼음을 이용한 냉풍기의 경우 냉풍을 위해 얼음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공간이 넓은 곳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물의 증발을 이용한 기화식 냉풍기의 경우 토출되는 냉풍에 습기가 많이 포함되어 토출되는 바람을 쐬는 대상이 불쾌감을 느끼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로 토출하여 밀폐된 공간에 사용되어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냉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습흡패드를 이용해 외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이전에 1차적으로 온도를 시킴으로써 토출되는 냉풍의 냉각 효율을 높인 냉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장치는 전방측에 일정 크기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 흡입부에 구비되는 습흡패드와, 상기 습흡패드 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를 통과하는 공기를 타측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과, 상기 횡류팬의 토출구 측과 일단이 연결되며, 습흡패드 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를 반복하여 가로지르는 냉풍토출관과, 상기 냉풍토출관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공기 토출구와, 상기 케이스 하부측에 위치되어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일측에 위치되어 물을 내측으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수조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상측 습흡패드로 공급하여 흘려 내리게 함으로써 습흡 패드를 적셔주는 순환펌프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토출구측에 다수의 토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냉풍토출관은 상기 토출관에 일측이 연결되어 습흡패드를 따라 일정 길이 하향되다 절곡되어 재차 상향되고, 상단이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다수의 "U"자형관으로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냉풍토출관은 하향되는 끝단에 결로된 이슬이 하부측 수조로 포집되게 하는 드레인관을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풍토출관은 외주면에 다수의 방열핀을 더 구비하여 실시되거나,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풍토출관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 저면에 맞닿게 위치되는 열전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도시와 같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 전방측에 일정 크기를 갖는 공기 흡입구(11)를 구비하며, 상기 공 기 흡입구(11) 상측에 일정 크기의 공기 토출구(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11)는 미세한 격자형으로 된 그릴망(11A)을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50)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51)을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공기 흡입구(11)는 도 2 도시와 도 3 도시와 같이 다수의 냉풍토출관(40)이 "U"자형으로 구부러져 습흡패드(20)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풍토출관(40)의 "U"자형 하부측에 내부 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관(41)을 더 포함하여 실시된다. 또한, 상기 냉풍토출관(40)의 상단은 횡류팬(30)의 토출관(31)과 연결되고, 타측단은 공기 토출구(50)와 연결된다. 여기서 냉풍토출관(40)의 타측 단에 연결되는 공기 토출구(50)에 방향조절수단(51)을 더 구비함으로써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전방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일정 각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 내부 하측면에 일정 크기의 수조(60)가 구비되며, 상기 수조(60)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70)이 구비되고, 수조(60)의 물을 교체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배수관(O)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60)는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습흡패드(20)의 상부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순환펌프(80)와, 상기 순환펌프(80)를 통해 펌핑된 물이 이동되는 물공급관(L)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조(60)의 급수관(70)은, 보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급수관(70)을 개폐하는 부표(B)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O)은 수 동 및 자동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9 도시와 도 10 도시와 같이 열전소자(90)를 냉풍토출관(40) 일단에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냉풍토출관(40) 저면을 연결하는 연통부(A)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A)에 흡열부(91)가 맞닿게 하여 열전소자(90)를 구비한다. 이때 발열부(92)는 흡열부(91)와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조(60) 측으로 일정 길이 하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92) 하부측을 경유하여 열을 냉각시키도록 한 냉각수 이송라인(93)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냉각수 이송라인(93)은 순환펌프(80)의 물공급관(L)과 연동되어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본 발명은 도 5 도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측 하부의 수조(60)에 급수관(70)을 통해 물을 공급하고, 부표(B)에 의해 일정 높이가 되면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항상 일정 양의 물이 저장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일정 양 저장된 물을 수조(60) 내측의 순환펌프(80)를 이용해 상측으로 펌핑하는 것으로, 순환펌프(80)와 연결되는 물공급관(L)을 따라 펌핑된 물이 상승하여 습흡패드(20)의 상측에서 하향 분사되고, 이를 통해 습흡패드(20)가 물에 적셔진다.
이때 습흡패드(20)에 흡수된 물 이외에 초과되는 물의 경우 습흡패드(20) 하 단의 통공을 통해 자유낙하 하여 수조(60)에 저장된다.
이처럼 습흡패드(20)가 적절한 수분을 머금으면, 케이스(10) 내부 일측의 횡류팬(30)을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케이스(10) 내측으로 흡입하는 것으로, 이때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적셔진 습흡패드(20)를 통과하여 물을 기화시킴으로써 공기의 온도가 냉각된다.
또한, 습흡패드(20)를 거쳐 냉각된 공기는 횡류팬(30)의 일측 또는 양측의 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고, 회전되는 날개(33)를 통해 방향 전환되어 전방측으로 향하는 토출관(31)으로 토출된다.
한편, 횡류팬(30)의 토출관(31)과 연결되는 냉풍토출관(40)은 습흡패드(20) 전방측에 설치되어 일정 길이 하향되다 재차 상향되는 구부러진 형태의 "U'자형관으로써 상측단의 공기 토출구(50)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풍토출관(40)은 공기 흡입구(11) 측에 자연 노출되는 구조로써,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냉풍토출관(40)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면서 습흡패드(20)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풍토출관(40)의 내외측 온도차이가 발생하고, 상하로 구부려진 냉풍토출관(40)을 통해 많은 양의 냉풍이 공급됨으로써 냉풍이 압축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습흡패드(20)의 습기를 머금은 냉풍이 결로되어 수분이 냉풍토출관(40) 내벽에 맺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냉풍이 상단의 공기 토출구(50)로 된다.
한편, 상기 냉풍토출관(40) 내측에 결로되어 응집되는 수분은 냉풍토출 관(4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는 드레인관(41)을 통해 자유낙하 하여 하부측 수조(60)로 포집된다.
<제 2 실시 예>
상기 제 1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도 7 도시와 같이 냉풍토출관(4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방열핀(42)을 다수 장착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냉풍토출관(40)과의 열전달 효율을 높인 것이다.
<제 3 실시 예>
상기 제 1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도 8 도시와 같이 냉풍토출관(40)이 주름관(43)으로 구비된 것으로, 이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냉풍토출관(40)과의 열전달 효율을 높인 것이다.
<제 4 실시 예>
상기 제 1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도 9 도시와 도 10 도시와 같이 냉풍토출관(4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통부(A)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A) 저면에 열전소자(90)를 장착한 것으로, 이때 열전소자(90)의 흡열부(91)가 연통부(A)와 접면되며, 발열부(92)는 열전소자(90) 하부로 일정 길이 하향되게 구비된다. 이때 발열부(92)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열정소자(90)의 흡열부(91)를 통해 냉풍토출관(40)이 더욱 냉각되어 이를 통과하는 냉풍의 냉각효율을 높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물공급관(L)의 일측에 냉각수 이송 라인(93)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이송라인(93)이 발열부(92)를 경유하여 배수관(O)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이는 단일 순환펌프(80)를 이용해 습흡패드(20) 측의 물공급과 냉각수로 물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냉각수로 공급된 물이 발열부(92)를 거쳐 데워지면 그 물이 수조(60)로 저장되지 않고 바로 배수관(O)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배수관(O)은 수동 또는 자동 밸브를 끝단에 구비하여 임의 개폐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 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변형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의 사용으로,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로 토출하여 밀폐된 공간에 사용되어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습흡패드를 이용해 외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이전에 1차적으로 온도를 시킴으로써 토출되는 냉풍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는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8)

  1.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풍을 토출하는 냉풍기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전방측에 일정 크기의 공기 흡입부(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공기 흡입부(11)에 구비되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습흡패드(20)와;
    상기 습흡패드(20) 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20)를 통과하는 공기를 타측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30)과;
    상기 횡류팬(30)의 토출구 측과 일단이 연결되며, 습흡패드(20) 전방측에 위치되어 습흡패드(20)를 반복하여 가로지르는 냉풍토출관(40)과;
    상기 냉풍토출관(40)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공기 토출구(50)와;
    상기 케이스(10) 하부측에 위치되어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하는 수조(60)와;
    상기 수조(60) 일측에 위치되어 물을 내측으로 공급하는 급수관(70) 및;
    상기 수조(60)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상측 습흡패드(20)로 공급하여 흘려내리게 함으로써 습흡패드(20)를 적셔주는 순환펌프(80)로 구성된 것으로,
    외부로 흡입되는 더운 공기가 물로 적셔진 습흡패드(20)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횡류팬(30)을 통해 냉풍토출관(40)을 거쳐 공기 토출구(50)로 토출되고, 이 과정에서 냉풍토출관(40)의 외주면을 따라 더운 공기가 흐르면서 1차 냉각됨과 동시에 냉풍토출관(40) 내측을 흐르는 냉풍의 결로현상을 촉진하며, 결과적으로 습기 가 냉풍토출관(40) 내측에서 이슬로 맺혀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가 일정 수준으로 이하로 낮춰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30)은 토출구측에 다수의 토출관(31)을 구비하고, 상기 냉풍토출관(40)은 상기 토출관(31)에 일측이 연결되어 습흡패드(20)를 따라 일정 길이 하향되다 절곡되어 재차 상향되고, 상단이 공기 토출구(50)와 연결되는 다수의 "U"자형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50)는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 수단(51)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토출관(40)은 하향되는 끝단에 결로된 이슬이 하부측 수조(60)로 포집되게 하는 드레인관(41)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토출관(40)은 외주면에 다수의 방열핀(42)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토출관(40)은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43)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토출관(4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통부(A)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A) 저면에 맞닿게 흡열부(91)가 위치되며, 수조(60) 측으로 발열부(92)가 위치되는 열전소자(9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전소자(90)의 발열부(92)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수조(60)에 구비된 순환펌프(80)의 물공급관(L)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발열부(92)를 경유하여 타측단이 배수관(O)과 연결되게 한 냉각수 공급라인(93)인 것으로, 습흡패드(20)를 적시기 위해 수조(60)의 물이 펌핑되는 과정에서 일정 양의 물이 냉각수 공급라인(93)으로 유입되어 발열부(92)를 냉각시키고, 열교환된 물이 배수관(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KR1020070068927A 2007-07-10 2007-07-10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KR10083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27A KR100834192B1 (ko) 2007-07-10 2007-07-10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PCT/KR2008/004055 WO2009008671A2 (en) 2007-07-10 2008-07-10 A dehumidifing air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27A KR100834192B1 (ko) 2007-07-10 2007-07-10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192B1 true KR100834192B1 (ko) 2008-05-30

Family

ID=3966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927A KR100834192B1 (ko) 2007-07-10 2007-07-10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4192B1 (ko)
WO (1) WO20090086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5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748A (zh) * 2016-11-29 2017-05-31 攀枝花市九鼎智远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无电空调及其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56Y1 (ko) 2002-08-06 2002-11-13 이동욱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KR200421609Y1 (ko) 2006-04-19 2006-07-13 주식회사 맑은전자 물 증발식 냉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4730A (ja) * 1982-06-08 1983-12-14 Nippon Denso Co Ltd 空調装置
JPH11294788A (ja) * 1998-04-10 1999-10-29 Toyo Eng Works Ltd 冷却器
KR200299995Y1 (ko) * 2002-09-18 2003-01-06 유면수 제습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56Y1 (ko) 2002-08-06 2002-11-13 이동욱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KR200421609Y1 (ko) 2006-04-19 2006-07-13 주식회사 맑은전자 물 증발식 냉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5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KR101964663B1 (ko) * 2017-02-28 2019-04-0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8671A2 (en) 2009-01-15
WO2009008671A3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025B1 (en) Air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AU2009299104B2 (en) Cooling system with microchannel heat exchanger
JP4051487B2 (ja) ヒートポンプ式シャワーブース
CN101373086B (zh) 保湿节能的空调器
WO2022002207A1 (zh) 一种多功能一体式空调
KR100834192B1 (ko) 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JP2007127374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70119833A (ko) 실외기일체형에어컨
KR20080000025U (ko) 냉풍기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KR100437678B1 (ko) 일체형 항온 공조기
CN104697076A (zh) 一种预湿型室外空调机
WO2018000775A1 (zh) 一种室外机冷凝器冷却风蒸发加湿降温增效空调机
KR101309625B1 (ko) 물 증발식 냉방장치
KR200294756Y1 (ko)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CN212006050U (zh) 一种加湿通风装置及采用该装置的空调冷风机
CN105864929A (zh) 一种家用蒸发冷却式空调
CN109114714A (zh) 一种水份蒸发装置及分体式空调
CN110762637A (zh) 一种加湿组件、空调冷风机及控制方法
CN107238190A (zh) 一种空调
CN207196769U (zh) 一种用于空调的风冷系统
CN211526565U (zh) 一种加湿组件,采用该加湿组件的空调冷风机
JP394530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209229909U (zh) 一种水份蒸发装置及分体式空调
CN205717660U (zh) 家用蒸发冷却式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