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718B1 -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718B1
KR100833718B1 KR1020060037839A KR20060037839A KR100833718B1 KR 100833718 B1 KR100833718 B1 KR 100833718B1 KR 1020060037839 A KR1020060037839 A KR 1020060037839A KR 20060037839 A KR20060037839 A KR 20060037839A KR 100833718 B1 KR100833718 B1 KR 10083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surement
measuring
shaped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565A (ko
Inventor
장기태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riority to KR102006003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71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의 변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다수의 파일을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 지중 변형 계측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에는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계측 장치와 연결된 한 쌍 이상의 판형 계측 센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 계측 센서는 휨성이 우수한 기판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저항에 비례하여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도성 계측판과 ; 상기 각각의 계측판으로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리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리더기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고 각 계측판의 출력 전압 데이터를 리더기를 통해 전달받아 각 구간별 길이 변화를 산출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판형 계측 센서의 길이 변형을 상호 비교하여 파일의 연결부의 변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판형 계측 센서, 계측용 파일, 리더기, 계측판

Description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survey of pile using the plate-type survey sen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가 구비된 파일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일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판형 계측 센서를 갖는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가 구비된 파일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가 구비된 파일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를 구성하는 판형 계측 센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를 구성하는 판형 계측 센서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측센서
11 : 기판
12 : 계측판
13 : 리더기
131 : 계측 인터페이스부
132 : A/D변환부
133 : 장치 인터페이스부
134 : 마이컴
14 : 케이블
15 : 제어부
10 : 파일 10a : 핀삽입홀 10b : 연결관 삽입부
20 : 고정핀 20' : 연결관
100 : 계측 장치
본 발명은 지중 및 구조물 변화를 감지하는 계측용 파일의 연결부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 이상의 판형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각 판형 계측 센서에서 감 지된 전압을 비교하여 파일의 연결부가 변형 또는 절단됨을 감지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의 변화는 미세 지진과 폭우 등의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되거나 여러 토목공사 등의 인위적인 원인을 통해 발생된다. 그리고 교량, 댐, 건물 등의 구조물의 변화도 미세한 지진 등의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되거나 구조물의 노후 등으로 발생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지중의 변화가 발생되면 지중의 침하로 인하여 지중에 매몰된 각종 관 및 지중에 세워지는 각종 구조물이 붕괴되거나, 비탈면이 붕괴될 수도 있으며, 터널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막장이 붕괴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내부가 균열을 일으켜 변화되면 교량, 댐, 건물 등이 붕괴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탈면 및 평지면의 지표면의 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 및 구조물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은 지중에 매설되는 계측용 파일과 상기 파일들에 설치된 계측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 분석하는 계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중 및 구조물 변화를 감지하는 계측 장치를 구성하는 계측용 파일은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연결식 계측용 파일의 경우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지중 변화에 민감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파일의 연결부의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파일들의 연결부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파일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의 일측에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파일의 연결부가 변형 또는 절단됨을 감지하는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파일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판체 형상으로 구성된 판형 계측 센서를 최소한 한 쌍 이상 설치하여 지중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각 판형 계측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압을 비교하여 파일의 연결부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파일 연결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계측 센서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다수의 파일을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지중 변형 계측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에는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계측 장치와 연결된 한 쌍 이상의 판형 계측 센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 계측 센서는 휨성이 우수한 기판에 설치되고, 기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저항에 비례하여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도성 계측판과 ; 상기 각각의 계측판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리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고 각 계측판 의 출력 전압 데이터를 리더기를 통해 전달받아 각 구간별 휨 각도를 산출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판형 계측 센서의 휨 각도를 상호 비교하여 파일의 연결부의 변형을 산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휨성이 우수한 기판이 휘어짐에 따라 저항에 비례하여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도성 계측판과, 상기 각각의 계측판으로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리더기를 설치하여 구성된 판형 계측 센서를 계측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하고, 한 쌍 이상의 판형 계측 센서를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수단에 설치한 후, 상기 연결 수단으로 파일들을 연결하며,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파일을 지중이나 구조물 내부에 매몰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각 판형 계측 센서에 구성된 각 리더기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여 리더기의 작동시키고, 각 리더기로부터 입력된 전압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판형 계측 센서의 전압 변화를 산출하며, 산출된 전압의 변화값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파일 연결부의 수직 변형방향과 변형량를 산출하는 변형 산출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가 구비된 파일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일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판형 계측 센서를 갖는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 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는 지중의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계측 장치(100)를 구비하고, 다수의 파일(10)을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 지중 변형 계측용 파일의 상기 연결 수단에 판형 계측 센서(1)를 파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파일(10)의 연결구조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일(10)의 양 단부 내벽 또는 외벽에는 연결 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핀삽입홀(10a)을 형성하고, 상기 핀삽입홀(10a)에 연결 수단으로 막대 형상의 고정핀(20)을 설치하여 파일(10)과 파일(1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20)을 이용하여 파일(10)과 파일(10)을 연결할 경우 연결부가 약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20')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연결관(20')을 이용하여 파일들을 연결할 때에는 파일들의 양단의 내면 또는 외면에 연결관(2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연결관 삽입부(10b)를 형성하여 파일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관(20')의 외주면이나 내부면이 파일들의 내주면이나 외주면과 동일 면이 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일들의 연결구조는 통상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함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고정핀(20)이나 연결관(20') 등의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 파일들의 상기 연결수단들(20, 20')에는 판형 계측 센서(1)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2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2)과 접해있는 면의 반대면에는 보호막(20)을 더 형성하여 상기 판형 계측 센서(1)가 설치된 고정핀(20)을 파일(10)에 형성된 핀삽입홀(10a)에 끼워 넣을 때 판형 계측 센서(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위와 같이 판형 계측 센서(1) 일측의 노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20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연결 수단을 연결관(20')으로 구성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파일(1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일체로 설치된 판형 계측 센서(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다층으로 적층되어진 적층체이다.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는 파일(10)에 최소한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의 연결 수단 또는 연결부에 설치되며, 한쌍의 판형 계측 센서(1)는 파일(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는 기판(11)들 사이에 다수의 계측판(12)을 일렬로 설치하고 각 계측판(12)들로부터 케이블(14)을 인출시켜 리더기(13)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판형 계측 센서는 휘어짐에 따라 저항치에 비례한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계측판(12)과, 상기 각각의 계측판(12)에 전원을 입력하여 계측판(1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리더기(1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리더기(13)는 상기 계측판(12)에 연결된 케이블(14)이 접속되는 계측 인터페이스부(131)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입력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의 제어부(15)로 전송하고 제어부(15)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받는 장치 인터페이스부(133)와,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계측판(1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132)와,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A/D 변환부(132)를 통해 변환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 제어부(15)로 전송하는 마이컴(134)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계측판(12)은 상호 분리됨으로서 각각의 전압을 리더기(13)로 출력할 수 있도록 기판(11)과 절연층을 통해 부착 구비된다. 즉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를 구성하는 계측판(12)은 절연층을 통해 기판(11)에 부착되어 있고, 각각은 수직으로 형성된 절연층을 통해 분리되어 있음으로서 각 계측판(12)의 변형에 대한 출력 전압을 리더기(6)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기판(11)의 재질에 따라 구성되거나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판(11)의 재질을 절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고, 기판(11)를 도전성 금속 등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절연층을 형성하여 각각의 계측판(12)이 서로 절연상태가 되게 하여야 한다. 다만, 절연성 기판(11)일 경우에도 계측판들(12) 사이에는 절연층을 형성하여 한다.
상기 계측판(12)은 유동성을 가지는 전도성 엘라스토마(탄성 중합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파일(10) 연결부의 변화를 통해 계측판(12)이 휘어지게 되면 저항값 이 변화되며 변화된 저항값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되며, 이러한 전압은 계측판(12)의 끝단에 설치된 리더기(13)로 출력되는 전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계측판(12)의 곡률에 따른 입력전원에 대한 출력전압을 실측값으로 제어부(15)에 입력하여 둔 다면, 제어부(15)로 입력되는 전압값을 통해 각 계측판(12)의 변형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판(12) 중 하나의 단부를 기준단으로 하면 다른 단부의 변형을 상기 제어부(12)로 출력되는 전압값으로 역산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판형 계측 센서(1)의 외부에 구성된 계측 장치(100)의 일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리더기(13)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고 각 계측판(12)의 출력 전압 데이터를 리더기(13)를 통해 전달받아 각 구간별 길이 변화를 산출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판형 계측 센서(1)의 길이 변형을 상호 비교하여 파일(10)의 연결부 변형을 산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 변형 측정 장치에 의해 파일의 굽힘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 변형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판형 계측 센서(1)를 파일(1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들의 일측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고정 수단으로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연결 수단이 고정핀(20)일 경우에는 고정핀(20)의 일측면에 판형 계측 센서(1)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켜 설치하고 그 외면에 보호막(20a)을 코딩 또는 페인팅 할 수 있고, 연결 수단이 연결관(20')일 경우에는 연결관(20')에 형성된 홈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판형 계측 센서(1)를 부착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면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위와 같이 연결 수단에 판형 계측 센서(1)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연결수단을 파일(10)의 단부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판형 계측 센서(1)가 파일(10)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한다.
파일(10)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로부터 인출된 연결선을 파일(10)의 일측에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보호 수단을 통해 보호되게 하면서 외부로 연장시키고 연결된 파일(10)을 지중에 매설하고 각 판형 계측 센서(1)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계측 장치(100)에 연결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의 구성이 종료되면 장치가 구동되어 파일(10)의 연결부가 휘어지는 지 여부를 측정하게 되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각 판형 계측 센서(1)에 구성된 각 리더기(13)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여 리더기(13)의 작동시키고, 각 리더기(13)로부터 입력된 전압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판형 계측 센서의 길이 변화를 산출하며, 산출된 길이 변화값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파일 연결부의 수직 변형방향과 변형량를 산출하는 변형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계측판(12)이 변형될 경우에는 계측판(12)의 저항값이 틀려지고, 리더기(13)로 입력되는 각 계측판(12)의 출력 전압이 각기 틀려짐 으로서 각 계측판(12)의 변형을 전압으로부터 판형 계측 센서(1) 자체의 길이 변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파일(10) 연결부의 변형 방향 및 변형량은 서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판형 계측 센서(1)의 변화 길이의 차에 의해 파일 연결부의 변형 방향과 변형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한 쌍을 이루는 판형 계측 센서(1)들의 전압을 감지하여 최초 설치시의 전압과 달라짐을 감지함으로서 파일(10) 연결부의 변형이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들 각 센서들(1)중 어느 일측의 판형 계측 센서(1)에서 감지된 전압과 다른 판형 계측 센서(1)에서 감지된 전압의 차이가 있을 경우 연결부는 어느 일측으로 굽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판형 계측 센서(1)들로부터 감지된 전압값의 차이에 의해 파일 연결부의 굽혀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파일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판체 형상으로 구성된 판형 계측 센서를 최소한 한 쌍 이상 설치하여 지중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각 판형 계측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압을 비교하여 파일의 연결부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얇은 판체 형상의 계측 센서를 설치함으로서 변형 계측 수단이 단순하여 계측 센서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지중 및 구조물 내부의 변화를 3차원으로 계측함으로서 지중 및 구조물 내부의 붕괴조짐을 정밀하게 파악함으로서, 보강조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지중에 박히는 하나 이상의 계측 파일(10)과, 각각의 계측 파일(1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0, 20')과, 상기 계측 파일에 연결되어 변위를 계측하는 계측 장치(100)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 수단(20, 20')에 일체로 구비된 판형 계측 센서(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10)의 양 단부 내벽 또는 외벽에는 연결 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핀삽입홀(10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은 막대 형상의 고정핀(20)이며, 상기 다수의 고정핀(20)들 중 파일(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부분에 각각 설치된 고정핀(20)에는 상기 판형 계측 센서(1)가 일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3. 지중에 박히는 하나 이상의 계측 파일(10)과, 각각의 계측 파일(1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0, 20')과, 상기 계측 파일에 연결되어 변위를 계측하는 계측 장치(100)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 수단(20, 20')에 일체로 구비된 판형 계측 센서(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10)의 양 단부 내벽 또는 외벽에는 연결 수단이 끼워질 수 있는 연결관 삽입부(10b)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 삽입부(10b)에는 연결수단인 연결관(20')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다수의 센서 설치홈(20a')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센서 설치홈(20a')에는 상기 판형 계측 센서(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계측 센서(1)의 파일(10)과 접하는 면의 반대쪽인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면에는 보호막(2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계측 센서(1)는
    휨성이 우수한 기판(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11)가 휘어짐에 따라 저항에 비례하여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도성 계측판(12)과 ; 상기 각각의 계측판(1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리더기(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측 장치(100)는
    상기 리더기(13)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고 각 계측판(12)의 출력 전압 데이터를 리더기(13)를 통해 전달받아 각 구간별 휨 각도를 산출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판형 계측 센서(1)의 휨 각도를 상호 비교하여 파일(10)의 연결부의 변형을 산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13)는 상기 계측판(12)에 연결된 케이블(14)이 접속되는 계측 인터페이스부(131)와,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입력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의 계측장치(100)로 전송하고 외부 계측장치(100)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입력받는 장치 인터페이스부(133)와,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계측판(5)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변환부(132)와,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디지털 계측 데이터를 외부 제어부(15)로 전송하는 마이컴(13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KR1020060037839A 2006-04-26 2006-04-26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KR10083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39A KR100833718B1 (ko) 2006-04-26 2006-04-26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39A KR100833718B1 (ko) 2006-04-26 2006-04-26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65A KR20070105565A (ko) 2007-10-31
KR100833718B1 true KR100833718B1 (ko) 2008-05-29

Family

ID=3881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39A KR100833718B1 (ko) 2006-04-26 2006-04-26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51B1 (ko) 2010-10-29 2011-01-26 협성개발(주) 공동구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계측장치
KR101105141B1 (ko) 2009-06-24 2012-01-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중 및 온도계측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포트받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61B1 (ko) * 2008-03-21 2010-03-25 심석래 지반의 크랙 감지장치
KR100844138B1 (ko) * 2008-04-03 2008-07-04 (주)삼화종합기술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601A (ja) * 1991-08-29 1993-09-17 Kalman Kovari 変位量、好ましくは、土、岩、基礎土の変位量、或いは、建造物の変位量を決定するための測定器
JPH08327351A (ja) * 1995-05-30 1996-12-13 Konoike Constr Ltd 土中変位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0117629Y1 (ko) * 1994-09-30 1998-07-15 박정구 말뚝의 계측시스템
KR100500352B1 (ko) 2004-09-25 2005-07-12 (주)지엠지 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센서와 이 계측센서를 이용한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601A (ja) * 1991-08-29 1993-09-17 Kalman Kovari 変位量、好ましくは、土、岩、基礎土の変位量、或いは、建造物の変位量を決定するための測定器
KR0117629Y1 (ko) * 1994-09-30 1998-07-15 박정구 말뚝의 계측시스템
JPH08327351A (ja) * 1995-05-30 1996-12-13 Konoike Constr Ltd 土中変位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100500352B1 (ko) 2004-09-25 2005-07-12 (주)지엠지 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센서와 이 계측센서를 이용한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41B1 (ko) 2009-06-24 2012-01-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중 및 온도계측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포트받침
KR101011251B1 (ko) 2010-10-29 2011-01-26 협성개발(주) 공동구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65A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8190B2 (en) Fiber Bragg grating sensored segmented deflectometer for ground displacement monitoring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JP4836180B2 (ja) 変位計測装置
KR100833718B1 (ko)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Ha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wireless MEMS-based borehole inclinometer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ground movement
US20130054156A1 (en) Strain measuring and monitoring device
JP2007205740A (ja) Fbg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傾斜計
CN108760109A (zh) 基于布拉格光纤光栅的可变量程的土体压力测量装置和方法
JP6143225B2 (ja) 地盤応力センサおよび土圧検出装置
JP2009020016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ケーブル
Kania et 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fibre optic cables in piles
KR100879601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측정 장치 및 그방법
KR100550108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터널의 2차원 내공변위 측정장치 및시스템
KR20170106097A (ko) 매설 배관 모니터링 장치
KR100500352B1 (ko) 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센서와 이 계측센서를 이용한지중 및 구조물 변화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
JP4660805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方法
JP2002048518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方法
US6158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id measurement
CN110397054A (zh) 一种具有温度补偿功能的分布式光纤围堰监测系统及方法
JP2001066118A (ja) 光ファイバセンサ、光ファイバ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のセンサを用いた変位計測装置ならびに光ファイバセンサユニット接続構造
KR200419890Y1 (ko) 연약지반 계측관리용 텔레스코픽 커플링 체결구조
KR20010069842A (ko) 전기식 동적 토압계
CA2751278A1 (en) Strain measuring and monitoring device
JP2704172B2 (ja) 形態計測用検出器
KR101845202B1 (ko) 지반정보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