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243B1 -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243B1
KR100833243B1 KR1020060104028A KR20060104028A KR100833243B1 KR 100833243 B1 KR100833243 B1 KR 100833243B1 KR 1020060104028 A KR1020060104028 A KR 1020060104028A KR 20060104028 A KR20060104028 A KR 20060104028A KR 100833243 B1 KR100833243 B1 KR 10083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vable ring
movement
operation menu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232A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43B1/ko
Priority to US11/707,899 priority patent/US20080100883A1/en
Priority to CNA200710096571XA priority patent/CN101169692A/zh
Publication of KR2008003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정보입력장치는 로드와; 로드에 끼워지며, 로드를 따라 움직이는 선형 이동 및/또는 로드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가동고리와; 로드에 마련되어,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정보입력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메뉴를 탐색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새로운 방식의 정보 입력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색다른 조작감과 재미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입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정보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조작메뉴의 트리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과 도 7은 방향키 정보 입력에 따른 표시부의 조작메뉴 표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정보입력장치, 11...본체
15...로드, 16...가동고리
17...마개, 18...힌지
20...검출부, 50...표시부
본 발명은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와 같은 로드(rod)를 이용하여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작동 패널에는 전자제품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키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제품의 각종 기능들은, 최근 점점 복잡해져 가고 있으며, 상호 독립적이기보다는 상호 연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각종 기능들을 계층화시켜 인식하게 되므로, 기능 작동을 위한 키들의 배치에 있어서도, 계층으로 분류된 메뉴에서 필요한 기능이 효과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가지는 키들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 방향성을 가지는 키들을 방향키 또는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라고도 한다.
종래의 방향키들은 상하좌우의 4개의 버튼과 확인을 위한 1개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키 버튼들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나 도전성 고무스위치 등의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전기적인 접점을 누르거나 슬라이딩시켜 상호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는 이러한 방향키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가 매우 한정적이며,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점 소형화되면서 방향키에 할애되는 공간이 보다 최소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ersonal multimedia player;PMP)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수백, 수천 개의 컨텐츠 리스트에서 어느 한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방향키으로는 컨텐츠 리스트를 탐색하는 등의 메뉴이동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방향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와 같은 로드형의 구조물을 이용함으로써, 입력장치의 배치위치에 변화를 주어 소형화가 용이하게 하며, 메뉴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 조작감이 우수한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장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를 따라 움직이는 선형 이동 및/또는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가동고리(movable ring)와; 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은, 로드에 끼워져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및/또는 상기 로드를 따라 선형 이동이 가능한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10)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조작 메뉴를 보여주는 표시부(50)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로드(15)와, 상기 로드(15)에 끼워져 조작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가동고리(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1)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로드(15)는 본체(11)의 일 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로드(15)는 원기둥 내지 다각기둥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로드(15)는 그 축이 직선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으로 휜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드(15)에서, 가동고리(16)가 회전하는 부분의 단면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형 내지 원형에 가까운 정다각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15)는,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와 같이, 리트랙터블 구조도 가능하다. 리트랙터블 구조는 속이 비워있고 단면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기둥이 길이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로드(15)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로드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본체(11)의 소형화에 유리하며,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로드(15)는 본체(11)에 힌지(18)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드(15)는, 본체(11)쪽으로 접혀져 있다가, 정보입력이 요구될 때, 본체(11)로부터 젖혀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로드(15)가 사용자의 조작에 용이한 각도로 젖혀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18)쪽에 센서(미도 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상시에는 로드(15)가 본체(11)에 수납됨으로써, 본체(11)의 외관을 컴팩트하게 하며, 휴대성을 증대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로드(15)를 잡고 이를 젖히기 용이하도록, 상기 로드(15)의 끝단에 마개(1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힌지(18)는 수납가능한 결합구조의 일례이며, 상기 로드(15)는 본체(11)에 리트랙터블 구조, 또는 토글(toggle)식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안테나가 본체에 결합될 때 통상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로드(15)는 본체(11)에 수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고리(1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드(15)를 따라 움직이는 선형 이동과 상기 로드(15)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가동고리(16)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인 후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15)와 가동고리(16)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가동고리(16)가 상기 로드(15)에 대해 선형 이동과 회전이 모두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둘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만 가능한 경우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10)는, 상기 로드(15)와 가동고리(16) 사이에 상기 로드에 대한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향키 정보를 출력하는 검출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가동고리(16)가 제1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21)와, 상기 가동고리(16)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센서(22)와, 상기 가동고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센서(2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21,22)로는 예를 들어 접점식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센서(21)는, 상기 로드(15)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 고정 접점(미도시)과, 상기 가동고리(16)의 내주면에 마련된 제1 가동 접점(미도시)을 구비한다.이와 비슷하게, 제2 센서(22)도, 상기 로드(15)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 고정 접점(미도시)과, 상기 가동고리(16)의 내주면에 마련된 제2 가동 접점(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고리(16)가 제1 길이 방향(즉, 좌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이 접촉되며, 상기 제1 센서(21)는 제1 방향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가동고리(16)가 제2 길이 방향(즉, 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이 접촉되며, 상기 제2 센서(22)는 제2 방향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회전센서(24)는 예를 들어 회전식 스위치(rotary switch)가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센서(24)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고정 접점(미도시)과, 상기 가동고리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회전 접점(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고리(16)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 접점과 회전 접점은 서로 접촉되며, 제3 및 제4 방향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3 및 제4 방향키 정보는 상기 가동고리(16)의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 접점과 회전 접점의 접촉시 발생하는 펄스 신호의 위상차가 달라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센서(24)는 가동고리(16)의 회전방향 뿐만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가령, 펄스 신호의 개수나, 펄스 신호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회전량이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량이나 회전속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면 스크롤시 스크롤되는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방향키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정보는 통상적인 4방향키 정보에서 좌우 방향키 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제3 및 제4 방향키 정보는 통상적인 4 방향키 정보에서 상하 방향키 정보에 대응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방향키는 상하좌우의 4 방향키 외에도 선택된 조작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확인 버튼을 구비하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확인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제2 센서(22)를 확인 버튼으로 대용할 수 있다. 제2 센서(22)가 확인 버튼으로 대용되는 경우는 후술하는 입력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조작메뉴의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확인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가령, 확인 버튼은 안테나의 끝단에 마련된 마개(17)에 마련되거나, 본체(11)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가동고리(16)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본체(11)에 표시부(50)를 마련하여, 상기 표시부(50)의 화면에 표시되는 조작메뉴 리스트를 보면서 조작메뉴를 선택하여 실행시킴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으로 방향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표시부(50)로는 예를 들어, LCD와 같은 화상표시소자가 채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리(15)에 대한 가동고리(16)의 움직임은 검출부(20)에서 제1 내지 제4 방향키 정보로 검출되어, 제어부(30)로 보내진다. 상기 제어부(30)는 방향키값이 저장된 메모리부(40)를 참조하여, 현재 입력된 방향키 정보를 판별하여 조작메뉴를 표시부(50)에 표시하거나, 조작메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드(15)에 끼워진 가동고리(16)를 밀거나 당겨 선형으로 이동시켜 좌우 방향키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가동고리(16)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하 방향키 정보를 입력하는 새로운 방식의 방향키 정보 입력방법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가동고리(16)를 밀거나 당기거나 회전시켜 방향키 정보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10)는 사용자에게 색다른 조작감과 재미를 준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는 다수의 조작메뉴가 트리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적합하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계층에 다수의 콘텐츠와 같은 메뉴가 있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찾을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방향키 정보의 입력은 먼저 정보입력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시작된다(S200). 상기 단계(S200)는 로드(도 1의 15)의 본체(도 1의 11)의의 위치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정보입력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로드(15)가 본체(11)에 힌지(도 1의 18)로 결합된 경우, 상기 로드(15)가 사용자의 조작에 용이한 각도(예를 들어, 90도)로 젖혀질 때, 정보입력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다른 예로 상기 로드(15)가 토글식으로 본체(11)에 결 합된 경우, 상기 로드(15)의 끝단을 눌러, 상기 로드(15)가 본체(11)로부터 돌출될 때, 정보입력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이와 같이, 정보입력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로드(15)와 가동고리(도 1의 16) 사이에 배치된 검출부(도 2의 20)의 각 센서(21,22,24)는 가동고리(16)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드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방향키 정보는 제어부(도 3의 30)에 입력되며, 제어부(30)는 메모리부(도 3의 40)를 참조하여 입력종류를 판별한다(S300). 본 실시예에서 입력종류는 크게 가동고리(16)의 선형 이동에 따른 제1 및 제2 방향키(좌우 방향키) 정보 입력과 회전에 따른 제3 및 제4 방향키(상하 방향키) 정보 입력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가동고리(16)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센서(24)는 이를 감지하여, 회전 방향에 따른 제3 및 제4 방향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3 및 제4 방향키 정보는 제어부(30)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30)는 다수의 조작메뉴로 이루어지는 화면 스크롤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스크롤되는 조작메뉴 리스트는 도 4를 참조하면, 트리 구조에서 동일 계층의 조작메뉴 리스트이다. 상기 화면 스크롤을 위한 데이터는 표시부(도 3의 50)에 입력되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에 스크롤된다(S400). 상기 가동고리(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검출부(20)는 제3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며, 표시부(50)에서는 동일 계층의 조작메뉴 리스트가 상방으로 스크롤링된다. 상기 가동고리(1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검출부(20)는 제4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며, 표시부(50)에서 동일 계층의 조작메뉴 리스트가 하방으로 스크롤링된다. 이때, 스크롤되는 조작메뉴 리스트 중 어느 하나 의 조작메뉴가 기본적으로 하일라이트되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찾고자 하는 조작메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조작메뉴의 트리 구조에서,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가 서브메뉴 1이라면, 표시부(50)에는 제4 방향키 정보에 의해 상기 서브메뉴 1과 동일 계층상에 있는 서브메뉴 2,3,...,M이 하방으로 스크롤링되면서 표시된다.
회전센서(24)는 가동고리(16)의 회전방향 뿐만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조작메뉴에서 어느 한 조작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가령, 상기 회전센서(24)가 회전량을 측정하는 경우, 회전량에 비례하여 스크롤링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가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에 인접한 경우, 가동고리(16)를 조금만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링 속도를 작게 해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를 놓치지 않게 하고,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가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에서 먼 경우, 가동고리(16)를 많이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링 속도를 빠르게 해, 빠른 속도로 조작메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회전센서(24)가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경우,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스크롤링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가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에 인접한 경우, 가동고리(16)를 천천히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링 속도를 작게 해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를 놓치지 않게 하고, 선택하고자 하는 조작메뉴가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에서 먼 경우, 가동고리(16)를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링 속도를 빠르게 해, 빠른 속도로 조작메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센서(24)가 가동고리(16)의 회전량 이나 회전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다수의 조작메뉴에서 찾고자 하는 조작메뉴를 빠르게 탐색하여,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는 특히, 고용량화되는 MP3 플레이어나, PMP와 같은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콘텐츠 탐색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가동고리(16)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형 이동하면, 제1 또는 제2 센서(21,22)가 이를 감지하여, 선형 이동 방향에 따른 제1 및 제2 방향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정보는 제어부(30)에 입력되고, 제어부(30)는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하일라이트된 조작메뉴의 상위 계층의 조작메뉴(이하, 상위 조작메뉴)로 이동할 것인지 하일라이트된 조작메뉴를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이때, 제1 및 제2 방향은 통상적으로 좌우방향에 대응되나, 입력방법에 따라, 그 역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제1 방향키 정보가 제어부(30)에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상위 조작메뉴로 이동하라는 신호로 판단하여, 하일라이트된 조작메뉴의 상위 조작메뉴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50)에 출력한다(S600).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조작메뉴의 트리 구조에서,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가 서브메뉴 1이라면, 제1 방향키 정보에 의해 상기 서브메뉴 1의 상위 조작메뉴인 주메뉴 1, 2, ..., L이 표시부(50)에 표시된다.
만일, 제2 방향키 정보가 제어부(30)에 입력되면, 제어부(30)는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를 선택한다(S700). 이때, 선택된 조작메뉴에 하위 계층의 조작메뉴(이 하, 하위 조작메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30).
만일 선택된 조작메뉴에 하위 조작메뉴가 있다면, 제어부(30)는 제2 방향키 정보를 하위 제작메뉴로 이동하라는 신호로 판단하여 하위 조작메뉴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 7에 도시된 듯이 표시부(50)에 하위 조작메뉴를 표시한다(S750).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조작메뉴의 트리 구조에서,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가 서브메뉴 1이라면, 제2 방향키 정보에 의해 상기 서브메뉴 1의 하위 조작메뉴인 콘텐츠 1, 2,..., N이 표시부(50)에 표시된다.
만일 선택된 조작메뉴에 하위 조작메뉴가 없다면, 제어부(30)는 제2 방향키 정보를 선택된 조작메뉴를 실행하라는 신호(즉, 확인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선택된 조작메뉴를 실행한다(S780).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조작메뉴의 트리 구조에서, 하이라이트된 조작메뉴가 콘텐츠 1이라면, 제2 방향키 정보에 의해 상기 콘텐츠 1이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방향키 정보를 확인 신호로 대용함으로써, 별도의 확인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다수의 조작메뉴에서 원하는 조작메뉴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S780 단계를 대신하여, 별도의 확인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된 조작메뉴를 실행시킬 수도 있다.
상술된 S400 단계, S600 단계, 또는 S750 단계의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지 대기하게 된다. 만일 추가적인 입력이 있다면, 다시 S300 단계를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조작메뉴를 선택하여 정보입력을 완료하게 된다(S900).
상술된 실시예들은, 검출부(20) 및 제어부(3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가 방향키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 부(20) 및 제어부(3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조작메뉴를 실행시키는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선형 이동과 회전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문자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술된 실시예들은 가동고리가 선형 이동 및 회전이 모두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어느 하나의 움직임만 허용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선형 이동에 대응되는 정보 입력 내지 회전에 대응되는 정보 입력만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안테나와 같이 외부에 돌출된 구조물에 정보입력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와 같은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둘째, 다수의 조작메뉴 리스트에서 탐색하며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새로운 방식의 정보 입력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색다른 조작감과 재미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정보입력장치 및 이의 입력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 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로드와;
    상기 로드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를 따라 움직이는 선형 이동 및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가동고리와;
    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고리가 제1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움직임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은 직선 내지 곡선의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본체에 수납가능한 구조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에 힌지 구조, 리트랙터블 구조, 또는 토글식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고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인 후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동고리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가동고리가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동고리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는,
    상기 가동고리의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확인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생성된 방향키 정보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된 방향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키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동고리의 선형 이동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조작메뉴 중 계층을 달리하는 조작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동고리의 회전 운동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회전 운동 방향에 따라 조작메뉴 중 동일 계층에 있는 조작메뉴들이 상기 표시부에 상하로 스크롤되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7. 로드에 끼워져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상기 로드를 따라 선형 이동이 가능한 가동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고리의 제1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의 선형 이동하는 움직임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이 선형 이동하는 움직임인지 또는 회전하는 움직임인지의 입력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이 선형 이동하는 움직임인 경우, 상기 가동고리의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상위 조작 메뉴로 이동시키거나, 조작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조작 메뉴에 하위 메뉴가 있는 경우 하위 메뉴로 이동시키고, 선택된 조작 메뉴에 하위 메뉴가 없는 경우 선택된 조작 메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 정보에 상응하여, 다수의 조작메뉴 중 동일 계층에 있는 조작메뉴들을 보여주는 화면 스크롤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고리의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화면 스크롤의 속도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형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 정보에 상응하여, 다수의 조작메뉴 중 계층을 달리하는 조작메뉴를 보여주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형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 정보에 상응하여, 다수의 조작메뉴 중 어느 하나의 조작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본체와의 위치상태에 따라 정보입력이 수행되는 정보입력모드로의 전환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가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본체로부터 젖혀지면 정보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본체 내부에 삽입/돌출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가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본체로부터 돌출되면 정보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의 입력방법.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이 선형 이동인지 회전인지의 판단하여, 상기 검출부에서 생성된 방향키 정보의 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동고리의 움직임이 선형 이동하는 움직임인 경우, 상기 가동고리의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상위 조작 메뉴로 이동시키거나, 조작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조작 메뉴에 하위 조작 메뉴가 있는 경우 하위 메뉴로 이동시키고, 선택된 조작 메뉴에 하위 메뉴가 없는 경우 선택된 조작 메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KR1020060104028A 2006-10-25 2006-10-25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KR10083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28A KR100833243B1 (ko) 2006-10-25 2006-10-25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US11/707,899 US20080100883A1 (en) 2006-10-25 2007-02-20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CNA200710096571XA CN101169692A (zh) 2006-10-25 2007-04-16 输入信息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28A KR100833243B1 (ko) 2006-10-25 2006-10-25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32A KR20080037232A (ko) 2008-04-30
KR100833243B1 true KR100833243B1 (ko) 2008-05-28

Family

ID=3932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28A KR100833243B1 (ko) 2006-10-25 2006-10-25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00883A1 (ko)
KR (1) KR100833243B1 (ko)
CN (1) CN1011696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153A1 (en) * 2007-08-06 2009-02-12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KR101415439B1 (ko) * 2007-08-16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170119A (ja) * 2014-03-06 2015-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USD795256S1 (en) * 2016-06-01 2017-08-22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input device
USD795870S1 (en) * 2016-06-01 2017-08-29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input device
USD795871S1 (en) * 2016-06-01 2017-08-29 Microsoft Corporation Illuminated augmented reality input device
EP3570139A4 (en) * 2017-01-11 2020-12-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ROL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395A (ja) 1996-08-23 1998-03-06 Brother Ind Ltd 携帯型入力装置
JP2001142613A (ja) 1999-11-15 2001-05-25 Sharp Corp 入力装置
KR20050028766A (ko) * 2003-09-19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이용한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0946B1 (en) * 1997-01-29 2001-10-09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portable computer
DE102004010205B3 (de) * 2004-03-02 2005-10-20 Siemens Ag Bedienelement, insbesondere zur Steuerung eines medizinische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395A (ja) 1996-08-23 1998-03-06 Brother Ind Ltd 携帯型入力装置
JP2001142613A (ja) 1999-11-15 2001-05-25 Sharp Corp 入力装置
KR20050028766A (ko) * 2003-09-19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이용한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00883A1 (en) 2008-05-01
KR20080037232A (ko) 2008-04-30
CN101169692A (zh)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243B1 (ko)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KR102095108B1 (ko) 전자 시계의 접촉 감응형 크라운
US821278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zel feature for receiving input
CN207909082U (zh) 具磁感应滚轮的触控笔
KR100748469B1 (ko) 키패드 터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JP3143462U (ja) 切り替え可能な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および便利なタッチ操作機能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
US768391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EP2026172B1 (en) Scroll wheel with character input
US20100201618A1 (en) User interface
US20070220443A1 (en)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EP2003538A1 (en)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applying the same
US20080186287A1 (en) User input device
JP2010507861A (ja) 入力装置
US20120229374A1 (en) Electronic device
KR20110042893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TW200917100A (en) Virtually multiple wheels and method of manipulating multifunction tool icons thereof
JPWO2003024064A1 (ja) 電話機
KR101332708B1 (ko)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725253B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13246724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30086502A1 (en) User interface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957002B1 (ko) 휴대단말기용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입력방법
KR20120107231A (ko) 정전식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522804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