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39B1 -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39B1
KR101415439B1 KR1020070082415A KR20070082415A KR101415439B1 KR 101415439 B1 KR101415439 B1 KR 101415439B1 KR 1020070082415 A KR1020070082415 A KR 1020070082415A KR 20070082415 A KR20070082415 A KR 20070082415A KR 101415439 B1 KR101415439 B1 KR 10141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electronic device
auxiliary device
charact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900A (ko
Inventor
박상찬
심대현
김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4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보조 장치와 통신하며, 메뉴 모드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한다. 그리고 전자기기는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보조 장치로 전송한 후 그 보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서브 메뉴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메뉴 선택을 좀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워치폰, 손목시계형 단말기, 블루투스, 메뉴 선택

Description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ENU IN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기기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전자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의 전자기기들 중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별도의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키 입력부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해당 키를 눌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좀 더 다양해지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키 입력을 더욱 빈번히 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게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키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은 점점 소형화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최근 센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거나 선택된 메뉴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움직임의 방향과 각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의 기능이 결합된 6축 센서에서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심점을 지나는 X축(110), Y축(120) 및 Z축(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축(110), Y축(120) 및 Z축(130)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이는 방향을 체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이는 방향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축(110,120,130) 가운데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플러스(+) 방향 또는 마이너스(-)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도 1(c)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센서부에서 감지된 12가지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기기는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선택받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메뉴 선택의 과정이 복잡하고 키 입력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센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단지 메뉴 찾기나 선택, 취소 등의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센서부가 6축 센서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전자기기의 12가지 각 움직임에 따라 단 하나의 메뉴만이 대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움직여 이용할 수 있는 메뉴의 수가 한정적인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최근에는 전자기기에서 제공되는 메뉴들을 좀 더 간편하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움직임을 통해 메뉴 선택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기기에서 제공되는 좀 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사용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조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제1센 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하고, 상기 보조 장치에 서브 메뉴(Sub menu)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장치에 상기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뉴 선택 시스템에 있어서, 제1센서부를 구비하며, 메뉴 모드에서 상기 제1센서부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Main menu)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방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기기와, 제2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향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센서부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장치와 통신하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메뉴가 선택되면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의 메뉴 검색 및 선택이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보조 장치와 통신하며, 메뉴 모드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한다. 그리고 전자기기는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보조 장치로 전송한 후 그 보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서브 메뉴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메뉴 선택을 좀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뉴를 제공하는 전자기기들 중 특히,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Watch Phone)(이하 '워치폰'이라 칭함)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워치폰을 시계를 착용하듯이 손목에 착용하게 된다. 워치폰의 소형 화 특성으로 인하여 워치폰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워치폰을 원하는 메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움직여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워치폰에서의 메뉴 선택이 좀 더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워치폰 이외에 센서부를 구비한 보조 장치를 추가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보조 장치는 워치폰과 같이 손목시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워치폰 및 보조 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면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왼손에는 워치폰(200)을 착용하고, 오른손에는 액세서리 기능을 하는 보조 장치(210)를 착용한다. 워치폰(200) 및 보조 장치(210)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워치폰(200) 및 보조 장치(2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의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워치폰(200) 및 보조 장치(210)는 각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움직일 때마다 그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메뉴 모드에서 워치폰(200)은 각각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워치폰(200) 및 보조 장치(210)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메뉴의 선택은 워치폰(200) 및 보조 장치(210)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 및 보조 장치가 포함된 메뉴 선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워치폰(300)은 메모리(302), 블루투스 모듈(304), 센서부(306) 및 제어부(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302)는 워치폰(300)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메뉴(Main menu) 및 각 메인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Sub menu)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그리고 송수신부 역할을 하는 블루투스 모듈은(304)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보조 장치(320)와 무선으로 블루투스 커넥션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320)에 서브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보조 장치(3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워치폰(300)과 보조 장치(32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연결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및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통신들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센서부(306)는 워치폰(3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센서부(3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워치폰(300)의 공간상의 이동을 인식하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회전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6축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306)는 워치폰(300)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방향 및 회전된 방향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308)는 워치폰(3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블루투스 모듈(304)을 통해 보조 장치(320)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부(308)는 메뉴 모드에서 센서부(306)로부터 워치폰(3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308)는 서브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보조 장치(3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08)는 보조 장치(3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워치폰(300)과 연결된 표시 장치(310)는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의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과 함께 선택된 서브 메뉴에 대한 표시 정보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워치폰(300)과 연결된 표시 장치(310)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워치폰(300)에 장착된 표시부가 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워치폰(30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보조 장치(32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보조 장치(320)는 블루투스 모듈(314), 센서부(316) 및 제어부(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 장치(320)에서 블루투스 모듈(314)은 워치폰(30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커넥션을 형성하여, 워치폰(3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센서부(3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워치폰(300)과 동일한 6축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18)는 워치폰(300)으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센서부(316)로부터 보조 장치(32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18)는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따른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314)을 통해 워치폰(300)으로 전송한다.
한편, 보조 장치(320)는 워치폰(300)과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워치 폰(300)에서의 메뉴 선택에 있어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조 장치(3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신의 감지된 움직임 방향을 워치폰(300)에 전송함으로써 메뉴 선택 방법이 좀 더 다양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 및 보조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먼저 워치폰(300)은 센서부(306)를 통해 400 단계에서 센서부가 구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402 단계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을 체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306)는 6축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부(306)는 워치폰(300)의 중심점을 지나는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회전 및 위치를 이동하는 워치폰(300)의 12가지 움직임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워치폰(300)은 404 단계에서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메인 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워치폰(300)은 선택된 메인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하여 보조 장치(320)에 제어 요청 신호인 방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보조 장치(320)는 406 단계에서 방향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408 단계로 진행하여 센서부(316)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보조 장치(320)는 센서부(316)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여, 410 단계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을 체크한다. 그리고 보조 장치(320)는 제어 신호로 그 체크된 방향 정보를 워치폰(3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워치폰(300)은 412 단계에서 제어 신호인 방향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여,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418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인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들을 식별한다. 그리고 워치폰(300)은 420 단계에서 식별된 서브 메뉴들 중 수신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양 손목에 착용한 워치폰(300)과 보조 장치(320)를 간단히 움직여가며 좀 더 손쉽고 빠르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는 워치폰(300)이 보조 장치(320)에 제어 요청 신호로 방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메인 메뉴에 포함되는 서브 메뉴들의 각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 요청 신호가 서브 메뉴들의 인덱스 정보들인 경우, 보조 장치(320)는 수신한 인덱스 정보들 중 센서부(316)에서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인덱스 정보를 워치폰(3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워치폰(300)은 보조 장치(320)로부터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를 실행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도 4의 과정을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워치폰은 메뉴 모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그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워치폰은 선택된 메인 메뉴가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보조 장치에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보조 장치는 수신한 제어 요청 신호에 따라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움직임 방향 정보인 제어 신호를 워치폰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워치폰은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인 메뉴는 전화 걸기 메뉴 또는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 등이 될 수 있다. 이 중 먼저 전화 걸기 메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장치에 출력된 전화 걸기 메뉴의 실행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화 걸기 메뉴의 실행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든 숫자들이 표시된 숫자 디스플레이 창과 입력되는 숫자들이 출력되는 에디터 창(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숫자 디스플레이 창에는 어느 하나의 숫자를 지시하는 지시자(502)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전화 걸기 메뉴에서 사용자는 워치폰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숫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 걸기 메뉴에서 워치폰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5의 전화 걸기 메뉴의 초기 실행 화면에서 '0172'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 위치에 있는 지시자를 도 6(a)와 같이 '0'의 위치(600)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치폰을 아래 방향으로 한번 움직인다. 그리고 사용자는 '1'을 입력하기 위하여 워치폰을 왼쪽 방향으로 세 번, 위쪽 방향으로 두 번 움직여 '0'의 위치(600)에 있는 지시자를 도 6(b)에서와 같이 '1'의 위치(602)로 이 동시킨다. 이어 사용자는 '7'을 입력하기 위하여 워치폰을 아래 방향으로 두 번 움직여 지시자를 도 6(c)과 같이 '7'의 위치(604)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워치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한 번, 위쪽 방향으로 두 번 움직여 '2'의 위치(606)에 지시자를 이동시킴으로써 '2'를 입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숫자 선택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워치폰 이외에 센서부를 구비한 보조 장치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워치폰은 보조 장치로부터 X축을 기준으로 한 움직임 방향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숫자 1을 입력한다. 그리고 워치폰은 보조 장치로부터 Y축을 기준으로 한 움직임 방향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숫자 2를 입력한다. 이처럼 워치폰은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방향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숫자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 장치의 각 움직임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숫자들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보조장치 움직임 입력 숫자 보조장치 움직임 입력 숫자
X축 이동 1 X축 두 번 이동 6
Y축 이동 2 Y축 두 번 이동 7
Z축 이동 3 Z축 두 번 이동 8
X축 회전 4 X축 두 번 회전 9
Y축 회전 5 Y축 두 번 회전 0
표 1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의 중심점을 지나는 X,Y,Z축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보조 장치의 이동 및 회전 동작에 따라 각각 입력되는 숫자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X,Y,Z축의 방향별 움직임이 한 번인 경우 '1~5'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고, 그 움직임이 두 번인 경우에는 '6~0'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된다. 즉, 보조 장치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두 번 연속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한 번 움직인 경우에 대응되는 숫자에 '5'가 더해진 숫자가 대응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X축으로의 이동이 한 번인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되지만, X축으로의 이동이 두 번 연속되는 경우에는 숫자 '1'에서 '5'가 더해진 '6'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도 6과 같이 '0172'를 입력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를 Y축으로 두 번 회전하여 '0'을 입력하고, X축으로 이동하여 '1'을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조 장치를 Y축으로 두 번 이동하여 '7'을 입력하고, Y축으로 이동하여 '2'를 입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간단한 움직임으로 빠르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한편, 전화 걸기 메뉴에서는 각 숫자별로 움직임 방향을 대응시켰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숫자 외에도 표시 장치에 출력된 각 국가별 언어 또는 특수 문자 등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이제 문자 입력이 필요한 또 다른 메인 메뉴인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에 관하여 설명한다.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의 경우, 워치폰은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여 원하는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모드는 각 국가별 언어, 숫자 및 특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를 말한다. 이에 따라 워치폰은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모드를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에서 워치폰을 간단한 움직여가며 원하는 입력 모드를 보다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한글, 영어, 숫자 및 특수 문자 등의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는 워치폰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은 보조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워치폰과 보조 장치에 각각 구비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의 메뉴들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에서 제공되는 메뉴 구성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워치폰의 메뉴는 '1)내 휴대폰 ~ 5)카메라'의 5개의 메인 메뉴와 각 메인 메뉴별로 대응되는 서브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해당 메뉴로의 이동, 선택 및 취소 등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5)카메라'의 '2.포토 앨범' 메뉴에서 사진을 보다가, '3)전자 다이어리'의 '3.스케줄 관리'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는 '2'포토 앨범' 메뉴를 취소하여 메인 메뉴인 '5) 카메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또 다른 메인 메뉴인 '3)전자 다이어리'로 이동한 후, 다시 '3.스케줄 관리' 메뉴로 이동하여 원하는 '3.스케줄 관리' 메뉴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뉴 선택 과정이 좀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워치폰 및 보조 장치의 움직임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은 워치폰의 움직임에 따라 메인 메뉴를 선택하고, 보조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메뉴 선택 과정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도 8과 같은 메인 메뉴 블록들이 나타나게 된다. 각 메인 메뉴는 워치폰의 움직임 방향값에 매핑(Mapping)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워치폰을 해당 메뉴와 매핑되어 있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메인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인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들이 각각 서로 다른 6개의 방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메뉴들이 표시되면서 각 서브 메뉴마다 매핑되어 있는 보조 장치의 움직임 방향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전화번호 찾기' 메뉴는 'Z축의 플러스(+)'방향값에 매핑이 되어있으며, '2.최근 발신 번호' 메뉴는 'X축의 마이너스(-)'방향값에 매핑되어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3.전화번호 등록'~'6.그룹 편집' 메뉴는 각각 'Y축의 마이너스(-)'방향값'~'Y축의 플러스(+)'방향값에 매핑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조 장치를 원하는 서브 메뉴와 매핑된 방향으로 움직여, 해당 서브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워치폰의 움직임 방향 및 보조 장치의 움직임 방향 정보를 조합하여 단축 키(Hot Key)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편의도 갖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워치폰과 보조 장치에 각각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다양한 모드의 메뉴들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워치폰 및 보조 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 및 보조 장치가 포함된 메뉴 선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 및 보조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출력된 전화 걸기 메뉴의 실행 화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 걸기 메뉴에서 워치폰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에서 제공되는 메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치폰에서 제공되는 메인 메뉴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를 보인 도면.

Claims (36)

  1. 보조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하고, 상기 보조 장치에 서브 메뉴(Sub menu)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장치에 상기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Watch Ph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메뉴 및 상기 서브 메뉴에 대한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Head Mounted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메인 메뉴 및 상기 각 메인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메인 메뉴가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상기 보조 장치에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에서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각 국가별 언어, 숫자 및 특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는 전화 걸기 메뉴,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움직임 방향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조합하여 단축 키(Hot key)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센서부 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는 각각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회전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 6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4. 메뉴 선택 시스템에 있어서,
    제1센서부와, 메뉴 모드에서 상기 제1센서부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Main menu)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방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제2센서부와, 상기 방향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센서부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보조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Watch Ph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Head Mounted Display)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메뉴 및 상기 서브 메뉴에 대한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하나 이상의 메인 메뉴 및 상기 각 메인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는 각각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회전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 6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포함된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메인 메뉴가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상기 보조 장치에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방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향 정보에 따라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포함된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에서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각 국가별 언어, 숫자 및 특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는 전화 걸기 메뉴,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포함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움직임 방향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조합하여 단축 키(Hot key)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택 시스템.
  25. 보조 장치와 통신하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메뉴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Main menu)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기기가 서브 메뉴(Sub menu) 선택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Watch Phone)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된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Head Mounted Display)에 상기 메인 메뉴 및 상기 서브 메뉴에 대한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은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6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에 구비된 6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가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보조 장치에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에서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각 국가별 언어, 숫자 및 특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는 전화 걸기 메뉴,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5.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 및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조합하여 단축 키(Hot key)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가 상기 메인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들의 각 인덱스 정보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보조 장치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KR1020070082415A 2007-08-16 2007-08-16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1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15A KR101415439B1 (ko) 2007-08-16 2007-08-16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15A KR101415439B1 (ko) 2007-08-16 2007-08-16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00A KR20090017900A (ko) 2009-02-19
KR101415439B1 true KR101415439B1 (ko) 2014-07-07

Family

ID=4068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15A KR101415439B1 (ko) 2007-08-16 2007-08-16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1956A1 (en) * 2013-03-12 2014-09-18 Glen J. Anderson Menu system and interactions with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45269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395A (ja) * 1996-08-23 1998-03-06 Brother Ind Ltd 携帯型入力装置
KR20040017174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선택 및 문자입력이 용이한 모바일 전자기기
KR20080037232A (ko) * 2006-10-25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395A (ja) * 1996-08-23 1998-03-06 Brother Ind Ltd 携帯型入力装置
KR20040017174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선택 및 문자입력이 용이한 모바일 전자기기
KR20080037232A (ko) * 2006-10-25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입력장치와 이의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00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859B1 (ko) Hmd 정보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7254376B2 (en) Wearable pho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554484B1 (ko) 동작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동작 인식 방법
US6856327B2 (en) Apparatus for moving display screen of mobile computer device
CN101035148B (zh) 在便携式终端中选择菜单的方法和设备
US20040169674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O2014141951A1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S2775848T3 (es)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móvil con sensor de movimiento para activar aplicaciones
EP3200031A1 (en) Wrist watch embedded with a wireless control module
CN102812417A (zh) 具有可由运动、身体姿势和/或口头命令控制的可拆卸附件的无线免提计算头戴式送受话器
US20090137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 computer mouse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B2377592A (en) A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mouse type input device such that the mobile phone may be used as a mouse for an associated device
JP2015041829A (ja) 通信システム
WO2011055816A1 (ja) 情報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WO2007065734A2 (en) Acceleration reference devices,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s, and methods that sense terminal movement for cursor control
KR102274372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176764A (zh)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KR101415439B1 (ko)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24657A (ko) 선택가능한 데이터 요소의 단말기로의 촉각-제어 전송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1011349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0078262A (ja) 携帯電話端末
JP4969196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060022185A (ko) 메뉴 실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020718A (ja) 無線入力装置および機器操作システム
JP4089813B2 (ja) コンピュータ遠隔操作装置及び作業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