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119B1 -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119B1
KR100833119B1 KR1020060103412A KR20060103412A KR100833119B1 KR 100833119 B1 KR100833119 B1 KR 100833119B1 KR 1020060103412 A KR1020060103412 A KR 1020060103412A KR 20060103412 A KR20060103412 A KR 20060103412A KR 100833119 B1 KR100833119 B1 KR 10083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torage tank
liquid
tank
drum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764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06010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1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3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스크린의 슬러지 막힘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여 고액분리 한 후 응집을 통하여 드럼 스크린과 스컴 제거기로 녹아있는 축분까지 제거함으로써 응집된 상태 그대로인 뇨 상태의 처리수를 만들어 주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축분이 공급되는 원수 저장 탱크(12)의 원수 공급부(13)에 연결하여 고액분리되는 드럼 스크린(14)의 하측으로 분리된 뇨를 1차 저장조로 공급하도록 설치한 1차 고액 분리장치(10)와;
상기 1차 저장조로부터 분뇨를 공급받는 급속 반응조(21)에 응집제 저장탱크(40)와 응집 보조제 저장탱크(45)를 연결하며 상기 급속 반응조(21)의 하측 연결통로(24)로 연결하는 완숙 반응조(25)의 분뇨 공급부(28)에 연결하여 고액분리되는 드럼 스크린(30)의 하측으로 분리된 뇨를 저장 분리하는 스컴 제거 탱크(35)로 이루어진 2차 고액 분리장치(20)와;
상기 1차 고액 분리장치(10)와 2차 고액 분리장치(20)에서 공급하는 슬러지를 공급받는 저장 탱크(54)를 개폐시키는 개폐판(52)을 제어하는 개폐 조절구(53)와 한 부분에 에어 공급 호스(55)와 배출관(56)이 각각 연결된 에어 컨베어(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60103412
축분, 고액분리, 응집, 스컴

Description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The process system for domestic animals output}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1차 고액 분리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1차 고액분리장치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드럼 스크린에 대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응집제 저장탱크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2차 고액 분리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2차 고액 분리장치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2차 고액 분리장치의 스컴 제거 탱크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에어 컨베어에 대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에어 컨베어에 대한 작동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고액 분리장치 11 : 원수 공급구
12 : 원수 저장 탱크 13 : 원수 공급부
14, 30 : 드럼 스크린 15, 31 : 뇨 저장 탱크
16 : 원수 공급호스 17, 33 : 가이드대
18, 34 : 안내판 20 : 2차 고액 분리장치
21 : 급속 반응조 22, 26 : 반응모터
23, 27 : 반응날개 24 : 연결통로
25 : 완숙 반응조 28 : 분뇨 공급부
32 : 뇨 배출호스 35 : 스컴 제거 탱크
36 : 스컴 제거판 37 : 스컴 배출판
38 : 처리수 배출부 39 : 스컴 제거관
40 : 응집제 저장 탱크 45 :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
50 : 에어 컨베어 51 : 호퍼
52 : 개폐판 53 : 개폐 조절구
54 : 저장탱크 55 : 에어 공급 호스
56 : 배출관
본 발명은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스크린의 슬러지 막힘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여 고액분리 한 후 응집을 통하여 드럼 스크린과 스컴 제거기로 녹아있는 축분까지 제거함으로써 응집된 상태 그대로인 뇨 상태의 처리수를 만들어 주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부에서는 막은 물 보존 정책의 하나로 상수원 상류지역에 산재해 있는 소규모 마을 단위로 마을하수도 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오염도에 비해 투자비용이 과대한 실정이며, 이에 반해 오염 종량면에 있어서는 축산분뇨의 오염원인이 훨씬 더 심각한 실정에 있으나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대부분의 축산농가가 매우 영세하고 사육두수에 있어서도 1∼2두에 그치는 농가가 대부분이나 이들 가축 1두에서 배출하는 오염 부하량이 사람 100명 이상의 오염 부하량과 비슷할 정도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가축 분뇨는 배출량 측면에서는 생활하수에 비하여 양적으로는 적지만 오염 부하량 측면에서는 매우 높은 실정이며, 축산농가는 주로 상류지역인 농촌에 위치해 있어 최근에는 상수원과 생활, 농업용수 심지어 지하수까지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축산분뇨의 처리방법으로는 톱밥과 함께 혼합하여 건조한 다음 농경지에 살포하는 경우가 통상적인 처리방법이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톱밥의 구입과 분뇨와의 혼합후의 처리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최근에는 잘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그 이유로는 축산분뇨를 고형물을 부숙화시키는 데 따른 톱밥이나 왕겨 또는 석회 등이 첨가되기 때문에 축산분뇨의 부숙화 비용이 증대되어 축산농가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막대한 자금을 들여 축산분뇨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가동 중에 있으나 과부하 시 대처방안과 기타 운영관리의 부적절한 대처로 인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축산분뇨 중 축분을 부숙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왕겨나 톱밥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축분의 고형물을 부숙화시킬 경우 축산분뇨 처리시설의 규모다 매우 커질 수밖에 없어 시공비가 매우 높게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의 축산분뇨 처리시설은 규모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축산분뇨 처리시설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소형화하여 유지관리비용과 시공비, 처리비용이 저렴한 장치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축산분뇨는 고체보다 액체의 비율이 높아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처리시 축산분뇨의 고액을 분리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방법이며, 고액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고액을 공급하면서 분리되도록 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스크린이 쉽게 막히게 되므로 사용이 어렵게 되고, 벨트프레스 방법과 같이 회전하는 벨트의 사이에 공급하여 고액을 분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고액이 분리되는 효과보다 분리한 액에 극미세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어서 분리한 액의 처리가 불가능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사육두수가 많은 축사의 경우에는 하루에 10∼20톤 또는 그 이상의 축분이 발생하게 되므로 1일 처리량이 매우 많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준에 맞는 처리수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환경오염을 심각하게 발생하며, 활성 오니조에 미생물을 공급해서 처리하지만, 미생물이 활성화되지 못하며 발생하는 처리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므로 처리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에도 처리가 불가능하여 발생하는 축분을 제대로 처리할 수 없어 결국에는 도산하고 마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드럼 스크린에 의하여 고액분리가 용이하며 슬러지로 인한 막힘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여 원수를 공급 고액 분리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품의 공급을 통한 응집으로 고액분리를 수행한 후 스컴 제거를 통하여 노 상태의 처리수를 만들어 공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액 분리장치에 의하여 분리한 슬러지를 한 곳에 모아서 원하는 장소로 에어 컨베어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축분은 돈분, 우분, 계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전체적인 장치로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거한 축분을 원수 공급구(11)에서 공급하여 회전하는 드럼 스크린(14)으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 고액분리장치(10)와;
상기 1차 고액 분리장치(10)에서 발생한 슬러지는 에어 컨베어(50)에 공급하 고, 뇨는 도시하지 않은 1차 저장조에 공급하며, 이 1차 저장조에 저장한 뇨를 급속 반응조(21)에 공급하면서 응집제 저장탱크(40)에 있는 응집제와 응집 보조제 저장탱크(45)에 있는 응집 보조제를 급속 반응조(21)에 공급하여 급속 반응시키고, 이를 다시 원숙 반응조(25)에 공급하여 원숙 반응시킨 후 드럼 스크린(30)에 공급하여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2차 고액 분리장치(2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1차 고액 분리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 공급구(11)가 연결되어 수거한 축분을 공급받는 원수 저장 탱크(12)의 상측 한 부분에 원수 공급부(13)를 설치하여 공급하는 원수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원수 공급부(13)는 원수 저장 탱크(12)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져 자연적으로 원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원수 공급부(13)의 전방(선단)에는 드럼 스크린(14)을 설치하여 공급하는 원수의 고액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드럼 스크린(14)은 내부에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봉(14')의 외측으로 선재를 나선형으로 감싸서 이루어진 것이며, 외측면에 원수가 공급되면서 한쪽에 연결한 통상적인 모터를 통하여 원수의 공급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러지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뇨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액이 분리되도록 한다.
드럼 스크린(14)의 하측에는 반원형으로 뇨 저장탱크(15)를 설치하여 분리된 뇨를 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드럼 스크린(14)의 전방에는 가이드대(17)와 안 내판(18)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분리한 슬러지가 배출되어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 내에 공급한다.
상기 뇨 저장탱크(15)의 한 부분에는 원수 공급 호스(16)가 연결되어 1차 저장조에 공급하여 저장한다.
상기 드럼 스크린(14)은 선재를 나선형으로 감아 성형한 것이므로 원수를 공급하면 슬러지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원수를 고액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40)와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45)는 2차 고액 분리장치(20)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며, 응집 보조제는 삼양화학(주)의 C-210 PH를 사용하였고, 응집 보조제는 진흥화학공업(주)에서 생산한 황산알루미늄(Al2O3) 17% 이상을 사용하였다.
응집제 저장 탱크(40)는 물에 응집제를 희석시켜 공급하며 교반모터(41)의 하측으로 교반날개(42)가 설치되어 일정한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45)는 응집 보조제를 물에 희석시켜 공급하며 교반모터(41)의 하측으로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급속 반응조(21)에 소정의 량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2차 고액 분리장치(20)는 반응모터(22)의 하측으로 반응날개(23)가 형성된 급속 반응조(21)가 설치되어 있어서 1차 저장조에 저장한 분뇨를 공급받는 것 이며, 동시에 응집제 저장 탱크(40)의 응집제와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45)의 응집 보조제를 공급하여 급속하게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급속 반응조(21)의 한 부분에서 연결통로(24)로 연결하여 분뇨를 공급하는 완숙 반응조(25)는 반응모터(26)가 상측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반응날개(27)가 설치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완숙 반응조(25)의 상측 한 부분에는 분뇨 공급부(28)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하는 량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와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연적인 이동(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뇨 공급부(28)의 선단과 연결된 드럼 스크린(30)은 드럼 스크린(14)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공급하는 분뇨의 고액분리용으로 하측에는 반원형의 뇨 저장탱크(31)를 설치하고 뇨 배출 호스(32)를 연결하여 분리한 뇨를 하측의 스컴 제거 탱크(35)에 공급한다.
드럼 스크린(30)에 공급한 응집된 분뇨는 고액분리가 이루어지고, 분리된 슬러지는 한 부분의 가이드대(33)와 안내판(34)을 통하여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 내부에 공급한다.
상기 스컴 제거 탱크(35)는 공급되는 뇨의 극미세분은 바닥으로 가라앉고, 상측에는 부유물(스컴)이 발생하게 되므로 에어 컨베어(50)를 설치한 방향으로 모터(36')를 연결한 스컴 제거판(36)이 축에서 다수의 날개가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되면서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스컴 제거판(36)의 외측에는 스컴 배출판(37)이 설치되어 배출한 부유물을 에어 컨베어(50)에 배출한 다.
스컴 제거 탱크(35)의 하측 부분에 설치한 스컴 제거관(39)은 도시하지 않은 1차 저장조로 공급하여 급속 반응조(21)에 재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중앙 상측의 수위에 처리수 배출부(38)를 연결하여 도시하지 않은 처리수 저장조로 공급하여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컨베어(50)는 호퍼(51)의 하측으로 슬러지가 하측의 저장탱크(54)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공급되면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슬러지의 공급을 차단하는 개폐판(52)이 설치되고, 이 개폐판(52)을 구동시키는 개폐 조절구(53)가 연결되어 있다.
저장탱크(54)의 한 부분에는 에어 공급 호스(55)가 연결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배출관(56)이 설치되어 있어서 저장탱크(54)에 슬러지가 채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에어 공급 호스(55)를 통하여 에어의 공급으로 슬러지를 원하는 장소에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각종 축사에서 모아진 분과 뇨가 뒤섞여 있는 원수는 약 50,000∼60,000ppm 정도가 되어 원수 공급구(11)를 통하여 원수 저장 탱크(12)에 투입되고, 원수 저장 탱크(12)에서는 연속해서 원수가 공급되므로 원수 저장 탱크(12)를 넘쳐 원수 공급부(13)에서 드럼 스크린(14)에 공급한다.
드럼 스크린(14)에 원수가 공급되면 원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 되므로 고액이 분리되어 슬러지는 계속에서 드럼 스크린(14)의 외측을 타고 이동하고 뇨는 드럼 스크린(14)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측의 뇨 저장 탱크(15)에 이동한다.
드럼 스크린(14)의 외측을 타고 이동하는 슬러지는 가이드대(17)를 통하여 이동한 후 안내판(18)을 통하여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에 공급한다.
여기서 드럼 스크린(14)은 선재(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감아 성형한 것이므로 공급하는 원수의 고액분리를 수행하며, 슬러지로 인한 막힘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하측의 뇨 저장 탱크(15)로 모아진 뇨는 원수 공급 호스(16)에 의하여 1차 저장조에 모이고, 이때의 뇨는 30,000∼40,000ppm 정도가 된다.
응집제 저장 탱크(40)에는 삼양화학(주)의 C-210 PH의 응집 보조제를 물과 용량대비 200:1로 공급하였고,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45)는 진흥화학공업(주)에서 생산한 황산알루미늄(Al2O3) 17% 이상의 응집 보조제를 물과 용량대비 100:1로 투입하여 각각 교반모터(41, 46)의 하측으로 교반날개(42)를 설치하여 혼합 반응시킨 후 사용한다.
응집제 저장 탱크(40)와 응집 보조제 저장 탱크(45)에서는 소정량식 2차 고액분리 장치(20)의 급속 반응조(21)에 직접 공급하는 것이며, 1차 고액분리장치(10)에서 공급한 뇨가 저장된 1차 저장조로부터 급속 반응조(21)에 공급하는 것 이다.
급속 반응조(21)에 뇨가 공급됨과 동시에 응집제와 응집 보조제가 공급되면서 반응모터(22)를 통하여 반응날개(23)가 회전하면서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고, 급속 반응조(21)의 하측에서 연결통로(24)로 완숙 반응조(25)와 연결되어 있어서 급속 반응된 뇨가 공급된다.
완숙 반응조(25)로 공급된 분뇨는 반응모터(26)에 연결한 반응날개(27)에 의하여 반응되어 응집 현상이 일어나며, 응집된 분뇨는 연속공급되면서 일부가 분뇨 공급부(28)에서 드럼 스크린(30)에 공급되는 것이다.
드럼 스크린(30)에 공급한 분뇨는 분(슬러지)과 뇨로 분리되는 것으로, 분(슬러지)은 뇨의 공급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 스크린(30)의 외측을 통하여 이동한 후 가이드대(33)와 안내판(34)을 통과하여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에 공급된다.
드럼 스크린(30)에 공급한 응집된 분뇨 중 분리된 뇨는 하측의 뇨 저장 탱크(31)로 이동한 후 뇨 배출 호스(32)를 통하여 스컴 제거 탱크(35)에 공급한다.
스컴 제거 탱크(35)에 공급한 뇨는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상측에는 부유물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스컴이 가라앉으며, 중앙에는 깨끗한 중등수가 형성되므로 가라앉는 스컴은 1시간에 약 5∼10초 정도 스컴 제거관(39)을 통하여 1차 저장조로 재공급하여 분뇨로 공급되도록 하고, 중앙의 깨끗한 중등수는 처리수 배출부(38)를 통하여 최종 처리조에 공급한다.
최종 처리조에 공급하는 중등수는 약 200∼500ppm 정도가 되어 돈사 세정수 로 활용하거나, 냄새가 없는 액비로 환원, 활성오니조에서 활성화 단계를 거쳐 10∼2ppm 정도로 방류, 공공처리장으로 보내 처리 및 해양배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는 종래 돈사 활성오니(최종 방류) 수와 본 발명을 사용한 경우의 최종 방류수를 비교하였으며, 처리수 검사결과는 아래의 표1과 같다.
[표1] 처리수 검사결과
시험항목 단 위 스크린 처리수 최종 처리수
BOD mg 12,300 1,850
COD mg 6,870 1,050
T/N(총질소) mg 2,270 603
T/P(총인) mg 301 13.9
SS(부유물질) mg 8,750 270
그리고 스컴 제거 탱크(35)의 상측 한 부분에 설치한 모터(36')를 30분에 약 10분 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스컴 제거판(36)이 회전하면서 부유 된 스컴을 스컴 배출판(37)으로 제거하여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에 배출하는 것이다.
에어 컨베어(50)의 호퍼(51)에 배출하는 슬러지와 분 또는 스컴은 개폐 조절구(53)와 연결한 개폐판(52)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 탱크(54)에 공급되는 것이며, 슬러지와 분 또는 스컴이 가득 채워지면 이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서 감지하여 개폐 조절구(53)를 구동시켜 개방된 개폐판(52)이 회전되어 저장 탱크(54)를 밀폐시킨다.
저장 탱크(54)를 밀폐시키면 에어 공급 호스(55)에서 에어가 공급되어 저장 탱크(54)에 채워진 내용물을 배출관(56)을 통하여 퇴비사로 배출한다.
본 발명은 선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드럼 스크린에 의하여 슬러지와 뇨의 고액분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슬러지로 인한 막힘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여 원수를 공급 고액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처리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응집제와 보조 응집제와 같은 약품의 공급을 통한 응집으로 분뇨를 응집시킨 후 드럼 스크린에 공급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한 후 스컴 제거를 통하여 극미세분의 완전한 제거로 뇨 상태의 처리수를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액 분리장치에 의하여 분리한 슬러지를 저장 탱크에 모아서 원하는 장소로 에어 컨베어로 간편하게 이송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5)

  1.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축분이 공급되는 원수 저장 탱크(12)의 원수 공급부(13)에 연결하여 고액분리되는 드럼 스크린(14)의 하측으로 분리된 뇨를 1차 저장조로 공급하도록 설치한 1차 고액 분리장치(10)와;
    상기 1차 저장조로부터 분뇨를 공급받는 급속 반응조(21)에 응집제 저장탱크(40)와 응집 보조제 저장탱크(45)를 연결하며 상기 급속 반응조(21)의 하측 연결통로(24)로 연결하는 완숙 반응조(25)의 분뇨 공급부(28)에 연결하여 고액분리되는 드럼 스크린(30)의 하측으로 분리된 뇨를 저장 분리하는 스컴 제거 탱크(35)로 이루어진 2차 고액 분리장치(20)와;
    상기 1차 고액 분리장치(10)와 2차 고액 분리장치(20)에서 공급하는 슬러지를 공급받는 저장 탱크(54)를 개폐시키는 개폐판(52)을 제어하는 개폐 조절구(53)와 한 부분에 에어 공급 호스(55)와 배출관(56)이 각각 연결된 에어 컨베어(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1차 고액 분리장치(10)는 원수 저장탱크(12)에 형성한 원수 공급부(13)와 연결된 드럼 스크린(14)에 의하여 고액분리되고, 이 드럼 스크린(14)의 하측에 뇨 저장탱크(15)가 설치되어 원수 공급 호스(16)로 1차 저장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2차 고액 분리장치(10)는 반응모터(22)에 연결한 반응 날개(23)가 내부에 설치된 급속 반응조(21)와;
    상기 급속 반응조(21)와 하측에서 연결통로(24)로 연결하며 반응모터(26)에 연결한 반응 날개(27)가 내부에 설치된 완숙 반응조(25)와;
    상기 완숙 반응조(25)에 연결된 분노 공급부(28)와 연결하여 고액 분리하는 드럼 스크린(30)과;
    상기 드럼 스크린(30)의 하측으로 뇨 저장 탱크(31)가 설치되어 하측의 스컴 제거 탱크(35)에 공급하여 처리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스컴 제거탱크(35)는 하측에 스컴 제거관(39)이 연결되고 한 부분에 처리수 배출부(38)를 설치하며 상측 한 부분에 모터(36')가 연결되어 부유물을 제거하는 스컴 제거판(3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에어 컨베어(50)는 호퍼(51)와 저장 탱크(54)의 사이에 설치한 개폐판(52)이 개폐 조절구(53)에 제어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저장 탱크(54)에 슬러지가 채워지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 호스(55)가 연결되며, 상기 저장 탱크(54)의 한 부분에는 배출관(5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용 고액 처리 시스템.
KR1020060103412A 2006-10-24 2006-10-24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KR10083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12A KR100833119B1 (ko) 2006-10-24 2006-10-24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12A KR100833119B1 (ko) 2006-10-24 2006-10-24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764A KR20080036764A (ko) 2008-04-29
KR100833119B1 true KR100833119B1 (ko) 2008-05-28

Family

ID=3957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412A KR100833119B1 (ko) 2006-10-24 2006-10-24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1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918A (ko) * 1999-03-10 2000-10-16 김종현 조류 제거기
KR200204010Y1 (ko) 2000-06-08 2000-11-15 박대식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0066781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KR200389722Y1 (ko) 2005-04-18 2005-07-14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응집제를 이용한 부상 농축 장치
KR100535906B1 (ko) 2004-03-29 2005-12-12 이태경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918A (ko) * 1999-03-10 2000-10-16 김종현 조류 제거기
KR200204010Y1 (ko) 2000-06-08 2000-11-15 박대식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0066781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KR100535906B1 (ko) 2004-03-29 2005-12-12 이태경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200389722Y1 (ko) 2005-04-18 2005-07-14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응집제를 이용한 부상 농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764A (ko)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665B2 (en) Apparatus for ultrafinely shattering organic granular substances
CA2350126A1 (en) An animal was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8715504A (zh) 餐厨垃圾资源化处置成套系统
KR101233694B1 (ko) 음식폐기물의 고형물 농도 조절장치
KR20080036766A (ko) 축분용 고액 처리 방법
KR101617170B1 (ko) 양돈농가 분뇨 및 폐사축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KR101173309B1 (ko) 유기물 입자의 미립화 장치
CN208104189U (zh) 养殖场污染物处理系统
CN209797798U (zh) 一种沼液有机肥料的加工设备
KR100833119B1 (ko) 축분용 고액 처리시스템
US663007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waste water
CN208146642U (zh) 一种餐厨和果蔬垃圾与污水综合处理系统
JPH02501369A (ja) 醗酵しうるスラツジを準備する有機質廃棄物の水力機械的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
CN112876015B (zh) 一种畜禽养殖粪污除砂方法
CN218931907U (zh) 一种粪污资源化一体处理设备
CN214391600U (zh) 一种畜禽养殖粪污除砂系统
CN214861399U (zh) 一种高效自适应除砂装置
CN211770978U (zh) 一种新型分解搅拌器
CN213559100U (zh) 一种餐厨垃圾和畜禽粪污协同处理的处理系统
CN214861400U (zh) 一种适用于低含砂量、低含固率粪污的除砂系统
Nielsen Treatment and disposal of processing wastes
US20060086651A1 (en) Internal recycle process for HOG waste
CN219981875U (zh) 一种具有鱼粪便分离效果的养殖池
CN214391599U (zh) 一种自适应除砂系统
CN215139095U (zh) 一种粪污接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