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832B1 -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832B1
KR100832832B1 KR1020060056738A KR20060056738A KR100832832B1 KR 100832832 B1 KR100832832 B1 KR 100832832B1 KR 1020060056738 A KR1020060056738 A KR 1020060056738A KR 20060056738 A KR20060056738 A KR 20060056738A KR 100832832 B1 KR100832832 B1 KR 10083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message
wireless terminal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909A (ko
Inventor
박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오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to KR102006005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832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 도중에 제시되는 퀴즈에 대한 해답을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 휴대폰을 이용하여 SMS 등으로 수신하여, 정답자를 분류, 집계처리하고, 상기 정답자에게 소정의 상품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해줌으로써, 해당 공연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배가시키며, 공연 효과 및 부가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것으로서, 1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답변들 중 오답을 제공한 고객들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상기 정보 수신수단이 2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2차 퀴즈 답변을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퀴즈 오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는 정보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연장, 고객 정보, 분류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와 도 4c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메시지의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공연장 입장 고객의 카드로부터 카드정보/고객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공연장 입장 고객의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기지국B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 105 : 저장매체
110 : 공연장 단말 200 : 메시지 수신부
205 : 메시지 전송 210 : 메시지 추출부
215 : 메시지 처리부 220 : 메시지 저장부
225 : 메시지 제공부 600 : 팬클럽 회원 유치서버
605 : 저장매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 출연자가 출연하는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예컨대, 대형 스크린 등)과 연동하며, 상기 출연자들의 공연 과정에서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퀴즈, 공연 출연자 관련 문제 등)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확인하여, 정답을 전송한 고객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해당 공연외에는 많지 않았기에, 고객들은 공연장에서 공연외의 다른 부가 서비스를 생각지 못했고, 공연장이 좀 더 복합적인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공연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예컨대, 공연 도중 또는 공연장 주변 사진 촬영후, 실시간으로 사진 컨테스트 개최 등)는 공연장 방문 고객이 보다 많이 또한 지속적으로 해당 공연장을 찾도록 하는 하나의 방편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답변들 중 오답을 제공한 고객들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이 2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2차 퀴즈 답변을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퀴즈 오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1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답변들 중 정답을 제공한 고객들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상기 정보 수신수단이 2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2차 퀴즈 답변을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퀴즈 정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고, 별도 분리된 답변 정보들 중 정답에 해당하는 답변 정보를 제공한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정보 저장수단을 통해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수단은, 제 3차 및/또는 제 N차 퀴즈 제공시, 제 2차 및/또는 제 N-1차 퀴즈 정답자 무선 단말을 통해 제공된 답변 정보들 중 정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수단을 통해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최종 퀴즈 제공에 따른 최종 정답 제공 무선 단말을 선정하는 퀴즈 우승자 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1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답변들 중 오답을 제공한 고객들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상기 정보 수신수단이 2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2차 퀴즈 답변을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퀴즈 오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는 정보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수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1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답변들 중 정답을 제공한 고객들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2차 퀴즈 제공에 따른 답변 정보를 복수의 고객들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2차 퀴즈 답변을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퀴즈 정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고, 별도 분리된 답변 정보들 중 정답에 해당하는 답변 정보를 제공한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임을 밝힌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 출연자가 출연하는 공연장에 구 비되는 출력수단(예컨대, 대형 스크린 등)과 연동하며, 상기 출연자들의 공연 과정에서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퀴즈, 공연 출연자 관련 문제 등)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확인하여, 정답을 전송한 고객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를 포함하는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 출연자의 공연 출연시, 상기 공연 출연자 관련 이벤트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예컨대, 상기 공연장 입구에 구비되는 고객 무선 단말 확인용 로컬 중계기 등), 상기 특정 고객에게 상기 공연 관련 및/또는 상기 공연 출연자 관련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출력수단은 공연장 등에 설치되는 대형 스크린 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모바일 이벤트를 출력하여,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구성은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구성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도면1 및 하기의 도면2에 도시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 외부 또는 이동통신사 등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네트워크/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와 연동하며, 상기 공연장 입구 게이트 등에 위치할 수 있는 공연장 단말(11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에 대한 티케팅 또는 입장 과정에서 상기 고객 정보(예컨대,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추출할 수 있는 소정의 카드 리더 및/또는 로컬 중계기 및/또는 키입력수단 등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카드 리더 및/또는 로컬 중계기 및/또는 키입력수단 등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고객 정보/무선 단말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상의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와, 상기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 출연자 정보와, 상기 이벤트 정보 제공의 결과에 따라 해당 고객에게 제공할 인센티브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매체(105)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05)를 운영 및 관리하는 저장매체(105) 운영수단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105)에는 상기 공연장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이벤트 제공시, 상기 이벤트 정답(또는 결과)을 전송하는 고객 정보(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1차 이벤트 정답 고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답 고객중, 2차(또는 N차) 이벤트 정답 고객을 확인하여, 정답 고객이 기 정해진 고객수(예컨대, 상품 또는 인센티브 제공 가능 고객 수 등)를 만족하면, 상기 정답 고객(또는 정답 고객 무선 단말)에게 소정의 상품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 및/또는 상기 공연장에 방문하려고 하는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카드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고객에게 상기 공연 관련 및/또는 공연 출연자 관련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출력수단 상에는 상기 제공되는 이벤트의 참여 가능 고객 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와 함께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 입구 등에 구비된 공연장 단말(110)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컨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 내에 구비되는 공연장 단말(110)과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소정의 허브(Hub)를 통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랜(Local Area Network) 등) 및/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접속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무선랜(Wireless LAN) 등)를 통해 소정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면, 상기 공연장에 구비된 공연장 단말(110)은 소정의 카드리더(예컨대, 도면상의 공연장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카드리더와 같이 전시장에 방문하는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를 추출하는 장치)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소정의 고객이 상기 공연장에 방문(또는 입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카드리더를 통해 상기 공연장 방문 고객에 대한 고객 카드정보/고 객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소정의 로컬 중계기(예컨대, 공연장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같이 상기 공연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무선단말정보를 추출하는 장치 등)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정의 고객이 상기 공연장에 방문한 경우,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로컬 중계기를 통해 상기 부스 방문 고객에 대한 무선단말정보/고객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무선단말정보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공연장 방문고객에 대한 무선단말정보 및/또는 고객정보를 키잉하여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키 입력장치(예컨대, 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정의 고객이 상기 공연장에 방문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연장에 구비된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키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방문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 및/또는 무선단말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고객정보 및/또는 무선단말정보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 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 출연자가 출연하는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예컨대, 대형 스크린 등)과 연동하며, 상기 출연자들의 공연 과정에서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퀴즈, 공연 출연자 관련 문제 등)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을 확인하여, 정답을 전송한 고객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제공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으로서 상기 고객 무선단말에 입력하는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소정의 메시지 센터는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공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필터링하여, 정답(또는 결과) 메시지 및/또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객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도시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정보와 특정 공연 출연자 별 통신번호를 수신번호로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여 소정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수신 서버로 중계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가 구비된 무선 통신망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상기 출력수단 등을 통해 제공하는 소정의 이벤트에 참여하는 고객이 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통신장치로서, 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스택을 기반으로 소정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단말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무선통신장치(예컨대,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을 통한 무선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 인터넷 단말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은 CDMA 스택 기반의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무선단말과 소정의 무선구간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경로를 연결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과, 유선구간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교환국을 연결하며 폴링(Polling)이나 선택(Selection), 회복(Recover) 등의 망 제어 과정을 관리하는 지국에 해당하는 제어국(BTS System Controller; BSC)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망에 가입한 가입자 위치 및/또는 방문자 위치를 등록하는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및 음성 통화를 위한 망 하부 구조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다른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회선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연동장치(Interworking Function; IWF)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동 통신 기술의 진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예컨대, 단문 메시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를 임시 저장 후 수신측으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단말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투폰(Web-To-Phone) 기반 무선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구비된 유선단말(및/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를 임시 저장 후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 센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망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망(예컨대,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상기 출력수단 등을 통해 제공하는 소정의 이벤트에 참여하는 고객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입력하는 소정의 메시지(예컨대, 정답(또는 결과 메시지) 또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 등)가 전송될 통신번호를 상기 제공되는 이벤트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번호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 고유 할당된 번호이거나 또는 각각의 공연 출연자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답(또는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공연 출연자 별로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와 연동하며 상기 공연장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출력수단(별도 기능 구성은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소정의 모바일 이벤트(예컨대, 공연 또는 공연 출연자 관련, 또는 기타 관련 퀴즈, 문제, 질문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등)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이벤트 제공부(225)와, 상기 제공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무선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메시지 센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200)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이 포함된 메 시지인지 확인하는 정보 처리부(215)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정보 추출부(210) 및 상기 네트워크 수단 및/또는 무선 통신망 상의 메시지 센터를 통해 상기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로 정답(또는 결과) 확인 및/또는 인센티브 제공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에 고객들에게 제공할 소정의 모바일 이벤트(예컨대, 공연 또는 공연 출연자 관련, 또는 기타 관련 퀴즈, 문제, 질문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등)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상기 이벤트 정보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상기 이벤트 참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상기 제공하는 소정의 이벤트에 대한 정답(또는 결과) 메시지(예컨대, 단문 메시지(SMS)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등)가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되면, 상기 메시지 수신부(200)는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메시지 센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메시지 수신부(200)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제공하는 이벤트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무선 메시지는 상기 정보 처리부(215)로 제공되며, 상기 정보 처리부(215)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제공한 이벤트에 대한 정답이 “동방신기”인 경우, 상기 정답에 대한 글자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면, 상기 정보 처리부(215)는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동방신기”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정보 처리부(215)는, “동방신기 짱”, “답은 동방신기입니다”, 등을 모두 정답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부정, 반대 등을 의미하는 단어나 어두, 어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15)는 정답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예컨대, “동방신기는 ‘아니’겠죠?” 등).
상기 정보 추출부(210)는, 상기 정보 처리부(215)를 통해 판독되는 무선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제공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고객 무선 단말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된 정답 고객 무선 단말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부(220)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상기 정답 고객 무선 단말정보와 해당 이벤트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0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벤트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순차적(예컨대, 이벤트1, 이벤트2, ..., 이벤트N 등)으로 제공되는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맞춰야 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15)는 상기 메시지 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N차 메시지를 판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보 추출부(210) 및 정보 저장부(220)와 연동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이 N-1차 이벤트의 정답 고객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부(205)는, 상기 정보 처리부(215)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답을 제시한 고객 무선 단말로 상기 이벤트 결과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센티브 또는 인센티브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인센티브는, 상기 고객이 공연장 또는 공연장 주변 또는 공연장 관련 상점(예컨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점 포함)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쿠폰, 모바일 상품권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의 이벤트 제공부(225)는,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 정보가 상기 공연장 입구 등에 설치된 로컬중계기, 카드리더기 또는 키입력장치 등을 통해 확인되어, 상기 입장 고객정보가 상기 저장매체(105)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 저장되어 있는 고객 정보(고객 무선단말 정보 등)를 추첨하여, 특정 고객(들)에게 상기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15) 및 정보 추출부(210)는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고객이 상기 이벤트 참여 자격(예컨대, 상기 이벤트 정답(또는 결과)을 맞출 자격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장 단말(110)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연장 단말(110)이 획득한 고객정보(또는 무선단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에 대한 차별화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특정시간 입장 고객(예컨대, 11일 11시 11분 입장 고객 등) 및/또는 특정번호소지 고객(예컨대, 공연 출연자 생일과 같은 무선단말번호를 가진 고객 등)에게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공연장 입구 등에 구비되는 공연장 단말(110)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이 이용하는 소정의 카드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연장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중계기를 통해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의 고객 정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소정의 키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공연장에 방문 예약하는 고객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획득한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매체(105)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입장 고객의 고객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전송된 공연장 방문 고객 정보를 저장매체(10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소정의 키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으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예컨대, 이름, 핸드폰번호,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또는 전부), 주소 등)를 키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정보의 일부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이 소지한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카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고객이 상기 공연장 방문 예약 고객이거나, 카드 결제 고객인 경우, 상기 카드정보와 연계되는 고객 정보(무선 단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연장 단말(110)의 카드 리더기가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고객 카드 연동하기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연장 방문 고객의 MS(Magnetic Stripe)카드, IC카드, 무선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금융 IC칩, 전자통장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정보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ISO/IEC 7816에 근거하여, 접촉식 IC카드에 구비된 COB(Chip On Board; COB)와 전기적으로 접촉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점을 통해 상기 접촉식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 등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번호 정보, 칩 관련 정보 등)를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는 ISO/IEC 14443에 근거하여,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및/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비 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 등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번호 정보, 칩 관련 정보 등)를 창구 단말로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 등)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고객 무선 단말과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휴대 인터넷 통신,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ZigBee 통신, UWB 통신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고객 정보 확인용으로 사용되는 카드는, 상기 공연장 입장을 위해 별도 구매 또는 발급받은 카드 및 상기 고객이 소지한 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이 상기 공연장 등의 특정 장소에 입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의 입장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는, 선불카드(Prepaid Card)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및/또는 체크카드(Check Card) 및/또는 멤버쉽 카드 및/또는 포인트 카드 및/또는 ID카드 및/또는 멤버스 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연장 단말(11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연장 단말(110)은, 상기 공연장의 특정장소(예컨대,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중계기와 연동하여,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이 소지한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단말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연장 단말(110)이 상기 로컬 중계기를 통해 확인된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공연장 입장 고객 무선단말 정보를 상기 정보 수신부로 제공하는 것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은 상기 공연장에 방문(또는 입장)하는 고객의 입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객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등)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공연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폰서 부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장과 관련된 상품정보 및/또는 이벤트 정보 및/또는 기타 정보(예컨대, 부스 위치 정보 등)를 제공받은 수단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통해, 상기 시스템 상의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이벤트를 제공 하고, 상기 고객들이 소지한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이 포함된 메시지인지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또는 고객 무선 단말)으로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와 연동하는 출력수단(예컨대, 공연장 스크린 등)을 통해 제공하면(300), 상기 공연장에 방문한 고객이 소지한 무선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고(305), 상기 작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공연장 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 통신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상기 무선단말 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송하면(310), 상기 발송된 무선 메시지는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소정의 메시지 센터로 수신된다.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메시지 센터는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로밍하여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3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번호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 서비스를 위해 할당받은 특정 번호인 경우, 상기 무선 메시지는 소정의 메시지 단말(예컨대, 무선 메시지 수신을 위한 전화번호가 할당된 무선통신 전화 및/또는 유선통신 전화)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수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 메시지를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로밍하여 전송한다면(320),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하기 도면4a 및/또는 도면4b 및/또는 도면4c 및/또는 도면4d에 도시된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며(32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 트 제공서버(100)로 수신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인지 확인하고(330), 만약,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확인되면(335),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 번호를 확인하여(340), 상기 확인된 무선 단말로 상기 정답(또는 결과) 확인 내역 및/또는 인센티브 제공 내역을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345).
도면4a와 도면4b와 도면4c와 도면4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메시지의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a와 도면4b와 도면4c와 도면4d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무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를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중계 전송하기 위한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 구조는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 사이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특 성에 따라 본 발명의 핵심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메시지 센터는, 상기 무선 통신망에 구비된 무선 메시지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무선 메시지를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무선 메시지 형태 및 길이를 포함하는 소정의 헤더를 생성한다.
도면4a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헤더는 총 8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8바이트의 헤더는 상기 무선 메시지의 메시지 형태를 지정하는 4바이트 정수와 상기 무선 메시지의 길이를 포함하는 4바이트 정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200)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앞쪽 8바이트를 독출한 후, 상기 독출된 8바이트 중 앞쪽 4바이트 정수를 판독하여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무선 메시지의 메시지 형태를 확인하고, 뒤쪽 4바이트를 판독하여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메시지 형태는 상기 메시지 센터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200) 사이에서, 소정의 메시지 송수신을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딩 메시지 형태('BIND'/'BIND_ACK')와, 상기 메시지 센터와 상기 메시지 수신 서버의 메시지 수신부(200)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 형태('DELIVER'/'DELIVER_ACK')와,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결과를 포함하는 결과보고 메시지 형태('REPORT'/'REPORT_ACK')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길이는 각각의 메시지 형태에 대응하는 무선 메시지의 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200)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 상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를 근거로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무선 메시지를 독출하게 된다.
도면4b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인딩 메시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32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BIND'와 20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BIND_ACK'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IND'는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ID 정보와,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비밀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BIND_ACK'는 4바이트 정수의 바인드 결과 정보와,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사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BIND'에 포함되는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ID 정보와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비밀번호 정보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서버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망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BIND_ACK'에 포함되는 4바이트 정수의 바인드 결과 정보는 상기 'BIND'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서 바인드 성공(E_OK), 시스템 장애(E_SYSFAIL), 인증 실패(E_AUTH_FAIL), 메시지 형식 오류(E_FORMAT_ERR)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바인드 결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6바이트 널 문자열의 사업자 식별정보는 상기 바인드에 대응하는 사업자 식별번호(예컨대, '011', '016', '019', '013', ...)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4c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발송된 무선 메시지를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메시지 수신 서버로 로밍하여 전달하기 위한 배송 메시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264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DELIVER'와 72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DELIVER_ACK'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4c를 참조하면, 상기 'DELIVER'는 4바이트 정수의 텔레서비스 식별자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 정보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콜백넘버와, 160바이트 널 문자열의 사용자 메시지(또는 메시지 정보)와, 4바이트 정수의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DELIVER'에 포함되는 상기 4바이트 정수의 텔레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의 텔레서비스 식별자를 4바이트 정수로 캐스팅(Casting)한 값이고, 상기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는 소정의 사업자 식별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단말 고유번호에 대응하고, 상기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는 소정의 사업자 식별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전용 통신수단 고유번호에 대응하고, 상기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콜백넘버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의 콜백넘버에 대응하고, 상기 160바이트 널 문자열의 사용자 메시지(또는 메시지 정보)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사용자 메시지(또는 메시지 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4바이트 정수의 시리얼 넘버는 상기 메시지 센터의 생성부에서 순차적으로 할당한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면4c에서 상기 'DELIVER_ACK'는 4바이트 정수의 로밍 결과 정 보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와, 4바이트 정수의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DELIVER_ACK'에 포함되는 상기 4바이트 정수의 로밍 결과 정보는 상기 'DELIVER'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서 메시지 전달 성공(E_OK), 시스템 장애(E_SYSFAIL), 바인드 안됨(E_NOT_BOUND), 착신 가입자 없슴(미등록)(E_NOT_DESTIN), 단말기 형식 오류(E_INVALID_TERM), 메시지가 오버플로우(Overflow) 되어 못받음(E_OVER_FLOW), 메시지 형식 오류(E_FORMAT_ERR), 전송 성공(E_SENT), 전송 실패(E_EXPIRE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로밍 결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와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에 대응하고, 상기 시리얼 넘버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에 대응하는 소정의 다른 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d는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발송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로밍하여 전달한 결과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결과보고 메시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76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REPORT'와 4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포함하는 'REPORT_ACK'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4d를 참조하면, 상기 'REPORT'는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 정보와,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와, 4바이트 정수의 시리얼 넘버와, 4바이트 정수의 전송성공 시간 정보와, 4바이트 정수의 결과보고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REPORT'에 포함되는 상기 32바이트 널 문자열의 최초 발신 가입자 번호와 최종 착신 가입자 번호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에 대응하고, 상기 시리얼 넘버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DELIVER'에서 지정한 값에 대응하는 소정의 다른 값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성공 시간 정보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수신 서버로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과보고 정보는 전송 성공(E_SENT), 전송 실패(E_EXPIRE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로밍 결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면4d에서 상기 'REPORT_ACK'는 4바이트 정수의 결과보고 결과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의 'REPORT_ACK'에 포함되는 상기 4바이트 정수의 결과보고 결과 정보는 수신 성공(E_OK), 시스템 장애(E_SYSFAIL), 바인드 안됨(E_NOT_BOUND)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과보고 결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통해, 상기 시스템 상의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고객들이 소지한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이벤트(N)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이벤트(N)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이 포함된 메시지인지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이벤트(N)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확인되면, 상기 정답 전송 고객이 상기 이전 이벤트(N-1)의 정답 확인 고객인지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또는 고객 무선 단말)으로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모바일 이벤트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와 연동하는 출력수단(예컨대, 공연장 스크린 등)을 통해 제공하면(500), 상기 공연장에 방문한 고객이 소지한 무선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고(505), 상기 작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공연장 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 통신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송하면(510), 상기 발송된 무선 메시지는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소정의 메시지 센터로 수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에서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이벤트는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고객들은 상기 제공되는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맞춤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정답 제공 고객수를 적정수로 줄일 수 있어, 정답 제공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고객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메시지 센터는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로밍하여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번호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 서비스를 위해 할당받은 특정 번호인 경우, 상기 무선 메시지는 소정의 메시지 단말(예컨대, 무선 메시지 수신을 위한 전화번호가 할당된 무선통신 전화 및/또는 유선통신 전화)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수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 메시지를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로밍하여 전송한다면(520), 상기 무선 통신망 상에 구비된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상기 도면4a 및/또는 도면4b 및/또는 도면4c 및/또는 도면4d에 도시된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전송하며(52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밍 프로토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로 수신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인지 확인하고(530), 만약,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확인되면(535),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 번호를 확인한다(540).
그리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는, 상기 정답(또는 결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이 이전 이벤트(N-1)의 정답 확인 고객인지 더 확인하고(545), 상기 고객이 이전 이벤트(N-1)의 정답 고객으로 확인되면(550),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상기 정답(또는 결과) 확인 내역 및/또는 인센티브 제공 내역을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555).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공연장 입장 고객의 카드로부터 카드정보/고객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포함하여 상기 고객에게 발급된 또는 고객이 소유한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공연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도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6은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공연장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소정의 RF 리더에서 상기 고객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공연장 에 방문한 고객 정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고객이 공연장에 방문했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를 확인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항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공연장에 구비된 입출구 게이트에서 상기 고객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공연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도면6에 도시된 구성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각각의 실시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공연장의 입출구 게이트에는 상기 고객 카드에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공하는 RF 리더기를 포함하는 공연장 단말(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연장을 입장하는 고객이 무선 인터페이스 기반 고객 카드를 상기 RF 리더기에 근접시키면, 상기 RF 리더기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상기 고객 카드에 저장된 매체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는 상기 고객이 상기 공연장 방문 예약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605)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연장의 입출구 게이트에 구비된 상기 RF 리더기는 상기 공연장에 구비된 공연장 단말(110)과 연동하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100)로 상기 추출/획득된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100)(100)는 상기 RF 리더기가 구비된 공연장 단말(110)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정보/고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매체(605)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RF 리더기를 통해 획득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정보를 상기 저장매체(605)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공연장 입장 고객의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항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공연장에 구비된 입출구 게이트(공연장 단말(110))에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입장 고객 정보 및/또는 소정이 고객이 상기 공연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 및 상기 방분 고객의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도면7에 도시된 구성도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각 각의 실시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7은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포함하여 상기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공연장 입장 고객 정보 및/또는 소정의 고객이 상기 공연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 및 상기 방문 고객의 고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구체적으로 도면7은 고객 무선 단말 인식을 통해 상기 입장 고객정보 및/또는 소정의 고객이 상기 공연장에 방문했는지 확인 및 상기 방문 고객의 고객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예컨대, 상기 공연장의 입출구 게이트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이 상기 입출구 게이트를 통과했음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중계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연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소정의 고객 무선 단말을 상기 로컬 중계기에 통과시키면, 상기 로컬 중계기는 상기 무선 단말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컬 중계기는 일정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망 상에 구비된 소정이 기지국의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여 블록화된 음영지역에서 상기 기지국을 대신하여 소정의 고객 무선 단말과 무선 채널(예컨대, 파일롯 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컬 중계기는 상기 음영지역과 무관하게 전계강도를 증폭하여 상기 입장 게이트를 통과하는(또는 입장 게이트 근처의) 고객 무선 단말이 상기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을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예인 관련 정보 및/또는 상기 연예인 관련 상품 정보를 전시하는 공연장에 입장(또는 퇴장)하는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기술적 설명은 도면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컬 중계기와 연계되는 기지국이 소정의 공연장 전용 기지국(예컨대, 상기 서버(또는 단말)에서 고객 무선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본 발명에 따른 연예인 관련 정보 및/또는 상기 연예인 관련 상품 정보를 전시하는 공연장에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서버(또는 단말)와 직접 통신하는 기지국)인 경우,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로컬 중계기 및/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공연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입출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고객 무선 단말의 무선단말정보)를 직접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컬 중계기와 연계되는 기지국의 망연동 기지국(예컨대, 종래 이동 통신망 상에 구비된 기지국)인 경우,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로컬 중계기로부터 상기 연예인 관련 정보 및/또는 상기 연예인 관련 상품 정보를 전시하는 공연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예컨 대, 입출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고객 무선 단말의 무선단말정보)를 직접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또는 단말)와 이동 통신망을 연결하는 소정의 무선망 연동수단을 통해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무선교환국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HLR/VLR에 구비된 무선단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연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고객 무선 단말의 무선 단말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기지국B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8은 전술한 도면7의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단말정보를 추출 및/또는 확인하는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서, 소정의 무선 단말이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된 상태(예컨대, 무선 단말과 기지국A가 통신채널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방향 채널 및/또는 역방향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으로 진입시, 상기 무선 단말의 채널이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Handoff)되면서 상기 기지국B가 상기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7과 도면8을 참조하여 상기 로컬 중계기에서 상기 공연장 등의 특별장소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 단말정보(예컨대, 입출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의 무선 단말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면8에서는 편의상 상기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이 통화대기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시,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소프트 핸드오프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기지국B와 관리하는 셀영역B는 주파수 도달 범위가 수백미터 이내(예컨대, 건물에 구비되는 미니 기지국)인 것으로 한다. 상기 셀영역B는 상기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상기 기지국B의 전계강도를 초과하는 영역으로 하며,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A의 전계강도보다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기술적 특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무선 단말의 다양한 상태(예컨대, 트래픽 상태 등)에 대응하는 다양한 핸드오프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B가 상기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무선 단말이 트래픽 상태라면, 상기 무선 단말과 각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트래픽 채널에 포함되어 송수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기지국B를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하기 전(예컨대,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무선 단말은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기지국A과 연결된 호출채널(Page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B에 대한 PN 오프셋 및 주파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NLM(Neighbor List Message)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이 기지국B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진입시 핸드오프 과정이 고속으로 발생하게 된다.
물론,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NLM에 상기 기지국B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핸드오프 과정은 상기 기지국B에 대한 파일롯 채널 검색 과정을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B에서 상기 셀영역B로 진입하는 모든 무선 단말에 대하여 PSMM(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을 요청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A와 기지국B는 소정의 유선 구간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과 교환국을 연결하며 폴링(Polling)이나 선택(Selection), 회복(Recover) 등의 망 제어 과정을 관리하는 지국에 해당하는 소정의 제어국(BSC)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교환국, 및 상기 이동 통신망에 가입한 가입자의 무선 단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본 도면8에서는 상기 기지국A와 기지국B가 같은 제어국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로 다른 제어국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진입하면(예컨대, 상기 기지국A의 전계강도보다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커지면), 상기 무선 단말( NLM을 참조하여 상기 기지국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PSMM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A로 전송하는데, 상기 PSMM은 상기 무선 단말과 채널이 연결된 기지국A 관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이 핸드오프하고자 하는 기지국B 관련 정보가 포함한다.
상기 PSMM을 수신한 기지국A는 상기 PSMM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의 채널을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과정에서 상기 기지국B로 상기 무선 단말 정보가 제공된다.
즉, 상기 무선 단말의 채널을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기 위해 기지국A와 기지국B는 상기 무선 단말로 HDM(Handoff Direction Message)을 내려주는데, 상기 HDM를 내려주기 위해 상기 기지국A는 상기 기지국B로 상기 PSMM을 전송한 무선 단말에 대한 핸드오프 관련 정보를 상기 기지국B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제공하는 핸드오프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초기화 상태에서 동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기지국A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동적식별정보(예컨대, NID(Network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지국B는 상기 동적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HLR/VLR로부터 상기 동적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소정의 무선 단말기 정보(예컨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요청 및 이를 수신하며, 이에 의해 상기 기지국B는 상기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제공하는 핸드오프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무선 단말에 대한 롱 코드(Lond Code)에 포함된 MIN 및/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값)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기지국B는 상기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한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공연장에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공연장 관련 부가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연 효과 및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연 기획사에 대한 고객들의 이미지 제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카드 리더 또는 로컬 중계기 또는 키입력수단을 통해 공연장에 입장하는 고객에 대한 티케팅 또는 입장 과정에서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 및 추출한 후, 이를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공연장 단말;
    공연 출연자가 출연하는 공연장에 구비되는 대형 스크린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공연 출연자 관련 문제와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기 위한 공연 출연자별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들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공연 출연자별 전화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전송되는 상기 문제 제공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된 답변 메시지를 확인하고, 답변 메시지 중 정답을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로 정답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는,
    상기 대형 스크린을 통해 상기 공연장에 입장한 고객들에게 공연 출연자 관련 문제와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수신하기 위한 공연 출연자별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제공부와,
    상기 고객들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공연 출연자별 전화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전송되는 상기 문제 제공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답변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응하는 정답이 포함된 메시지인지 확인하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답변 메시지가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응하는 정답을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답변 메시지를 전송한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응하는 정답을 포함하는 답변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로 정답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서버는,
    상기 정답을 포함하는 답변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2차 문제 제공에 따른 답변 메시지를 상기 고객들 무선 단말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2차 문제 답변 메시지를 제공한 복수의 무선 단말 중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1차 문제 정답 제공 무선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에서 제공한 답변 메시지 만을 별도로 분리하고, 별도 분리된 답변 메시지들 중 정답에 해당하는 답변 메시지를 제공한 무선 단말 정보를 분류하여 최종 정답 제공 무선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56738A 2006-06-23 2006-06-23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83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38A KR100832832B1 (ko) 2006-06-23 2006-06-23 정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38A KR100832832B1 (ko) 2006-06-23 2006-06-23 정보 처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729A Division KR20070122183A (ko) 2007-11-27 2007-11-27 정보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909A KR20070121909A (ko) 2007-12-28
KR100832832B1 true KR100832832B1 (ko) 2008-05-28

Family

ID=3913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738A KR100832832B1 (ko) 2006-06-23 2006-06-23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8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67A (ko) * 2000-10-18 2001-01-05 이원오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퀴즈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42816A (ja) 2003-02-13 2004-09-02 Public Relations:Kk クイズ提供システム
KR20050087681A (ko) * 2004-02-27 2005-08-31 김진성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참가자 다단계 경쟁형퀴즈운영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67A (ko) * 2000-10-18 2001-01-05 이원오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퀴즈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42816A (ja) 2003-02-13 2004-09-02 Public Relations:Kk クイズ提供システム
KR20050087681A (ko) * 2004-02-27 2005-08-31 김진성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참가자 다단계 경쟁형퀴즈운영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909A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6354B (zh) 用于把鉴权、授权和/或计帐消息通过多个中间网络从漫游网络路由到归属网络的方法、设备及系统
CN102257855A (zh) 用于提供在蜂窝和其他无线系统之间的互用性的系统和方法
US8340632B2 (en) Prepaid cellular phone no-charge transaction system
JPH09512671A (ja) 通信システムに関する方法並びに装置
US20140179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Phone No-Charge Transactions
EP2767944B1 (en) Communications network, computer system,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femtocell-based infra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payment
WO2005096656A1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572488A (zh) 一种终端设备的wifi热点共享方法以及终端设备
KR100832829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83283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231077B1 (ko) 비콘 기반의 고객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122183A (ko) 정보 처리방법
KR101327407B1 (ko) 정보 처리 방법
KR20070023579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애드 호크 통신망 기반 응용 장치 및응용 방법
KR20070052629A (ko)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고객 정보 운용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정보 운용장치, 정보 저장매체,기록매체
JP2007507766A (ja) 無線識別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121896A (ko) 행사장 운영 방법
KR100832817B1 (ko) 팬클럽 부스 운용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24565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32828B1 (ko) 연예인 전시장 운영을 통한 연예인 팬클럽 회원 유치방법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29030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80011881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832834B1 (ko) 연예인 전시장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10056270A (ko) 특정 장소에서의 고객 정보 운용방법
KR20080005466A (ko) 행사장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