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535B1 -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535B1
KR100832535B1 KR1020060096553A KR20060096553A KR100832535B1 KR 100832535 B1 KR100832535 B1 KR 100832535B1 KR 1020060096553 A KR1020060096553 A KR 1020060096553A KR 20060096553 A KR20060096553 A KR 20060096553A KR 100832535 B1 KR100832535 B1 KR 10083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es
packet loss
interleaving
network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316A (ko
Inventor
이진영
이유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04L43/0835One way packet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 비디오의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상기 인터리빙한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의 그룹들로 할당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각 그룹에 할당된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들과, 상기 부호화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조합하여 채널을 통해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된 데이터를 각각 복호화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들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를 포함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제안한다.
인터리빙, 네트워크 채널, 수명결정 모델, 동적 계획기법.

Description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OSS OF PACKET IN UNITY NETWORK CHANNEL}
도 1은 종래 블록 인터리버에서 수행되는 인터리빙 동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의 인터리버에서 인터리빙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200: 인터리버 202: 제1부호화부
204: 제2부호화부 206: 조합부
210: 분리부 212: 제1복호화부
214: 제2복호화부 216: 디인터리버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 전송 도중 발생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수신기 등을 구비한 시스템에서는 무선채널에서 발생하는 페이딩에 의한 집중에러(burst error)를 분산시키기 위해 인터리버를 이용한다. 에러가 집중되어 발생하면 에러정정 부호화를 이용한 에러복구 능력을 넘어서기 때문에 에러정정 부호화 기능이 무력화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인터리빙 기술을 사용하여 집중화된 에러를 분산시킴으로서 에러정정 부호화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인터리버를 이용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전송에 따라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면 복구가 불가능하게 되어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기술을 사용한다. 콘볼루션 코드는 에러가 드문드문 산재되어 있을 경우에 복구가 가능하다. 만약에 에러가 일정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면 에러 정정 코드로는 정정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아무리 좋은 에러 정정 코드를 사용한다 해도 특정 부분에 에러가 집중되면 연속적인 데이터를 한꺼번에 잃어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그러나 블록 인터리 버를 사용하여 이를 최소화할 수는 있다. 콘볼루션 코드화된 데이터는 블록 인터리버로 입력되어 인터리빙된다.
도 1은 블록 인터리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인터리버를 이용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1, 2, 3, 4, ... 20이라고 할 때 입력은 세로 방향으로 쓰여지고 출력은 가로 방향으로 하게 된다. 이렇게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인터리빙이라 하며, 수신측에서는 다시 수신된 것과 반대로 정렬하는 것을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이라고 한다.
블록 인터리버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1, 6, 11, 16 / 2, 7, 12, 17 / 3, 8, 13, 18 / 4, 9, 14, 19 / 5, 10, 15, 20이 되어 암호화의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출력된 데이터가 전송 중에 첫 번째 보낸 1, 6, 11, 16 모두가 깨져도 수신시에 *(오류가 발생한 부분), 2, 3, 4, 5 / *7, 8, 9, 10 / *12, 13, 14, 15 / *17, 18, 19, 20으로 디인터리빙 되어 에러가 분산되기 때문에 에러 복구가 가능하게 된다.
만약에 인터리빙하지 않고 1, 2, 3, 4, 5처럼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1부터 10까지의 데이터가 손상된다면 아무리 이전의 비트와 연관되었다 해도 이전의 데이터까지 손상되었으므로 콘볼루션 코드화되었어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다. 이렇게 집중적으로 특정 부분에 에러가 생기는 것을 버스트 에러(Burst Error)라고 하고 드문드문 에러가 생기는 것을 랜덤 에러(Random Error)라고 한다. 즉, 블록 인터리버는 버스트 에러를 랜덤 에러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압축된 비디오 데 이터를 전송할 경우 패킷 손실에 의하여 압축된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체가 복원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여러 개의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 단위로 압축하고,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들을 그룹화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여전히 그룹 내부에서 전송된 패킷의 손실에 의하여 여러 개의 프레임 혹은 그룹 전체가 복원되지 못하여 비디오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 전송 도중 발생된 패킷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서 수신단에서 오류가 없이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전송이 요구되지 않는 데이터의 전송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비디오 데이터를 인터리빙 및 부호화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비디오 데이터의 인터리빙 및 부호화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감시하여 패킷 손실률을 구하는 감시부; 상대측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한 패킷 손실률을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류하여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버; 상기 인터리빙된 적어도 두 개의 파일을 각각 부호화하는 적어도 두 개의 부호화부; 및 상기 부호화부들로부터 전달받은 부호화된 파일들을 조합하여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는, 상대측 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인터리빙 및 부호화되어 조합된 파일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파일을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된 파일들을 각각 복호화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일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인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은,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에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감시하여 패킷 손실률을 구하는 과정; 상대측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한 패킷 손실률을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류하여 인터리빙하는 과정; 상기 인터리빙된 적어도 두 개의 파일을 각각 부호화하는 과정; 상기 부호화부들로부터 전달받은 부호화된 파일들을 조합하는 과정; 및 상기 조합된 파일을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률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은, 상대측 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인터리빙 및 부호화되어 조합된 파일을 입력받는 과정; 상기 입력된 파일을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리하는 과정; 상기 분리된 파일들을 각각 복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복호화된 파일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은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전송된 비디오 파일을 여러 개의 비디오 프레임 단위로 나눈 헤더를 붙인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상에서 오류 발생이 많은 비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입력되는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 등 네트워크상에서 오류 발생이 가능한 데이터는 모두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과 통신을 하며, 상기 다수의 단말에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송/수신 장치에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송신단은 인터리버(Interlerver)(200)와, 적어도 둘 이상의 부호화부(Encoder)(202, 204)와, 조합부(Merger)(206)를 구성한다. 수신단은 분리부(Separator)(210)와, 적어도 둘 이상의 복호화부(Decoder)(212, 214)와, 디인터리버(De-Interlerver)(216)를 구성한다.
상기 송신단의 인터리버(200)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한다. 이러한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리빙 이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 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터리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리빙을 위한 인터리버 종류는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터리버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Block) 인터리버는 인터리빙의 종류 중 가장 구성하기 쉽고 간단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행렬의 형태로 구성되며 정보를 쓰는 순서는 각각의 행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써나가며, 인터리빙된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해서 행렬의 데이터를 첫 번째 열로부터 계속해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이러한 블록 인터리버는 간단하기는 하지만 부호화된 정보에서 발생하는 에러의 형태가 행렬의 크기를 넘어서게 되면 에러를 랜덤한 형태로 변환시킬 수 없게 된다.
헤리컬(Helical) 인터리버는 크기가 N x (N+1) 블록을 사용하며 열 방향으로 읽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쓰는 동작을 수행한다. 헤리컬 인터리버는 블록 인터리버보다는 구성하기가 복잡하지만, 인터리빙된 정보는 블록 인터리버보다는 좀더 랜덤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블록 인터리버보다는 약간 나은 성능을 보인다.
랜덤 인터리버는 터보 부호의 성능 특성과 터보 부호를 위한 인터리버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인터리버이다. 하지만, 실시간 형태의 랜덤 인터리버는 구현 불가능하며, 단지 랜덤 수열 발생기에 의해 발생하는 수열의 저장을 통해 랜덤 인터리버를 구성하게 된다. 인터리빙과 디인터리빙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수행되어지도록 일단 인터리빙을 위한 배열이 얻어지면 ROM에 저장을 해서 Lookup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랜덤 인터리버를 구현한다.
마더(Mother) 인터리버는 3GPP에서 채택된 터보 코드에 사용되는 인터리버로서 3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열과 행(Row and Column)의 개수를 결정하고 입력 비트열을 열단위로 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행내부(intra-row)단위로 데이터를 섞는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서는 행간(inter-row) 단위로 데이터를 섞으면 된다.
그리고 인터리버(200)는 인터리빙을 수행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부호화부로 전달한다. 즉, 분할한 제1분할 데이터를 제1부호화부(202)로 전달하고, 분할한 제2분할 데이터를 제2부호화부(204)로 전달한다. 인터리버(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한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즉, 인터리버(200)에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부호화부(202, 204)는 인터리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부호화부들을 이용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2개의 부호화부(202, 204)를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의 따라 적어도 3개의 부호화부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부호화부(202)와 제2부호화부(204)는 동일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제1부호화부(202)는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 데이터를 조합부(206)로 전달하며, 제2부호화부(204)는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 데이터를 역시 조합부(206)로 전달한다.
조합부(206)는 제1부호화부(202)와 제2부호화부(204)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조합한다. 조합부(206)에 의해 조합된 데이터는 무선 채널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해 수신단으로 전달된다.
수신단의 분리부(210)는 송신단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데이터로 분리하여 제1 복호화부(212)와 제2 복호화부(214)로 전달된다.
상기 복호화부는 제1복호화부(212)와 제2복호화부(214)로 구분되며,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한 후 디인터리버(216)로 전달한다. 물론, 제1복호화부(212)와 제2복호화부(214)에서 수행되는 복호화 동작은 제1부호화부(202)와 제2부호화부(204)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디인터리버(216)는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해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인터리버(216)에서 수행되는 디인터리빙은 송신단의 인터리버(206)에서 수행되는 인터리빙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인터리빙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수신단은 송신단의 인터리버(206)로 전달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수신단은 무선 채널 또는 유선 채널상에서 발생한 오류를 정정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파일을 전송할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채널에서 패킷이 손실이 될 경우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발생된 손실을 보완한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동영상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패킷의 재전송은 실시간 재생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일반적으로 재전송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은 손실된 패킷의 재전송 없이 할당된 네트워크 채널의 패킷 손실률을 바탕으로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두 개의 데이터로 나누어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 후 할당된 단일 채널로 전송함으로써 손실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분류하여 부호화한 후 전송된 데이터를 복호화 및 디인터리빙하는 과정에서 패킷 손실률을 줄이기 위한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의 인터리버에서 인터리빙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손실이 발생한 프레임이 5번째 프레임인 경우를 예를 들었으며, 손실된 프레임들을 명암 처리하여 구분하여 도시한다. 상기 도 3의 (a)는 I프레임, P1프레임, P2프레임, P3프레임, P4프레임, P5프레임, P6프레임, P7프레임, P8프레임, P9프레임으로 구성된 10개의 프레임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의 프레임을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복호화한 후 프레임을 살펴보면, I프레임, P1프레임, P2프레임, P3프레임 4개만이 수신되고, P4프레임, P5프레임, P6프레임, P7프레임, P8프레임, P9프레임 등 모두 6개의 프레임에 손실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리버(200)에서 데이터를 두개로 나누어 인터리빙하는 경우, 상기 도 3의 (b) 및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경우 도 3의 (b)는 첫 번째, 두 번째 프레임 위치의 I1프레임, P1 1프레임과, 다섯 번째 프레임 위치에 P1 2프레임, 여섯 번째 프레임 위치에 P1 3프레임 및 아홉 번째 프레임 위치에 P1 4프레임을 넣어 인터리빙한다. 도 3의 (c)는 상기 (b)의 나머지 프레임 위치에 I2프레임, P2 1프레임, P2 2프레임, P2 3프레임, P2 4프레임을 넣어 인터러빙한다.
그러면 도 3의 (b)는 모든 프레임들이 복원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C)는 P2 2프레임, P2 3프레임, P2 4프레임 등 세 개의 프레임만이 복원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터리빙 방법으로 인터리빙된 패킷 데이터를 복원하면 상기 도 3의 (c)에서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도 (b)에서 복원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개념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 장치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송/수신 장치에서 송신부는 할당된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패킷 손실률을 구하고, 320단계에서 상기 구한 패킷 손실률을 바탕으로 수명결정모델(Markov Decision Process)을 이용하여 1차 사용 가능한 인터리빙 패턴들을 구한다. 그런 다음 330단계에서 송신부는 상기 구해진 1차적으로 구한 인터리빙 패턴들에서 동적계획기법(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하여 주어진 패킷 손실률에서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한다.
이후, 340단계에서 송신부는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면 350단계에서 인터리버를 통해 상기 입력된 데이터(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로 분류하여 인터리빙한다. 즉, 전송되는 비디오 파일이 두개의 파일로 복사되어 각각 인터리빙된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의 인터리빙 및 분류하는 과정의 일예를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프레임, P1프레임, P2프레임, P3프레임, P4프레임, P5프레임, P6프레임, P7프레임, P8프레임, P9프레임으로 구성된 10개의 프레임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들 중 5번째 프레임에서 손실이 발생한 일어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5번째 프레임 이후 프레임들(명암 처리된 프레임)이 손실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360단계에서 상기 인터리버(200)에서 분류되어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각 부호화부(202, 204)로 전송한 후 각각 부호화하여 압축된 파일을 생성하고, 370단계에서 각각 압축된 파일을 조합부(206)를 통해 다시 하나로 조합하여 380단계에서 할당된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하여 상대측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대측 단말의 송/수신 장치의 수신부에서는 상기 전송된 파일을 수신하여 복원하게 된다. 이러한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부는 410단계에서 파일 수신을 대기한 후 파일이 수신되면 420단계에서 분리부(210)를 통해 수신된 파일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430단계에서 수신부는 제1 및 제 2 복호화부(212, 214)에서 분리된 파일을 수신하여 각각 암호화되어 압축된 파일을 복호하고, 440단계에서 디인터리버(216)를 통해 복호된 각각의 파일들의 출력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복원한 후 450단계에서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디인터리버(216)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파일의 데이터(프레임 단위)를 수신하여 인터리빙하면, (b)의 첫 번째 파 일에서는 I1프레임, P1 1프레임, P1 2프레임, P1 3프레임, P1 4프레임이 복원되고, (c)의 두 번째 파일에서는 I2프레임, P2 1프레임이 복원되므로 P2 2프레임, P2 3프레임, P2 4프레임이 손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두 파일은 동일한 데이터이므로 결국 인터리빙된 결과를 보면 모든 프레임이 복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동영상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패킷의 재전송은 실시간 재생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일반적으로 재전송을 요구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실된 패킷의 재전송 없이 할당된 네트워크 채널의 패킷 손실률을 바탕으로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두 개의 데이터로 나누어 인터리빙 및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 후 할당된 단일 채널로 전송함으로써 손실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에서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였더라도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할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들을 손실 없이 복원함으로써 복원가능 프레임의 개수를 최대화하여 전송된 비디오 파일의 재생 시 그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감시하여 패킷 손실률을 구하는 감시부;
    상대측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한 패킷 손실률을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류하여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버;
    상기 인터리빙된 적어도 두 개의 파일을 각각 부호화하는 적어도 두 개의 부호화부; 및
    상기 부호화부들로부터 전달받은 부호화된 파일들을 조합하여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상기 구해진 패킷 손실률을 이용하여 인터리빙 패턴들을 구하고, 구해진 인터리빙 패턴들에서 최적의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대측 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인터리빙 및 부호화되어 조합된 파일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파일을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된 파일들을 각각 복호화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일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인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데이터 송/수신 처리 장치에서,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감시하여 패킷 손실률을 구하는 과정;
    상대측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한 패킷 손실률을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류하여 인터리빙하는 과정;
    상기 인터리빙된 적어도 두 개의 파일을 각각 부호화하는 과정;
    상기 부호화부들로부터 전달받은 부호화된 파일들을 조합하는 과정; 및
    상기 조합된 파일을 상기 단일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해진 패킷 손실률을 이용하여 인터리빙 패턴들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해진 인터리빙 패턴들에서 최적의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대측 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인터리빙 및 부호화되어 조합된 파일을 입력받는 과정;
    상기 입력된 파일을 적어도 두 개의 파일로 분리하는 과정;
    상기 분리된 파일들을 각각 복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복호화된 파일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13. 삭제
KR1020060096553A 2005-12-08 2006-09-29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32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152 2005-12-08
KR1020050119152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316A KR20070061316A (ko) 2007-06-13
KR100832535B1 true KR100832535B1 (ko) 2008-05-27

Family

ID=3835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553A KR100832535B1 (ko) 2005-12-08 2006-09-29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20B1 (ko) 2013-03-25 2020-03-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883A (ko) * 1998-12-24 2000-07-15 양운근 통신 시스템에서 연집 에러 감소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883A (ko) * 1998-12-24 2000-07-15 양운근 통신 시스템에서 연집 에러 감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316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934B1 (ko)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292539B (zh) 数字广播发送和接收系统及其方法
JP5379127B2 (ja) レートマッチングによる計算効率の高い畳み込み符号化
US8611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parallel encoders
JP5331814B2 (ja) バーストモードアクティビティを通信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459148A (zh) 在通信系统中生成和解码代码的设备和方法
WO1998058468A1 (fr) Systeme de transmission avec multiplexage de donnees d&#39;information, multiplexeur et demultiplexeur utilises a cet effet et codeur et decodeur pour correction d&#39;erreurs
US7464319B2 (en) Forward error correction with codeword cross-interleaving and key-based packet compression
US6347385B1 (en) Interleavers for turbo code
KR20080095833A (ko) 무선 매체를 통한 전송을 위해 비압축 비디오를 분할하여인코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320008A (ja) エラー訂正回路、インターリーバ及びパンクチャリング又は反復装置を有する伝送システム
KR20070069884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5205269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0507926A (ja) デュアル伝送ストリーム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US8005166B2 (e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using modified 2/3 trellis coding
US20070223572A1 (en) Method and system of pixel interleaving for improving video signal transmission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JPH0787483A (ja)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3197526B2 (ja) 復号装置
KR100832535B1 (ko)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1332982A (ja) 光伝送システム、fec多重化装置、fec多重分離装置、および誤り訂正方法
KR20070064126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6591391B1 (en) Method of generating an 8-VSB modulated signal
JPH03242027A (ja) インターリーブを付加した並列誤り訂正方式
KR100740226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67531A (ja) 誤り訂正符号化/復号化方式及び誤り訂正符号化/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