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20B1 -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 Google Patents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20B1
KR102092220B1 KR1020130031711A KR20130031711A KR102092220B1 KR 102092220 B1 KR102092220 B1 KR 102092220B1 KR 1020130031711 A KR1020130031711 A KR 1020130031711A KR 20130031711 A KR20130031711 A KR 20130031711A KR 102092220 B1 KR102092220 B1 KR 10209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s
layer
input
video record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746A (ko
Inventor
이호웅
공현중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이다.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은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Description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Method for controlling video recorder, and video recorder adop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대표적인 예로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디오 레코더의 경우, 감시 카메라들이 채널 별로 설정되어,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패킷들(packets)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다. 채널 별로 수신되는 패킷들(packets)은 버퍼링(buffering)을 위한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되면서 저장 및 전송된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에 채널 별로 로딩된 패킷들(packets)은 전송 대상으로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컴퓨터들에 전송된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에 채널 별로 로딩된 패킷들(packets)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Frive)에 저장된다.
따라서, 비디오 레코더에서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수신 처리되어야 하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061316호 (출원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명칭 : 단말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설정 개수의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면서, 생성된 패킷들(packets)을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 및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계층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 제어부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가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는, 설정 개수의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면서, 생성된 패킷들(packets)을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이에 반하여, 통상적인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개별적인 패킷 단위로 수신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패킷을 수신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 제어 계층들이 단계적으로 링크(link)되면서 동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의 수신 처리 동작에서 통신 제어 계층들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설정 개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되어 패킷들(packets)이 생성되면서, 생성된 패킷들(packets)이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 동작에서 통신 제어 계층들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로서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가 사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사용되는 통신 제어의 계층들 및 그 동작 방식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어느 한 패킷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계층들에 의하여 도 5의 전송 모드(단계 S53)가 수행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TCP/IP에 따른 계층들에 의하여 도 5의 수신 모드(단계 S57)가 수행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사용되는 통신 제어의 계층들 및 그 동작 방식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TCP/IP에 따른 계층들에 의하여 도 9의 전송 모드(단계 S93)가 수행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로서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2)가 사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DIMA는,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으로부터 네트워크(4) 예를 들어, 인터넷에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 채널들, 또는 네트워크(4)로부터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 각각에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 채널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COM은,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과 네트워크(4) 사이의 통신 채널들, 또는 네트워크(4)와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 각각 사이의 통신 채널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IMAT는, 네트워크(4)로부터 비디오 레코더(2)로 입력되는 복합 동영상-데이터 채널 또는 비디오 레코더(2)로부터 네트워크(4)로 출력되는 복합 동영상-데이터 채널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COMT는, 비디오 레코더(2)와 네트워크(4) 사이의 복합 통신 채널을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 레코더(2)는 네트워크(4)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들(1a,1b,1c)과 전송 대상으로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과 연결된다.
감시 카메라들(1a,1b,1c)은, 통신 채널(DCOM)을 통하여 비디오 레코더(2)와 통신하면서, 동영상 데이터 채널(DIMA)을 통하여 라이브-뷰(Live-view)의 동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레코더(2)에 전송한다.
즉, 감시 카메라들(1a,1b,1c)이 채널 별로 설정되어,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으로부터의 주기적인 패킷들(packets)이 네트워크(4)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비디오 레코더(2)에 수신된다.
비디오 레코더(2)는 채널 별로 수신되는 패킷들(packets)을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면서 저장 및 전송한다. 즉, 비디오 레코더(2)는, 휘발성 메모리에서 채널 별로 로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 대상으로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비디오 레코더(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디오 레코더(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01), 중앙 제어 소자(CPU : Central Processing Unit, 202),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20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인터페이스(205)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20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2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비디오 레코더(2)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시 카메라들(1a,1b,1c)로부터 네트워크(4)를 통하여 입력되는 복합 동영상-데이터 채널(DIMAT) 및 복합 통신 채널(DCOMT)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중앙 제어 소자(CPU, 202)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을 채용한 중앙 제어 소자(CPU, 202)는,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여 램(RAM, 203)에 로딩한다. 여기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되어 함께 처리된다.
또한, 중앙 제어 소자(CPU, 202)는,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중앙 제어 소자(CPU, 202)는, 램(RAM, 203)에서 채널 별로 로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비디오 레코더(2)의 데이터 전송 모드 및 데이터 수신 모드는,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계층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중앙 제어 소자(CPU, 202)는, 램(RAM, 203)에서 채널 별로 로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인터페이스(205)를 통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206)에 저장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인터페이스(205)는 잘 알려져 있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규격을 채용한다.
도 3은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에서 사용되는 통신 제어의 계층들(31) 및 그 동작 방식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어느 한 패킷(Pt101 또는 Pr101 또는 Pr102 또는 Pr103)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제어의 계층들(31)은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 IP(Internet Protocol) 계층(312), 전송(transport) 계층(313) 및 응용(application) 계층(314)을 포함한다. 즉,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4 계층들(31)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의 각 계층의 동작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은, 설정 주기 예를 들어, 동영상 프레임의 주기 1/30 초 동안에 수신된 패킷들(Pr1)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순환 잉여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한 후, 패킷들(Pr1)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 간격(Inter-Frame Gap), 시작 데이터(Preamble),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제거한다. 제거된 결과의 이더넷 패킷들은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에 의한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IP(Internet Protocol) 계층(312)에 입력된다.
IP 계층(312)에서는 이더넷(ethernet) 프로그램과 IP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더넷 프로그램은 이더넷 패킷들 각각에서의 이더넷 헤더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후, 이더넷 프로그램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제거 결과의 IP 패킷들이 IP(Internet Protocol) 프로그램에서 처리된다.
IP 프로그램은 IP 패킷들 각각에서의 IP 헤더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후, IP 계층(312)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제거 결과의 TCP 패킷들이 전송 계층(313)에서 처리된다.
전송 계층(313)은 TCP 패킷들 각각에서의 TCP 헤더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결과의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는 전송 계층(313)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응용 계층(314)에서 사용된다. 응용(application) 계층(314)은 응용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r1)이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이에 반하여, 통상적인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개별적인 패킷(Pr101 또는 Pr102 또는 Pr103) 단위로 수신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패킷을 수신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 제어 계층들이 단계적으로 링크(link)되면서 동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수신 모드에 의하면, 통신 제어 계층들(311 내지 314)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의 각 계층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송 계층(313)은 응용 계층(314)으로부터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처리한다. 여기에서, 전송(transport) 계층(313)은 상위 계층인 응용(application) 계층(314)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적절한 세그먼트(segment)로 크기를 분할한다. 또한, 전송(transport) 계층(313)은 각 통신 간의 세션(session)인 TCP 헤더를 영상 데이터 세그먼트에 추가하여 TCP 패킷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각 통신 간의 세션(session)은 각 통신 간의 연결을 시작하고, 유지하고,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발생된 TCP 패킷은 전송 계층(313)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IP 계층(312)에서 처리된다.
IP 계층(312)에 있어서, IP 프로그램은 라우팅(routing)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 헤더를 TCP 패킷에 추가하여, IP 패킷을 발생시킨다. IP 헤더에는 소스 경로, 목적지 경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발생된 IP 패킷은 IP 프로그램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이더넷 프로그램에서 처리된다. IP 계층(312)에서의 이더넷 프로그램은 IP 패킷에 이더넷 헤더를 추가하여, 이더넷 패킷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이더넷 패킷은 IP 계층(312)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에서 처리된다.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은 패킷 간격(Inter-Frame Gap), 시작 데이터(Preamble),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이더넷 패킷에 추가하여 전송될 패킷(Pt101)을 완성한다.
완성된 패킷(Pt101)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들(3a,3b,3c)에 전송된다.
도 5는 도 3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의 제어 방법을 보여준다. 도 3 및 5를 참조하여, 도 3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 있어서(단계 S51),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단일 패킷(packet)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패킷들(packet)을 생성하면서, 생성된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도 2의 201)에 출력한다(단계 S53).
이 단계 S53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 수신 모드에 있어서(단계 S55),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한다(단계 S57).
이 단계 S57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단계들 S51 내지 S57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9).
도 6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계층들(도 3의 31)에 의하여 도 5의 전송 모드(단계 S53)가 수행됨을 보여준다. 도 3 및 6을 참조하여, 도 5의 데이터 전송 모드(단계 S53)가 수행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송 계층(313)은 응용 계층(314)으로부터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601)를 패킷 단위로 처리한다. 여기에서, 전송(transport) 계층(313)은 상위 계층인 응용(application) 계층(314)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601)를 적절한 세그먼트(segment)로 크기를 분할한다. 또한, 전송(transport) 계층(313)은 각 통신 간의 세션(session)인 TCP 헤더(TCPH)를 영상 데이터 세그먼트(UD)에 추가하여 TCP 패킷(602)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각 통신 간의 세션(session)은 각 통신 간의 연결을 시작하고, 유지하고,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발생된 TCP 패킷(602)은 전송 계층(313)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IP 계층(312)에서 처리된다.
IP 계층(312)에 있어서, IP 프로그램은 라우팅(routing)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 헤더(IPH)를 TCP 패킷(602)에 추가하여, IP 패킷(603)을 발생시킨다. IP 헤더(IPH)에는 소스 경로, 목적지 경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발생된 IP 패킷(603)은 IP 프로그램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이더넷 프로그램에서 처리된다. IP 계층(312)에서의 이더넷 프로그램은 IP 패킷(603)에 이더넷 헤더(EH)를 추가하여, 이더넷 패킷(604)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이더넷 패킷(604)은 IP 계층(312)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에서 처리된다.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은 패킷 간격(IFG : Inter-Frame Gap), 시작 데이터(PA : Preamble),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CRC)를 이더넷 패킷(604)에 추가하여 전송될 패킷(Pt101)을 완성한다.
완성된 패킷(Pt101)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도 2의 201)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들(도 1의 3a,3b,3c)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은 전송 대상 데이터(UD)가 모두 전송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도 7은, TCP/IP에 따른 계층들(도 3의 31)에 의하여 도 5의 수신 모드(단계 S57)가 수행됨을 보여준다. 도 3 및 7을 참조하여, 도 5의 데이터 수신 모드(단계 S57)가 수행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은, 설정 주기 예를 들어, 동영상 프레임의 주기 1/30 초 동안에 수신된 패킷들(Pr1)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순환 잉여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한 후, 패킷들(Pr1)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 간격(IFG : Inter-Frame Gap), 시작 데이터(PA : Preamble),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CRC)를 제거한다. 제거된 결과의 이더넷 패킷들(704)은 네트워크 접속 계층(311)에 의한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IP(Internet Protocol) 계층(312)에 입력된다.
IP 계층(312)에서는 이더넷(ethernet) 프로그램과 IP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더넷 프로그램은 이더넷 패킷들(704) 각각에서의 이더넷 헤더(EH)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후, 이더넷 프로그램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제거 결과의 IP 패킷들(703)이 IP(Internet Protocol) 프로그램에서 처리된다.
IP 프로그램은 IP 패킷들(703) 각각에서의 IP 헤더(IPH)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후, IP 계층(312)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제거 결과의 TCP 패킷들(702)이 전송 계층(313)에서 처리된다.
전송 계층(313)은 TCP 패킷들(702) 각각에서의 TCP 헤더(TCPH)를 검사한 후에 제거한다. 제거 결과의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UD)는 전송 계층(313)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응용 계층(314)에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은 수신 대상 데이터가 모두 처리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신 모드(단계 S57)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r1)이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이에 반하여, 통상적인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개별적인 패킷(Pr101 또는 Pr102 또는 Pr103) 단위로 수신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패킷을 수신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 제어 계층들이 단계적으로 링크(link)되면서 동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수신 모드에 의하면, 통신 제어 계층들(311 내지 314)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에서 사용되는 통신 제어의 계층들(81) 및 그 동작 방식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제어의 계층들(81)은 네트워크 접속 계층(811), IP(Internet Protocol) 계층(812), 전송(transport) 계층(813) 및 응용(application) 계층(814)을 포함한다. 즉,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따른 4 계층들(81)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도 8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3의 동작 방식의 제1 예에 대한 도 8의 동작 방식의 제2 예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설정 개수의 패킷들(Pt1)이 한 처리 단위로 되어 패킷들(packets)이 생성되면서, 생성된 패킷들(packets)이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 동작에서 통신 제어 계층들(811 내지 814)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의 제어 방법을 보여준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도 8의 동작 방식에 따른 도 2의 주 제어부로서의 중앙 처리 소자(CPU, 202)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 있어서(단계 S91),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설정 개수의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패킷들(packet)을 생성하면서, 생성된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도 2의 201)에 출력한다(단계 S93).
이 단계 S93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 수신 모드에 있어서(단계 S95), 중앙 처리 소자(CPU, 202)는,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한다(단계 S97).
이 단계 S97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상기 단계들 S91 내지 S97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9).
도 10은 TCP/IP에 따른 계층들(도 8의 81)에 의하여 도 9의 전송 모드(단계 S93)가 수행됨을 보여준다. 도 8 및 10을 참조하여, 도 9의 데이터 전송 모드(단계 S93)가 수행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송 계층(813)은, 응용 계층(814)으로부터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1001)를 처리하되, 설정 개수의 패킷들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처리한다. 여기에서, 전송(transport) 계층(813)은 상위 계층인 응용(application) 계층(814)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1001)를 적절한 세그먼트(segment)로 크기를 분할한다. 또한, 전송(transport) 계층(813)은 각 통신 간의 세션(session)인 TCP 헤더(TCPH)를 복수의 영상 데이터 세그먼트들(UD) 각각에 추가하여 복수의 TCP 패킷들(1002)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TCP 패킷들(1002)은 전송 계층(813)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IP 계층(812)에서 처리된다.
IP 계층(812)에 있어서, IP 프로그램은 라우팅(routing)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 헤더(IPH)를 복수의 TCP 패킷들(1002) 각각에 추가하여, 복수의 IP 패킷들(1003)을 발생시킨다. IP 헤더(IPH)에는 소스 경로, 목적지 경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발생된 복수의 IP 패킷들(1003)은 IP 프로그램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이더넷 프로그램에서 처리된다. IP 계층(812)에서의 이더넷 프로그램은 복수의 IP 패킷들(1003) 각각에 이더넷 헤더(EH)를 추가하여, 복수의 이더넷 패킷들(1004)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이더넷 패킷들(1004)은 IP 계층(312)의 링크(link) 요청에 의하여 네트워크 접속 계층(811)에서 처리된다. 네트워크 접속 계층(811)은 패킷 간격(IFG : Inter-Frame Gap), 시작 데이터(PA : Preamble),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CRC)를 이더넷 패킷(604)에 추가하여 각각 전송될 복수의 패킷들(Pt101 내지 Pt103)을 완성한다.
완성된 패킷들(Pt101 내지 Pt103) 각각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도 2의 201)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들(도 1의 3a,3b,3c)에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은 전송 대상 데이터(UD)가 모두 전송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된다.
이에 반하여, 통상적인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개별적인 패킷 단위로 수신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패킷을 수신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 제어 계층들이 단계적으로 링크(link)되면서 동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비디오 레코더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의 수신 처리 동작에서 통신 제어 계층들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설정 개수의 패킷들(packets)이 한 처리 단위로 되어 패킷들(packets)이 생성되면서, 생성된 패킷들(packets)이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 동작에서 통신 제어 계층들의 단계적 링크(link)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과부하 관련 문제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및 기록하는 장치들에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1a,1b,1c : 감시 카메라들, 2 :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3a,3b,3c : 클라이언트 컴퓨터들, 201 : 입출력 인터페이스,
202 : 중앙 처리 소자(CPU), 203 : 램(RAM),
205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인터페이스,
206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31 : 통신 제어의 계층들,
311 : 네트워크 접속 계층, 312 : IP 계충,
313 : 전송 계층, 314 : 응용 계층,
Pt101 : 전송용 단일 패킷, Pr1 : 수신된 복수의 패킷들,
Pr101, Pr102, Pr103 : 수신된 단일 패킷,
IFG : 패킷 간격(Inter-Frame Gap),
PA : 시작 데이터(Preamble), EH : 이더넷 헤더(Ethernet Header),
IPH : IP 헤더(Internet Protocol Header),
TCPH : TCP 헤더(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Header),
UD :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User Data),
CRC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
601 :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User Data), 602 : TCP 패킷,
603 : IP 패킷, 604 : 이더넷 패킷,
701 :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User Data), 702 : 복수의 TCP 패킷들,
703 : 복수의 IP 패킷들,
704 : 복수의 이더넷 패킷들, 81 : 통신 제어의 계층들,
811 : 네트워크 접속 계층, 812 : IP 계충,
813 : 전송 계층, 814 : 응용 계층,
Pt1 : 전송용 복수의 패킷들,
Pt101, Pt102, Pt103 : 전송용 단일 패킷,
1001 :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User's image Data),
1002 : 복수의 TCP 패킷들, 1003 : 복수의 IP 패킷들,
1004 : 복수의 이더넷 패킷들.

Claims (8)

  1.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계층화된 복수의 계층들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패킷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된 패킷들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1 계층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함으로써 제 1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결과 패킷들의 세트에 대한 처리를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2 계층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계층에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처리함으로써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주 제어부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가 패킷들(packets)을 생성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처리하는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계층화된 복수의 계층들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패킷들을 처리하되,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1 계층에서, 설정 주기 동안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입력된 패킷들(packets)을 한 처리 단위로 하여 함께 처리함으로써 제 1 결과 패킷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결과 패킷들의 세트에 대한 처리를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2 계층에 요청하고;
    상기 제 2 계층에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처리함으로써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레코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주 제어부가,
    설정 개수의 상기 생성된 패킷들(packets)을 제 2 처리 단위로 하여 상기 복수의 계층들 각각에서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된 패킷들(packets)을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레코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상기 제 2 계층은 상기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에 대한 처리를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3 계층에 요청하고;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제 3 계층에서, 상기 제 2 계층으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처리함으로써 제 3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레코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계층에서 상기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에 대한 처리를 상기 복수의 계층들 중 제 3 계층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패킷들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계층에서, 상기 제 2 계층으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처리함으로써 제 3 결과 패킷들의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8. 삭제
KR1020130031711A 2013-03-25 2013-03-25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KR10209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11A KR102092220B1 (ko) 2013-03-25 2013-03-25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11A KR102092220B1 (ko) 2013-03-25 2013-03-25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46A KR20140116746A (ko) 2014-10-06
KR102092220B1 true KR102092220B1 (ko) 2020-03-23

Family

ID=5199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711A KR102092220B1 (ko) 2013-03-25 2013-03-25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2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367A (ja) 1999-02-17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20030091339A1 (en) 1998-11-09 2003-05-15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data record medium,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digital data reproducing method, synchronization detect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detecting method
JP2003189278A (ja) 2001-12-14 2003-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映像蓄積装置および映像監視方法
JP2003288767A (ja) 2002-01-23 2003-10-10 Nec Corp 映像伝送記録方法、装置、およびディスク媒体
WO2004084213A1 (en) 2003-03-17 2004-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storing a real time stream of digital information signals
KR200370249Y1 (ko) 2004-09-21 2004-12-10 주식회사 솔릭스 하드웨어 mpeg4 코덱 및 v2oip 프로토콜을이용한 실시간 팬/틸트/줌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카메라 시스템
JP2007221527A (ja) * 2006-02-17 2007-08-30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中継器、それを用い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中継器における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621B1 (ko) * 1998-10-15 2001-02-01 구자홍 디지털 브이씨알의 방송예약녹화장치 및 방법
KR100312746B1 (ko) * 1999-05-12 2001-11-03 강상훈 영상통신 시스템에서 표시영역의 선택적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23418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솔릭스 하드웨어 mpeg4 코덱 및 v2oip 프로토콜을이용한 실시간 팬/틸트/줌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 카메라시스템
KR100832535B1 (ko) 2005-12-08 2008-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339A1 (en) 1998-11-09 2003-05-15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data record medium,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digital data reproducing method, synchronization detect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detecting method
JP2001060367A (ja) 1999-02-17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3189278A (ja) 2001-12-14 2003-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映像蓄積装置および映像監視方法
JP2003288767A (ja) 2002-01-23 2003-10-10 Nec Corp 映像伝送記録方法、装置、およびディスク媒体
WO2004084213A1 (en) 2003-03-17 2004-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storing a real time stream of digital information signals
KR200370249Y1 (ko) 2004-09-21 2004-12-10 주식회사 솔릭스 하드웨어 mpeg4 코덱 및 v2oip 프로토콜을이용한 실시간 팬/틸트/줌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카메라 시스템
JP2007221527A (ja) * 2006-02-17 2007-08-30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中継器、それを用い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中継器における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46A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3957B (zh) 内容中心网络中的灵活命令和控制
US8886837B2 (en) Flow-based compression management
CN102136989B (zh) 报文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US9338189B2 (e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21123B1 (ko) 웹브라우저 상에서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417548B (zh) 封装媒体流量在基于数据报的传输层上的高效传输
EP36783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quality of service
JP5610709B2 (ja) エラー訂正用データの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KR102140721B1 (ko) 안전한 암호화 정보 전송이 가능한 ip 카메라 보안 시스템
JP2017084296A (ja) 検知方法及び検知システム
KR101545290B1 (ko)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US10848802B2 (en) IP traffic software high precision pacer
CN110545230A (zh) 用于转发vxlan报文的方法和装置
KR102092220B1 (ko)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레코더
WO2014010171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
CN11004899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及服务器
WO2017161122A1 (en) System for live video streaming using delay-aware fountain codes
CN108965366B (zh) 一种版本信息的查询方法和装置
CN105163083B (zh) 一种视频数据的传输路径的确定方法和装置
KR101588549B1 (ko) 네트워크 코딩을 구현할 수 있는 tcp 기반 네트워크 라우팅 노드 및 네트워크 코딩을 구현하는 tcp 기반 데이터 스트리밍 시스템
US11240161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igh-speed identification of adaptive bit rate,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20024697A (ko)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의 개선을 위한 패킷 확인 응답 기술
JP2017536042A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6180161A1 (zh) 终端注册方法及装置
CN115022931B (zh) 速率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