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340B1 -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340B1
KR100832340B1 KR1020060131620A KR20060131620A KR100832340B1 KR 100832340 B1 KR100832340 B1 KR 100832340B1 KR 1020060131620 A KR1020060131620 A KR 1020060131620A KR 20060131620 A KR20060131620 A KR 20060131620A KR 100832340 B1 KR100832340 B1 KR 10083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fixed
guiding devi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진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일단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작동샤프트와; 상기 작동샤프트에 끼워지고 손잡이와 하우징 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일단 하면에 수평연장된 형태로 고정되고, 길이 일부에는 연결대가 세워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를 관통하여 출몰되게 배치되고, 일단은 호형상으로 굽어져 고정플레이트의 선단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걸이구와; 상기 지지대에 축설되고, 일단에는 작동샤프트의 단부가 링크되며, 타단에는 걸이구의 일단이 축설되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중량물을 운반, 교체하기 위해 크레인에 와이어 줄걸이 작업을 할 때에 원거리에서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60131620
크레인, 와이어, 줄걸이, 중량물, 가이딩

Description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WIRE HANGING GUID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걸이 작업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하우징 110....고정플랜지
120....고정플레이트 130....지지대
200....작동샤프트 210....손잡이
300....스프링 500....회전축
510....회전바 600....걸이구
본 발명은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에서 롤숍(Roll Shop)이나 압연롤 등의 중량물을 운반, 교환하기 위해 와이어 걸이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중량물, 이를테면 롤숍이나 압연롤을 포함한 각종 롤의 운반, 교환시 크레인이 사용된다.
따라서, 크레인 사용을 위해 와이어를 롤숍이나 롤의 양단에 거는 줄걸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크레인과 연결된 와이어걸이대(1)가 구비되고, 이 와이어걸이대(1)에 걸린 와이어(2)를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롤숍이나 롤(3)의 양단에 줄걸이하는 형태로 작업하였다.
때문에, 줄걸이 작업중 흔들림에 의해 작업자가 밀리면서 인접 주변설비(4)에 부딪히거나 혹은 손이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유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중량물이 운반, 교체를 위해 와이어 줄걸이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가 줄걸이 위치까지 근접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간편용이하게 줄걸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일단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작동샤프트와; 상기 작동샤프트에 끼워지고 손잡이와 하우징 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일단 하면에 수평연장된 형태로 고정되고, 길이 일부에는 연결대가 세워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를 관통하여 출몰되게 배치되고, 일단은 호형상으로 굽어져 고정플레이트의 선단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걸이구와; 상기 지지대에 축설되고, 일단에는 작동샤프트의 단부가 링크되며, 타단에는 걸이구의 일단이 축설되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혹은 사각통형상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 또는 팽창스프링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예시적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는 원통 혹은 사각통형상의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정길이를 갖고 가벼운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와이어 줄걸이 작업을 수행할 때, 하우징을 손으로 들고 작업하므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벼운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에는 고정플랜지(110)가 고정되고, 타단 하면에는 고정플레이트(120)가 고정되며, 타단 상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 대(13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이를 관통하여 작동샤프트(20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작동샤프트(200)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대응되는 형태의 손잡이(21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210)와 고정플랜지(110) 사이에는 스프링(300)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300)은 압축스프링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팽창스프링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130)의 단부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형태로 회전축(500)이 가로질러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500)에는 회전바(510)가 편심되게 축고정된다.
상기 회전바(510)는 상기 회전축(5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편심정도는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도시상 상부가 더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바(510)의 하단에는 축(140)에 의해 작동샤프트(200)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단에는 걸이구(600)의 일단이 축(6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
덧붙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20)의 길이 일부 상면에는 연결대(150)가 세워고정되고, 상기 걸이구(600)의 일단은 상기 연결대(150)을 관통하여 출몰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걸이구(600)는 그 타단이 호형상으로 절곡되어 대략 클립 형태를 이루며, 최대 후진시 상기 고정플레이트(120)의 단부와 접촉되어 폐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스프링(300)이 압축스프링일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만약 압축스프링이 아닌 팽창스프링이라면 그 동작은 반대로 이루어진다고 보면 되고, 압축스프링일 경우가 작업하기 편하다.
평상시 본 발명 가이딩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300)의 압축력 때문에 손잡이(210)가 고정플랜지(110) 쪽으로 최대한 접근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샤프트(200)는 전진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바(510)는 도 5의 실선과 같이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 즉 걸이구(600)가 최대한 당겨져 고정플레이트(120)의 단부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걸이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하우징(100)을 파지한 다음 손잡이(210)를 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샤프트(200)는 후퇴되고, 회전바(5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이구(600)를 밀어 걸이구(600)가 고정플레이트(120)의 선단으로부터 벌어지면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걸이구(600)가 열린 공간으로 와이어를 끼워 넣고, 당겼던 손잡이(210)를 놓게 되면 스프링(300)의 압축력에 의해 작동샤프트(200)가 원위치되면서 걸이구(600)는 다시 고정플레이트(120)와의 갭을 없애면서 벌어졌던 공간을 막게 된다.
결국, 작업자는 손잡이(210)를 당겼다 놓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와이어가 걸이구(600) 내부에 파지되면 하우징(100)을 움직여 원하는 부위에 줄걸이 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와이어를 중량물의 양단에 직접 거는 줄걸이 작업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와이어 걸이 가이딩 장치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와이어를 직접 거는 것이 아니라, 원거리에서 와이어 걸이 가이딩 장치를 손으로 들고 상기 와이어 걸이 가이딩 장치로 와이어를 파지하여 줄걸이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줄걸이 작업이 완료되면 상술한 반대 동작을 수행하여 와이어로부터 걸이구(600)를 빼내게 되면 줄걸이 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물을 운반, 교체하기 위해 크레인에 와이어 줄걸이 작업을 할 때에 원거리에서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일단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작동샤프트와;
    상기 작동샤프트에 끼워지고 손잡이와 하우징 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일단 하면에 수평연장된 형태로 고정되고, 길이 일부에는 연결대가 세워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를 관통하여 출몰되게 배치되고, 일단은 호형상으로 굽어져 고정플레이트의 선단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걸이구와;
    상기 지지대에 축설되고, 일단에는 작동샤프트의 단부가 링크되며, 타단에는 걸이구의 일단이 축설되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혹은 사각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 또는 팽창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KR1020060131620A 2006-12-21 2006-12-21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KR10083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20A KR100832340B1 (ko) 2006-12-21 2006-12-21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20A KR100832340B1 (ko) 2006-12-21 2006-12-21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340B1 true KR100832340B1 (ko) 2008-05-26

Family

ID=3966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620A KR100832340B1 (ko) 2006-12-21 2006-12-21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5294A (zh) * 2016-05-17 2016-08-17 太原重型机械集团工程技术研发有限公司 顶杆小车停车装置及设有该装置的穿孔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334A (ko) * 1992-11-03 1994-06-21 고바야시쇼우이찌 구축건축자재 이송용의 클램프장치
KR19990040167A (ko) * 1997-11-17 1999-06-05 양재신 엔진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334A (ko) * 1992-11-03 1994-06-21 고바야시쇼우이찌 구축건축자재 이송용의 클램프장치
KR19990040167A (ko) * 1997-11-17 1999-06-05 양재신 엔진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5294A (zh) * 2016-05-17 2016-08-17 太原重型机械集团工程技术研发有限公司 顶杆小车停车装置及设有该装置的穿孔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340B1 (ko) 와이어 걸이 가이딩장치
CN208028489U (zh) 一种高效率紧线器
CN210738446U (zh) 一种带有工具箱的折叠梯
KR20140041172A (ko)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CN212219620U (zh) 一种服装用吊粒烫金机构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4428776B2 (ja) 鋼材用吊りクランプ
CN202245524U (zh) 钢丝绳回收装置
CN205023812U (zh) 一种杠杆式裸线翻盘机
JP3180394U (ja) 転石除去具
JP7144967B2 (ja) 電柱切断機
KR20100057564A (ko) 용접 보조장치
CN206643902U (zh) 一种捞料工具
CN205687380U (zh) 一种模板吊装装置
CN218879170U (zh) 一种便携式预制块转运车
CN211473321U (zh) 一种钢结构施工平台
CN219924209U (zh) 弯管机
CN218145173U (zh) 一种具有防滑功能的夹钳吊具
CN203474257U (zh) 简易换辊吊具
CN203664655U (zh) 钢包热修液压缸悬挂装置
CN217071553U (zh) 一种防脱夹持机构
CN214611141U (zh) 钢带卷吊装夹具
CN217437530U (zh) 一种建筑施工起吊用固定装置
CN212982217U (zh) 一种建筑工地吊装用管件抓取装置
CN216575993U (zh) 焊接用焊丝转动简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