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265B1 -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 Google Patents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265B1
KR100832265B1 KR1020060085204A KR20060085204A KR100832265B1 KR 100832265 B1 KR100832265 B1 KR 100832265B1 KR 1020060085204 A KR1020060085204 A KR 1020060085204A KR 20060085204 A KR20060085204 A KR 20060085204A KR 100832265 B1 KR100832265 B1 KR 10083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s
hollow block
wall
sandstone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947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2006008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2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석식 호안의 피복재인 피복석이나 호안블럭을 대체하기 위한 중공블럭과, 이 중공블럭이 적용된 호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공블럭이 사석제체(rubble mound levee body)의 피복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친수성과 소파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조립식으로서 장비 수급이나 현장 조건에 따라 단위 중공블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어 시공성이 탁월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공기단축에도 효율적이며 차후 부분적인 침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보수 보강이 용이하도록 한 계단식 적치 호안과 이에 적용되는 중공블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Terraced embankment and cellularblock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적치 호안의 구조도.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적치 호안의 구조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적치 호안의 구조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적치 호안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상의 일 단형 중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상의 이 단형 중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상의 돌출 반구형 중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상의 오목 반구형 중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상의 부채꼴형 중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채꼴형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상의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마운드 20. 사석제체
30. 사석(rubble mound) 40. 캡콘크리트
50. 비탈어깨부 110. 사석마운드
120. 케이슨 130. 사석제체(捨石堤體)
140. 사석 150. 캡콘크리트
160. 비탈어깨부 210. 마운드
220. 사석제체 230. 수직벽
231. 통수공 240. 하역장
250. 캡콘크리트 310. 전면벽
311. 좌우측벽 312. 부벽
313. 수직 돌기 314. 통수공
311a. 암키 311b. 수키
311c. 경사면 320. 가로보
410. 하단 전면벽 411. 하단 좌우측벽
411a. 암키 421a. 수키
412, 422. 수직 돌기 413, 423. 통수공
420. 상단 전면벽 421. 상단 좌우측벽
430. 부벽 440. 가로보
450. 경사면 510. 돌출 반구형 전면벽
511. 수직 돌기 512. 통수공
520. 좌우측벽 520a. 암키
520b. 수키 521. 경사면
530. 부벽 540. 가로보
610. 오목 반구형 전면벽 611. 수직 돌기
612. 통수공 620. 좌우측벽
620a. 암키 620b. 수키
621. 경사면 630. 부벽
640. 가로보 710. 전면벽
711. 수직 돌기 712. 통수공
720. 좌우측벽 720a. 암키
720b. 수키 730. 부벽
740. 가로보 B. 중공블럭
B'. 중공블럭 Ba. 이 단형 중공블럭
Bb. 돌출 반구형 중공블럭 Bc. 오목 반구형 중공블럭
Bd. 부채꼴형 중공블럭
본 발명은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석식 제방으로 된 방파제나 호안의 피복재인 피복석이나 호안블럭을 대체하기 위한 중공블럭과, 이 중공블럭이 적용된 호안으로서 시공성과 친수성이 우수하고, 특히 공기단축에 효과적인 계단식 적치 호안에 관한 것이다.
호안은 그 목적에 따라 해안의 침식 방지나 해안의 매립지 확보를 위한 투기장 또는 해안도로 등의 설치를 위해 해안에 구축되는 제방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석을 포설한 경사식 제방(이하 "사석식 제방"이라 함)이 주로 이용되고 있고 이 사석 경사식 제방은 그 경사 비탈면에 피복석이 포설되거나 파랑의 감쇄 또는 친수성을 위해 소파블럭 또는 친수성블럭 등이 포설된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서 해안선이 방대하고 사회 모든 기능이 해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만 및 간척 부지 확보를 위한 초기단계 필수시설로서 일반적으로 사석식 제방이 형성되고, 이 사석식 제방의 비탈면은 피복석으로 보강되어 제방의 안전과 파랑으로부터의 사석 유실을 예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랑의 규모에 따라 소파블럭 또는 친수성블럭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관행적으로 피복석 사용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피복석은 예컨데 일본 특개 소62-1534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파블럭으로 적치가 어렵고 석질에 따라 생산에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제체 구축시 단계별 시공에 따른 공기 과다 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호안이 휴식공간으로 개방되면서 호안의 친수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친수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식의 호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중공블럭을 사용하여, 견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호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석 마운드의 상면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사석식제방의 몸체(rubble mound leeve body;이하 "사석제체"라 함)인 사석제체(捨石提體)와, 이 사석제체의 외해측 경사면에 계단식으로 적치되는 중공블럭(中空block)과, 상기 중공블럭의 내부에 채움되는 사석과, 최상단 중공블럭의 상면에 형성되는 캡콘크리트와, 지면기초위로 최하단 계단부로 평평한 부분이 형성되는 비탈어깨부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적치 호안을 구축하고 이에 적용되는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계단식 적치 호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석 마운드(10)의 상면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20)를 우선 구축하고, 이 사석제체(2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비탈어깨부(50) 위로 중공블럭(B)이 계단식으로 적치되며, 상기 중공블럭(B)의 내부에는 사석(rubble mound)(30)이 채움된다.
최상단 중공블럭(B)의 상면에는 캡콘크리트(40)가 설치되고, 최하단 중공블럭(B)의 앞쪽 평평한 부분에는 비탈어깨부(50)가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블럭(B')의 전면을 사석제체와 유사한 경사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내습하는 파랑으로 인해 제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계단식 적치 호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석 마운드(110)의 상면에 케이슨(120)이 거치되고, 이 케이슨(120)의 전면에는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130)가 형성되며, 이 사석제체(13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중공블럭(B)이 계단식으로 적치되고, 상기 중공블럭(B)과 상기 케이슨(120)의 내부에는 사석(140)이 채움된다.
상기 케이슨(120)의 상면에는 캡콘크리트(150)가 설치되고, 사석제체(130) 경사면에 적치된 최하단 중공블럭(B)의 전면에는 비탈어깨부(16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계단식 적치 호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석 마운드(210)의 상면에 1:1.5 또는 1:2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220)가 형성되고, 이 사석제체(22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중공블럭(B)을 계단식으로 적치하되, 상기 사석제체(220) 경사면의 상단부에 적치되는 2개 이상의 중공블럭(B)은 그 전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수직벽(23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벽(230)에는 다수의 통수공(231)을 형성하여 파랑의 흡수 기능을 갖도록 한다.
사석제체(220) 경사면에 적치된 최상단 중공블럭(B)의 상면에는 하역장(240)이 형성되고, 이 하역장(240)의 배면에는 캡콘크리트(2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호안은 호안의 기능뿐 아니라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물양장(物揚場)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호안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상의 중공블럭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상의 중공블럭(B)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벽(310)과, 이 전면벽(3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311)과, 이 좌우측벽(311) 사이에 형성된 부벽(312)과, 상기 좌우측벽(311)과 부벽(3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311)과 부벽(312)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310)에는 수직 돌기(313)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313)와 수직 돌기(313)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314)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벽(311)의 저면에는 암키(311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311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311)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311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중공블럭(B)을 사석제체의 경사면에 계단식으로 적치할 때 하단에 위치된 중공블럭(B)의 수키(311a)와 상단에 위치되는 중공블럭(B)의 암키(311b)가 서로 결합되어 중공블럭(B)들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나타낸 중공블럭(B)의 변형 실시예로서, 2단(段)형 중공블럭(Ba)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2단형 중공블럭(Ba)은 하단 전면벽(410)과, 이 하단 전면벽(410)의 양측에 형성된 하단 좌우측벽(411)과, 상기 하단 좌우측벽(411)의 중도부 상측에 형성된 상단 전면벽(420)과, 이 상단 전면벽(420)의 양측에 형성된 상단 좌우측벽(421)과, 상기 하단 전면벽(410) 및 상단 전면벽(420) 사이에 형성된 부벽(430)과, 상기 상단 좌우측벽(421)과 상기 부벽(4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상단 좌우측벽(421)과 상기 부벽(430)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전면벽(410) 및 상단 전면벽(420)에는 각각 수직 돌기(412)(422)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412)(422)와 수직 돌기(412)(422)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413)(423)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 좌우측벽(411)의 저면에는 암키(411a)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좌우측벽(421)의 상면에는 수키(421a)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및 상단 좌우측벽(411)(421)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450)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블럭의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 반구형 중공블럭(Bb)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상의 돌출 반구형 중공블럭(Bb)은, 돌출 반구형 전면벽(510)과, 이 전면벽(5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520)과, 이 좌우측벽(520) 사이에 형성된 부벽(530)과, 상기 좌우측벽(520)과 부벽(5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520)과 부벽(530)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510)에는 수직 돌기(5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511)와 수직 돌기(5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512)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벽(520)의 저면에는 암키(5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5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5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521)이 형성된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나타낸 돌출 반구형 중공블럭(Bb)의 변형 실시예로서, 오목 반구형 중공블럭(Bc)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상의 오목 반구형 중공블럭(Bc)은, 오목 반구형 전면벽(610)과, 이 전면벽(6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620)과, 이 좌우측벽(620) 사이에 형성된 부벽(630)과, 상기 좌우측벽(620)과 부벽(6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620)과 부벽(630)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610)에는 수직 돌기(6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611)와 수직 돌기(6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612)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벽(620)의 저면에는 암키(6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6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6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621)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 중공블럭의 다른 실시예로서, 부채꼴형 중공블럭(Bd)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상의 부채꼴형 중공블럭(Bd)은, 원호면으로 된 전면벽(710)과 이 전면벽(710)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측벽(720)과, 이 좌우측벽(720) 사이에 형성된 부벽(730)과, 상기 좌우측벽(720)과 부벽(7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720)과 부벽(730)에 서로 연결되는 원호로 된 가로보(7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710)에는 수직 돌기(7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711)와 수직 돌기(7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712)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벽(720)의 저면에는 암키(7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7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7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721)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부채꼴형 중공블럭(Bd)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면을 가진 호안을 형성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상의 중공블럭은 좌우 정렬형태의 호안뿐 아니라 일례로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적치하여 그 내부에 광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상의 호안은 외형적으로 큰 계단으로 이루어진 제체 표 면(비탈면) 구조로서 조립식 계단 형식이며, 조건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계단을 단위체로 조립하게 되고 계단 외면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계단 높이도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상부에는 선박 접안이 가능하도록 2개 이상의 계단을 직립으로 설치하고 그 표면에는 요철과 통수공을 형성하여 소파와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해양체험 현장으로서의 편의 시설을 위해 제체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계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체 표면에 적치된 중공블럭의 속채움 사석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석 또는 블럭으로 사석 표면을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계단식 적치 호안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중공블럭을 설치하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의 일정한 제체를 형성하고 그 기초부부터 중공블럭을 거치하게 되며, 1개의 중공블럭이 설치가 완료되면 이 중공블럭 내부에 사석을 채움하고 그 다음 또 다른 중공블럭을 상부에 거치한 후 사석 채움을 반복하는 공정으로서, 최하단 중공블럭의 바닥쪽 노출부는 피복석이나 블럭 등으로 보강하면 제체 표면 정리가 완료된다. 이후에 필요에 따라 해양체험용 계단을 중공블럭 외벽체에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중공블럭이 사석제체의 피복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친수성과 소파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조립식으로서 장비 수급이나 현장 조건에 따라 단위 중공블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어 시공성이 탁월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공기단축에도 효율적이며 차후 부분적인 침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보수 보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사석 마운드(10)의 상면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20)가 형성되고, 이 사석제체(2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피복블럭을 적치하도록 구성된 계단식 적치호안에 있어서,
    상기 중공블럭(B)을 계단식으로 다수 적치하며, 상기 중공블럭(B)의 내부에는 사석(30)이 채움되게 하고, 최상단 중공블럭(B)의 상면에는 캡콘크리트(40)를 형성하며, 최하단 중공블럭(B)의 전면에는 비탈어깨부(50)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중공블럭(B)에는 전면벽(310)과, 이 전면벽(3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311)과, 이 좌우측벽(311) 사이에 형성된 부벽(312)과, 상기 좌우측벽(311)과 부벽(3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311)과 부벽(312)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벽(310)에는 수직 돌기(313)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수직 돌기(313)와 수직 돌기(313)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314)이 형성되게하며, 상기 좌우측벽(311)의 저면에는 암키(311a)가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수키(311b)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벽(311)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311c)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 마운드(110)의 상면에 케이슨(120)이 거치되고, 이 케이슨(120)의 전면에는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130)가 형성되며, 이 사석제체(13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중공블럭(B)이 계단식으로 적치되고, 상기 중공블럭(B)과 상기 케이슨(120)의 내부에는 사석(140)이 채움되며, 상기 케이슨(120)의 상면에는 캡콘크리트(150)가 형성되고, 사석제체(130) 경사면에 적치된 최하단 중공블럭(B)의 전면에는 비탈어깨부(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 마운드(210)의 상면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사석제체(220)가 형성되고, 이 사석제체(220)의 외해측 경사면에는 중공블럭(B)을 계단식으로 적치하되, 상기 사석제체(220) 경사면의 상단부에 적치되는 2개 이상의 중공블럭(B)은 그 전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수직벽(23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벽(230)에는 다수의 통수공(231)이 형성되고, 사석제체(220) 경사면에 적치된 최상단 중공블럭(B)의 상면에는 하역장(240)이 형성되며, 이 하역장(240)의 배면에는 캡콘크리트(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블럭(B)은 2단으로 적치된 형상을 1개의 단위로서 제작되는 형상으로, 하단전면벽체(410)와 상단전면벽체(420)의 좌우측벽(450) 및 중앙벽체(430)가 상·하 일체로 된 벽체로 상부에 좌우 및 중앙벽체를 연결하는 가로보(440)로 이루어지며,
    상하전면벽(410,420)에는 수직돌기(412,422) 및 통수공(413,423)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450) 및 중앙벽체(430)의 상면에는 수키(421a), 하부에는 암키(411a)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블럭(B)은 돌출 반구형 전면벽(510)과, 이 전면벽(5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520)과, 이 좌우측벽(520) 사이에 형성된 부벽(530)과, 상기 좌우측벽(520)과 부벽(5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520)과 부벽(530)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5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510)에는 수직 돌기(5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511)와 수직 돌기(5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512)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520)의 저면에는 암키(5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5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5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블럭(B)은 오목 반구형 전면벽(610)과, 이 전면벽(610)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벽(620)과, 이 좌우측벽(620) 사이에 형성된 부벽(630)과, 상기 좌우측벽(620)과 부벽(6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620)과 부벽(630)에 서로 연결되는 가로보(6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610)에는 수직 돌기(6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611)와 수직 돌기(6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612)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620)의 저면에는 암키(6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6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6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블럭(B)은 원호면으로 된 전면벽(710)과 이 전면벽(710)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측벽(720)과, 이 좌우측벽(720) 사이에 형성된 부벽(730)과, 상기 좌우측벽(720)과 부벽(7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 좌우측벽(720)과 부벽(730)에 서로 연결되는 원호로 된 가로보(7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710)에는 수직 돌기(7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711)와 수직 돌기(71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통수공(712)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720)의 저면에는 암키(720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수키(720b)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720)의 끝단에는 상기 사석제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진 경사면(7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KR1020060085204A 2006-09-05 2006-09-05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KR10083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04A KR100832265B1 (ko) 2006-09-05 2006-09-05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04A KR100832265B1 (ko) 2006-09-05 2006-09-05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947A KR20080021947A (ko) 2008-03-10
KR100832265B1 true KR100832265B1 (ko) 2008-05-26

Family

ID=3939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04A KR100832265B1 (ko) 2006-09-05 2006-09-05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7810A (zh) * 2019-11-05 2020-02-04 深圳春沐源控股有限公司 驳岸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367B (zh) * 2021-08-16 2022-08-30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淤地坝下游坝坡的榫卯式预制块护坡及施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406A (ja) 1985-12-25 1987-07-08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防波堤用消波型ケ−ソン
JPS6475705A (en) * 1987-09-16 1989-03-22 Nippon Solid Co Ltd Multipurpose structure for water area
JPH09310326A (ja) 1996-05-22 1997-12-02 Kyowa Concrete Kogyo Kk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KR200299544Y1 (ko) 2002-09-24 2003-01-06 주식회사 영동콘크리트산업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200367390Y1 (ko) 2004-08-23 2004-11-10 김길평 친환경적인 하천제방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406A (ja) 1985-12-25 1987-07-08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防波堤用消波型ケ−ソン
JPS6475705A (en) * 1987-09-16 1989-03-22 Nippon Solid Co Ltd Multipurpose structure for water area
JPH09310326A (ja) 1996-05-22 1997-12-02 Kyowa Concrete Kogyo Kk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KR200299544Y1 (ko) 2002-09-24 2003-01-06 주식회사 영동콘크리트산업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200367390Y1 (ko) 2004-08-23 2004-11-10 김길평 친환경적인 하천제방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7810A (zh) * 2019-11-05 2020-02-04 深圳春沐源控股有限公司 驳岸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947A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4469A1 (en)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KR100684072B1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KR2007003819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KR100832265B1 (ko) 중공블럭을 사용한 계단식 적치 호안
CN109736261B (zh) 港口防波堤与海上阻水坝及其安装方法
KR101338834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콘크리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과 해안구조물
US20040244667A1 (en) Modular ships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precast modular intermodal concrete shapes
JP7389893B2 (ja) 海上構造及び建設方法
CN103758080B (zh) 架空式消浪观景平台结构
KR102315282B1 (ko)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JP2018048441A (ja) 消波ブロック
JPH0892936A (ja) 岸壁改修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可搬擁壁
KR20010045293A (ko)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CN113638359B (zh) 一种防止海岸侵蚀的防护装置及其建造工艺
KR100837848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AU2006313645B2 (en) Harbour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said structure
JP2002227167A (ja) 防波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2956356U (zh) 一种码头结构
US3965688A (en) Underwater structures, in particular for underwater drilling operations
CN212248063U (zh) 一种适用于不同水位的阶梯式码头结构
CN216809744U (zh) 一种基于轻质混凝土的模块化防波堤
CN202208905U (zh) 整体结构槽型扶壁式驳岸与围堤
KR102483534B1 (ko) 소파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JPH02108711A (ja) 仕切り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簡易防波堤の施工方法及び岸壁工法
KR200395316Y1 (ko) 친수성 호안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