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515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515B1
KR100831515B1 KR1020070032769A KR20070032769A KR100831515B1 KR 100831515 B1 KR100831515 B1 KR 100831515B1 KR 1020070032769 A KR1020070032769 A KR 1020070032769A KR 20070032769 A KR20070032769 A KR 20070032769A KR 100831515 B1 KR100831515 B1 KR 10083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mixing chamber
air
washing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471A (ko
Inventor
신이치로 고바야시
기요야스 신카이
가즈히사 에노모토
히로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27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17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27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32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2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698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Abstract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 본체와, 식기 세척기 본체내에 마련되고, 배기구를 갖는 세정조와,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와, 배기구와 개구를 연통하는 배기 경로를 구비하고, 배기 경로의 일부를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시켰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은 동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동 식기 세척기의 배기 경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동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동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내면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0, 100 : 식기 세척기 16, 101 : 식기 세척기 본체
16a : 개구부 17, 102 : 세정조
18, 103 : 개구부 19, 104 : 식기류
20, 105 : 식기 바구니 21, 106 : 세정 노즐
22, 107 : 펌프 23 : 제 1 송풍부
24, 115 : 히터 25,109 : 배기구
26, 108 : 전면 패널 27 : 개구
28, 111 : 배기 경로 29 : 상방 경로
30 : 하방 경로 31 : 제 2 송풍부
31a : 송풍구 32 : 송풍 경로
33 : 혼합실 34, 36 : 도풍체
35, 37 : 차폐체 38 : 온도 검지부
39 : 제어부 40, 112 : 제 1 레일
41, 113 : 제 2 레일 42, 114 : 핸들
43 : 조작 패널 110 : 송풍부
본 발명은, 식기류 등의 세정 및 건조를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00)는 식기 세척기 본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키친(system kitchen)에 수용된 식기 세척기 본체(101)내에 는 세정조(10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102)는 윗쪽에 개구부(103)를 갖고, 그 내부에는 식기류(104)를 수용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105)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조(102) 내의 식기 바구니(105)의 아래쪽에는, 세정 노즐(106)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세정조(102)내에 모은 세정수를 펌프(107)에 의해 순환시켜, 세정 노즐(106)로부터 분사하여 식기류(104)를 세정한다.
또한, 세정조(102)의 전방(도 7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에 마련된 전면 패널(108)의 일부에는 배기구(109)가 마련되어 있다. 또, 식기 세척기(100)는 송풍부(110)를 구비하고, 송풍부(1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세정조(102)내의 공기를 배기 경로(111)를 경유시켜서 배기구(109)로부터 기외로 배출하고, 식기류(104)를 건조시킨다.
세정조(102)의 측면에는, 제 1 레일(112)이 고정되어 있고, 제 1 레일(112)은 식기 세척기 본체(101)에 고정된 제 2 레일(113)에 의해, 전후 방향(도 7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식기류(1O4)의 출납을 실행할 때에는, 전면 패널(108)에 마련된 핸들(114)을 잡고 세정조(102)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윗쪽의 개구부(103)로부터 식기류(104)를 출납한다.
그리고, 세정조(102)를 식기 세척기 본체(101)에 복귀하여 운전을 시작하면, 식기 세척기(100)는 세정조(102)의 바닥부에 배치된 히터(115)에 의해 세정수를 가열하면서, 세정 노즐(106)로부터 식기류(104)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류(1O4)의 오물을 떨어뜨리는 세정 행정을 행한다.
또, 식기 세척기(100)는, 식기류(104)를 헹군 후에 건조 행정을 행해서 운전을 종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100)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배기구(109)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세정조(112) 내의 온도와 거의 같으며(약 80℃),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의 우려가 있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팬 등의 전장 부품을 갖는 제 2 송풍부(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여, 이 제 2 송풍부에서 외기를 받아들이고, 그 외기와 배기구(109)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조(102)내의 공기를 혼합시킴으로써, 기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춘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세정 및 헹굼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 경로(111)로부터 외측의 개구로 날아가거나, 외부의 장치, 예를 들면 제 2 송풍부의 회전부 또는 충전부에 침입하거나 하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제 2 송풍부에 침입했을 경우에는, 회전부의 부하 증가나 고착에 의해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충전부가 녹슬고, 통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운전을 할 수 없어지는 가능성이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세정 및 헹굼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식기 세척기 본체내에 마련 되고, 배기구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와, 배기구와 개구를 연통하는 배기 경로를 구비하고, 배기 경로의 일부를,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기 경로의 일부가,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세정수는 그 자중에 저항하여, 배기구로부터 윗쪽의 경로에 침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세정 및 헹굼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경로에 마련되어, 세정조 내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실과, 세정조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송풍부와, 혼합실에 외기를 보내기 위한 제 2 송풍부를 더 구비하고, 배기 경로는 배기 경로에 있어서의 혼합실보다도 배기구측의 일부가, 배기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배기 경로에 있어서의 혼합실보다도 배기구측의 일부를, 세정조의 배기구가 마련된 위치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세정조 내의 세정수가 배기 경로에 있어서 혼합실까지 유출해 버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송풍부를 마련했을 경우에도, 세정 및 헹굼 공정 중의 세정수가, 혼합실에 연통하는 제 2 송풍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이 적고, 기외로 배출될 때의 세정조 내의 공기온도를 안정해서 저감하고, 사용자의 화상 등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혼합실을 배기구의 가로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배기구를 세정조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송풍부에 의해 세정조로부터 압출되는 공기를, 보다 세정조의 상부로부터 배출 할 수 있으므로, 세정조 내의 공기의 흐름이 세정조 상부까지 잘 미치고, 세정조의 상부에 배치된 식기류까지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 혼합실의 저면보다도, 제 2 송풍부의 송풍구를 윗쪽에 배치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가열 행굼이나 건조 공정을 행하여, 혼합실의 저면에 결로수가 괴었다고 한들, 결로수가 제 2 송풍부의 송풍구로부터 제 2 송풍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제 2 송풍부의 송풍구와 혼합실을 연통하는 송풍 경로를 구비하고, 송풍 경로의 저면을, 제 2 송풍부의 송풍구로부터 혼합실의 저면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시킨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송풍 경로에 결로한 결로수를, 결로수의 자중 또는 제 2 송풍부에 의한 송풍에 의해, 원활하게 혼합실의 저면에 모을 수 있다.
또한, 배기 경로는, 세정조의 배기구로부터 개구를 향해서 순차로, 윗쪽으로 향하는 상방 경로와, 하방을 향하는 하방 경로를 갖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개구로부터 배기구 까지의 사이에, 하방경로와 상방 경로가 개재하여, 경로 형상이 복잡하게 되므로, 또 세정수가 배기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튀어 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는 배기 경로중의 물을 세정조내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구멍 을 갖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배기 경로에 침입한 세정수나, 배기 경로내에서 결로한 세정수의 증기의 결로수를, 복귀 구멍을 통과시켜서 세정조에 복귀시킬 수 있다. 이로써, 결로수나 세정수가 배기 경로의 내부에 체류하는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서 기인하는 이상 냄새, 건조 성능의 저하, 기외로의 결로를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체류 물의 침입에 의한 고장, 절연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또, 세정조는 배기 경로중의 물을 세정조내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구멍을 갖고, 복귀 구멍을 제 2 송풍부의 송풍 구보다도 아래쪽에 형성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가열 헹굼·건조 공정을 장시간 행하여, 혼합실의 저면에 집결한 결로수의 수위가 높아졌다고 한들, 그 결로수가 제 2 송풍부의 송풍구의 높이로 되기 전에, 복귀 구멍으로부터 세정조에 결로수가 복귀된다. 이 때문에, 제 2 송풍부에 송풍구로부터 결로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 공정중의 세정수가 배기구로부터 배기 경로에 침입해도, 배기 경로에 연통한 복귀 구멍으로부터 세정조에 복귀되기 때문에, 복귀 구멍보다 고위에 있는 제 2 송풍부의 송풍구에 세정수가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복귀 구멍을 혼합실보다도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외기와 세정수의 증기를 혼합시켰을 때에 발생 하는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세정조에 복귀시킬 수 있고, 이 결로수가 배기 경로에 체류함에 의한 건조 성능의 저하, 기외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고, 체류 물의 침입에 의한 고장, 절연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복귀 구멍과 혼합실을 연통하는 복귀 경로를 구비하고, 복귀 경로의 저면을, 혼합실로부터 복귀 구멍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시킨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외기와 세정수의 증기를 혼합시켰을 때 발생하는 결로수를 복귀 경로를 통과하여 효율적으로 세정조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 복귀 경로의 혼합실측에,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세정조내의 공기를 혼합실에 인도하기 위한 도풍체(導風體)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세정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와 제 2 송풍부로부터 보내져오는 외기를 효율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조로부터 배기 경로에 배출된 배기 중, 기외로 나가지 않고 복귀 구멍으로부터 세정조에 되돌아와 버리는 배기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의 복귀 구멍이 마련된 위치보다도 내측에, 세정수가 복귀 구멍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체를 마련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세정중에 세정수에 섞여서 식기의 잔채 등의 쓰레기가, 복귀 구멍으로부터 배기 경로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상 냄새 발생의 방지 및 쓰레기 등의 고착에 의한 복귀 구멍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 고, 이것에 의한 고장, 절연불량 등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송풍부 및 제 2 송풍부의 송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제 1 송풍부를 간헐 운전시키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용이하게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는 동시에, 제 1 송풍부가 간헐 운전되므로, 제 1 송풍부의 송풍을 정지시켰을 때에, 세정조내의 압력을 내릴 수 있다. 이로써, 결로수를 복귀 구멍으로부터 세정조에 흘러 나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 및 헹구기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동 식기 세척기(1)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동 식기 세척기(1)의 배기 경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는, 시스템키친(system kitchen)에 수용된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단순히「본체」라고 함)(16)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16)는, 그 전방 부분(도 1에 있어서의 좌측부분)에, 세정조(17)를 출납 하기 위한 개구부(16a)를 갖고 있다.
세정조(17)는, 그 세정조(17)를 본체(16)내에 수납했을 때에, 개구부(16a)를 닫는 문체가 되는 전면 패널(26)을 갖고 있다. 세정조(17)는, 그 윗쪽에 식기류(19)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8)를 갖고, 그 내부에, 식기류(19)를 수용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20)를 갖고 있다.
식기 바구니(20)의 아래쪽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21)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세정조(17)내에 모은 세정수를, 세정 노즐(21) 을 거쳐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2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17)의 바닥부에는, 세정수와, 제 1 송풍부(23)에 의해 세정조(17) 내에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4)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 공정에 있어서, 세정조(17)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25)가, 세정조(17)의 전방(도 1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에 마련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에서는, 세정조(17)와 연통하는 제 1 송풍부(23)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세정조(17)내의 공기가 배기구(25)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전면 패널(26)의 윗쪽에는 개구(27)가 마련되고, 배기구(25)와 개구(27)는 배기 경로(28)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배기 경로(28)는, 배기구(25)측으 로부터 개구(27)측을 향해서 순차로 배치된, 윗쪽을 향하는 상방 경로(29) 및 하방을 향하는 하방 경로(30)를 갖고 있다.
또, 배기 경로(28)의 하방 경로(30)의 하류측에는, 외기와 세정조(17)내로부터의 배기와가 혼합되는 혼합실(33)이, 배기구(25)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1)는, 제 1 송풍부(23)와 거의 같은 능력을 갖는 제 2 송풍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송풍부(31)는, 전면 패널(26)의 후방에 배설되어, 도시하지 않는 개구부로부터 외기를 받아드리고, 송풍 경로(32)를 통해서 혼합실(33)에 보낸다.
제 2 송풍부(31)를 운전하는 것에 의해,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 세정조(17) 내의 공기와 외기가 혼합되므로, 개구(27)로부터 외부에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복귀 구멍(34)은, 세정조(17)의,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구체적으로는 송풍구(31a)의 저면)보다도 하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귀 구멍(34)은, 복귀 경로(35)를 거쳐서, 혼합실(33)과 연통하는 동시에, 배기 경로(28) 및 혼합실(33)에 있어서 세정조(17)내의 공기와 외기가 혼합되었을 때에 생기는 결로수를 세정조(17)내로 돌려주는 기능을 갖다.
또한, 복귀 경로(35)의 혼합실(33)측에는, 세정조(17)내의 공기를 복귀 경로(35)가 아니라, 혼합실(33)을 향하기 쉽게 하기 위한 도풍체(3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조(17)의 복귀 구멍(34)이 마련된 위치보다도 내측에는, 세정·헹굼 공정 중에, 세정수가 직접 복귀 구멍(34)에 즈음하여, 세정수에 포함되는 식기류(19)의 잔채 등의 쓰레기가 복귀 구멍(34)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폐체(37)가 마련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세정조(17)의 하부에는, 세정수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검지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헹굼·건조 공정을 차차 제어하는 제어부(39)는, 온도 검지부(38)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송풍부(23) 및 제 2 송풍부(31)의 적어도 한쪽의 운전을 제어한다.
예컨대, 세정·헹굼 공정에 있어서, 온도 검지부(38)가, 세정조(17)내의 세정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50℃)에 달한 것을 검지하면, 배기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제 2 송풍부(31)를 운전한다. 또한, 건조 공정에 들어가면, 제 2 송풍부(31)를 운전하는 동시에, 제 1 송풍부(23)를 몇 분간 간헐 운전시킨 후 연속 운전시켜, 일정한 시간경과 후에, 제 2 송풍부(31)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송풍부(23)를 몇 분간 간헐 운전시키는 것은, 배기 온도를 용이하게 내리는 것과, 제 1 송풍부(23)의 운전을 정지시키면, 세정조(17)내의 압력이 내려가서, 세정수나 결로수가 복귀 구멍(34)로부터 세정조(17)내에 되돌아오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세정조(17)의 외측의 측면에는 제 1 레일(40)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레일(40)은 식기 세척기본체(16)의 내측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레일(41)에 의해, 전후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기류(19)의 출납을 실행하는 때는, 사용자는, 전면 패널(26)의 상부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핸들(42)(도 2 참조)을 잡고, 세정조(17)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윗쪽의 개구부(18)로부터 식기류(19)의 출납을 실행한다.
또한, 전면 패널(26)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27)의, 핸들(42)에 대하여 반대측에는, 조작 패널(43)이 배치된다(도 2 참조). 조작 패널(43)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1)의 각종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의 동작,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전면 패널(26)의 상부에 마련된 핸들(42)을 잡고, 세정조(17)를 본체(16)로부터 인출한다. 그리고, 세정조(17)내에 배치한 식기 바구니(20)에 더러워진 식기류(19)를 셋트한다.
다음에, 세정조(17)를 본체(16)내로 되돌리고, 조작 패널(43)을 조작함으로써 운전을 시작한다. 그렇게 하면, 식기 세척기(1)는, 세정조(17)내의 바닥부에 배치된 히터(24)가 세정수를 가열하고, 세정 노즐(21)이 가열된 세정수를 식기류(19)를 향해서 분사하여, 식기류(19)의 오물을 떨어뜨리는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수회의 모아 헹굼을 한 후, 히터(24)에 의해 세정수를 약 80℃로 가열하면서 헹구는, 가열 헹굼 공정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식기 세척기(1)는, 히터(24)에 의해 세정조(17)내의 공기를 가열하면서, 제 1 송풍부(23)에 의해 수분을 많이 포함한 가열 공기를 배기구(25)로부터 배출하고, 식기류(19) 및 세정조(17) 내부를 말리는 건조 공정을 행하여 운전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배기 경로(28) 중에 윗쪽에 향한 상방 경로(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정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구(15) 내에 들어갔을 경우에도, 배기 경로(28)의 상방 경로(29)를 형성하는 측벽에 접촉한다. 그리고, 세정수는, 그 자중에 의해 상방 경로(29)내를 흘러내리고, 배기구(25)로부터 세정조(17)내에 되돌아온다. 이로써, 혼합실(33)로의 세정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혼합실(33)에 별개의 경로에서 연통하고 이있는 송풍 경로(32) 및 제 2 송풍부(31)의 회전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충전부(도시하지 않음)로의 세정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세정조(17)의 배기구(25)를 기점으로서, 세정조(17)측으로부터 기외를 향해서 본체(16)의 깊이 방향으로, 상방 경로(29) 및 하방 경로(30)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16)의 폭 방향으로 비교적 스페이스(space)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의 한정된 본체(16)의 폭의 치수 내에, 배기 경로(28), 기외로의 개구(27), 핸들(42) 및 조작 패널(43) 등을 배치 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27), 핸들(42), 조작 패널(43)등의 부재를 전면 패널(26)보다도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스페이스 아래의 전면 패널(26)을 시스템키친의 부재와 동일부재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시스템키친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 없이, 통일성이 있는 높은 디자인성을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그 건조 공정시에는, 본체(16)의 바닥부에 배치된 제 1 송풍부(23)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히터(24)에서 데워져 상승 기류가 되고, 식기류(19)에 부착된 물방울을 증발시킨다. 그리고, 세정조(17)의 상부에 배치된 배기구(25)로부터, 배기 경로(28)를 경유해서 개구(27)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이것 때문에, 배기구(25)는 보다 윗쪽에 배치한 쪽이, 세정조(17)에 배치된 보다 윗쪽의 식기까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배기구(25)의 아래쪽에 혼합실(33)을 배치했다. 이로써 배기구(25)를 세정조(17)의 상부에 배치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구(25)의 아래쪽에 혼합실(33)을 배치했지만, 혼합실(33)을 배기구(25)의 가로로 구성해도, 배기구(25)를 세정조(17)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는, 그 건조 공정중에, 개구(2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때문에, 제 2 송풍부(31)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이, 혼합실(33)에서 세정조(17)내에서 배출된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고 있다. 이 때, 제 2 송풍부(31)에서 송출되는 외기는 하방 경로(30) 및 상방 경로(29)의 측벽이 있기 때문에, 세정조(17)의 배기구(25)의 방향으로는 흐르기 어려 운 구성이 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이 때문에, 제 1 송풍부(23)로부터 송출되는 세정조(17) 내의 공기를, 제 2 송풍부(31)로부터 송출되는 공기의 영향을 억제하여, 보다 원활하게 기외로 흘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 중에 세정조(1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기가 혼합할 때 발생하는 결로수는, 복귀 경로(35)를 경유하여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로 유출한다.
또한, 송풍 경로(32)는,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와 혼합실(33)의 저면을, 혼합실(33)측의 작은 완만한 경사로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송풍 경로(32)에 부착한 결로수를 결로수의 자중 또는 제 2 송충부(31)의 송풍에 의해, 혼합실(33)의 저면에 수집하여 복귀 경로(35)를 경유하여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결로수를 세정조(17)내에 회수 할 수 있다. 이로써, 개구(27)보다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감소시키킬 수 있어, 기외에서의 결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도풍체(36)에 의해 혼합실(33)에 인도되기 때문에,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되돌아오는 공기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혼합실(33)에서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 공기와 제 2 송풍부(31)로부터 보내지는 외기를 효율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세정조(17)와 혼합실(33)을 연통하는 배기 경로(28)를 세정조(17)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보다도 윗쪽을 경유해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정 및 헹굼 공정중에, 세정수가 자중에 저항해서 배기구(25)로부터 윗쪽의 경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류에 있는 혼합실(33)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실(33)에 다른 경로에서 연통하고 있는 송풍 경로(32) 및 제 2 송풍부(31)의 회전부 또는 충전부로의 세정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말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고장이 적고, 기외로 배출될 때의 세정조(17)내의 공기온도를 안정하게 저감하고, 사용자의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서는, 제 2 송풍부(31)로부터 세정조(17)의 배기구(25) 까지의 사이에, 송풍 경로(32), 혼합실(33), 하방 경로(30), 상방 경로(29)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경로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제 2 송풍부(31)로부터 세정조(17)의 배기구(25)에 공기가 흐르기 어려운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제 2 송풍부(31)로부터 송출되는 외기가 세정조(17)내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송풍부(23)가 세정조(17)내의 공기를 기외(25)로 배출하는 것을 저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건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배기 온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혼합실(33)을 세정조(17)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의 가로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것에 의해, 배기구(25)를 세정조(17)내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송풍부(23)로부터 압출되는 공기를 세정조(17)의 보다 상부로부 터 배출함으로써, 세정조(17)내의 상부까지 공기의 흐름을 잘 미치게 할 수 있고, 세정조(17)의 상부에 배치된 식기류(19)까지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에서는, 배기 경로(28)를 세정조(17)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를 기점으로서, 세정조(17)로부터 기외를 향해서 순차로, 윗쪽으로 향하는 상방 경로(29), 하방을 향하는 하방 경로(30)의 순서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상방 경로(29) 및 하방 경로(30)를 폭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에 비교하여, 배기 경로(28)를 폭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키친의 식기 세척기(1)가 한정된 개구에, 배기 경로(28), 혼합실(33), 기외의 개구(27)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시스템키친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 없이 공간을 절약한 구성으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동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동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내면의 사시도이다.
도 4∼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식기 세척기(60)는 시스템키친에 수용된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단지「본체」라고 함)(1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6)는 그 앞 부분(도 4에 있어서의 좌측)에, 세정조(17)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6a)를 갖고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60)는, 그 세정조(17)를 본체(16)내에 수납했을 때에, 개구부(16a)를 닫는 덮개가 되는 전면 패널(26)을 구비하고 있다. 세정조(17)는 그 윗쪽에 개구부(18)를 갖고 있다.
세정조(17)는 그 내부에 식기류(19)을 수용하는 식기 바구니(20)를 갖고 있다. 식기 바구니(20)의 아래쪽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정 노즐(21)이 마련되고, 세정조(17)의 외측에는, 세정조(17)내에 모은 세정수를 세정 노즐(21)을 거쳐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17)의 바닥부에는, 세정수와 제 1 송풍부(23)에 의해 세정조(17) 내에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4)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17)의 전방에는, 세정조(17)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5)가 배설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60)는 세정조(17)의 하부에 제 1 송풍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송풍부(23)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세정조(17)내의 공기는 배기구(25)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식기 세척기(60)로부터 기외로의 배기를 실행하는 개구(27)는 전면 패널(26)보다도 윗쪽에 마련되고, 배기구(25)와 개구(27)는, 배기 경로(28)에서 연 통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60)는 송풍구(31a)를 갖는 제 2 송풍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송풍부(31)는 제 1 송풍부(23)와 거의 같은 능력을 갖고, 외기를 도시하지 않는 개구부로부터 취입하여, 전면 패널(26)의 후방(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에 배설한 송풍 경로(32)에 보내는 것이다.
송풍 경로(32)는 혼합실(33)에 있어서 배기 경로(28)와 합류하고, 혼합실(33)에 있어서 세정조(17) 내의 공기와 외기가 혼합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실(33)에서 혼합된 혼합 공기가 개구(27)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배기 경로(28)는 혼합실(33)보다도 배기구(25)측의 일부가,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60)는 배기 경로(28)의 결로수 등의 체류 물을 세정조에 되돌리기 위한 복귀 구멍(34)을 구비하고 있다. 복귀 구멍(34)은 세정조(17)의 혼합실(33)보다도 밑의 위치에 형성되어, 복귀 경로(35)를 거쳐서 혼합실(33)과 연 통하고 있다. 복귀 경로(35)의 저면은, 혼합실(33)에서 복귀 구멍(34)을 향해서 하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또한, 복귀 경로(35)의 혼합실(33)측에는, 세정조(17)내의 공기를 혼합실(33)을 향하기 쉽게 하기 위한 도풍체(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구멍(34)의 세정조(17) 내측에는, 차폐체(37)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 식기 세척기(60)의 세정조(17)의 하부에는, 세정수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검지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헹굼·건조 공정을 차차 제어하는 제어부(39)는 온도 검지부(38)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송풍부(23) 및 제 2 송풍부(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정·헹굼 공정에서, 온도 검지부(38)가 세정조(17)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컨대, 50℃)에 달한 것을 검지하면, 제 2 송풍부(31)를 운전시켜서 배기 온도를 내리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건조 공정에 들어가면, 제 2 송풍부(31)를 운전하는 동시에, 제 1 송풍부(23)를 몇 분간 간헐 운전시킨 후, 연속 운전시켜, 일정한 시간경과 후에, 제 2 송풍부(31)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세정조(17)의 하방의 외측측면에는, 제 1 레일(40)이 고정되어 있고, 제 1 레일(40)은, 본체(16)의 내측 측면에 고정한 제 2 레일(41)에 전후방향(도 4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식기류(19)의 출납을 실행하는 때는, 전면 패널(26)에 마련된 핸들(42)을 잡아서 세정조(17)를 전방으로 인출하고, 윗쪽의 개구부(18)로부터 식기류(19)의 출납을 실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의 동작,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식기류(19)의 세정을 실행할 경우에는, 우선, 전면 패널(26)에 마련된 핸들(42)을 잡고, 세정조(17)를 본체(16)로부터 인출한다. 그리고, 세정조(17)내에 배치한 식기 바구니(20)에 더러워진 식기류(19)를 셋트한다.
다음에, 세정조(17)를 본체(16)에 복귀시키고 운전을 시작하면, 세정조(17) 내 바닥부에 배치된 히터(24)에 의해 세정수를 가열하면서, 세정 노즐(21)로부터 식기류(19)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류(19)의 오물을 떨어뜨리는 세정 공정이 행하여진다.
그 후, 수회의 모음 헹굼을 한 후, 히터(24)에 의해 세정수를 약 80℃로 가 열하면서 헹구는 가열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히터(24)에 의해 세정조(17)내의 공기를 가열하면서, 제 1 송풍부(23)에 의해 수분을 많이 포함한 가열 공기를 배기구(25)로부터 세정조(17) 외부로 배출해서 식기류(19) 및 세정조(17) 내부를 말리는 건조 공정을 행하여 운전을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에 의하면, 세정 공정 중에 세정 노즐(21)로부터 분출된 세정수가, 배기구(25)로부터 배기 경로(28)에 침입해도, 세정수는 복귀 경로(35)를 경유해서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내에 복귀된다. 이로써, 배기 경로(28), 송풍 경로(32) 및 혼합실(33)내에 세정수가 체류하는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7)의 복귀 구멍(34)이 마련된 위치의 내측에는, 차폐체(3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 구멍(34)에 직접 세정수가 닿는 가능성이 극히 낮아, 세정수와 함께 흘러 오는 식기류(19)의 잔채 등의 쓰레기가 복귀 구멍(34)에 직접 닿을 가능성을 극히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60)에 의하면, 세정수에 포함되는 식기류(19)의 잔채 등의 쓰레기가, 복귀 구멍(34)으로부터 혼합실(33)이나 배기 경로(28)등의 경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 공정의 초기에는, 특히 수분을 많이 포함한 가열 공기가 배기구(25)로부터 세정조(17)외부로 배출된다. 식기 세척기(60)에서는, 제 2 송풍부(31)를 운전하는 동시에, 제 1 송풍부(23)를 몇 분간 간헐 운전함으로써, 용이하게 제 1 송 풍부(23)의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조(17) 내의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동시에, 공기중의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 공기에 의한 화상이나 기외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혼합실(33) 내에는, 결로수가 건조 공정의 초기에 많이 발생한다. 식기 세척기(60)에서는, 제 1 송풍부(23)를 간헐 운전시키므로, 제 1 송풍부(23)의 송풍을 정지시켰을 때에, 세정조(17)내의 압력이 내려간다. 이 때, 결로수는 복귀 경로(35)를 경유해서 복귀 구멍(34)로부터 세정조(17)로 흘러 나온다.
또, 식기 세척기(60)에서는, 복귀 구멍(34)이, 세정조(17)의 혼합실(33)보다도 하방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복귀 경로(35)의 저면이, 혼합실(33)로부터 복귀 구멍(34)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원활하게 혼합실(33)로부터 세정조(17)로 결로수를 흘릴 수 있다.
그리고, 식기 세척기(60)에서는, 제 1 송풍부(23)를 잠시동안, 간헐 운전한 후에, 그 송풍량을 이전의 연속 운전으로 복귀하는 것에 따라, 식기류(19)의 건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간헐 운전 후에 혼합실(33)에 체류한 결로수는 건조 종료후에, 제 1 송풍부(23)를 정지시키면, 복귀 구멍(34)로부터 세정조(17)에 흘러 나온다. 또한, 건조 공정중에 수회, 제 1 송풍부(23)를 정지시킴으로써, 결로수를 혼합실(33)로부터 세정조(17)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에 있어서 도, 배기 경로(28) 내의 결로수 등의 체류물을 세정조(17)내에 회수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개구(27)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수분도 보다 적게 할 수 있고, 기외에서의 결로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60)에서는 제 2 송풍부(3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도풍체(36)에 의해 혼합실(33)에 인도되기 때문에,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되돌아오는 공기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혼합실(33)에서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 공기와 제 2 송풍부(31)로부터 보내지는 외기를 효율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조(17)내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시킬 때 생기는 결로수 등을, 세정조(17)내에 돌려주는 복귀 구멍(34)을 배기 경로(28)에 연 통과시켜 마련한 것에 의해, 배기 경로(28)에 침입한 세정수 및 배기 경로(28)내에서 결로한 결로수 등의 체류물을 세정조(17)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체류물에 기인하는 이상 냄새, 건조 성능의 저하, 외기로의 결로를 방지하고, 체류물의 침입에 의한 고장, 절연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60)에서는, 복귀 구멍(34)을 혼합실(33)보다도 아래쪽에 배치한 것에 의해, 외기와 세정수의 증기를 혼합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세정조(17)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 구멍(34)과 혼합실(33)을 연통하는 복귀 경로(35)의 저면을, 혼합실(33)로부터 복귀 구멍(34)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 시킴으로써, 외기와 세정 수의 증기를 혼합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세정조(17)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 경로(35)의 혼합실(33)측에는, 세정조(17)내의 공기를 혼합실(33)에 인도하는 도풍체(36)를 형성한 것에 의해, 세정조(17)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와 제 2 송풍부(31)로부터 보내지는 외기를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7)로부터 배기 경로(28)에 배출된 배기 중, 기외로 나가지 않고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되돌아와 버리는 배기의 양을 저감 할 수 있으므로, 건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7)의 복귀 구멍(34)이 마련된 위치의 내측 근방에, 세정수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37)를 마련한 것에 의해, 세정중에 세정수에 섞여서 식기류(19)의 잔채 등의 쓰레기가 복귀 구멍(34)으로부터 배기 경로(28)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이상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쓰레기 등의 고착에 의한 복귀 구멍(34)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 절연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60)에서는,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 송풍 경로(32), 혼합실(33) 각각의 저면의 위치 관계가, 이 순서로 조금씩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풍 경로(32)는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의 저면과 혼합실(33)의 저면을 완만한 경사면에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혼합실(33)에서,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 증기와, 제 2 송풍부(31)에서 취입된 외기가 혼합한 혼합 공기가, 개구(27)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이 구성에 의해, 송풍 경 로(32)에 부착된 결로수를 결로수의 자중 또는, 제 2 송풍부(31)의 송풍에 의해 혼합실(33)의 저면에 모아, 복귀 구멍(34)로부터 세정조(17)로 유출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60)에 있어서, 가열 헹굼·건조 공정중에, 세정조(17)내로부터 배출되는 가열 공기와 외기가 혼합되었을 때에 생기는 결로수는 혼합실(33)의 저면에 모이기 때문에, 혼합실(33)의 저면보다도 윗쪽에 배치된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로부터 제 2 송풍부(31)의 내부에 결로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60)에 의하면, 배기구(25)와 기외를 연통하는 배기 경로(28)에, 세정조(17)내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시켰을 때에 생기는 결로수 등을 세정조(17)내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구멍(34)을 구비하고, 이 복귀 구멍(34)의 저면을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의 저면보다도 아래쪽에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가열 헹굼·건조 공정을 장시간 행하여, 혼합실(33)의 저면에 모인 결로수의 수위가 상승하였다고 한들, 그 결로수가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의 높이 로 되기 전에,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공정 중의 세정수가 세정조(17)의 배기구(25)로부터 침입해도, 복귀 구멍(34)으로부터 세정조(17)에 복귀되기 때문에, 복귀 구멍(34) 보다 고위치에 있는 제 2 송풍부(31)의 송풍구(31a)로부터의 세정수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이 적고, 기외로 배출될 때의 세정조(17) 내의 공기온도를 안정하여 저감하고, 사용자의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 및 헹굼 공정 중에, 세정수가 배기 경로로부터 외측의 개구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에 한정되지 않고, 증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 의류 건조기, 식품 건조기 등으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13)

  1. 식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식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배기구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배기구와 상기 개구를 연통하는 배기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경로의 일부를 상기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경로에 마련되고, 상기 세정조 내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실과,
    상기 세정조 내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송풍부와,
    상기 혼합실에 외기를 보내기 위한 제 2 송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기 경로는, 상기 배기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혼합실보다도 상기 배기구측의 일부가, 상기 배기구보다도 윗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은 상기 배기구의 가로 또는 하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의 저면보다도, 상기 제 2 송풍부의 송풍구를 윗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풍부의 상기 송풍구와 상기 혼합실을 연통하는 송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의 저면을, 상기 제 2 송풍부의 상기 송풍구로부터 상기 혼합실의 저면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경로는, 상기 세정조의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해서 순서대로, 윗쪽을 향하는 상방 경로와, 하방을 향하는 하방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는, 상기 배기 경로중의 물을 상기 세정조내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는, 상기 배기 경로중의 물을 상기 세정조 내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구멍을 갖고, 상기 복귀 구멍을 상기 제 2 송풍부의 송풍구보다도 아래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구멍을 상기 혼합실보다도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구멍과 상기 혼합실을 연통하는 복귀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경로의 저면을, 상기 혼합실로부터 상기 복귀 구멍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경로의 상기 혼합실측에,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세정조내의 공기를 상기 혼합실에 인도하기 위한 도풍체(導風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의 상기 복귀 구멍이 마련된 위치보다도 내측에, 세정수가 상기 복귀 구멍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부 및 상기 제 2 송풍부의 송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부를 간헐 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70032769A 2006-04-04 2007-04-03 식기 세척기 KR100831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02701 2006-04-04
JP2006102702A JP4241752B2 (ja) 2006-04-04 2006-04-04 食器洗い機
JP2006102701A JP4093276B2 (ja) 2006-04-04 2006-04-04 食器洗い機
JPJP-P-2006-00102702 2006-04-04
JPJP-P-2006-00102700 2006-04-04
JP2006102700A JP4096982B2 (ja) 2006-04-04 2006-04-04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71A KR20070099471A (ko) 2007-10-09
KR100831515B1 true KR100831515B1 (ko) 2008-05-22

Family

ID=3880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769A KR100831515B1 (ko) 2006-04-04 2007-04-03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2734B2 (ja) * 2018-02-28 2021-1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70A (ko) * 2000-12-14 2002-06-22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JP2002325714A (ja) 2001-03-01 2002-11-1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3260015A (ja) 2002-03-07 2003-09-1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70A (ko) * 2000-12-14 2002-06-22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JP2002325714A (ja) 2001-03-01 2002-11-1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3260015A (ja) 2002-03-07 2003-09-1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71A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695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JP2007236439A5 (ko)
JP2007236439A (ja) 食器洗い機
KR100795261B1 (ko) 식기세척기
KR100767884B1 (ko) 식기 세척기
EP2343004A1 (en) Dishwasher with an air-brea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31515B1 (ko) 식기 세척기
JP4096982B2 (ja) 食器洗い機
JP4089748B2 (ja) 食器洗い機
JP4241788B2 (ja) 食器洗い機
JP4241752B2 (ja) 食器洗い機
JP4093276B2 (ja) 食器洗い機
JP2008061854A5 (ko)
JP2007075320A (ja) 食器洗い機
KR100767883B1 (ko) 식기 세척기
JP4089751B2 (ja) 食器洗い機
JP2002000533A (ja) 食器洗い乾燥機
JP4089749B2 (ja) 食器洗い機
JP2006326134A (ja) 食器洗浄機
JP4089750B2 (ja) 食器洗い機
JPH0852103A (ja) 食器洗浄機
CN109717809B (zh) 餐具清洗机
JP7117600B2 (ja) 食器洗い機
JP4211796B2 (ja) 食器洗い機
JP4129412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