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456B1 -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 - Google Patents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456B1
KR100831456B1 KR1020067018550A KR20067018550A KR100831456B1 KR 100831456 B1 KR100831456 B1 KR 100831456B1 KR 1020067018550 A KR1020067018550 A KR 1020067018550A KR 20067018550 A KR20067018550 A KR 20067018550A KR 100831456 B1 KR100831456 B1 KR 10083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lan
data flow
tim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704A (ko
Inventor
레인하르드 뤼크리엠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0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LAN 기지국과 WLAN 이동국 사이의 무선 접속부 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접속부의 데이터레이트는 구간(35)에서 하나의 시간 기간(36,37) 동안 감소한다. 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의 범용이거나 허가되지 않은 발신을 제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DATA FLOW CONTROL IN WLAN RADIO CONNECTIONS FOR THE IMPAIRMENT OF INTERNET TELEPHONY}
본 발명은 독립항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WLAN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음성 통신(mobile speech communication)은 주로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cell-based mobile radio network)를 통해 처리된다. 유럽에서, 이러한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GSM 표준 또는 UMTS 표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들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통화 시간에 기초하여 요금이 부과되므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든다.
이와 달리, WLAN으로도 지칭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분야는 비-음성 기반(non-speech-oriented) 데이터 전송이다. 이 경우에, WLAN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많은 상이한 표준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generic term)가 된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IEEE-802.11 워킹 그룹(예컨대, IEEE-802.11b 또는 IEEE-502.11e), 블루투스 표준(Bluetooth Standard), 홈RF 표 준(HomeRF Standard) 및 하이퍼랜 표준(HiperLAN Standard)으로부터 다양한 표준을 포함한다.
이러한 WLAN, 특히 IEEE-802.11b 표준에 대한 WLAN이 점점 광범위하게 사용되므로, 소위 핫스팟(hot spot)은 공공 장소에 위치한다. 소위 핫스팟은 WLAN 액세스 포인트(a WLAN access point)로도 지칭되는 IEEE-802.11 호환가능 WLAN 기지국 주위의 전파 거리(radio range) 내에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무선 링크는 예컨대 WLAN 무선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하는 랩탑과 같은 WLAN 호환가능 이동 장치와 WLAN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핫스팟 내에 설정될 수 있다. WLAN 액세스 포인트는 예컨대 유선 기반 이더넷 인터페이스(wire-based Ethernet interface)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와도 접속한다. 인터넷은 이러한 유선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그러므로, WLAN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거리 내에 존재할 때, WLAN 호환가능 이동 장치의 사용자는 WLAN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기반 구조의 사용료는 무료이거나, 데이터량, 액세스 시간에 기초하여 또는 정액 요금(flat-rate)으로 청구된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전화는 WLAN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함으로써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패킷 기반 단위로 주고 받는다. VoIP는 전송 채널, 즉, WLAN 기지국과 WLAN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무선 링크 및 WLAN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상대 사이의 유선 기반 링크 양자에 대한 복수의 요구조건을 지정한다. 이러한 요구조건과 요구조건에 대한 부합성은 서비스 품질(QoS:Quality of Service)로도 지칭된다. 이 경우의 하나의 특정 요구조건은 음성 정보의 전송에 적합한 데이터레이트를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또 다른 요구조건은 전송 신호가 짧은 시간의 지터(jitter)도 가지지 않도록, 전송 채널의 지연 시간이 제시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이다. 전송 채널에 대한 다른 필수적인 요구조건으로서, 채널의 지연 시간을 음성 통신에 여전히 허용될 수 있는 임계치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특히, 전송 채널을 통한 정보 항목의 송신과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는 정보 항목의 수신 사이의 양방향 지연 시간 -보통 "왕복 지연(RTD:round trip delay)"이라고도 함- 이 대개 100 ms 미만의 범위 내에 존재하여야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송 채널이 상술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VoIP 애플리케이션은 주요한 품질 제약과 관련하게 된다. 전송 채널의 요구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통신을 VoIP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WLAN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영역에서의 음성 통신은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 대신에 WLAN을 통해 상당히 저렴한 비용으로 실행되거나, 심지어 무료로 실행될 수도 있다. 이것은 IEEE-802.11에 기반한 WLAN 무선 네트워크와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 간의 경쟁을 야기한다.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운용자들은 WLAN 핫스팟도 운용하므로, 이러한 경쟁은 운용자 내부에서도 발생한다. GSM 또는 UMTS 이동 무선 장치를 통한 통화에 비해 IEEE-802.11에 기반한 WLAN 무선 링크를 통한 VoIP 통화가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므로, 셀 기반 이동 무선 교체시 발생하는 위험이 감소한다.
아직 최종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IEEE-802.11e 표준은 데이터 트래픽의 우선 순위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특히 VoIP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개선된 QoS를 허가하는 새로운 액세스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VoIP 트래픽을 제한하기 위해, 적합하게 허가된 사용자만 개선된 QoS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WLAN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드 레벨(load level)이 낮은 레벨 또는 중간 레벨인 경우에 개선된 QoS가 VoIP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VoIP 트래픽은 개선된 QoS의 선택적인 제공에 의해 제한되거나 모니터링될 수 없다.
원칙적으로, WLAN 액세스 포인트는 WLAN 이동국과 WLAN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이 VoIP 기반 데이터에 의해 지배되는지 또는 비-음성 기반 데이터에 의해 지배되는지를 구별할 수 없다. 그러므로 WLAN 액세스 포인트가 허가되지 않은 VoIP 기반 데이터에 대한 WLAN 무선 링크를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03/04327 A 호는 데이터레이트에 대한 제한이 사용자-지정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G. Series: "Transmission Systems and Media, Digital System and Networks"는 음성 신호의 전송에 대해 허용가능한 지연에 대한 최대 한계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특히, VoIP 기반 데이터에 의해 WLAN 기지국과 WLAN 이동국 사이에서 손상시키거나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인 방법을 명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 방법은 WLAN 이동국 사용자의 관점에서 예컨대, WWW에서의 서핑 및 전자 메일과 같은 기존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비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방해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기반을 두는 목적은 제 1 항의 특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WLAN 기지국과 WLAN 이동국 사이의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레이트는 각 경우에 있어 시구간들에서 하나의 시간 기간 동안 감소한다.
이 방법은 무선 링크 상의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은 예컨대, 순수한 음성 기반 VoIP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은 다양한 동기식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기반을 둘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중 선호되는 분야는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의 범용이거나 허가되지 않은 발신을 막는 것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WLAN 무선 링크의 데이터레이트가 단위 시간당 동기식 형태로 발생하는 데이터량에 해당하는 값으로 계속 유지될 때에만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이 보장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만일 이것이 보장되지 않으면, 잠시 동안만이라 해도, 데이터의 동기식 전송은 악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일 데이터가 임의로 선택되거나 고정된 선택 시구간에서 짧은 시간 기간 동안에만 감소하면, 이것은 동기식 데이터 전송에 끊임없이 악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VoIP 링크의 품질은 상당히 급격하게 저하되어,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위해 셀 기반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기반 구조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데이터 전송에 비해 WLAN 무선 링크의 평균 데이터레이트가 약간만 감소하거나 전혀 감소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WWW에서의 서핑 또는 전자 메일과 같은 기존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비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은 WLAN 이동국 사용자로부터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의 목적을 위해, 데이터레이트는 단방향 및 양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양방향 VoIP 링크에 있어서, WLAN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WALN 이동국으로 전송된 데이터의 데이터레이트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두 경우 모두 RTD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WLAN 기지국 또는 WLAN 이동국이라는 표현은 임의의 원하는 WLAN 내의 네트워크 노드, 특히 IEEE-802.11 워킹 그룹의 표준(예컨대, IEEE-802.11b)과 호환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간단하게, 이러한 표준 클래스는 IEEE-802.11 표준이라는 표현으로 다음 내용에 지칭된다.
이 경우, 이 방법은 WLAN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이 WLAN 기지국 내에 존재하므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기인하는 어떠한 요구조건도 WLAN 이동국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WLAN 이동국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없이, 기존의 WLAN 이동국을 이용하는 무선 트래픽에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지속 시간(time duration) 및/또는 시구간이 시간에 따라 변하면, 소정의 시간에서의 데이터레이트 감소의 지속 시간은 그때의 시구간보다 짧아야한다.
데이터 레이트의 반복되는 감소는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가 시구간에서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지연 기간 동안에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으므로, 지연 시간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은 사실상 소정의 시간에 데이터레이트가 0으로 감소하는 것처럼 동작한다. 이 경우에 필요한 모든 것이 지연 시간의 주기 동안 데이터 트래픽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데이터레이트의 동적 감소는 특히 거의 복잡하지 않은 반복 지연의 도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다른 경우라면 반응할 수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악영향 속에서 어떠한 시스템도 식별될 수 없도록, 지연 시간이 임의로 선택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복 지연은 무선-특정 OSI층에 개입하지 않고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데이터의 반복 지연은 유선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수신되고 무선 링크에 할당되어 WLAN 이동국에 할당되는 데이터의 추가 프로세싱이 시구간에서 지연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에, 추가 프로세싱은 데이터가 WLAN 기지국 내에 위치하는 버퍼 저장장치에 임시 저장되고 무선 링크에 할당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버퍼 저장장치는 FIFO(first-in, first-out) 메모리이다. 이것은 예컨대, FIFO 링 메모리(a FIFO ring memory) 형태로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FIFO 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연 데이터는 MAC(Medium Access Control)층 또는 물리층과 같은 무선-특정 층에 개입하지 않고 지연이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예컨대, IEEE-802.11 표준에서, 무선국에서는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지 않다. WLAN 기지국과 WLAN 이동국 사이의 각 무선 링크는 전용 버퍼 저장장치 또는 버퍼 저장 영역을 하나 및 하나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절차는 사용자-특성(user-specific)에 기반하여, 특히 특정 사용자에 대해 비활성화되는 데이터 지연에 대한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만일 버퍼 저장장치가 FIFO 메모리이면, FIFO(first-in, first out) 원리는 어떤 데이터도 손실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지연이 있더라도, 데이터 흐름의 보전을 보장하도록 임의의 추가 수치를 처리할 필요도 없으며, 데이터 시퀀스에 어떠한 변화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미 상술한 것처럼, 이와 같은 버퍼 저장장치는 소프트웨어 기반 또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지연은 시구간에서 버퍼 저장장치로부터 스위칭가능한 지연 요소 하향스트림을 활성화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추가 프로세싱을 지연시키기 위해, 버퍼 저장장치, 특히 FIFO 메모리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측에서 수신되었던 데이터의 데이터 출력이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억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의 추가 지연 요소 없이 버퍼 저장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적시에 억제함으로써 지연을 구현하는 것은 상당히 간단하다. 특히, 데이터 출력은 버퍼 저장장치로부터 어떠한 새로운 데이터도 판독될 수 없도록, 억제하는 동안 버퍼 저장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설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일단 제어 신호가 지연 시간 이후에 판독 프로세스를 다시 활성화하면, 버퍼 저장장치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이 억제되었던 시간과 동시에 출력되기 위해 이미 대기하고 있었던 데이터이다.
지연 시간의 지속 시간은 100 ms 내지 5 s의 범위, 특히 100 ms 내지 1 s의 범위인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시간 기간 또는 지연 시간의 선택은 WLAN 이동국 사용자의 견지에서 비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은 이러한 시간 기간 또는 지연 시간의 선택과 연관된 RTD의 증가 때문에, 더 이상 효과적인 방식으로 VoIP를 실행할 수 없도록 심한 악영향을 받는다. 시구간은 500 ms 내지 15 s의 범위, 특히 1 s 내지 10 s의 범위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WLAN 이동국의 사용자 상태가 우선 체크된다. 이어서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레이트는 사용자 상태가 예컨대, VoIP와 같은 동기식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을 때에만 감소한다. 만일 사용자 상태가 동기식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복되는 데이터레이트의 감소는 비활성화된다.
사용자 상태의 기능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레이트 감소의 선택적인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예컨대, VoIP와 같은 동기식 서비스의 사용에 필요한 QoS를 허가된 WLAN 이동국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허가는 특정 요금의 지불과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이들 사용자는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레이트의 감소로 인해 동기식 서비스의 사용이 금지된다.
제 12 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WLAN 기지국과 WLAN 이동국 사이의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계된다. 이 장치는 시구간에서 데이터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제 14 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WLAN 국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다. WLAN 국은 WLAN 기지국 또는 WLAN 이동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WLAN 기지국에 집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고 도면을 참조하는 후속하는 본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IEEE-802.11 표준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WLAN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송시에 짧은 지연이 있거나 없는 경우의 무선 링크에 대한 2가지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은 IEEE-802.11 표준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WLAN 액세스 포인트(1)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WLAN 액세스 포인트(1)는 전파 거리 내에 존재하는 WLAN 이동국(2,3)이 인터넷(4)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하나의 WLAN 액세스 포인트(1)는 WLAN 이동국(2,3)과 함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로서, 하나의 WLAN 이동국(2 또는 3)은 IEEE-802.11 호환가능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랩탑,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기존의 GSM이나 UMTS 이동 전화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5,6)은 애플리케이션(5,6) 양자에 요구되는 인터넷(4)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상호교환하는 것으로 WLAN 이동국(2,3)에서 각각 실행된다. 예컨 대, 애플리케이션(5 또는 6)은 VoIP 또는 WWW에서의 서핑(surfing)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애플리케이션(5,6)을 위한 데이터 상호교환은 각각의 WLAN 이동국(2,3) 내에 위치하고, WLAN 액세스 포인트(1), 특히 WLAN 액세스 포인트(1) 내에 위치하는 송수신기(11)에 각각의 무선 링크(9 또는 10)를 통해 각각 연결된 개별적인 WLAN 송수신기(7,8)를 통해 발생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링크(9,10)에 연관된 데이터는 WLAN/이더넷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이더넷 송수신기(13)(수신 또는 송신 방향에 기초하여 분리됨)에 공급되고, 이더넷 송수신기(13)로부터 WLAN 송수신기(11)로 출력된다.
예로서, 이더넷 송수신기(13)는 10BaseT(10 Mbit/s), 100BaseT-(100 Mbit/s, 패스트 이더넷으로도 지칭됨) 또는 100Base-Standard(1 Gbit/s, 기가비트 이더넷으로도 지칭됨)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이더넷 송수신기(13)는 송신 매체(22)(예컨대, 유리 섬유 또는 동축선)를 통해 인터넷(4)에 액세스한다. WLAN 액세스 포인트(1)는 이더넷 송수신기(13)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14)을 임시 저장을 위해 역다중화기(15)를 거쳐 병렬 FIFO 메모리(16,17)에 할당한다. 역다중화기(15)는 이 할당 프로세스를 각각의 데이터 패킷(14)의 목적지 어드레스, 즉, WLAM 이동국(2)의 어드레스 또는 WLAN 이동국(3)의 어드레스 기능으로서 수행한다. 이 경우, 각 FIFO 메모리(16,17)는 WLAN 이동국(2 또는 3) 중 하나와 연관된다. 본 경우에는, FIFO 메모리(16)는 이동국(2)과 연관되고, 그 FIFO 메모리(17)는 이동국(3)과 연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FIFO 메모리(16,17)에 배치된 데이터는 조정자(arbiter)로도 지칭되는 선택기(18)를 통해 판독된 후, WLAN 송수신기(11)에서 WLAN 이동국(2 또는 3)으로 전달된다. 선택기(18)용 제어 신호(19)는 (예컨대,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에 기반하는) 액세스 프로세스에 의해 MAC층의 일부로 정의된다. FIFO 메모리(16,17)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은 각각의 제어 신호(20,21)에 의해 제어된다. WLAN 액세스 포인트(1)에서, WLAN 송수신기(1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23)은 네트워크(24)를 통해 이더넷 송수신기(13)에 기록되는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더 이상 상술하지는 않겠다. WLAN/이더넷 인터페이스(1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형태이거나, 혼합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신호(20,21)는 소프트웨어-내부 변수일 수도 있다.
다음 설명은 무엇보다도 WLAN 이동국(2)에서의 애플리케이션(5)이 어떠한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예컨대, WWW에서의 서핑)도 생성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와 달리, WLAN 이동국(3)에서의 애플리케이션(6)은 인터넷 전화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 동기식 데이터는 WLAN 이동국(3)과 대응하는 통화 상대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및 끊임없이 상호교환되어야 한다. 무선 링크(9 또는 10)가 설정되는 경우, WLAN 액세스 포인트(1)는 WLAN 이동국(2,3)의 사용자 상태를 체크한다. 이 정보는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체크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링크(9 또는 10) 상의 데이터레이트는 사용자 상태가 예컨대 인터넷 전화와 같은 동기식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 시구간에서만 잠시 동안 감소한다. 만일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링크(9 또는 10) 상의 데이터는 예컨대 1 s의 시구간에서 200 ms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따르면, 이 지연은 이더넷 송수신기(13)를 통해 수신되고 FIFO 메모리(16,17)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추가 프로세싱과 관련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FIFO 메모리(16 또는 17)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이 시구간에서 잠시 동안 억제되는 방식으로 지연이 구현된다. 이 절차의 장점은 WLAN 인터페이스의 MAC층 또는 물리층에 개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택기(18)가 액세스 방법(MAC층의 일부)에 따라 각각의 버퍼 저장장치(16,17)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준비가 되어있더라도, 지연 시간 동안에는 각각의 FIFO 메모리(16 또는 17)로부터 어떤 데이터도 판독할 수 없도록, 지연 시간 동안에 각각의 제어 신호(20 또는 21)를 설정함으로써 지연이 발생된다. 일단 지연 시간이 지나면, 선택기(18)에 의해 각각의 FIFO 메모리(16 또는 17)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어 신호(20 또는 21)가 설정된다. 그러므로 선택기(18)가 지연 시작시에 실제로 판독해야하는 데이터는 지연 시간 이후에 판독된다. 이는 데이터도 각각의 이동국(2 또는 3)에 나중에 수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 전송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WLAN 무선 링크(9)의 평균 데이터레이트가 약간만 감소하거나, 전혀 감소하지 않으므로, 애플리케이션(5)은 시구간에서 발생하는 짧은 지연으로 인한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 RTD의 증가(예컨대, 1 s의 시구간에서 200 ms)는 WLAN 이동국(2)의 사용자에 의해 검출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애플리케이션(6) 형태의 VoIP 링크의 품질은 WLAN 이동국(3)의 사용자에 관한 RTD의 증가로 인해 급격하게 저하된다. WLAN 이동국(3)의 사용자는 이동 음성 통신을 위 해 자신의 GSM 또는 UMTS 이동국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WLAN 액세스 포인트(1)에 대한 또 다른 운용 상태에 있어서, 지금부터는 WLAN 이동국(2) 내의 애플리케이션(5)과 WLAN 이동국(3) 내의 애플리케이션(6) 모두 인터넷 전화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무선 링크(9 또는 10)가 설정되는 동안, WLAN 액세스 포인트(1)는 WLAN 이동국(2,3)의 사용자 상태를 체크한다. 이 경우, WLAN 이동국(2)의 사용자(우수 사용자)만이 인터넷 전화 사용이 허가되며, WLAN 이동국(3)의 사용자(표준 사용자)에게는 허가되지 않는다. 이더넷 송수신기(13)에 수신되고 이동국(2)에 지정되는 데이터 패킷은 역다중화기(15)를 통해 FIFO 메모리(16)에 기록되는 한편, 이동국(3)에 지정되는 데이터 패킷은 FIFO 메모리(17)에 기록된다. 이 경우, 상술한 지연된 데이터의 출력 및 그 데이터의 전달은 FIFO 메모리(17)에 대해서만 구현된다. 이를 위해,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어 신호(21)는 선택기(18)가 지연 시간 동안 FIFO 메모리(17)로부터 어떤 데이터도 판독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야한다. FIFO 메모리(16)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에는 어떠한 지연도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RTD는 이동국(3)에 대해서만 증가하며, 이와 달리 이동국(2)에 대해서는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6) 형태의 VoIP 링크의 품질은 RTD의 증가로 인해 급격하게 감소하지만, 애플리케이션(5) 형태의 VoIP 링크는 어떤 제한도 받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이동국(2,3)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지연되도록 대체하여 또는 추가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24)는 상술한 기술적 이론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도 2는 도 1에 기반하여 무선 링크(9 또는 10)에 대한 2개의 전력/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시간 프로파일은 WLAN 이동국(2 또는 3)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것이다. 시간 프로파일에 대한 예시는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만 제공되는 것이므로, 실제 관계에 의하여 스케일링한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지연 시간은 하나의 시간 슬롯(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bit/s인 802.11b 표준의 경우에 20 ㎲)의 길이 및 MAC 프레임의 최장 길이(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bit/s인 802.11b 표준의 최대 4095 바이트)보다 더 큰 크기의 여러 단위일 수 있다. 위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링크(9 또는 10) 상에서의 데이터 지연이 시구간에서 지연 시간만큼 구현되지 않은 무선 링크(9 또는 10)를 설명한다. 각 경우에, 개별 데이터 버스트(30 내지 34)는 지연 없이 전송된다. 이와 달리, 아래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은 개별 데이터 버스트(31' 내지 33')가 시구간(35)에서 각각의 지연 시간(36 또는 37)만큼 지연되는 무선 링크(9 또는 10)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위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과 아래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에서 동일한 참조 기호가 제공된 데이터 버스트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아래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의 데이터 버스트(31')는 위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의 데이터 버스트(31)에 비해 지연 시간(36)만큼 지연된다. 이와 유사하게 아래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의 데이터 버스트(33')는 위에 있는 시간 프로파일의 데이터 버스트(33)에 비해 시간 프로파일(37)만큼 지연된다. 지연 시간(36,37) 동안, 데이터레이트는 잠시 0으로 떨어진다. 지연 시간(36,37)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는 모든 데이터 버스트가 아닌 데이터 버스트(31',33')만이 시 간에 따라 지연되는 방식으로 시구간(35)에서 잠시 지연된다.

Claims (15)

  1. WLAN 기지국(1)과 WLAN 이동국(2,3) 사이의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 및 비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구비하는 무선 링크(9,10)에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제한하기 위해, 시구간들(35)에서 각 경우에 대한 하나의 시간 기간 (36,37) 동안 상기 무선 링크 상의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의 데이터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WLAN 기지국(1)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에서의 상기 데이터레이트 감소의 시간 기간(36,37)은 각 경우에 그때의 시구간(35)보다 짧은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단계 a)는,
    a') 상기 무선 링크(9,10) 상의 데이터를 시구간들(35)에서 지연 시간(36,37), 특히 임의로 선택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단계 a')는,
    a'') 유선 네트워크 종단에서 수신되고, 상기 무선 링크에 할당되며, 상기 WLAN 기지국(1)에 위치되고 상기 무선 링크(9,10)에 할당된 버퍼 저장장치(16,17), 특히 FIFO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의 추가 프로세싱을 지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단계 a'')는,
    상기 버퍼 저장장치(16,17), 특히 FIFO 메모리로부터 상기 유선 네트워크 종 단에서 수신되었던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출력을 상기 지연 시간(36,37)에 대응하는 시간에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또는 상기 지연 시간(36,37)은 100 ms 내지 5 s의 범위, 특히 100 ms 내지 1 s의 범위인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들(35)은 500ms 내지 15 s의 범위, 특히 1 s 내지 10 s의 범위인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또는 상기 지연 시간 및/또는 상기 시구간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상기 WLAN 이동국(2,3)의 사용자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 단계 b)로부터의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방법 단계 a)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은 VoIP(voice over IP) 트래픽인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12. WLAN 기지국(1)과 WLAN 이동국(2,3) 사이의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 및 비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구비하는 무선 링크(9,10) 상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을 제한하기 위해, 시구간에서 하나의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동기식 데이터 트래픽의 데이터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수단(16 내지 21; 24)을 구비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수단(16 내지 21; 24)은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버퍼 저장장치, 특히 FIFO 메모리(16,17)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 저장장치에 연관된 제어 신호(20,21)를 구비하여 상기 버퍼 저장장치(16,17)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적시에(at times) 억제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서 청구한 장치를 구비하는
    WLAN 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WLAN 국은 WLAN 기지국(1)인
    WLAN 국.
KR1020067018550A 2004-03-11 2005-02-14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 KR100831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2036A DE102004012036B3 (de) 2004-03-11 2004-03-11 Datenfluss-Steuerung von WLAN-Funkverbindungen zur Beeinträchtigung der Internet-Telefonie
DE102004012036.6 200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704A KR20070004704A (ko) 2007-01-09
KR100831456B1 true KR100831456B1 (ko) 2008-05-21

Family

ID=3496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550A KR100831456B1 (ko) 2004-03-11 2005-02-14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081608B2 (ko)
EP (1) EP1723746B1 (ko)
KR (1) KR100831456B1 (ko)
DE (2) DE102004012036B3 (ko)
WO (1) WO2005088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2036B3 (de) 2004-03-11 2005-10-20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fluss-Steuerung von WLAN-Funkverbindungen zur Beeinträchtigung der Internet-Telefonie
FR2889394A1 (fr) * 2005-07-26 2007-02-02 France Telecom Dispositif d'interception et d'analyse de trafic pour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267A (ja) * 1989-07-11 1991-02-25 Kyushu Nippon Denki Software Kk 用紙切断機能付印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903A (en) * 1993-05-11 1997-12-09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icrolink, data rate switching, frequency hopping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US6466273B1 (en) * 1997-05-15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alog FIFO memory device
JP3844877B2 (ja) * 1998-04-08 2006-11-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トリーム変換装置
US6862622B2 (en) * 1998-07-10 2005-03-01 Van Drebbel Mariner Llc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packet-centric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architecture
DE10006245A1 (de) * 2000-02-11 2001-08-30 Siemens Ag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Qualität einer Audioübertragung über ein paketorientiertes Kommunikationsnetz und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Realisierung des Verfahrens
DE10062303C2 (de) * 2000-12-14 2002-11-28 Layers Ag 7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d Hoc-Netzwerkes zur drahtlosen Datenübertragung von synchronen und asynchronen Nachrichten
US7246171B1 (en) * 2000-12-15 2007-07-1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transmissions from a TFTP server by specifying a maximum bandwidth
ES2321699T3 (es) * 2001-11-12 2009-06-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odos para proporcionar calidad de servicio en sistemas ieee 802.11.
DE10226107A1 (de) * 2002-06-12 2004-01-08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von Datenverbindungen
JP3853765B2 (ja) * 2002-11-08 2006-12-0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パケット圧縮方式及びパケット復元方式並びにパケット圧縮方法及びパケット復元方法
US8139551B2 (en) * 2002-11-19 2012-03-20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Quality of service (QoS) assurance system using data transmission control
DE102004012036B3 (de) 2004-03-11 2005-10-20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fluss-Steuerung von WLAN-Funkverbindungen zur Beeinträchtigung der Internet-Telefon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267A (ja) * 1989-07-11 1991-02-25 Kyushu Nippon Denki Software Kk 用紙切断機能付印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88907A1 (de) 2005-09-22
EP1723746A1 (de) 2006-11-22
US20070086402A1 (en) 2007-04-19
DE502005001254D1 (de) 2007-09-27
DE102004012036B3 (de) 2005-10-20
EP1723746B1 (de) 2007-08-15
US8411659B2 (en) 2013-04-02
US20120087361A1 (en) 2012-04-12
US8081608B2 (en) 2011-12-20
KR20070004704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e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802.11 DCF in imperfect channels
JP4224458B2 (ja) 無線リソースを管理する方法及び無線システム
JP3801209B2 (ja) デジタル通信システム
CN101803444B (zh) 无线通信网络中的服务等级(gos)区分
KR101286915B1 (ko) 통신 방법
JP2002525935A (ja) 移動通信網間のハンドオーバ
US9154911B2 (en) Selective delivery of presence messag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415115B1 (ko)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혼잡 통보 방법 및 장치
EP1142376A1 (en) Priority transmission for various types of speech in network traffic
US830061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ir time fairness in multiple physical transmission rate wireless systems
JP2005522159A (ja) 基地局と制御局を接続する低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データ伝送方法
EP1768428A1 (en) A system of group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group call processing based on cdma 2000 high-speed packet data network
KR100831456B1 (ko)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장치 및 wlan 국
JP4324054B2 (ja) サービス品質保証方法、サービス品質保証装置、サービス品質保証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540979B1 (en) A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related system and information technology product
KR10041491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우선순위에 따른 호처리시스템 및 방법
EP1264447A1 (en) Overload handl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Liu et al. Capacity analysis of a cellular data system with 3G/WLAN interworking
CN101330698B (zh) 业务量测量事件上报方法和系统
KR100966630B1 (ko) QoS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328736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Ozdemir et al. Reservation and admission control for QoS support in wireless networks
KR101765895B1 (ko) 링백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링백톤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US68536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box-capable wireless transmission
Cahill et al. A channel access protocol for tactical IP networks using software defined VHF rad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