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80B1 - 웨트 와이퍼 - Google Patents

웨트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80B1
KR100830480B1 KR1020020002464A KR20020002464A KR100830480B1 KR 100830480 B1 KR100830480 B1 KR 100830480B1 KR 1020020002464 A KR1020020002464 A KR 1020020002464A KR 20020002464 A KR20020002464 A KR 20020002464A KR 100830480 B1 KR100830480 B1 KR 10083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t wiper
liquid
shee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180A (ko
Inventor
미야자와키요시
히사나카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62Coated or impregnated natural fiber fabric [e.g., cotton, wool, silk, linen,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호나 간병용으로서 적당한 웨트 와이퍼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액성 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에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함침액이 포함된다. 식물 추출 엑기스는 다가 알코올로 추출된 것이 사용되고, 함침액에는 저급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용제가 사용된다. 시트 사이즈는 직사각형상으로 짧은 변이 250 mm 이상이고 면적이 1000 cm2 이상이다.

Description

웨트 와이퍼{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병자나 노인 등의 간호, 간병용으로 사용되는 웨트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생 용도로 사용되는 웨트 와이퍼의 예로서 이하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91511호에는 특히 여성용으로서 외음부나 비위생 부위에 사용되는 식물 유래의 추출 약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함유시킨 웨트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6324호에도 식물 추출액을 함유하는 청정·청소용 및 화장수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91511호에 기재된 것은 여성용의 국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웨트지이기 때문에, 당연히 면적이 작고, 또한 종이이기 때문에, 기본 중량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병자나 노인의 간병 또는 간호용으로서 몸이나 엉덩이부를 닦는 데 적합한 것이 아니다. 또한, 에틸알코올을 함침하는 것을 필수적인 요건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특히 노인의 피부를 닦을 때에, 피부에 자극을 부여한다. 또한, 에틸알코올을 함유하면, 식물 유 래의 추출 약액의 하나의 특징인 피부 보습 작용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6324호에 기재한 것은 화장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병자나 노인에 대한 간호 또는 간병용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라는 기재는 없고, 또한 간호 또는 간병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어떠한 와이퍼에 함유시켜야 되는지의 기재도 없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액은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추출의 경우에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면, 약액 중에 상기 저급 알코올이 남고, 그 결과, 특히 노인의 피부에 자극을 부여하거나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의 보습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병자나 노인의 간호나 간병에 적합한 웨트 와이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자나 노인의 몸을 닦았을 때에, 피부에의 자극이 없고, 또한 피부의 보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항염증 작용이나 변 속 효소에 의한 발진을 방지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웨트 와이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액성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에 액이 함침되어 있는 웨트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액은 적어도 1종 이상의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고, 상기 엑기스를 추출하는 알코올 성분이 다가 알코올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는 보습 작용이 있으며, 나아가 항염증 작용 또는 변 속 효소의 불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항염증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 엑기스로는 비파나뭇잎 엑기스, 복숭아나뭇잎 엑기스, 멜리로트, 카밀레, 알로에 엑기스 중 어느 1종 이상을 예를 들 수 있고, 변 속 효소의 불활성화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 엑기스로는 황벽나무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히노키티올(hinokitiol) 중 어느 1종 이상을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에는 알코올 성분으로서 다가 알코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엑기스를 추출하는 다가 알코올은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어느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물 엑기스를 추출한 추출액이 상기 액에 대하여 질량비로 O.1% 이상 10%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는 레이온 및/또는 면이 배합된 것이 사용되고, 상기 시트의 기본 중량(メツケ: 단위면적당 중량)이 4O g/m2 이상 7O g/m2 이하이며, 상기 시트는 사각형으로서, 그 짧은 변이 250 mm 이상이고 면적이 1000 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호 및/또는 간병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트가 부직포인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트 와이퍼는 특히 간호가 필요한 병자나 간병이 필요한 자리 보전하고 누워 있는 노인 등을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상기 웨트 와이퍼는 흡액성이면서 두껍고 부드러운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 특히 부직포로 형성된다. 흡액성 섬유로서는, 레이온, 면, 펄프 등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특히 부드러움 면에서 레이온 또는 면이 바람직하다. 또, 레이온과 면의 쌍방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흡액성 섬유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등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등이 배합된다.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시스(sheath)가 폴리에틸렌의 복합 섬유, 코어와 시스가 폴리에스테르의 복합섬유,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시스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섬유, 코어와 시스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섬유, 코어가 폴리프로필렌, 시스가 폴리에틸렌의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독 수지로 형성된 섬유이어도 좋다.
상기 부직포의 제법으로는 건식, 습식을 문제삼지 않지만, 특히 부피가 높고 유연성이 있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스펀 레이스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액성 섬유의 배합 비율은 흡액성 섬유와 합성 섬유와의 합계를 100%로 했을 때에, 0.5 % 내지 7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에서는, 부직포가 뻣뻣해지고, 또한 액의 함침량도 적어진다. 또한 70%를 초과하면 부직포를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균형있게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짧은 변의 길이가 250 mm 이상이고, 면적이 1000 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보다 작으면, 한손 또는 양손으 로 몸을 닦아낼 경우에 웨트 와이퍼로부터 손이 비어져 나와, 손이 피간병인의 몸에 직접 닿기 때문에 안전성 및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고, 또한 전신을 닦는 데 복수의 웨트 와이퍼가 필요하게 되어 닦아내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기본 중량이 3O g/m2 내지 7O g/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4O 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O g/m2 미만에서는 시트가 너무 얇아져서 닦아내는데 지장이 생기고, 7O g/m2를 초과하면 닦아내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와이퍼는 상기 크기로 상기 기본 중량 범위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올과 같은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몸이나 엉덩이부, 특히 어른인 병자나 노인의 몸이나 엉덩이부를 닦는 데 적합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웨트 와이퍼에서는, 상기 부직포에 함침액이 함유되고, 상기 함침액에는 식물 추출 엑기스가 함유된다.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는 예컨대 황벽나무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히노키티올, 비파나뭇잎 엑기스, 복숭아나뭇잎 엑기스, 멜리로트, 카밀레, 알로에 엑기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1종 이상이 선택된다. 이들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면, 피부를 닦았을 때에 피부에 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황벽나무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히노키티올 중 어느 1종 이상이 함유되면, 배설물(대변) 속에 포함되는 변 속 효소인 리파아제나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기저귀 발진의 방지 또는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비파나뭇잎 엑기스, 복숭아 나뭇잎 엑기스, 멜리로트, 카밀레, 알로에 엑기스가 함유되면, 항염증 효과에 의해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혹은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황벽나무 엑기스는 황벽나무의 주피를 제외한 수피(樹皮) 200 g에 1,3-부틸렌글리콜(1.3 BG) 120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가끔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분별함으로써 약 10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파나뭇잎 엑기스는 비파나무의 건조 잎 분말 100 g에, 1.3 BG 900 g 및 정제수 10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가끔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분별함으로서 약 9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에는 또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제 등이 첨가되어 함침액이 된다. 단, 피부에의 자극을 방지하는 점에서 상기 함침액에는 에틸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은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침액에는 면이나 레이온에 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틸파라벤이나 메틸파라벤 등의 항균제를 적량 첨가할 수 있다. 게다가 소취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부여하는 성분 등이 배합되어도 좋다. 또, 상기 공정으로 추출된 식물 추출 엑기스(추출액)는 비용과 효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기 함침액에 대하여 질량비로 0.1% 내지 10%의 비율로 함유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0.9∼7 질량% 함유된다.
상기 함침액은 부직포에 대하여 질량비로 2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함침시킨다. 액의 양이 200%보다 적으면, 두꺼운 부직포 전체에 액을 충분히 함침시킬 수 없고, 닦아내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의 한 보습 작용, 항염증 작용 및 변 속 효소 저해 작용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 또한 300%보다 많으면, 부직포에 함침할 수 없어, 액이 흘러내릴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웨트 와이퍼는 통상 콤팩트한 크기가 되도록 접어 포개지고, 접어 포개진 웨트 와이퍼가 상하로 복수장 중첩되어 밀봉가능한 주머니나 케이스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웨트 와이퍼가 주머니 또는 케이스로부터 1장씩 꺼내어진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1∼4)
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온의 섬유가 각각 질량비로 15%, 30%, 55%의 비율로 배합되어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3 dtex로 섬유길이가 44 mm인 것,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1.7 dtex로 섬유길이가 45 mm인 것, 상기 레이온 섬유는 1.4 dtex로 섬유길이가 44 mm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 3만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이 질량비로 50%씩 함유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시트 사이즈 및 기본 중량(g/m2)은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액으로서, 표 1의 비율의 식물 추출 엑기스와, 프로필렌글리콜 5 질량%, 메틸파라벤 0.15 질량%, 에틸파라벤 0.1 질량% 및 나머지로서 이온 교환수를 합계 100 질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함침액을 상기 부직 포에 대하여 질량비로 250% 함침시켰다.
단, 표 1에 있어서, 식물 추출 엑기스 A, B, C는 황벽나무, 비파나뭇잎, 알로에를 원료로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 추출 엑기스 A는 황벽나무의 주피를 제외한 수피 200 g에 1,3-부틸렌글리콜(1.3 BG) 120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가끔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분별함으로써 약 10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얻어진 것이고, 식물 추출 엑기스 B는 비파나무의 건조 잎을 분말로 한 것 100 g에, 1.3 BG 900 g 및 정제수 10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가끔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분별함으로써 약 9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얻어진 것이다.
또한, 식물 추출 엑기스 C는 알로에베라 및 그 변종 잎의 액즙을 여과 정제하여 건조한 분말 50 g에, 1,3-부틸렌글리콜 550 g 및 정제수 550 g을 첨가하여 5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일간 정치하고, 여과하여 10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얻어진 것이다.
또, 식물 추출 엑기스 D는 황벽나무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주피를 제외한 수피 200 g에 에탄올(에틸알코올) 및 정제수의 혼합액(7:3) 120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가끔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약 1000 g의 식물 추출 엑기스로서 얻어진 것이다.
또, 표 1에서의 각 식물 추출 엑기스 A, B, C의 함유량은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이나, 1.3 BG 및 정제수로 식물 엑기스를 추출한 추출액의 함유량(질량%)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식물 추출 엑기스 D의 함유량은 상기 에틸알코올 및 정제수로 식물 엑기스를 추출한 추출액의 함유량(질량%)을 의미하고 있다.
(평가 방법)
자리 보전하고 누워 있는 노인을 상정한 모니터(피간병인) 10명의 몸을 간병인 모니터가 닦게 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함침액에 침지한 부직포를 웨트 와이퍼로서 피간병인 모니터의 전신을 간병인 모니터가 닦게 하고, 간병인에게, 잘 닦았는지 여부에 관한 질문을 행하였다. 또한 피간병인을 간병자가 한창 닦고 있을 때 통증이나 위화감을 느끼지 않았는지 여부에 대해서 질문을 행하였다. 표 1 중, 닦기 용이성에 관한 평가로 간병인 모니터와 피간병인 모니터 전원이 양호하다고 느꼈을 때를 0로 표시하고, 한 명도 양호하다고 느끼지 못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 직후에 피간병인 모니터의 피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시험후 3시간 경과한 후의 피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표 1 중, 특히 피부에 거칠음이나 붉은 기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를 0로 표시하고, 거칠음이나 붉은 기가 인지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사이즈(mm) 300×400 300×400 300×600 250×800 100×800 300×400 300×400 300×400
기본중량(g/m2) 50 60 40 70 50 20 50 50
레이온의 유무
식물추출엑기스A 1.3BG+황벽나무 (질량%) 1 0.5 2 - 1 2 1 -
식물추출엑기스A 1.3BG+비파나뭇잎 (질량%) 1 0.2 2 5 1 1 1 -
식물추출엑기스A 1.3BG+알로에 (질량) - 0.2 2 2 - - - -
식물추출엑기스A 에틸알코올+황벽나무 (질량) - - - - - - - 2
에틸알코올 - - - - - - - 5
닦기 용이성 0 0 0 0 × × × 0
피부상태 직후 0 0 0 0 0 0 0 ×
3시간후 0 0 0 0 0 0 0 ×
표 1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이 명백해졌다. 즉, 비교예 1에서는 시트 사이즈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닦기 어렵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비교예 2에서는 시트가 너무 얇아져서 닦기 어렵다고 하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3에서는 흡액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내에 함침액이 함침되지 않아 닦기 어려운 평가가 얻어졌다. 비교예 4에서는 다가 알코올로 추출된 식물 추출 엑기스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 상태의 악화가 시험 직후 및 3시간 경과후의 어느 것에서나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는, 시트 사이즈 및 두께가 충분히 형성되고, 흡액성의 레이온이 함유되며, 또한 다가 알코올로 추출된 식물 추출 엑기스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닦기 용이성과 피부에의 영향에 관해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특히 간호, 간병용의 웨트 와이퍼로서 적합하다. 식물 추출 엑기스가 다가 알코올로 추출되고, 함침액에는 저급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의 자극이 적다. 또한,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의해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변 속 효소의 불활성화 작용 및 항염증 작용을 부여할 수 있어 기저귀 발진으로 대표되는 발진 등을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시트에 레이온이나 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웨트 와이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시트 사이즈가 크고 두껍기 때문에, 한번에 넓은 면적을 닦을 수 있어 닦아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한쪽 손이나 양손으로 피간병인의 몸이나 엉덩이부를 세게 닦아도 피간병인의 피부에 악영향을 부여하는 일이 적다. 또한 간병인의 손 피부에도 순한 것이다.

Claims (14)

  1. 흡액성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에 액이 함침되어 있는 웨트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액은 적어도 1종 이상의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고, 상기 엑기스를 추출하는 알코올 성분이 다가 알코올만인 것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는 비파나뭇잎 엑기스, 복숭아나뭇잎 엑기스, 멜리로트, 카밀레, 알로에 엑기스, 황벽나무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히노키티올 중 어느 1종 이상이고,
    상기 엑기스를 추출하는 다가 알코올은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에는 알코올 성분으로서 다가 알코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엑기스를 추출한 추출액이 상기 액에 대하여 질량비로 0.1% 내지 10%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레이온, 면, 또는 레이온과 면이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기본 중량이 4O g/m2 내지 7O 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사각형으로서, 그 짧은 변이 250 mm 이상이고 면적이 1000 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13. 제1항에 있어서, 간호용, 간병용, 또는 간호 및 간병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14.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퍼.
KR1020020002464A 2001-01-16 2002-01-16 웨트 와이퍼 KR100830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7826A JP2002209788A (ja) 2001-01-16 2001-01-16 ウエットワイパー
JPJP-P-2001-00007826 2001-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80A KR20020061180A (ko) 2002-07-23
KR100830480B1 true KR100830480B1 (ko) 2008-05-20

Family

ID=1887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464A KR100830480B1 (ko) 2001-01-16 2002-01-16 웨트 와이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132098A1 (ko)
EP (1) EP1222915B1 (ko)
JP (1) JP2002209788A (ko)
KR (1) KR100830480B1 (ko)
CN (1) CN1374065A (ko)
DE (1) DE60205954T2 (ko)
MY (1) MY127410A (ko)
SG (1) SG98049A1 (ko)
TW (1) TW536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300A (ja) * 2002-08-29 2004-03-25 Uni Charm Corp ウエットワイパー
US7891898B2 (en)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7740412B2 (en)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976235B2 (en)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JP4088653B2 (ja) 2005-09-29 2008-05-21 憲司 中村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JP4431992B2 (ja) * 2006-03-30 2010-03-17 高知県 保湿不織布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JP2008222675A (ja) * 2007-03-15 2008-09-25 Key Tranding Co Ltd 固形粉末化粧料の成型方法
KR100815969B1 (ko) * 2007-06-26 2008-03-2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엠아이엠(mim) 캐패시터와 그의 제조방법
JP2010043008A (ja) * 2008-08-08 2010-02-25 Kansai Koso Co Ltd リパーゼ活性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200971A (ja) * 2009-03-03 2010-09-16 Hoyu Co Ltd 異常脱毛予測/推定方法、異常脱毛予防/防止方法及び異常脱毛防止剤評価方法
FR2966700B1 (fr) 2010-10-29 2013-01-11 Bernard Mompon Procede de fabrication d?articles d?origine vegetale impregnes de substance liquide vegetale
CN103767611B (zh) * 2012-10-18 2017-02-01 云南白药清逸堂实业有限公司 婴儿护臀湿纸巾及其制备方法
BR112015020691A2 (pt) 2013-02-28 2017-07-18 Swm Luxembourg Sarl composição para preparar uma bebida de chá ou caldos de ervas e vegetais
US11484497B2 (en) 2013-02-28 2022-11-0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or herbal and vegetable broths
EP3032958B1 (en) 2013-08-02 2020-05-06 SWM Luxembourg s.a.r.l. Edible product comprising reconstituted plant material
AU2014310655B2 (en) * 2013-08-20 2020-03-05 Swm Luxembourg Product comprising a plant for medicinal, cosmetic, coloring or dermatologic use
CN104490674A (zh) * 2014-12-08 2015-04-08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消毒湿巾
WO2016139561A1 (en) 2015-03-02 2016-09-09 Swm Luxembourg Sarl Low bulk density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having reduced dust or fines
FR3049620B1 (fr) 2016-04-05 2020-06-12 Swm Luxembourg Sarl Papier vegetal comprenant des fibres d'une plante
CA3026108A1 (en) 2016-06-10 2017-12-14 Clarity Cosmetics Inc. Non-comedogenic hair and scalp care formulations and method for use
CN113069401A (zh) * 2021-04-25 2021-07-06 安徽万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消毒湿巾及其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457A (ko) * 1990-06-25 1992-01-30 정용문 광자기 디스크 메디아 및 그 제조방법
JP2000226324A (ja) * 1998-11-30 2000-08-15 Kansai Koso Kk 清浄・清拭用及び化粧水用液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995A (en) * 1988-07-05 1990-07-17 Scott Paper Company Natural preservative composition for wet wipes
US5152996A (en) * 1990-12-10 1992-10-06 Eastman Kodak Company Nonwoven wipes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a zinc acetate peroxide and a surfactant
CA2098429A1 (en) * 1993-03-30 1994-10-01 Yvette Lynn Touchet Preserved wet wipes
AU3495897A (en) * 1996-07-24 1998-0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sheet materials containing oat extract
CO5170451A1 (es) * 1999-04-23 2002-06-27 Kimberly Clark Co Panos limpiadores humedos que tienen beneficios de salud para la piel
CN1359260A (zh) * 1999-04-30 2002-07-17 森涛国际公司 用作皮肤护理和织品处理的抗菌组合物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457A (ko) * 1990-06-25 1992-01-30 정용문 광자기 디스크 메디아 및 그 제조방법
JP2000226324A (ja) * 1998-11-30 2000-08-15 Kansai Koso Kk 清浄・清拭用及び化粧水用液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80A (ko) 2002-07-23
DE60205954D1 (de) 2005-10-13
EP1222915B1 (en) 2005-09-07
US20020132098A1 (en) 2002-09-19
CN1374065A (zh) 2002-10-16
JP2002209788A (ja) 2002-07-30
MY127410A (en) 2006-11-30
DE60205954T2 (de) 2006-06-14
TW536399B (en) 2003-06-11
EP1222915A2 (en) 2002-07-17
EP1222915A3 (en) 2002-07-24
SG98049A1 (en)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480B1 (ko) 웨트 와이퍼
US6358516B1 (en) One-step system for cleansing, conditioning, and treating the skin
TWI278322B (en) Wet wipes and wipe-type products having skin health benefits,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US20070141127A1 (en) Wet wipes with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AU2004258808B2 (en) Wipe comprising a pathogen selective antimicrobial
EP2070508B1 (en) Skin-care composition
MXPA06000305A (es) Composicion para toallitas limpiadoras prehumedecidas que es suave para la piel.
CN107137299A (zh) 一种女性特殊护理湿巾及其制备方法
MX2011006466A (es) Composiciones de surfactante liquido que se adhieren a las superficies y se solidifican e hinchan en la presencia de agua y articulos usando las mismas.
CN101427988B (zh) 含金缕梅科植物提取液脂质体湿巾
KR100801828B1 (ko) 수중유 에멀젼으로 처리된 종이 제품
CN105534372B (zh) 一种具有抑菌、消毒作用的小解巾及其制备方法
JP3794241B2 (ja) 保湿剤含有シート状製品および使いすておむつ
TWI231200B (en) Wet wiper
CN105616294B (zh) 一种具有抑菌、消毒作用的药液及其应用
CN103520034B (zh) 薰衣草精油抗菌湿巾及其制备方法
CN105534373B (zh) 一种具有抑菌、消毒作用的小解巾及其制备方法
KR100194523B1 (ko) 천연 활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JP2001029256A (ja) 半乾き状保湿パウダー入り身体拭きシート体
JPH11286081A (ja) 油性製剤を含浸した複合シート
CN101094663A (zh) 用于女性的防痒布
KR20030062348A (ko) 종이 제품을 위한 오일-기재 로션
KR20030085653A (ko)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708756B (zh) 一种具有抑菌、消毒作用的小解巾及其制备方法
WO2001078659A1 (fr) Lotions laiteuses, preparations cosmetiques, agents de nettoyage de la peau et articles de nettoyage de la pe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