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319B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319B1
KR100829319B1 KR1020067013262A KR20067013262A KR100829319B1 KR 100829319 B1 KR100829319 B1 KR 100829319B1 KR 1020067013262 A KR1020067013262 A KR 1020067013262A KR 20067013262 A KR20067013262 A KR 20067013262A KR 100829319 B1 KR100829319 B1 KR 10082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ca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083A (ko
Inventor
마사야 사카이
다카하루 우에다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3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 B66B5/14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적재중량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가 변화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는 제약조건 설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약조건 설정부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가변으로 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238037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적재중량에 의한 부하(이하, '칸 부하'라 칭함)에 따라, 모터 및 그것을 구동하는 전기 기기의 구동 범위 내에서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모터의 여력이 활용되어 칸의 운행 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모터 및 그것을 구동하는 전기 기기의 구동 한계만을 제약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그들 이외의 구성 요소의 구동 한계는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제약조건으로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운행 효율의 향상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모든 구성 기기를 허용 부하 내에서 사용하면서, 운행 효율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칸 내의 적재중량에 따라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주는 제약조건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속도 패턴 생성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복수개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가속도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복수개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감속도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복수개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일정속도 주행시의 칸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칸 부하와 트랙션 능력을 넘지 않는 가감속도의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칸 부하와 전원 설비 용량을 넘지 않는 칸 속도 및 가감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모터부의 출력 가능한 토크(torque)와 속도 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내 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는 모터부(2)와 모터부(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sheave)(3)를 갖고 있다. 모터부(2)에는 구동 시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의 상부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디플렉터(deflector) 시브(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시브(3) 및 디플렉터 시브(4)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함)의 주 로프(5)가 감겨져 있다. 주 로프(5)의 일단부에는 칸(6)이 매달려 있다. 주 로프(5)의 타단부에는 균형추(7)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7)의 중량은 칸(6)의 적재중량이 최대 적재중량(full load)의 약 절반(half load)일 때 균형이 잡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터부(2)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칸 부하 검출부(8), 속도 패턴 생성부(9) 및 모터 제어부(10)를 갖고 있다.
칸 부하 검출부(8)는 칸(6) 내의 적재중량(칸 부하)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 를 속도 패턴 생성부(9)에 보낸다. 또, 칸 부하 검출부(8)로는 기존의 저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칸 부하 검출부(8)는 모터부(2)의 전류값 등을 환산하여 칸 부하를 구하는 장치여도 된다.
모터 제어부(10)는 속도 패턴 생성부(9)에 의해 생성된 속도 패턴에 따라 모터부(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모터 제어부(10)는 인버터 등의 제어부 본체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속도 패턴 생성부(9)는 칸(6)(또는, 모터부(2))의 속도 패턴을 연산하는 패턴 생성부 본체(11)와,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제한에 관한 정보를 패턴 생성부 본체(11)에 대해 보내는 제약조건 설정부(12)를 갖고 있다. 칸 부하 검출부(8)로부터 온 신호는 패턴 생성부 본체(11) 및 제약조건 설정부(12)에 각각 입력된다.
패턴 생성부 본체(11)는 칸(6) 내의 적재중량에 따라 최단 시간에 목적층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속도 패턴의 계산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2380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속도 패턴의 생성에 사용되는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는 제약조건 설정부(12)에서 구해진 속도 및 가감속도의 상한값이어도 좋다.
제약조건 설정부(12)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에 제한을 가한다. 구성 기기에는, 예를 들면 모터부(2), 모터 제어부(10), 주 로프(5), 전원 트랜스나 브레이커 등의 전원 기기, 회생 기기, 브레이크 장치, 안전장치 및 축전지 등이 포함된다. 제약조건 설정부(12)는 칸(6) 내의 적재중량에 따라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제한에 관한 정 보를 패턴 생성부 본체(11)에 대해 보낸다.
도 2는 도 1의 속도 패턴 생성부(9)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속도 패턴 생성부(9)에는 입출력부(13), CPU(처리부)(14) 및 기억부(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패턴 생성부 본체(11) 및 제약조건 설정부(12)를 겸하고 있다.
칸 부하 검출부(8)로부터 온 검출 신호는 입출력부(13)를 통해 CPU(14)에 입력된다. 또, 모터 제어부(10)로의 지령 신호는 입출력부(13)로부터 출력된다. 기억부(15)는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제약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이나, CPU(14)에서의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갖고 있다. CPU(14)는 기억부(1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칸 부하에 따라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와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가 가변이다. 즉, 모터부(2)나 모터 제어부(10)의 인버터의 여력을 활용하고, 칸 부하에 의해 속도 패턴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영향을 받는 여러 가지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고려하여 속도 패턴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는 해당 기기를 연속적 또는 소정 시간중 사용하더라도 과부하 상태가 되지 않는 허용 최대 부하를 의미한다. 허용 최대 부하 이하의 부하이면 해당 기기는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칸(6)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와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에 대한 상한값이 칸 부하에 따라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복수개(복수 종류)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가속도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복수개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감속도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 는 복수개의 구성 기기에 대한 칸 부하와 일정속도 주행시의 칸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도 5에 있어서, 칸 부하가 L1 이라고 하면, 가속도의 상한값의 최소값은 αm이다. 따라서, 상한값의 확인 대상이 되는 모든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 내에서의 가속도의 상한값은 αm 으로 된다. 이와 같이, 모든 구성 기기 중에서 가장 상한값이 작은 것을 선택함으로써, 모든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넘지 않는 상한값을 도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속도, 일정속도 주행시의 칸 속도에 대해서는 각각 βn, vj가 상한값이 된다.
이와 같이, 제약조건 설정부(12)는 칸(6) 내의 적재중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성 기기에 대해 칸(6)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허용값(상한값)를 구하고, 가장 낮은 허용값을 제한에 관한 정보로 패턴 생성부 본체(11)에 보낸다.
또한, 도 3∼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한값의 정보는 제약조건 설정부(11) 내에 테이블값으로 미리 기억시켜 두어도 되며, 연산식에 의해 그때마다 구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고려하여 칸(6)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을 설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칸 속도 및 가감속도, 또는 최단 시간에 목적층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칸 속도 및 가감속도를 이용하여 속도 패턴 생성하므로, 구성 기기에 과부하를 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운행 효율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 속도 이외에, 저크(jerk)(가감속도의 변화율)를 제약하기 위한 상한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양쪽에 제한을 주었으나, 어느 한쪽에만 제한을 주어도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인 구동 시브(3)와 주 로프(5) 사이의 트랙션 능력에 의해 제약되는 조건에 의해, 칸(6)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말하는 트랙션 능력이란, 주 로프(5)가 구동 시브(3) 위를 미끄러지는 일 없이(구동 시브(3)가 공전하지 않음) 칸(6)을 승강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또, 트랙션 능력은 예를 들면 구동 시브(3)와 주 로프(5) 사이의 마찰 계수나, 구동 시브(3)에 대한 주 로프(5)의 감음 각도 등에 의해 정해진다.
주 로프(6)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은, 주 로프(5)의 구동 시브(3)와 칸(6) 사이의 부분에 작용하는 장력과 주 로프(5)의 구동 시브(3)와 균형추(7)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의 비가 트랙션 능력에 의해 정해진 값을 넘었을 때이다. 상기의 장력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는 칸(6)측의 중량, 균형추(7)의 중량, 및 모터부(2)의 발생 토크가 있다.
또, 칸(6)측의 중량 및 균형추(7)의 중량이 결정되면, 모터부(2)의 발생 토크에 의해 칸(6)의 가감속도가 결정되므로, 반대로 칸(6)측의 중량, 균형추(7)의 중량, 및 칸(6)의 가감속도가 결정되면 그에 대응하는 모터부(2)의 발생 토크가 구해진다.
따라서, 칸(6)측의 중량, 균형추(7)의 중량 및 칸(6)의 가감속도가 결정되면 상기의 장력비를 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트랙션 능력을 넘지 않는 가감속도의 상한값을 구할 수 있다.
도 6은 칸 부하와 트랙션 능력을 넘지 않는 가감속도의 상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칸(6)의 상승시의 칸 부하와 그 때의 가감속도 상한값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칸(6)의 하강시의 도면은 생략하나, 상승시와 동일한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칸(6)이 상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칸(6)이 하강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실시형태 2에서는 칸 부하 검출부(8)에 의해 검출된 칸 부하에 기초하여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설정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칸 부하가 L1 로 검출된 경우에는 도 6으로부터 가속도의 상한값 α1과 감속도의 상한값 α2가 선택된다. 그 후, 패턴 생성부 본체(11)에 의해 상한값을 넘지 않는 가운데, 실시형태 1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속도 패턴이 생성되어 칸(6)이 주행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서는 트랙션 능력의 범위 내에서 칸 부하에 따라 칸(6)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설정되므로, 구동 시브(3)에 대한 주 로프(5)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가운데 가감속도를 조정하여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한값의 정보는 제약조건 설정부(11) 안에 테이블값으로 미리 기억시켜 두어도 되며, 연산식에 의해 그때마다 구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주행중의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이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인 전원 설비의 용량을 넘지 않는 제약조건 하에서,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이 전원 설비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시간에 목적층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속도 패턴이 생성된다.
제약조건 설정부(12)는 칸 부하에 따라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상한값과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 상한값을 설정한다. 패턴 생성부 본체(11)는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된 상한값과 칸 부하에 기초하여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도 7은 칸 부하와 전원 설비 용량을 넘지 않는 칸 속도 및 가감속도와의 관 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관계는 이하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전원 설비 용량≤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 k
k는 어느 정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을 전원 설비가 공급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계수이다. 또,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은, 예를 들면 모터부(2)가 발생시키고 있는 토크와 그 때의 회전속도와의 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만약, 칸 부하가 L1 이라 하면, 제약조건 설정부(12)는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가속도 및 감속도의 상한값을 각각 vm, α2, α1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전원 설비 용량을 넘은 운전에 의해 전원 계통이 과부하 상태에 빠지거나 전원 계통이 차단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전원 설비 용량이란, 예를 들면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용량이나, 그 전원 브레이커의 용량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전원 설비 용량은 칸(6)의 적재량이 정격 적재량으로, 어느 일정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의 소비 전력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설비 용량은 칸(6)의 적재량이 정격 적재량으로, 어느 가감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해도 된다.
또, 축전지에 의해 엘리베이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원 설비 용량을 축전지의 전지 용량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정전시 등 전원의 공급원이 축전지로 변환되는 경우, 축전지의 전원 용량을 넘지 않는 가운데, 보다 단시간에 목적층에 도착할 수 있도록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와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가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전력 공급 능력은 통상의 전원보다 작기 때문에, 고속으로 칸을 주행시키거나 큰 가감속도로 칸을 가감속시키거나 할 수 없으나, 축전지의 전력 공급 능력의 범위 내에서 보다 단시간에 목적층에 도착할 수 있도록 칸(6)이 주행되어 서비스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한값의 정보는 제약조건 설정부(11) 안에 테이블값으로 미리 기억시켜 두어도 되며, 연산식에 의해 그때마다 구해도 된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서는 회생 운전시 전원측에 회생되는 전력의 처리 능력을 넘지 않도록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설정된다. 회생 처리 능력이란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인 회생 기기에 의해 회생 가능한 전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회생 기기에 있는 회생 저항으로 소비할 수 있는 전력이나, 회생 기기에 있는 회생 컨버터의 회생 용량이다.
회생 전력은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과 마찬가지로 칸(6)측의 중량과 균형추(7)의 중량과의 차이가 클수록, 또 칸(6)의 주행 속도나 가감속도가 클수록 커진다. 또, 회생 전력은 모터부(2)가 발생시키고 있는 토크와 그 때의 회전속도와의 곱에 의해 계산할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3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동일한 도면(생략)을 사용하여, 칸 부하에 따라 회생 처리 능력을 넘지 않는 조건하에서,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 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생성부 본체(11)는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된 상한값과 칸 부하에 기초하여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4에서는 회생 처리 능력을 넘은 운전에 의해 회생 기기가 과부하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에 의해 회생 기기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 상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휴지 등을 회피할 수 있어 서비스 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회생 처리 능력 내에서 속도 패턴을 변경하여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서는 모터 제어부(10)에 약한 계자(界磁) 제어부(도시생략)가 포함되어 있다. 약한 계자 제어는 영구자석 모터에 적용되는 모터의 제어 방법이며, 계자 자속 방향(d축 방향)으로 마이너스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감자(減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모터의 단자 전압을 억제하여 보다 고(高)회전의 구동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모터부(2)의 출력 가능한 토크와 속도 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a)는 약한 계자 제어를 행하지 않을 때의 출력 가능한 영역을, (b)는 약한 계자 제어를 행했을 때의 출력 가능한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한 계자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모터부(2)의 구동 영역을 고속측까지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때 인버터 등의 전기 기기의 용량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약한 계자 제어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기기를 변경하는 일 없이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의 상한값을 보다 고속측에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칸(6)측의 중량과 균형추(7)의 중량과의 차이가 작을수록 효과를 발휘한다. 그 이유는, 중량의 차이가 작을 때에는 필요한 모터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소비 전력이나 회생 전력도 작아지며, 그 결과 전원 설비 용량의 제약이나 회생 용량의 제약조건 등의 영향도 받기 어려워지고, 또한 약한 계자 제어의 성질로부터 발생 토크가 작을수록 모터의 회전속도를 고회전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5에서는 모터 제어부(10)에 약한 계자 제어부를 설치함으로써, 인버터나 전원 설비 등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고 일정속도 주행시의 칸 속도의 상한값을 올릴 수 있어,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속도 패턴 생성부(9)에는 검출치 보정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치 보정부(16)에는 칸 부하 검출부(8)에 의해 검출된 칸(6) 내의 적재중량의 정보가 입력된다. 검출치 보정부(16)는 적재중량에 미리 설정된 보정치를 더하여 패턴 생성부 본체(11) 및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출력한다.
검출치 보정부(16)에서 사용된 보정치는 칸 부하 검출부(8)에 의해 검출된 칸(6) 내의 적재중량이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 그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칸(6)측 전체의 중량과 균형추의 중량과의 차이가 커지도록 보정치를 더하면(따라서, 마이너스의 보정치를 더하는 경우도 있음), 더해진 보정치분에 상당하 는 오차량(칸(6) 내의 적재중량과 그 검출치의 오차량)에 대해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넘지 않도록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칸의 중량을 a, 칸 내의 적재중량의 정확한 값을 b, 칸 부하 검출부(8)에 의해 검출된 칸(6) 내의 적재중량의 검출치를 b1, 균형추의 중량을 c, 보정치를 d (d>0)로 하고, 칸(6)측 전체의 중량과 균형추의 중량과의 차이를 △m으로 했을 때, Δm = a+b-c가 된다. 그러나,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칸(6) 내의 적재중량 값은 b1이므로, b > b1일 때에는 |Δm|이 실제의 값보다 b-b1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Δm|보다 상기의 오차분만큼 작은 값에 대해 속도 패턴이 생성된다.
통상, |Δm|이 작을수록 모터부(2) 등의 기기의 여유가 커지기 때문에, 보다 큰 속도나 가속도를 갖는 속도 패턴이 생성된다. 따라서, 어느 |Δm|에 대해 설정된 속도 패턴(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은, |Δm|보다 큰 중량차에 대해 일반적으로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 내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실시형태 6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넘지 않도록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즉, 검출치 보정부(16)는 칸 부하 검출치 bl에 보정량 d > |b1-b|를 더하고, 보정된 칸 부하 검출치 b1+d를 패턴 생성부 본체(11) 및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출력한다. |Δm|와 비교하여 보정후의 값을 사용한 쪽이 상기의 중량차가 커지므로, 제약조건 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되는 일정속도 주 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의 상한값과, 패턴 생성부 본체(11)에 의해 연산된 속도 패턴은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칸 부하 검출부(8)의 출력치에 오차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검출치 보정부(16)에 의해 출력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의 구동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정량 d는, 예를 들면 칸 부하 검출부(8)의 검출 정도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부 본체,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주기 위한 정보를 상기 패턴 생성부 본체에 대하여 보내는 제약조건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 기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와, 전원 설비와, 회생 운전시에 회생되는 전력을 처리하는 회생 기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약조건 설정부는 상기 주 로프와 상기 구동 장치 사이의 트랙션 능력, 상기 전원 설비의 전력 공급 능력, 및 상기 회생 기기의 회생 처리 능력에 의해 제약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한을 주기 위한 정보를 상기 패턴 생성부 본체에 대하여 보내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약조건 설정부는 상기 주 로프, 상기 구동 장치, 상기 전원 설비, 및 상기 회생 기기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성 기기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허용값을 구하고, 가장 낮은 허용값을 제한에 관한 정보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4.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주는 제약조건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 기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를 통하여 상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약조건 설정부는 상기 주 로프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과 균형추측의 장력비가, 상기 주 로프와 상기 구동 장치 사이의 트랙션 능력에 의해 결정되는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가감속도에 제한을 주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5.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주는 제약조건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 기기에는 전원 설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약조건 설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모터부가 발생하고 있는 토크와 그 때의 상기 모터부의 회전 속도와의 곱에 의해 구해지는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설비의 전력 공급 능력을 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에 제한을 주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설비는 축전지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7.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를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가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감속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을 주는 제약조건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 기기에는 회생 운전시에 회생되는 전력을 처리하는 회생 기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약조건 설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모터부가 발생하고 있는 토크와 그 때의 상기 모터부의 회전 속도의 곱에 의해서 구해지는 회생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생 기기의 회생 처리 능력을 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속도 주행시의 속도 및 가감속 주행시의 가감속도에 제한을 주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의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에는 계자(界磁) 자속 방향으로 음의 전류량을 흐르게 하는 약한 계자 제어를 행하는 약한 계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9. 삭제
KR1020067013262A 2006-06-30 2004-03-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82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3262A KR100829319B1 (ko) 2006-06-30 2004-03-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3262A KR100829319B1 (ko) 2006-06-30 2004-03-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083A KR20060130083A (ko) 2006-12-18
KR100829319B1 true KR100829319B1 (ko) 2008-05-13

Family

ID=3781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62A KR100829319B1 (ko) 2006-06-30 2004-03-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6395A4 (en) * 2013-02-14 2016-10-26 Otis Elevator Co ELEVATOR CABIN SPEED CONTROL IN A BATTERY-POWERED ELEVATOR SYSTEM
US11554936B2 (en) 2015-05-06 2023-01-17 Inventio Ag Moving a heavy overload with an elev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5166A (en) * 1980-04-30 198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power consumption of elevator
JPH07165372A (ja) * 1993-12-14 1995-06-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H10218510A (ja) * 1997-02-06 1998-08-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0118903A (ja) * 1998-10-12 2000-04-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2003238037A (ja) * 2001-12-10 2003-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5166A (en) * 1980-04-30 198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power consumption of elevator
JPH07165372A (ja) * 1993-12-14 1995-06-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H10218510A (ja) * 1997-02-06 1998-08-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0118903A (ja) * 1998-10-12 2000-04-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2003238037A (ja) * 2001-12-10 2003-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6395A4 (en) * 2013-02-14 2016-10-26 Otis Elevator Co ELEVATOR CABIN SPEED CONTROL IN A BATTERY-POWERED ELEVATOR SYSTEM
US10059563B2 (en) 2013-02-14 2018-08-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speed control in a battery powered elevator system
US11554936B2 (en) 2015-05-06 2023-01-17 Inventio Ag Moving a heavy overload with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083A (ko) 200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128B2 (en) Elevator device
US20090133966A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EP2168901B1 (en) Elevator
JP49649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02895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1721855A2 (en) Controller for elevator
EP1731466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478185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6429663A (zh) 可变速电梯运行控制系统及方法
WO2007007637A1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速度制御方法、および速度制御プログラム
JP555433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39772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829319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2010168139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19073527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80003773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952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28292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031141A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322218A (ja) エレベーターの異常時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