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929B1 - 전해셀 - Google Patents

전해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929B1
KR100827929B1 KR1020070023217A KR20070023217A KR100827929B1 KR 100827929 B1 KR100827929 B1 KR 100827929B1 KR 1020070023217 A KR1020070023217 A KR 1020070023217A KR 20070023217 A KR20070023217 A KR 20070023217A KR 100827929 B1 KR100827929 B1 KR 10082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anode
cathode
inlet
anod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식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2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셀에 관한 것으로서, 애노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전기분해 후에 애노드 전해액이 배출되는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대향되게 구비되고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전기분해 후에 캐소드 전해액이 배출되는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애노드 전극판;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캐소드 전극판; 상기 애노드 전극판과 캐소드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셀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해셀 내에 전해액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며, 전극과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전해셀이 적층되는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해셀, 전해액 수용판, 채널, 적층, 전극판, 격막, 고정판

Description

전해셀{Electrolytic Cel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의 전해액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전해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전해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 11: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
12: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 13: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
14: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 15: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
20: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 21: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
22: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 23: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
24: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 25: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
30: 단위셀 40: 애노드 전극판
50: 캐소드 전극판 41,51: 전극단자
60: 격막 70: 제 1 고정판
71: 애노드 전해액 투입구 72: 캐소드 전해액 투입구
80: 제 2 고정판 81: 애노드 전해액 배출구
82: 캐소드 전해액 배출구 90: 실링부재
본 발명은 전해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며 적층시켜 조립하는 전해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해셀은 양전극실과 음전극실을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실 내부에 전극판이 수용되며 각각의 전극실에 양전해액과 음전해액이 각각 투입되고 전기분해 되며 전해되고 남은 전해액을 각각 배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전극실 외부에는 전해액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는 각각의 전극실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해셀의 구조가 복잡하고 전해셀이 대형이며, 전극판이 전해액에 잠긴상태에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해될 전해액이 전극판에 비해 많은 양을 갖게 되어 전력소모가 많이 되며 전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입구 와 배출구가 전극실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해액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셀 내에 전해액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며, 전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해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셀을 조립식으로 하여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해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와 연통되며 다수개 구비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과,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을 배출되며 다수개 구비된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와, 상기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전해액이 유출되는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가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다수개 구비 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이 배출되며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대향되는 면에 다수개 구비된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전해액이 유출되는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가 형성된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의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애노드 전극판;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의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캐소드 전극판; 상기 애노드 전극판과 캐소드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셀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의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는 서로 대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의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와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는 서로 대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전해셀은 다수개가 적층되며,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애노드 전극판 및 캐소드 전극판은 적층된 애노드 전극판 및 캐소드 전극판과 각각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의 전해액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해셀은 애노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전기분해 후에 애노드 전해액이 배출되는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대향되게 구비되고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전기분해 후에 캐소드 전해액이 배출되는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애노드 전극판(40);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캐소드 전극판(50); 상기 애노드 전극판(40)과 캐소드 전극판(50)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60)으로 구성되며 적층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은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과,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와,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14)과,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 및 캐소드 전해액 통과공(16)이 구비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는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로 유입된 전해액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연통되며 채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로 유입된 전해액은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로 유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유입된 전해액이 수용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14)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와 연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이 배출되며 채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배출된 전해액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를 통하여 유출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14)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전해액이 유출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는 서로 대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통과공(16)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 일측에 형성되며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어 통과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연통되어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으로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은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와,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24)과,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 및 애노드 전해액 통과공(26)이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통과공(16)을 통과한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로 유입된 전해액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연통되며 채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로 유입된 전해액은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로 유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는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유입된 전해액이 수용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24)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와 연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이 배출되며 채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배출된 전해액은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를 통하여 유출되게 된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는 상기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24)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전해액이 유출된다.
상기 애노드 전해액 통과공(26)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며 애노드 전해액을 통과시켜 배출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해셀은 일반적인 전해셀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산업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NOx, SOx 및 다이옥신(Dioxins)과 같은 유해가스 처리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기술(MEO; 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에 사용되는 전해셀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소각 배가스, 축사 및 생활폐기물과 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혹은 VOCs의 처리 등 광범위한 범위의 유해가스 처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기술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은 테프론과 같은 내산화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 및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가 서로 대각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면 전해액이 전극판과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전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판(40)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며 음의 전기가 공급되어 전해액을 전기분해하 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소드 전극판(50)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며 양의 전기가 공급되어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판(40)과 상기 캐소드 전극판(50)은 티탄의 외부에 루테늄이나 이리듐을 코팅한 DSA(불용성 전극, Dimensionally Stable Anode)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SA전극은 산소발생에 대한 과전압이 비교적 낮으며, 산소가 발생되는 전위 전 · 후에서 발생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여러 형태의 활성산소에 의해 전극표면에서 전극 독성유기물 자체도 산화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 격막(60)은 상기 애노드 전극판(40)과 캐소드 전극판(5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전해셀은 적층타입이므로 전해액 수용판과 전극판 및 격막 사이에는 실링부재(90)가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90)는 불소계 고무인 Viton과 같은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외측에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연통된 애노드 전해액 투입구(71)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연통된 캐소드 전해액 투입구(72)가 구비된 제 1 고정판(70)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외측에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와 연통된 애노드 전해액 배출구(81)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와 연통된 캐소드 전해액 배출구(82)가 구비된 제 2 고정판(80)이 더 구비되어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상기 전해셀은 다수개 적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전해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전해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애노드 전극판(40)을 단위셀(30)로 하고,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과 캐소드 전극판(50)을 단위셀(30)로 하여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단위셀(30)을 다수개 적층하여 형성된 전해셀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층되어 육면체형태로 된 상기 전해셀은 정면과 후면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 및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가 형성된다.
상기 전해셀을 다수개 적층하는 경우에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이 구비된 단위셀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이 구비된 단위셀이 서로 교번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단위셀이 서로 교번 적층되게 되면 애노드 전해액과 캐소드 전해액이 전해액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전해셀의 대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되게 되므로 전극판과의 접촉시간 증가시키고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전기분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외측에는 전해셀이 하나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애노드 전해액 투입구(71)와 캐소드 전해액 투입구(72)가 구비된 제 1 고정판(70)과,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외측에는 애노드 전해액 배출구(81)와 캐소드 전해액 배출구(82)가 구비된 제 2 고정판(8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애노드 전극판(40) 및 캐소드 전극판(50)은 적층된 애노드 전극판(40) 및 캐소드 전극판(50)과 각각 병렬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층된 전해셀의 애노드 전극판(40) 및 캐소드 전극판(50)의 전극단자(41,51)는 일방향에 동일 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셀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해셀 내에 전해액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며, 전극과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전해셀이 적층되는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애노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연통되며 다수개 구비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과,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채널(12)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와,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와 연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이 배출되며 다수개 구비된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14)과, 상기 애노드 전해액 배출채널(14)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애노드 전해액이 유출되는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와, 일측에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어 통과되는 캐소드 전해액 통과공(16)이 형성된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캐소드 전해액 통과공(16)을 통과한 캐소드 전해액이 유입되며 관통 형성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연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다수개 구비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채널(22)과 연통되며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와 연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로부터 전기분해된 전해액이 배출되며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대향되는 면에 다수개 구비된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24)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배출채널(24)과 연통되고 관통 형성되어 캐소드 전해액이 유출되는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와, 일측에 애노드 전해액을 통과시키는 애노드 전해액 통과공(26)이 형성된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수용부(13)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애노드 전극판(40);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수용부(23)에 수용된 전해액과 접하는 캐소드 전극판(50);
    상기 애노드 전극판(40)과 캐소드 전극판(50)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60)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는 서로 대각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는 서로 대각방향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외측에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연통된 애노드 전해액 투입구(71)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연통된 캐소드 전해액 투입구(72)가 구비된 제 1 고정판(70)과,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외측에는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 와 연통된 애노드 전해액 배출구(81)와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와 연통된 캐소드 전해액 배출구(82)가 구비된 제 2 고정판(80)이 더 구비되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셀은 다수개가 적층되며,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입구(11)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는 적층된 애노드 전해액 유출구(15)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입구(21)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는 적층된 캐소드 전해액 유출구(25)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과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은 서로 교번 적층되도록 상기 전해셀이 다수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6. 제 5 항에 있어서,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애노드 전해액 수용판(10)의 외측에는 애노드 전해액 투입구(71)와 캐소드 전해액 투입구(72)가 구비된 제 1 고정판(70)과,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캐소드 전해액 수용판(20)의 외측에는 애노드 전해액 배출구(81)와 캐소드 전해액 배출구(82)가 구비된 제 2 고정판(80)
    이 더 구비되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판(40) 및 캐소드 전극판(50)은 적층된 애노드 전극판(40) 및 캐소드 전극판(50)과 각각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셀.
KR1020070023217A 2007-03-08 2007-03-08 전해셀 KR10082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17A KR100827929B1 (ko) 2007-03-08 2007-03-08 전해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17A KR100827929B1 (ko) 2007-03-08 2007-03-08 전해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929B1 true KR100827929B1 (ko) 2008-05-08

Family

ID=3964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217A KR100827929B1 (ko) 2007-03-08 2007-03-08 전해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77B1 (ko) 2008-01-02 2010-07-08 (주) 시온텍 유기폐액의 매개산화 처리장치
KR101284643B1 (ko) 2012-04-12 2013-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t-cdi용 전해셀
KR20200001072A (ko) * 2018-06-26 2020-01-06 전후식 냉각탑의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
KR102352780B1 (ko) * 2021-04-30 2022-01-18 김을환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939A (en) 1979-04-20 1981-06-23 Svenska Utvecklingsaktiebolaget (Su) Swedish National Development Co. Electrode package and use thereof
JPH07252682A (ja) * 1994-03-14 1995-10-03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る水電解槽
JPH11104641A (ja) 1997-09-30 1999-04-20 Amano Corp 電解槽
KR20020072193A (ko) * 2001-03-08 2002-09-14 조통래 물 전기분해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939A (en) 1979-04-20 1981-06-23 Svenska Utvecklingsaktiebolaget (Su) Swedish National Development Co. Electrode package and use thereof
JPH07252682A (ja) * 1994-03-14 1995-10-03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る水電解槽
JPH11104641A (ja) 1997-09-30 1999-04-20 Amano Corp 電解槽
KR20020072193A (ko) * 2001-03-08 2002-09-14 조통래 물 전기분해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77B1 (ko) 2008-01-02 2010-07-08 (주) 시온텍 유기폐액의 매개산화 처리장치
KR101284643B1 (ko) 2012-04-12 2013-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t-cdi용 전해셀
US9096941B2 (en) 2012-04-12 2015-08-04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Electrolytic cell for 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KR20200001072A (ko) * 2018-06-26 2020-01-06 전후식 냉각탑의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
KR102091252B1 (ko) * 2018-06-26 2020-04-24 전후식 냉각탑의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
KR102352780B1 (ko) * 2021-04-30 2022-01-18 김을환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771B2 (en) Electrolyzer cell for producing acidic or alkaline electrolyzed water
JP2934632B2 (ja) 平板状多重接合電気化学式セル
ES2162700T3 (es) Sistema de bateria de flujo redox y celula de pila.
JP2003512918A5 (ko)
US10696570B2 (en) Electrochemical cell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increased removal rates of pollutants
KR100827929B1 (ko) 전해셀
US10435315B2 (en) Modular manifold for an electrolyzed water processor
CN111101144A (zh) 一种臭氧电解室结构
KR101474868B1 (ko) 전해액 확산 및 가스 배출 효율이 향상된 수전해조
TW201351753A (zh) 空氣電池及使用其之電池組
US11884559B2 (en) Electrochemical cell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improved electrical protection
KR100533710B1 (ko) 전해수 제조장치
TW200519233A (en) Electrochemical cell
KR20130043831A (ko) 3조 1포트식 전기분해 장치
JP2005228645A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セル、電池および電極の保持構造
EP2289852B1 (en) Improved electrolytic cell for generating chlorine in a pool
JP2008123750A (ja) 燃料電池
KR20180124608A (ko) 효율적인 수소-전기 생산이 가능한 역전기 투석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및 에너지 자립형 수소-전기 복합 충전 스테이션
KR200338144Y1 (ko) 전해수 제조장치
JP7261260B2 (ja) 電解槽
WO2011015840A1 (en) Cell stack system block
US9096941B2 (en) Electrolytic cell for 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KR20190132766A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20190135071A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20010099406A (ko) 1셀이 3실로 이루어진 멀티 셀(Multi-Cell) 전해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