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636B1 - 제제용 용기 - Google Patents
제제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7636B1 KR100827636B1 KR1020020007384A KR20020007384A KR100827636B1 KR 100827636 B1 KR100827636 B1 KR 100827636B1 KR 1020020007384 A KR1020020007384 A KR 1020020007384A KR 20020007384 A KR20020007384 A KR 20020007384A KR 100827636 B1 KR100827636 B1 KR 100827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container
- preparation
- main body
- formul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Landscapes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에 표시되는 제품명칭 등의 각종 표시의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한다.
제제수납용기(2)는, 제제(C)를 수납하는 조작통(12)(가동체)과, 이것을 크기의 차례대로 포개어 안에 넣을 수 있게 만든 상자형상으로 수납하는 본체통(10)(통형상체)을 보유하고, 본체통(10)과 조작통(12)의 상대회전에 따라 조작통 내의 지지체(16)를 이동시켜서 제제(C)를 출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통(10)과 조작통(12)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통(12)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b)에 의해, 이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본체통(10) 내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통(12)의 외주면에 제품명칭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20)(표시부재)이 붙여져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용 용기(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는 도 1(도면의 좌반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용 용기(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는 도 3(도면의 좌반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용 용기(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제용 용기의 조작상태(제제를 풀어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용 용기(제4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제제용 용기의 조작상태(제제를 풀어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10은 종래의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제제용 용기 10 본체통(통형상체)
12 조작통(가동체) 12a 조작용 손잡이(조작부)
12b 돌출부 14 나사축
16 제제지지체 20 필름밀봉(표시부재)
S 간극
본 발명은, 입술 연지, 약용 립, 풀 등 막대기 형상 제제(製劑)를 풀어낼 수 있는 상태로 수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제용 용기로서, 종래 미국특허 제5842802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용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이 용기의 구성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용 용기(1)(이하, 용기(1)로 약기한다)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본체통(10)과, 이 본체통(10)내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제제(C)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조작통(12)을 구비한 이중통 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본체통(10)의 저부에는, 상기 본체통(10)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나사축(14)이 고정되어 있고, 이 나사축(14)이 조작통(12)의 저부를 관통해서 상기 조작통(12)의 내부로 향하고 있다. 또한, 나사축(14)과 조작통(12)저부는, 나사축(14)의 기단부에 형성된 훅부(14a)를 통해 축방향으로 맞물리고, 그 결과, 조작통(12)이 본체통(1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본체통(10)으로부터 탈락 불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통(10)내에 유지되어 있다.
조작통(12)의 내부에는, 제제(C)를 풀어내기 위한 통형상의 제제지지체(16)(이하, 지지체(16)로 약기한다)가 삽입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지지체(16)는, 조작통(12)에 대해서 그 축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조작통(12)에 대해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나사축(14)에 대해 나사결합 장착되어 있다.
또한, 조작통(12)의 선단(상부)은, 본체통(10)의 외부로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부분의 외주에 손잡이(12a)(이하, 손잡이(12a)로 약기한다;조작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손잡이(12a)보다 선단측에 캡(18)이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에 있어서 제제(C)를 풀어낼 때에는, 캡(18)을 분리해서 본체통(10)및 손잡이(12a)를 잡고, 본체통(10)과 조작통(1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축(14)에 대해 지지체(16)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도 10(도면의 우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6)가 조작통(12)을 따라서 그 선단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제(C)가 조작통(12)의 선단(출납구)으로부터 풀어내도록 되어있다. 한편, 이것과 역방향으로 본체통(10)과 조작통(1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체(16)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제(C)가 조작통(12)내에 수납되어진다.
또한, 이 용기(1)로서는, 상기 제제(C)의 출입구의 근처에 손잡이(12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체통(10)을 잡은 상태로 그것과 같은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손잡이(12a)를 잡아서 조작통(12)을 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제(C)의 출납조작을 한 손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종래의 용기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① 이런 종류의 제제용 용기로서는, 용기표면에 각종 디자인(그림)이나 표시, 함유성분, 제품명 등을 표시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디자인이나 표시는 인쇄나 밀봉(표시부재)의 부착 등에 의해 용기 바깥표면에 직접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이나 오점의 부착 등에 의한 표시의 열화가 빠르다. 이와 같은 표시의 열화는, 용기의 외관에 있더라도 관계없이 제품(수납된 제제) 그것에 불쾌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입술 연지나 약용 립으로는 특히 나쁘고, 이것이 제제를 완전히 사용을 끝내지 않고 폐기되는 원인의 하나로 되어있다. 특히, 상기 한 손으로 조작을 행하는 상기 용기(1)로서는, 파지부분으로 되는 본체통(10)의 표면에 디자인이나 표시가 실시되기 때문에, 손때 등의 오점의 부착이나, 밀봉 벗겨짐 등이 발생하기 쉽고, 그 만큼, 표시의 열화가 빠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표시의 열화를 유효하게 억제함으로써, 외관적인 불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② 종래의 상기 용기(1)로서는, 본체통(10)에 삽입된 조작통(12)을 손잡이(12a)를 통해 회전조작함으로써 제제(C)를 출납하지만, 이 때, 본체통(10)에 대해 조작통(12)이 흔들리면, 조작통(12)(내주면)과 나사축(14)의 간격이 변동해서 지지체(16)의 부드러운 이동이 방해되고, 제제(C)가 나사축(14)에 의해서 비틀린다라는 사태가 발생하고, 제제(C)가 출납할 때의 장해로 된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조작통(12)의 외주면이 본체통(10)의 내주면에 간극없이 밀접하도록 조작통(12)및 본체통(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통(12)의 외주면과 본체통(10)의 내주면이 밀접해서 있는 결과, 양쪽 통(10,12)끼리의 마찰저항에 의해 조작통(12)의 부드러운 회전이 방해되고, 상기 한 손으로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된다는 폐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제제(C)를 양호하게 출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으로, 보다 작은 힘으로 제제(C)의 출납을 행하도록 해서, 한 손으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③ 예를 들면, 약용 립 등의 입술용의 제제(C)는, 입술의 온도에서 제제(C)가 연화해서 늘어남이 양호하게 되도록, 통상, 그 융점이 40∼50℃에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통(10)을 잡고 조작하는 상기 종래의 용기(1)로서는, 잡고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체온(손의 온도)으로 제제(C)가 따뜻해져서 제제의 품질에 영향을 주고, 연화해서 지지체(16)으로부터 제제(C)가 부상하는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제제(C)의 양호한 출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체온에 의한 제제(C)의 열화나 연화를 방지해서 버킷 꺾임 등의 발생을 유효하게 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제에 함유되는 유효성분 중에는, 자외선 등에 대해서 불안정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이와 같은 외적인자로부터 제제를 보호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된 것이고, 제1목적은, 용기에 표시되는 각종 디자인 등의 표시의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에 있고, 제2목적은, 제제 출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고, 제3목적은, 제제의 열화나 연화에 기인한 소위 버킷 꺾임 등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1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통형상체와, 외측으로부터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부와, 통형상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가동체를 보유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 또는 가동체에, 이들 통형상체와 가동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2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1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3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1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면 또는 가동체의 외측면에 표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4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3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가 차광성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제용 용기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디자인이나 각종 표시 등(표시부재)을 투명(반투명)한 통형상체와 가동체의 간극에 설치함으로써, 각종 표시를 통형상체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각종 표시의 오염손실에 의한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간극을 일정하게 보존하도록 가동체가 유지되므로, 제제를 출납조작할 때에 통형상체가 흔들리지 않고, 또한 각종 표시가 통형상체와 스쳐서 손상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간극에 의해 단열효과 등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수납한 제제의 열화, 연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제용 용기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청구항5∼10에 따른 구성이 고려되어진다. 즉, 청구항5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로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 상기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선단에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통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가 이 조작통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6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5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저부에 고정되어 그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통의 저부를 관통해서 상기 조작통의 내측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상기 조작통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 장착되고, 상기 조작통에 대하여 그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7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로서, 제제를 지지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통형상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제지지체를 보유하는 것이다.
청구항8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7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 있어서 그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나사축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지지체가 이 나사축에 나사결합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체에 대하여 그 축방향의 상대적 인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9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로서,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통을 보유하는 한편, 상기 가동체로서, 상기 조작통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통의 축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본체통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가 이 본체통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10에 따른 제제용 용기는, 청구항9의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통의 내측저부에 고정되어 그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통의 저부에 나사결합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저부를 관통하여 본체통의 내측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통 내에 수납된 제제를 지지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제용 용기의 기본구성은 종래기술로 설명한 제제용 용기(용기(1);도 9 및 도 10 참조)와 공통이기 때문에,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략화하고,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제제용 용기(2)(이하, 용기(2)로 약기한다)도, 본체통(10)(통형상체)과, 이것에 수납되는 조작통(12)(가동체)를 보유하고, 본체통(10)을 잡은 상태로 조작통 선단의 손잡이(12a)(조작용 손잡이(12a);조작부)를 통해 조작통(12)을 본체통(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통(12)내에 수납되어 있는 막대기 형상의 제제(C)를 지지체(16)(제제지지체(16))의 이동에 따라 조작통 선단으로부터 출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점에서 종래의 용기(1)과 기본적인 구성이 공통이다.
그러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용기(2)는, 다음 점에서 종래의 용기(1)와 구성이 상위하다. 즉, 이 용기(2)는, 조작통(12)의 외경이 본체통(10)의 내경보다도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10)과 조작통(12)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통(1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a)의 바로 하측에 돌출부(12b)(간극형성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12b)가 본체통(10)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일정한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조작통(12)이 본체통(10)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2b)는, 조작통(12)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무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상기 간극(S)에 대한 외기의 유통이 억제되어 상기 간극(S)내가 거의 밀폐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또한, 본체통(10)내에 있어서, 조작통(12)의 표면(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디자인 표시, 제품명칭, 제품원, 함유성분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20)(표시부재)이 붙여져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통(10)의 전체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용기(2)의 외부로부터 본체통(10)을 통해 상기 필름밀봉(20)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형태의 용기(2)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이 용기(2)에 의하면, 본체통(10)의 내주면과 조작통(12)이 돌출부(12b)로만 접촉하고 있어 통(10,12)끼리의 접촉면적이 극히 작으므로, 양쪽 통(10,12)을 상대회전시킬 때의 마찰저항이 작아지고, 그 때문에, 종래의 용기(1)(도 9, 도 10 참조)에 비하면, 작은 힘으로 조작통(12)을 회전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제(C)의 출납을 한 손으로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조작통(12)은, 상기 돌출부(12b)에 의해 본체통(10)내에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제(C)의 출납조작 중에 본체통(10)에 대해 조작통(12)이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체통(10)에 대해 조작통(12)이 흔들리는 것에 의한 좋지 않은 상태, 예를 들면 조작통(12)(내주면)과 나사축(14)의 간격이 변동해서 지지체(16)의 부드러운 이동이 방해되고, 또는 제제(C)가 나사축(14)에 의해 비틀린다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2)에 의하면, 본체통(10)과 조작통(12) 사이에 간극(S)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제제(C)를 수납한 조작통(12)이 필름밀봉(20)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그 결과, 외적환경(외기온도·자외선·광)에 대한 제제(C)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통(10)을 잡은 상태로 제제(C)의 출납조작을 행할 경우에도, 체온에 의한 제제(C)의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제(C)의 연화에 의한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잘못해서 직사일광하에서 방치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용기내부에 수납한 제제(C)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2)에 의하면, 조작통(12)에 디자인 표시 등을 실시한 필름밀봉(20)이 붙여지고, 이것을 본체통(10)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름밀봉(20)의 오염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밀봉(20)이 열화해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체통(10)을 잡은 상태로 한 손으로 출납조작을 행하는 상기 용기(2)로서는, 본체통(10)의 표면(외주면)에 필름밀봉(20)이 붙여져 있으면 단기간에 필름밀봉(20)이 오염손실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본체통(10)과 조작통(12) 사이에 필름밀봉(20)이 설치되어 있는 결과, 필름밀봉(20)의 오염손실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그 때문에, 필름밀봉(20)을 오랫동안 초기의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양쪽 통(10,12) 사이에 필름밀봉(20)을 설치하는 경우, 필름밀봉(20)과 본체통(10)이 스쳐서 필름밀봉(20)이 손상되는 것이 걱정되지만, 이 용기(2)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b)에 의해 상기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본체통(10)내에 조작통(12)이 유지되도록 되어있으므로, 필름밀봉(20)과 본체통(10)이 스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체통(10)과의 스침에 의해 필름밀봉(20)이 손상되지도 않는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용기(1)에 있어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변형예)으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① 돌출부(12b)의 단면을, 그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향해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2b)가 본체통(10)의 내주면에 대해 선접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12b)를 무단형상으로 형성하면서도, 제제(C)의 출납조작 중의 양쪽 통(10,12)의 마찰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② 돌출부(12b)는, 본체통(10)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통 저부측에 돌출부(12b)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돌출부(12b)는, 조작통(12)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무단형상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속적인 것이어도 좋다. 결국, 돌출부(12b)는 상기 간극(S)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으면 그 배치, 개수, 배열, 장소, 형상 등은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통(10)에 있어서의 상부개구의 극히 근방에 돌출부(12b)를 형성하면, 조작 중에 힘을 가하는 손잡이(12a)의 근방에 있어서 조작통(12)을 돌출부(12b)에 의해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통(12)의 흔들림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작통(12)에 필름밀봉(20)을 붙이기 위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라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부(12b)를 조작통(12)의 전체주위에 걸쳐서 무단형상으로 형성하면, 간극(S)의 변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간극(S)내로의 공기의 유통을 효과적으로 저지해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12b)를 본체통 저부에 설치하면, 조작의 안정성이 향상한다라는 이점이 있다.
③ 상기 필름밀봉(20)으로서 그림을 인쇄한 밀봉 등을 붙임과 동시에, 이 그 림에 관련하는 그림을 인쇄한 밀봉을 본체통(10)에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제(C)를 사용할 때, 본체통(10)의 그림과 조작통(12)의 그림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본체통(10)을 통해 보이는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취향성을 높일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경우, 본체통(10)측의 밀봉은, 본체통(10)의 내주면에, 그림을 외측으로 향한 상태로 붙이는 것이 오염손실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④ 조작통(12)과 지지체(16)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조작통(12)을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체(16)의 외주면에 그림을 인쇄한 밀봉을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지지체(16)의 그림이 축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본체통(10)을 통해 보이는 디자인에 의해 한층의 변화를 줄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조작통(12)과 지지체(16)의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를 조작통(12)또는 지지체(16)에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⑤ 필름밀봉(20)(표시부재)을 본체통(10), 조작통(12)및 지지체(16)에 각각 붙이는 것에 의해, 외적환경(빛·온도)에 기인하는 제제(C)의 열화, 연화에 의한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필름시트나 알루미늄시트 등의 시트 형상의 피복 이외에,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직접 본체통(10)등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피복(즉 인쇄자체)이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복이 본체통(10)에 의해 보호되므로, 종이와 같은 파손되기 쉬운 재질의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차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방지재를 함유한 필름밀봉이나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는 등 하여 자외선 방지처리를 실시한 표시부재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⑥ 조작통(12)의 상부에 손잡이(12a)를 설치하는 이외에, 예를 들면, 본체통(10)의 저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를 통해 조작통(12)의 일부를 외부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이 노출부분을 손잡이(조작부)로서 조작통(12)을 회전조작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체(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는, 반드시 조작통(12)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이것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본체통(10)과 조작통(12)을 상대회전 불가능한 일체구성으로 두고(요컨데, 다중 구조의 통형상체를 구성해서 두고), 상기 나사축(14)을 이 통형상체의 저부를 관통시켜서 외부노출시키고, 이 노출부분을 조작부로서 직접 나사축(14)을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내지 제4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용기(1)와 같이 한 손으로 용기(1)를 잡고 조작하는 용기는 아니기 때문에, 그 구성은, 주로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의 오염손실 방지, 및 수용한 제제(C)의 열화, 연화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 3 및 도 4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용 용기(3)(이하, 용기(3)으로 약기한다)는, 제제(C)를 수납하는 투명한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본체통(30)(통형상체)과, 본체통(30)의 선단에 떼었다 붙였다 하는 것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38)과, 본체통(30)의 저부에 붙여지는 원반형상의 조작용 손잡이(32)(이하, 손잡이(32)로 약기한다 ; 조작부)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32)는, 그 중심에 형성된 축부(33)를 본체통(30)의 저부로 관통시키고, 상기 축부(33)에 형성된 훅부(33a)를 본체통(30)의 저부에 대해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본체통(3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본체통(30)에 대해서 탈락 불가능한 상태로 붙여져 있다.
본체통(10)의 내부에는, 그 중심축을 따라서 나사축(34)이 설치되고, 이 나사축(34)이 손잡이(32)의 상기 축부(33)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통(10)의 내부에는 제제(C)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제제지지체(36)(이하, 지지체(36)로 약기한다 ; 가동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36)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본체통(30)에 대해서 그 축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본체통(30)에 대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나사축(34)에 대해서 나사결합 장착되어 있다. 요컨데, 손잡이(32)를 통해 나사축(34)을 회전시키면, 이것에 따라 지지체(36)가 본체통(3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지지체(36)는, 그 외경이 본체통(30)의 내경보다도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본체통(30)과 지지체(36)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간극(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36)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본체통(3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플랜지부(37)(돌출부)가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지지체(36)가 상기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본체통(30)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체통(30)과 지지체(36)는, 이 플랜지부(37)에 있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6)의 표면(외주면)에는,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를 인쇄한 필름밀봉(40)(표시부재)이 붙여져 있고, 본체통(30)을 통해서 외측으로부터 디자인 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디자인 표시는, 필름밀봉(40)을 붙이는 이외에, 직접 지지체(36)에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용기(3)에 있어서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캡(38)을 분리하고, 본체통(30)과 손잡이(32)를 잡은 상태로 상기 본체통(30)과 손잡이(3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하면 지지체(36)가 본체통(30)을 따라서 이동하고, 그 결과, 제제(C)가 본체통(30)의 선단으로부터 풀리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풀어낼 때와 역방향으로 본체통(30)및 손잡이(3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제제(C)가 원래대로 본체통(30)내에 수납되어진다.
이와 같은 제2실시형태의 용기(3)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36)와 본체통(30) 사이에는, 간극(S)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체(36)에는, 피복으로서 필름밀봉(40)이 붙여져 있으므로, 제제(C)(특히, 제제(C)의 근원(하단)부분)를 외적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제(C)의 열화나 연화에 의한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40)이 투명한 본체통(30)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밀봉(40)의 오염손실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의 용기(2)와 같이 필름밀봉(40)이 열화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체(36)는, 돌출부(12b)에 의해 상기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이동하므로, 필름밀봉(40)과 본체통(30)이 스쳐서 필름밀봉(20)이 손상되는 것도 없다.
또한, 이 용기(3)로서는, 제제(C)의 출납조작할 때, 필름밀봉(40)의 제품명칭 등이 본체통(30)을 따라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취향성을 높일 수 있다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 용기(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필름밀봉(40)으로서 그림의 밀봉을 지지체(36)에 붙이는 한편, 이 그림에 관련하는 그림의 밀봉을 본체통(30)에 붙이도록 하면,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본체통(30)의 그림과 지지체(36)의 그림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통(30)을 통해 보이는 디자인에 한층의 변화를 줄 수 있고, 그 결과, 취향성을 또한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본체통(30)측의 밀봉은, 본체통(30)의 내주면에, 그림을 외측으로 향한 상태로 붙이는 것이 오염손상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모양을 채용하여도 좋다. 즉, 본체통(30)자체를 이중통 구조로 해서, 이 본체통(30)을 구성하는 내외의 통형상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를 이들 내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통형상체의 적어도 한쪽측에 형성하여 두고, 디자인 표시 등의 필름밀봉(표시부재)을 이 간극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본체통(30)의 이 간극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고, 또한, 필름밀봉에 의해 제제(C)가 덮여지므로, 제제(C)(특히, 제제(C)의 근원부분)를 외적환경에 의한 열화 및 연화로부터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음,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용 용기(4)(이하, 용기(4)로 약기한다)는, 제제(C)를 수납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본체통(50)(통형상체)과, 본체통(50)의 선단에 떼었다 붙였다 하는 것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53)과, 본체통(50)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통(52)(조작부)을 보유하고 있다.
본체통(50)및 조작통(52)의 내부에는, 내부에 나사를 구비하고, 본체통(50)의 하단부에 형성된 너트부분(50a)에 나사결합 장착되는 통형상의 제1나사축(54)과, 이 나사축(54)내에 나사결합 삽입되는 제2나사축(56)이 설치되어 있다.
제1나사축(54)에는, 그 하단부에 플랜지부(5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4a)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조작통(52)에 대해 그 축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조작통(52)에 대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나사축(56)에는, 그 상단부에 제제(C)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제제지지체(58)(이하, 지지체(58)로 약기한다 ; 가동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 지지체(58)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본체통(50)에 대해서 그 축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본체통(50)에 대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다. 요컨데, 본체통(50)에 대해서 조작통(5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통(52)에 대해서 제1나사축(54)및 제2나사축(56)이 2단계로 신장하고, 이것에 따라 지지체(58)가 본체통(5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지지체(58)와 본체통(50) 사이에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간극(S)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58)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60)(돌출부)가 본체통(5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지지체(58)가 상기 간극(S)을 보존한 상태로 본체통(50)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체통(50)과 지지체(58)는, 이 플랜지부(60)에 있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58)의 표면(외주면)에는,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62)(표시부재)이 붙여져 있고, 투명한 상기 본체통(50)을 통해서 외측으로부터 제품명칭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용기(4)에 있어서도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캡(53)을 분리하고, 본체통(50)과 조작통(52)을 상대적으로 회선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체(58)가 본체통(50)내를 이동하고, 그 결과, 제제(C)가 본체통(50)의 선단으로부터 출납되어 진다.
이와 같은 제3실시형태의 용기(4)에 있어서도,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 름밀봉(62)이 본체통(50)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밀봉(64)의 오염손실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또한, 제제(C)의 출납조작할 때, 필름밀봉(62)의 디자인 표시 등이 본체통(50)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취향성을 높일 수도 있다.
지지체(58)와 본체통(50) 사이에는, 간극(S)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체(58)에는, 피복으로서 필름밀봉(64)이 붙여져 있으므로, 제제(C)(특히, 제제(C)의 근원부분)를 외적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제(C)의 열화나 연화에 의한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다음, 제4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제제용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4실시형태의 제제용 용기는, 제3실시형태의 용기(4)와 기본구성이 공통이기 때문에,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한다.
제4실시형태의 제제용 용기(5)(이하, 용기(5)로 약기한다)로서는, 제1나사축(54)이 조작통(5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조작통(52)은, 그 내경이 본체통(50)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크게 형성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5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통(50)과 조작통(5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조작통(52)이 제1나사축(54)과 함께 이동하고,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50)의 하단부위가 조작통(52)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데, 이 용기(5)에서는, 본체통(50)이 본 발명의 가동체로서, 조작통(52)이 통형상체 및 조작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있다.
본체통(50)및 조작통(52)은, 상기 본체통(50)의 단부가 조작통(52)내에 수납될 때, 본체통(50)과 조작통(52) 사이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간극(S)이 형성하도록 직경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통(52)의 상단내주 가장자리에는, 그 전체둘레에 걸쳐서 리브(52a)(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52a)에 의해 상기 간극(S)이 일정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조작통(52)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64)이, 상기 인쇄면을 외측으로 향한 상태로 붙여져 있고, 조작통(52)의 외측으로부터 디자인 표시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용기(5)에 있어서, 지지체(58)에는, 제4실시형태와 같은 필름밀봉이 설치되어있지 않다.
상기 용기(5)에 있어서도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캡(53)을 분리한 상태로, 본체통(50)과 조작통(5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제3실시형태의 용기(4)와 같이, 제제(C)를 본체통(50)의 선단으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다만, 이 용기(5)로서는, 제제(C)를 풀어내기 위해 본체통(50)과 조작통(5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통(52)이 본체통(5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본체통(50)의 하단부위가 조작통(52)내에 수납되어진다.
이와 같은 제4실시형태의 용기(5)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64)이 조작통(52)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밀봉(64)의 오염손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52a)에 의해 상기 간극(S)이 일정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통(50)과 조작통(52) 사이에 간극(S)을 설치하면서도, 조작 중에 조작통(52)이 흔들리는 것이 없고, 제제(C)를 양호하게 출납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용기(5)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제(C)를 출납할 때에 조작통(52)이 본체통(5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그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예를 들면, 필름밀봉(64)으로서 그림의 밀봉을 조작통(52)에 붙이는 한편, 이 그림에 관련되는 그림을 본체통(50)의 외주면에 인쇄 등을 하여 두면, 제제(C)를 사용할 때에는, 조작통(52)의 그림과 본체통(50)의 그림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본체통(30)을 통해서 보이는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고, 그 결과, 취향성을 또한 높일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이 용기(5)에 있어서도, 또한 본체통(50)을 투명체로 구성하고, 제3실시형태의 용기(4)와 같이 지지체(58)에 그림 등을 인쇄한 필름밀봉을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한층 취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제3실시형태의 용기(4)와 같이, 지지체(58)를 접시형(단면 오목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체(58)와 본체통(50) 사이에 간극을 설치할 수 있고, 지지체(58)의 주위에 필름밀봉을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체(58)와 본체통(5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체(58)가 필름밀봉에 의해 피복되므로, 제제(C)(특히, 제제(C)의 근원부분)를 외적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제제(C)의 열화나 연화에 의한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이라는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통형상체 내에 설치된 가동체를 통형상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제제의 출납을 행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통형상체와 가동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에 제품표시 등의 각종 표시를 설치하여 통형상체의 외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각종 표시의 오염손실에 의한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통형상체 또는 가동체에 형성한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간극을 보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통형상체의 사이에 각종 표시를 설치하면서도, 각종 표시가 통형상체와 스쳐져서 손상되지 않고, 또한, 조작 중에 통형상체가 흔들리는 등 하여 제제의 출납에 지장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제제용 용기는, 가늘고 긴 본체통과, 선단에 조작용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통에 수납되는 조작통을 보유하고, 조작통을 본체통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통 내에 수납되는 제제의 출납을 행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통과 조작통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본체통과 조작통의 마찰저항을 저감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제제를 출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제제 출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양쪽 통 사이의 공기층의 존재에 의해 단열효과를 높이고, 외적환경에 대한 제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제의 연화에 기인하는 소위 버킷 꺾임이나 버킷 빠짐 등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통 또는 조작통에 돌출부를 형성해서 상기 간극을 보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작 중에 조작통이 흔들리는 등 해서 제제의 출납에 지장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1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통형상체의 내부에 가동체를 구비하고, 조작부를 회전조작함으로써 가동체를 통형상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면서 막대기 형상의 제제를 출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통형상체와 가동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보전하기 위한 돌출부가 통형상체 또는 가동체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간극 내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 또는 가동체의 한쪽에 표시부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통형상체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제용 용기로서는, 디자인이나 표시 등(표시부재)은 투명(반투명)한 통형상체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통형상체를 통해서 인식되어진다. 요컨데, 디자인 등의 각종표시는, 그 외측의 통형상체에 의해 보호되어지고, 그 결과, 각종 표시의 오염손실에 의한 열화가 유효하게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간극을 일정하게 보존하도록 가동체가 유지되므로, 제제를 출납조작할 때에 통형상체가 흔들리지 않고, 또한 각종 표시가 통형상체와 스쳐서 손상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간극에 의해 단열효과 등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수납한 제제의 열화, 연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1의 기재에 있어서 「표시부재」란, 각종 디자인(그림), 함유성분, 제품명 등을 실시한 밀봉이나, 이들의 각종 디자인 등을 통형상체 등에 인쇄했을 경우의 상기 인쇄(즉, 인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체」란, 무색투명 이외에 유색투명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용기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제제를 수납하는 가늘고 긴 본체통과, 이 본체통 내에 설치되어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고,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제제지지체의 이동에 따라 제제를 출납하는 용기로서는, 본체통과 제제지지체 사이에 상기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청구항2).
또한, 다른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예을 들면, 본체통과, 상기 조작부을 구비해서 본체통 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조작통을 보유하고, 본체통에 대한 조작통의 상대회전에 따라 상기 조작통 내에 수납된 제제를 출납하는 용기로서는, 본체통과 조작통 사이에 상기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청구항3).
또한, 다른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제제를 수납하는 가늘고 긴 본체통과, 이 본체통의 외측에 있어서, 또한 길이방향 일단측에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조작통을 보유하고, 본체통에 대한 조작통의 상대회전에 따라 제제를 출납함과 동시에, 이 회전에 따라 조작통이 본체통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용기로서는, 본체통과 조작통 사이에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조작통의 내주면에 상기 표시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청구항4).
또한, 청구항1 내지 4의 구성에 있어서는, 통형상체와 가동체(본체통 및 제제지지체, 본체통 및 조작통)의 양쪽에 그림 등의 디자인(표시부재)을 설치하여 두면, 제제를 사용할 때(제제를 출납할 때), 가동체의 그림이 통형상체의 그림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품 디자인에 변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품의 취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통형상체와 가동체(본체통 및 제제지지체, 본체 통 및 조작통)의 양쪽에 그림 등의 디자인을 설치하여 두면, 차광효과 등을 얻을 수 있고, 제제의 열화, 연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5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통형상체의 내부에 가동체를 구비하고, 조작부를 회전조작함으로써 가동체를 통형상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면서 내부에 수납된 제제를 출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통형상체가 다중통 구조를 보유함과 동시에, 내외의 통형상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가 내외에 가까이 설치되는 통형상체의 적어도 한 쪽측에 형성되어진다.
이 제제용 용기에 의하면, 디자인이나 표시 등을 상기 간극에 설치하면, 상기 디자인 등을 투명(반투명)한 통형상체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있고, 게다가 디자인 등의 각종 표시를 그 외측의 통형상체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간극에, 자외선 방지용 밀봉 등을 설치하면, 자외선에 의한 제제의 열화 등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밀봉자체의 외부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 방지용 밀봉 등의 효용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6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통형상체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고, 조작부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제제지지체에 지지된 제제를 출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통형상체와 제제지지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가 통형상체 또는 제제지지체에 형성됨과 동시에, 통형상체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7에 따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본체통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통과, 그 조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통 내를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제지지체를 보유하고, 조작부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제제지지체에 지지된 제제를 출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통과 조작통 사이, 또는 조작통과 제제지지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가 본체통 또는 조작통, 또는 조작통 또는 제제지지체에 설치되고, 본체통 및 조작통 중, 적어도 본체통을 포함하는 한쪽측이 투명체이거나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청구항6 또는 7에 따른 제제용 용기에 대해서도, 디자인이나 표시 등(표시부재)을 상기 간극에 설치하면, 상기 디자인 등을 투명(반투명)한 통형상체 등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있고, 게다가 디자인 등의 각종 표시를 그 외측의 통형상체 등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청구항8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용 용기는, 가늘고 긴 본체통과, 이 본체통에 대해 선단을 외부노출시킨 상태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노출부분에 조작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조작통을 보유하고, 상기 조작통을 본체통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통 내에 수납되는 막대기 형상의 제제를 출납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통과 조작통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본체통 또는 조작통에 상기 간극을 보존하기 위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제용 용기에 의하면, 본체통의 내주면과 조작통의 외주면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양쪽 통의 마찰저항이 작아지고, 그 결과, 작은 힘으로 제제를 출납할 수 있도록 된다. 게다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통끼리의 간극을 일정하게 보존하도록 조작통이 유지되므로, 제제의 출납조작 중에 조작통이 흔들리지 않는 다. 또한, 제제가 수납되어 있는 조작통과 본체통 사이에 상기 간극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기층의 존재에 의해 단열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외적환경의 변화에 대한 제제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본체통을 잡은 상태로 제제를 출납하는 경우에도, 체온에 의한 제제의 연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 통형상체와, 외측으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한 조작부 및 통형상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가동체를 보유하는 제제용 용기에 있어서,상기 통형상체 또는 가동체에, 이들 통형상체와 가동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면 또는 가동체의 외측면에 표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차광성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로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 이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선단에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통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가 이 조작통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저부에 고정되어 그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통의 저부를 관통하여 이 조작통의 내측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상기 조작통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 장착되어, 상기 조작통에 대하여 그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로서, 제제를 지지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통형상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제지지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서 그 중심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나사축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지지체가 이 나사축에 나사결합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체에 대하여 그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로서,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통을 보유하는 한편, 상기 가동체로서, 상기 조작통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통의 축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본체통을 보유하고, 상기 제제가 이 본체통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통의 내측저부에 고정되어 그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통의 저부에 나사결합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저부를 관통해서 본체통의 내측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통 내에 수납된 제제를 지지하는 제제지지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7384A KR100827636B1 (ko) | 2002-02-08 | 2002-02-08 | 제제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7384A KR100827636B1 (ko) | 2002-02-08 | 2002-02-08 | 제제용 용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4179U Division KR200294022Y1 (ko) | 2002-02-08 | 2002-02-08 | 제제용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7880A KR20030067880A (ko) | 2003-08-19 |
KR100827636B1 true KR100827636B1 (ko) | 2008-05-07 |
Family
ID=4164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7384A KR100827636B1 (ko) | 2002-02-08 | 2002-02-08 | 제제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763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008U (ko) * | 1980-06-06 | 1982-01-16 | ||
JPH02138623A (ja) * | 1988-08-26 | 1990-05-28 | Toshiba Corp | ポインタレジスタを備えた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方式のマイクロプロセッサ |
EP0483418A1 (en) * | 1989-09-19 | 1992-05-06 | The Bridgeport Metal Goods Mfg. Co. | Smooth drive cosmetic container |
KR960003637A (ko) * | 1994-07-08 | 1996-02-23 | 마쓰누마 히데오 | 화장품 용기 |
-
2002
- 2002-02-08 KR KR1020020007384A patent/KR1008276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008U (ko) * | 1980-06-06 | 1982-01-16 | ||
JPH02138623A (ja) * | 1988-08-26 | 1990-05-28 | Toshiba Corp | ポインタレジスタを備えた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方式のマイクロプロセッサ |
EP0483418A1 (en) * | 1989-09-19 | 1992-05-06 | The Bridgeport Metal Goods Mfg. Co. | Smooth drive cosmetic container |
KR960003637A (ko) * | 1994-07-08 | 1996-02-23 | 마쓰누마 히데오 |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7880A (ko) | 2003-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11654A (en) | Swab and shield assembly for daubable material | |
US5842802A (en) | Dispenser | |
US10376035B2 (en) | Lip balm container with dental floss dispenser | |
US8225955B2 (en) | Dual-supply product container | |
ES2339251T3 (es) | Dispensador pulverizador portatil con pinza y procedimientos asociados. | |
ES2381420T3 (es) | Recipientes que tienen una lámina de protección externa | |
KR100827636B1 (ko) | 제제용 용기 | |
KR200294022Y1 (ko) | 제제용 용기 | |
JP2006273332A (ja) | 窓付き容器 | |
WO1991011129A1 (en) | Improved cosmetic container | |
JP3622784B2 (ja) | 製剤用容器 | |
US6773190B2 (en) | Implement for dispensing preparation | |
US6779938B1 (en) | Container with applicator | |
US20080175649A1 (en) | Cylindrical apparatus with dynamic image | |
JP3063082B2 (ja) | トリガーカバー | |
JP3915135B2 (ja) | 棒状化粧料容器 | |
JP2002085153A (ja) |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 |
JP5833431B2 (ja) | ブリスタ包装体 | |
ES2313149T3 (es) | Recipiente hermetico con un tubo interior delgado para conducir liquido sobre un aplicador. | |
ES2298876T3 (es) | Boligrafo con rollo de papel. | |
US12064021B2 (en) | Lip balm dispensing container | |
CA2056390A1 (en) | Applicator for applying resins and lacquers | |
JP3589128B2 (ja) | 筆記具の種別表示構造 | |
KR200360474Y1 (ko) | 조작도구를 갖는 액체 용기 | |
JP2018175694A (ja) | 棒状化粧料収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