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457B1 -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457B1
KR100827457B1 KR1020080011038A KR20080011038A KR100827457B1 KR 100827457 B1 KR100827457 B1 KR 100827457B1 KR 1020080011038 A KR1020080011038 A KR 1020080011038A KR 20080011038 A KR20080011038 A KR 20080011038A KR 100827457 B1 KR100827457 B1 KR 10082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hoistway
elevator
wire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8001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길이가 서로 다른 한벌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구비하여 그 일단을 각각 승강카의 상부에 고정하고, 타단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시브와 구동풀리 또는 다수의 가이드시브를 경유하여 균형추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각각의 가이드시브 또는 가이드시브와 구동풀리 또는 가이드시브와 균형추 사이의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그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고, 작은 직경의 와이어로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을 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동력크기를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가동시 소요되는 전기료 및 유지관리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승강카, 구동부, 구동모터, 구동풀리, 균형추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rope for elevator }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가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여러 가닥의 로프를 승강카와 다수의 가이드시브를 거쳐 균형추와 연결되도록 하는 로프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닥의 로프를 길이가 서로 다르게 한벌로 각각 구비하되, 각각의 로프 양단은 다수의 가이드시브 또는 구동풀리를 거쳐 각각 승강카와 균형추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카의 상/하 이동시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로프의 가닥 수 및 직경을 감소시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동력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의 저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및 제 2풀리(20)(22)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균형추(30)의 상부에는 균형추풀리(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 며, 일단이 승강로(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로프(40)의 타단을 하향연장시켜 상기 제 1 및 제 2풀리(20)(22)를 경유하여 다시 상향연장되게 하여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50)의 구동풀리(52)와 마찰접촉된 후 하향연장되어 균형추풀리(32)를 경유하여 상향되게 연장된 후 승강로(1)의 상부 타측에 고정된 것으로, 기계실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는 있었으나, 상기 구동풀리(52)와 균형추풀리(32) 사이의 와이어로프(40) 및 균형추풀리(32)를 거쳐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는 구간의 와이어로프(40)의 인장력이 약 50%가량 저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40)가 단시간에 마모되어 그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40)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와이어로프(40)의 직경 및 그 수도 증가시켜야 함은 물론 큰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50)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원가를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동력이 크게 소모되는 구동부(50)의 구동에 따른 전기료 및 유지관리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길이가 서로 다른 한벌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구비하여 그 일단을 각각 승강카의 상부에 고정하고, 타단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시브와 구동풀리 또는 다수의 가이드시브를 경유하여 균형추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각각의 가이드시브 또는 가이드시브와 구동풀리 또는 가이드시브와 균형추 사이의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그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고, 작은 직경의 와이어로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을 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동력크기를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가동시 소요되는 전기료 및 유지관리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강로에 설치된 승강카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인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연결.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각기 다른 길이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로 구비하되, 상기 제 1와이어로프의 일단을 승강카의 상부 중앙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타측은 상향연장시켜 승강로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대 상의 제 1 및 제 2시브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되어 승강로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의 구동풀리를 경유한 다음 다시 상향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제 5 및 제 6시브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하향연장시켜 그 타단을 균형추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 2와이어로프의 일단을 승강카의 상부 중앙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타측은 상향연장시켜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 상의 제 3 및 제 4시브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시켜 그 타단을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에 모두 동일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가이드시브 또는 가이드시브와 구동풀리 또는 가이드시브와 균형추 사이의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그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고, 작은 직경의 와이어로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을 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동력크기를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가동시 소요되는 전기료 및 유지관리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는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와, 제 1 ∼ 제 6시브(S100 ∼ S600), 구동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는 다수의 강선을 꼬아서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시킨 통상적인 것을 여러 가닥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하여 승강로(1)에 설치된 승강카(10)를 상/하 이동시켜 탑승자의 공간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제 1와이어로프(100)는 상기 제 2와이어로프(200) 보다 길이가 소정 길이 더 길게 형성하여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 1 ∼ 제 6시브(S100 ∼ S600)는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의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안내하는 것으로서, 제 1 및 제 2시브(S100)(S200)는 상기 승강로(1)에 설치된 지지대(3)의 전방 중앙과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제 1와이어로프(100)를 안내하도록 하고, 제 3 및 제 4시브(S300)(S400)는 상기 승강로(1)에 설치된 지지대(3)의 전방 중앙과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제 2와이어로프(200)를 안내하도록 하며, 제 5 및 제 6시브(S500)(S600)는 승강로(1)에 설치된 지지대(3)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제 1와이어로프(100)를 균형추(400)의 상부로 안내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300)는 승강로(1)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카(10)를 상/하 이동 시키는 것으로서, 소정의 동력으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의 중앙부에 상기 제 1와어어로프(100)가 권취되어 마찰접촉하며 경유될 수 있도록 구동풀리(320)를 일체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품이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를 승강카(10)와 균형추(400)에 연결하게 되는바, 먼저 여러 가닥으로 구비되며,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기 제 1와이어로프(100) 일단을 승강카(10)의 상부 중앙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타측은 상향연장되게 하여 상기 지지대(3)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제 1시브(S100)를 경유하여 상향연장되는 제 1와이어로프(100)의 방향을 90°로 전환시키고, 지지대(3)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 제 2시브(S200)를 거쳐 하향연장되게 되며, 하향연장된 제 1와이어로프(100)는 상기 구동부(300)에 장착된 구동모터(31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320)를 경유하여 상향연장되게 되고, 상향연장된 제 1와이어로프(100)는 지지대(3)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제 5시브(S500)를 경유하여 그 방향을 90°로 전환하며, 상기 지지대(3)의 후방 타측에 설치된 제 6시브(S600)를 경유하여 하향연장되게 되고, 하향연장된 제 1와이어로프(100)의 일단을 상기 균형추(4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와이어로프(100)보다 짧은 길이로 제공되는 상기 제 2와이어로프(200) 일단을 승강카(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타측은 상향연장되게 하여 상기 지지대(3)의 중앙에 설치된 제 3시브(S300)를 경유하여 상향연장되는 제 2와이어로프(200)의 방향을 90°로 전환시키고, 지지대(3)의 전방 타측에 설치 된 제 4시브(S400)를 거쳐 하향연장되게 되며, 하향연장된 제 2와이어로프(200)의 일단을 상기 균형추(4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에 의해 다수의 구성부품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방향 전환된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 구간 전체에 동일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승강카(10)와 승강카(10)에 탑승한 승객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종래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3 : 지지대
10 : 승강카 100, 200 :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
300 : 구동부 310 : 구동모터
320 : 구동풀리 400 : 균형추
S100 ∼ S600 : 제 1시브 ∼ 제 6시브

Claims (1)

  1. 승강로에 설치된 승강카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인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연결.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각기 다른 길이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로 구비하되, 상기 제 1와이어로프(100)의 일단을 승강카(10)의 상부 중앙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타측은 상향연장시켜 승강로(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대(3) 상의 제 1 및 제 2시브(S100)(S200)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되어 승강로(1)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300)의 구동풀리(320)를 경유한 다음 다시 상향연장되어 상기 지지대(3)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제 5 및 제 6시브(S500)(S600)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하향연장시켜 그 타단을 균형추(4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 2와이어로프(200)의 일단을 승강카(10)의 상부 중앙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타측은 상향연장시켜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3) 상의 제 3 및 제 4시브(S300)(S400)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시켜 그 타단을 상기 균형추(4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100)(200)에 모두 동일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KR1020080011038A 2008-02-04 2008-02-04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KR10082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38A KR100827457B1 (ko) 2008-02-04 2008-02-04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38A KR100827457B1 (ko) 2008-02-04 2008-02-04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457B1 true KR100827457B1 (ko) 2008-05-22

Family

ID=3966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38A KR100827457B1 (ko) 2008-02-04 2008-02-04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0161A (zh) * 2010-12-03 2011-04-20 中国矿业大学 一种矿用电梯曳引绳连接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208928B1 (ko) 2011-09-27 2012-12-07 한국고벨주식회사 리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3A (ja) 1996-07-09 1998-01-27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エレベータ装置
JP2000063057A (ja) 1998-06-08 2000-02-29 Meidensha Corp エレベータ
JP2004001912A (ja) 2002-05-30 2004-01-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3293A (ja) 2005-01-14 2006-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6282368A (ja) 2005-04-05 2006-10-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3A (ja) 1996-07-09 1998-01-27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エレベータ装置
JP2000063057A (ja) 1998-06-08 2000-02-29 Meidensha Corp エレベータ
JP2004001912A (ja) 2002-05-30 2004-01-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3293A (ja) 2005-01-14 2006-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6282368A (ja) 2005-04-05 2006-10-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0161A (zh) * 2010-12-03 2011-04-20 中国矿业大学 一种矿用电梯曳引绳连接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208928B1 (ko) 2011-09-27 2012-12-07 한국고벨주식회사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48B1 (ko)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CN100513288C (zh) 具有电梯轿厢的不带对重的电梯
CN1934022B (zh) 电梯
CZ299209B6 (cs) Bezprevodovkový lanový výtah s pohonem hnacího kola, dvojite opásaného paralelními nosnými lany
US10246304B2 (en) Installation arrangement for an elevator
CN201002908Y (zh) 一种无机房曳引绳轮式电梯
KR100827457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연결구조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CN112499440B (zh) 无机房电梯改造方法及无机房电梯
CN1970422A (zh) 间接驱动曳引电梯
JP5462195B2 (ja) エレベーター
WO2007123034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71387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472829A (zh) 减小井道尺寸的升降机安装
KR100888667B1 (ko)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CN109952262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的检查方法
EP1602613A1 (en) Counterbalancing self-running elevator
JP5191825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4558336B2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CN113165842A (zh) 适用于电梯用2:1绳索连接方法的悬吊滑轮
CN219885403U (zh) 一种对重绕绳装置
CN215160135U (zh) 无机房电梯
CN114104930B (zh) 电梯系统
CN215160134U (zh) 无机房电梯
KR100895121B1 (ko) 엘리베이터용 구동장치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