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55B1 -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 - Google Patents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255B1
KR100827255B1 KR1020027010615A KR20027010615A KR100827255B1 KR 100827255 B1 KR100827255 B1 KR 100827255B1 KR 1020027010615 A KR1020027010615 A KR 1020027010615A KR 20027010615 A KR20027010615 A KR 20027010615A KR 100827255 B1 KR100827255 B1 KR 10082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tarch
acid
sheet
co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537A (ko
Inventor
바스티올리안젤로
바스티올리카티아
롬비로베르토
살바티피에로
Original Assignee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2008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Use of pretreated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14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61Time, e.g. start, termination, duration o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6Flow or feed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28Raw material handling or dosing, e.g. active hopper or fee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866Inlet shaft or slot, e.g. passive hopper; Injector, e.g. injector nozzle on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876Feeding, melting, plasticising or pumping zones, e.g. the melt itself
    • B29C2948/92895Barrel or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3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6Foam or porous materi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325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47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20 내지 150 kg/m3 의 밀도, 25 내지 700 ㎛ 의 셀 치수 및 셀의 80 % 가, 연신 부재하에, 20 내지 400 ㎛ 의 치수인 셀 분포를 갖는, 연속 상으로써 발포된 탈구조화 또는 복합화된 전분을 함유하는 발포 시이트 형태의 물질.
반제품

Description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A SHEET AND PRODUCT BASED ON FOAMED SHAPED STARCH}
본 발명은 압출 헤드의 아웃풋(output) 또는 후속 단계에서 성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처리된 생분해성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압출 공정 수단에 의해 발포된, 탈구조화 및/또는 복합화된 전분 기재의 다른 두께 및 프로파일의 시이트와 같은 반제품(partly-finished product)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분 기재 제품은 포장 분야용으로 특히 적당하다.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의 사용은 포장 분야에서 현재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들 제품과 연관된 폐기 문제는, 특히 발포 물질 분야에서, 생분해성이며 재생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분 기재 물질에 대한 새로운 기대를 갖게 하였다.
당기술 분야에서는 발포 전분 기재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접근하였다. 그러나, 전분의 성질 및 특성 때문에, 중량 및 수행능이 고려되는 한, 특히 힌지 포인트에서 제품의 취약성이 고려되는 한, 공업적 속도로 정규 방식으로 반제품을 경쟁 제품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반제품의 밀도, 치수 및 셀 분포의 최적 성질을 갖는 전분 기재 발포 제품을 수득하는 것은 현재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히 시이트 및 연관된 성형 품목의 형성을 위해 이용되는 전분 기재 발포체의 제조에서 그러하다.
특히, 생성된 제품의 탄성, 특히 연속적인 벤딩(bending) 후에도 힌지 (hinge) 영역에서의 탄성이 남아있도록 치수, 셀분포 및 밀도에 대하여 최적 성질을 갖는, 연속상에서 전분으로 공업 공정을 사용하여 형상화될 수 있는 시판의 전분 기재 반제품은 아직 없다.
사실상, 여러 가지 합성 중합체 및 첨가제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전분 기재 조성물을 만들고 연구하는 것에 많은 관심이 있어왔으나 , 발포 구조의 균일성, 표면 평활성, 및 발포된 공작물의 낮은 취약성과 같은 매우 적합한 성질을 갖는 발포 제품의 제조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압출 및 발포 공정을 이용하는 문제는 한정된 관심을 받아왔다.
출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전분 물질, 전체 조성물의 4 내지 30 중량% 범위의 물, 가능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 가능하게는 가소제, 윤활제, 계면 활성제, 약산 등과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압출기에 공급된 출발 조성물로부터 수득된다. 출발 조성물의 성분에 대하여는, 유럽 특허 출원 EP/0 696 611 호의 내용을 참고로 본 출원에 도입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그 자체가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두께 및 프로파일의 시이트와 같은 발포 반제품, 및 연속 상으로 탈구조화 및/또는 복합화 전분을 함유하는 관련된 조형화된 성형제품 및 그 자체가 완성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분 물질에 관한 한, 이는 미정제 및 변성된 전분 모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감자, 밀, 옥수수, 및 타피오카 전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변성된 전분에 관한 한, 이들은 물리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변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톡실화된 전분, 아세테이트 전분, 부틸레이트 전분, 프로피오네이트 전분, 히드록시프로필레이티드 전분, 양이온성 전분, 산화 전분, 가교 전분, 젤라틴화 전분, "V" 형 복합물을 부여할 수 있는 분자 및/또는 중합체와 복합화된 전분, 덱스트린화 전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우레아, 폴리실록산, 실란, 티타네이트, 지방 사슬 등과 같은 사슬로 그라프트화된 전분이 있다. 바람직한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변성된 전분은 30℃ 에서 DMSO 중, 2 dl/g 내지 0.6 dl/g, 바람직하게는 1.5 dl/g 내지 0.8 dl/g, 및 더 바람직하게는 1.3 dl/g 내지 1 dl/g 범위의 고유 점도를 갖는, 임의의 종류의 변성을 가한 것이다.
제분 작업으로부터 배출된 곡분 및 거친 곡식 가루는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
탈구조화된 전분이란 용어는 전분 과립의 분자 구조에 수반하는 불규칙성을 얻고 열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융합 온도보다 높게 열 처리된 전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은 특허 EP 118240 호 및 EP 327505 호를 참고한 것이다.
반면 복합 전분은 제 2 차 유도 X-선 스펙트럼 및 FTIR 특성을 갖는 "V" 형 복합물 (단일 나선 구조) 의 형성에 아밀로스 성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관계하는 전분을 의미한다.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하여, 60 내지 175 ℃ 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을 갖는 중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특히 적절하며, 특히 70 내지 110 ℃ 범위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을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변성 및 비변성될 수 있는 천연 기원의 중합체, 특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1 내지 2.5 의 치환도를 가짐); 알킬 셀룰로오스 타입의 중합체, 히드록시 알킬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알킬 셀룰로오스, 특히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풀루란 또는 카제인 및 카제네이트, 제인, 대두 단백질, 알긴산 및 알기네이트, 천연 고무, 폴리아스파르테이트, 글루텐;
- 합성 또는 발효 기원의 생분해성 중합체, 특히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C2-C24 지방족 히드록시산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상응하는 락톤 또는 락티드, 특히 여러 D/L 락트산비를 갖는 락트산의 중합체, 및 바람직하게는 4-25 몰 % 를 포함하는 D-락트산과의 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락트산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작용성 산 및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특히 사슬 증량제로 처리되거나 비처리된,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이 40 몰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몰 % 미만의 양으로 있는 알킬렌-테레프탈레 이트 아디페이트형의 공중합체,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 및 특히 비스페놀 수지;
- 전분과 상호작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 즉, 소수성 배열이 개재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에틸렌 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불포화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알콜 및 카르복실 작용기를 갖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비스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 융점을 저하시킬 목적으로, 전분과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중합체, 특히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변성될 수 있는, 다양한 가수분해도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 및 예비 가소화 또는 변성된 폴리비닐 알콜.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비닐 알콜, 올레핀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비닐 알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카프로락톤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숙시네이트, 아젤라산, 세박산, 브라실릭산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세바케이트, 폴리알킬렌아젤레이트, 폴리알킬렌브라실레이트, 특히 C2-C13 을 포함하는 디올과의 공중합체, 이량체 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형의 방향족-지방족 중합체 및 에폭시 수지, 특히 비스페놀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된 발포 반제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핵제를 포함한다. 사실상 적당한 성핵제의 사용은 시이트의 셀의 균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정 중에 이용된 성핵제의 양은 압출된 반제품의 원하는 형태 및 공정 조건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는, 성핵제의 양은 출발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 범위이다.
사용 가능한 성핵제는, 예를 들어 무기 화합물, 예컨대 탈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탄산 칼슘, 소듐 및 바륨의 술페이트, 이산화 티탄 등이며, 가능하게는 실란, 티타네이트 등과 같은 접착 촉진제로 처리된 표면이다. 출발 조성물에 대한 0.5 내지 20 중량% 의 농도로,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그레이프 잔류물, 밀기울, 옥수수 껍질, 기타 천연 섬유와 같은 유기 충전제 및 섬유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성, 투수성 및 가스 투과성,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브미크론 치수, 바람직하게는 500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0 ㎛ 미만,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으로 라멜라에서 저감(reduced) 및/또는 분산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전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자로 작용화된 히드로탈사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규회석 (wollastonites) 과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실리케이트 및 제올라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실란, 티타네이트 등에 의해 도입된 특정 작용기와 함께 복합화된 전분의 서브미크론 입자이다.
출발 조성물은 적당한 첨가제, 예컨대 윤활제 및/또는 분산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충전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식용유,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야자유, 옥수수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C12 내지 C22 지방산 및 여러가지 치환도를 갖는 이들의 글리세리드, 및 특히 적어도 주변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 위에서 고체인 동물 기원의 지방 또는 합성 수소화 지방이 수분에 의한 습윤성 감소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 위해서 사용된다. 압출 동안 전분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과 같은 약산, 및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들의 유도체, 시트르산의 에스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출발 조성물은 압출기에 직접 공급되거나 또는 예비적으로 압출되거나 또는 펠렛화된 과립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시이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발포 반제품은, 전분 물질의 점도를 최적화하고 성핵제를 균일화하며 용융 매스에 발포제를 혼합하기 위해, 상당히 긴 머무름 시간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느린 이축 스크루 압출기 또는 2 개의 단일축 스크루 탠덤 압출기와 같은 특정 압출기에 의해 수행된 베이스 전분 조성물의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느린 이축 스크루 압출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압출 공정의 수행에서 압출 온도는 특정 제형의 기능 및 반제품 및 완제품의 원하는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 매스의 온도 조절은 구체적인 특성을 갖는 제품을 수득하기 위해 중요하다.
압출 공정중의 용융 매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23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10 ℃ 및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 ℃ 로 스크루의 프로파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제품의 발포는 화학 발포제도 함유할 수 있는 물리적인 발포제의 적당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성취된다. 특히, 물과 조합된 가스 형태의 CO2 또는 물 및 기타 물리 및 화학 발포제와 조합된 가스 형태의 CO2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발포제 중에서, 고려될 수 있는 것으로는 그 중에서도 특히, 시트르산, 중탄산염 및 이들의 조합물이다.
발포제는 용융 상태로 존재하는 압출기에 공급된 출발 물질이 있는 압출기의 영역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포제는, 압출기 공급 구역으로의 용융 매스의 역류 현상에 의해 압출 공정이 변경되지 않는 방식으로 압출기의 전위 영역에 공급된다.
CO2 는 용융물의 온도가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90℃ 인 영역에, 호퍼로 공급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4 % 초과, 바람직하게는 0.8 % 초과의 농도로 공급된다. CO2 및 H2O 의 혼합물 및 특정 농도는 낮은 밀도 및 셀 구조의 결정 요인이다.
CO2 의 양은 0.4 내지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7 중량 % 및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 % 의 범위로 변할 수 있다. CO2 는 용융물에 첨가된 다. 팽창을 위해 압출기 호퍼로 공급된 조성물의 전체 수분 함량은 4 중량 %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8 중량 % 내지 20 중량 % 및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내지 18 중량 % 이다.
압출기는 편평하거나 관형의 압출기 헤드에 의해 완성된다; 관형 헤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압출기 헤드의 배치는 노즐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단 속도의 작은 변화가 국지적인 점도에 상당한 변화를 발생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발포 공정이 변경되며, 따라서 시이트의 두께, 세포 치수, 선택적 유동의 존재가 명백하게 불규칙적이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시이트의 출발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압출기의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물질의 탄성 메모리를 제거할 수 있어야하며 동시에 노즐로 물질이 들어가기 전에 어떠한 발포체도 생성하지 않아야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이트를 위한 바람직한 압출 전단 속도는 500 내지 50,000 sec-1 이며,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40,000 sec-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35,000 sec-1 이다.
압출 헤드로부터의 아웃풋에서, 및 성형 공정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시이트는 부직포, 직물, 종이, 생분해성 및 비생분해성 필름 또는 알루미늄으로 적층될 수 있다. 부직포 또는 직물에 관한 한, 이들은 천연 섬유, 예컨대, 주트, 면, 양모,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전분 아세테이트, 비스코스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기재 섬유, 또는 생분해성 중합체,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 카르복실레이트와 C2-C13 선형 범위로부터 선택된 이 알콜 및 이산과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특히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아디페이트 패밀리 및 이들의 공중합체, 특히 테레프탈산 + 아디프산의 양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함량이 55 % 미만인 것, 폴리아미드, 특히 카프로락탐, 지방족 아민 등을 기재로한 폴리아미드, 지방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폴리우레아, 및 에폭시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적층 또는 코팅을 위한 필름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락트산의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의 적당한 생분해성 접착제, 카제인 및 글루텐과 같은 단백질, 전분 및 기타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열 용융물의 적용 및/또는 열(temperature) 을 통해 시이트에 결합(coupling)된다.
필름은 캐스팅 또는 버블 필름 성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발포 지지체에 대하여 접착 표면과 함께 공압출될 수 있다. 60 ℃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 초과, 및 더 바람직하게는 100 ℃ 초과의 융점을 갖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필름에 결합된 반제품은 시이트 그 자체로써 성형하지 않고 사용되거나 또는 발포 또는 성형 공정을 수행하여 완제품으로 성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코팅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팽창 입자의 처리를 위해 유럽 특허 EP 696612 호에 기술된 타입의 에멀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융점 120 ℃ 이하의 천연 및 합성 왁스도 또한 적용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는 성형 또는 조형 단계 전 또는 후일 수 있다.
발포 시이트는 또한 다층의 내부 및 외부 사이가 구별되는 성질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다른 전분 기재 물질의 발포층과 함께 공압출시킬수 있거나, 또는 적층 필름에 대해 상기 언급된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낮은 친수성을 갖는 물질층과 공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시이트는 성핵제 및 가스 및/또는 증기가 용융 매스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균일 용융 매스로부터 출발하여 수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압출기내에서의 체류시간은 5 내지 40 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분, 및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분이어야 한다.
발포 시이트는 압출 조건 및 캘린더링에 의해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관형 시이트의 경우, 헤드는 버블 필름 성형의 경우에서처럼, 공기 취입 시스템 또는 증기 취입 시스템이 그 안에 설비되어 있어야 하거나 또는 공기 취입 또는 증기 취입에 의해 위치가 확정되어야 하며, 시이트를 팽창시키고, 이것을 이축 연신 하여, 웨이브의 형성을 예방 또는 규제한다. 시이트는 0.5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mm 의 두께를 갖는다. 반제품의 두께는 시이트를 연신 및 캘린더링하여 성취될 수 있다.
발포 시이트는 주름이 잡힐 수 있으며 주름은 발포체의 쿠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주름은 다른 폭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생성된 판넬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는 발포 시이트 두께의 약 두배일 수 있다. 주름의 빈도는 미터당 350 까지 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시이트는 다층내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포장 분야, 예컨대 고탄력성의 발포 블록 및 시이트, 보호 용기 또는 코너에서 다른 제품을 위한 다른 외형을 형성한다. 적용하기 적당한 분야의 특정 예로는 가전제품, 전자제품, 식품 분야, 제약, 디자인 및 가구, 통신 판매 및 서신용 봉투가 있다. 또한 시이트는 기타 지지체층과 결합함으로써 목재, 종이, 판지, 천연 및 합섬 섬유의 직물, 알루미늄 및 기타 금속과 혼합된 다층을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타입의 제품은, 습윤에 대한 이들의 접착 특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 용융물 또는 분무된 용융물과 함께 포장될 부분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성형 제품 또는 시이트의 결합으로부터 수득된 제품은 외부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수행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품은 또한 시이트를 권선(winding) 및 접착하거나, 또는 직접 관을 압출하여 수득된 롤 및 관일 수 있다. 롤 및 관은 휴지, 주방 휴지, 또는 기타 타입의 지지체로써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병 등과 같은 원통형 물건의 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시이트 성형 방법
성형은 연속 공정 또는 배치 공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연속 공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제품의 제조는 연속적인 압출/캘린더링 단계, 임의의 조건화 단계 및 성형 단계를 제공한다. 배치 공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제품의 제조는 코일로 시이트를 권선하거나 시이트를 수집하는 압출/캘린더링 단계를 제공하며; 반제품은 제 2 단계에서 조건화 및 성형될 수 있다.
연속 발포 공정에서, 압출기로부터의 시이트 형상의 반제품은 40 ℃ 이상의 온도, 및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의 온도 및 6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 및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 % 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구상된다. 시이트의 온도는 150 ℃, 바람직하게는 100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합성 성분이 존재한다면, 성형 온도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에 근접해야 한다.
또한, 연속 공정에 대한 상기 온도 범위 및 수분 함량에 대한 예비 조건화 공정을 수행하여 배치 공정에 의한 반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조건화 단계는 직전에 선행되거나 또는 성형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햄버거 용기와 같은 특성, 특히 심미적 특성을 갖는 복합 형태의 제품조차도, 인접 암수 금형간에 최대 압축 수준 및 제품의 최종 최소 두께를 한정하여 주위 온도, 및 어쨌든 100 ℃ 이하의 온도에서 성형 공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시이트로 도 1 의 햄버거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는 예로써 도 2 에 도시하였다. 암 (11) 및 수 (10) 금형은 햄버거 용기의 측면 벽 바로 옆에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고안될 수 있다. 암수간의 이러한 공간은 성형동안 파열없이 발포 시이트의 미끄럼 (slipping) 을 허용한다.
반제품의 특성과 함께, 본 발명의 주제인 성형 방법은 20 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초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는 7 초 미만의 성형 사이클을 허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형 공정에서, 수분 함량 및 온도와 관련괸 인자는 반제품의 양호한 성형성을 성취하기 위해 중요하다. 사실상 압출기 노즐로부터 출구에서 반제품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손실은 붕괴 현상 및 과도한 건조 현상 모두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분의 제거 수준에 대한 엄격한 조절을 수행할 필요가 있게 한다.
성형은 발포되었으나 폐쇄된 관형 시이트에 대하여 주위온도에서 금형 또는 다이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시이트의 건조 문제를 제한하면서, 금형당 두층의 시이트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관형 시이트가 서로 알맞게 분지된다면, 직물 표면과 유사한 양상을 갖는 제품의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성형은 일반적으로 개방된 관에 대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수분 함량은 증기를 사용하는 조건화 상태를 이용하여 조절된다.
시이트의 특성
본 발명의 주제인 반제품 또는 발포 시이트를 구성하는 물질은 30 ℃ 에서 DMSO 중 1.5 내지 0.3 dl/g,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0.4 dl/g 및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0.6 dl/g 범위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반제품에서, 셀 치수는 25 내지 700 ㎛ 및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0 ㎛ 범위를 갖는다 (현미경 검사로 측정됨).
발포 반제품은, 셀이 서로간에 상당히 연결된 개방 셀 형태와는 다른, 서로 간에 실질적으로 단절된 셀인 폐쇄된 셀 형태를 갖는다.
반제품은 20 내지 150 kg/m3,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 kg/m3,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kg/m3 의 밀도를 갖는다.
시이트의 발포 구조는, 셀의 80 % 가 연신 부재하에서, 20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0 ㎛ 및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 범위의 치수를 갖는 셀 분포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연신이 시이트에 적용될 때, 셀은 그러나, 벽이 박막화(thinning) 될 수 있다.
평균 셀 치수가 80 내지 120 ㎛ 이며, 밀도 특성이 30 내지 70 kg/m3 이고 탄력성을 최적화한 시이트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제품은 주로 식품 포장 분야에 사용되며, 특히 육류, 유제품, 야채류, 계란, 및 과일 포장을 위해, 30 일 정도의 수명을 갖는 식품용 트레이; 매우 작은 치수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포장을 위한 홀더, 햄버거, 감자 칩 및 유사 제품을 위한 용기와 같은 패스트 푸드용 용기; 패스트 푸드 및 음식을 위한 런치 박스로 알려진 식품용 다 구획 용기, 커피 및 기타 뜨겁거나 찬 음료용 컵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 제품은 또한 특히, 압착 종이 등의 용기와 마주쳤을때 마모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 기계적 성질을 갖는, 특히 소형 가전 제품 및 휴대용 전화기를 위한 다구획 트레이와 같은 경량의 물건을 위한 용기로써 사용된다.
고온 또는 저온에서 액체인 식품 적용에 적용하는 경우, 용기는 사용시의 온도에서 액체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발포체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또는 전분 또는 기타 중합체의 또 다른 층에 결합되거나 공압출될 수 있다. 특히,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의 특정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알킬렌 부틸레이트, 폴리알킬렌 숙시네이트, 폴리알킬렌 세바케이트, 폴리알킬렌 아젤레이트, 폴리시클릭 알킬렌 디카르복실레이트, 특히 폴리헥실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올리시클로헥실디카르복실레이트이다. 육류를 포장하는 경우에서처럼 액체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면, 시이트에 직접 삽입되거나, 표면 또는 서로 접착된 두 쉘간의 중간층에 적용되거나 또는 트레이를 불침투성이 되도록 하는 필름 아래에 적용될 수 있는 초강 흡수 재료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로 요리를 하는 동안 용기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가능하게는 발수 코팅으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위해 성형된 제품이 고려된다.
성형 제품의 특징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제품은 40 내지 400 kg/m3,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200 kg/m3, 및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kg/m3의 낮은 상대 밀도를 갖는 폐쇄된 셀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된 제품은, 셀의 미세하고 균일한 형태로 인하여, 특히 힌지 영역에서,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다. 이러한 제품은 또한 매우 양호한 균일 표면을 갖는다.
도 2 에서 번호 (12) 로 표시된 바와 같은 힌지는, 판지(cardboard) 힌지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리브를 성형함으로써, 성형 단계에서 수득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약 2-4 초간의 각각의 180°개방/폐쇄 조작을 사용하여, 파단없이 35 % RH 및 23 ℃ 에서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 20) 의 연속 180°개방/폐쇄 사이클에 대하여 내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4 초간의 각각의 개방/폐쇄 사이클을 사용하여, 파단없이 40 % RH 및 23 ℃ 에서 100 이상의 연속 개방 및 폐쇄 사이클에 대하여 내성이 있다.
유연성의 양호한 성질은 또한 온도 및 상대 습도가 상기 값에서 조절되도록 개조된 기후셀이 있는 동력계로 실험될 수 있다. 이들 길이의 중앙에 힌지를 갖는 25 x 10 cm 의 샘플은 동력계의 모빌바의 3000 - 10,000 mm/min 범위의 속도로 0 내지 180 ° 로 개방/폐쇄 사이클에 맡긴다.
본 발명의 설명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써 제공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설명된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 수분 함량 14 % 이며 30℃ 의 DMSO 에서 1.1 dl/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탈구조화된 감자 전분 88.9 %
- 8.9 중량 % 의 폴리비닐알콜
- 1.8 중량 % 의 탈크
- 0.35 중량 % 의 글리세롤
- 0.36 중량 % 의 록시알 G10
- 2 중량 % 의 물.
조성물을 직경 (d) = 113.8 mm 및 L/D 비 = 19:1 을 갖는 공회전 스크루 (co-rotating screws) 가 있는 느린 이축 스크루 압출기에 공급한다. 압출기의 끝에 직경 100 mm 및 0.5 mm 의 립 개구가 있는 관형 시이트를 위한 압출 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압출기에서 용융물의 머무름시간은 약 20 분이다.
공급 혼합물에 함유된 물 이외에, 1 중량 % 의 CO2 를 37 바의 공급 압력에서 추가의 팽창제로써 용융 매스에 더 첨가한다. CO2 를 스크루의 11 번째 직경의 레벨에 도입한다.
조작 조건은 하기와 같다:
- RPM : 16
- 온도 프로파일(℃) :
95/120/120/150/180/180/185/190/197
- 공급 속도 : 54 kg/h
- 립 전단 속도 : 912 sec-1
수득된 발포 시이트는 56 kg/m3 의 밀도 및 40 내지 170 ㎛ 의 셀치수를 가지며, 셀 치수의 평균 값은 81 ㎛ 이다.
30 ℃ 의 DMSO 에서 취한 시이트를 구성하는 물질의 고유 점도는 0.68 dl/g 이다. 시이트는 코일에 감는다.
실시예 2
하기 조성을 갖는 혼합물이 제조된다:
- 밀 전분 34.4% (12% H2O)
- 감자 전분 34.4% (16% H2O)
- 폴리비닐알콜 13.5%
- H2O 17.4%
- 모노글리세리드 올레산 0.3%
이 혼합물은 직경 (d) = 80 mm 및 L/D 비 = 40 을 갖는 이축 스크루 APV 2080 압출기에 공급한다. 이것을 하기 조건에서 조작한다:
- RPM : 285
- 온도 프로파일 :
50/75/75/180/180/170/170/175/175/165/165/155/155/145/120
기체제거는 과립내의 전체 수분 함량이 약 14.5% 가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펠렛의 고유 점도는 1.98 dl/g 이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과립은 약 1.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2.5 % 의 탈크와 혼합시키고, 하기 조건에서 조작되는, 0.4 mm 의 립 분리 및 100 mm 직경의 관형 시이트를 위한 압출헤드와 직경 (d) = 113.8 mm 및 L/D 비 = 19:1 인 공회전 스크루가 있는 느린 이축 스크루 압출기에 공급한다:
- RPM : 14
- 온도 프로파일 (℃):
90/120/120/140/165/165/170/186/186
- 공급 속도 : 50 kg/h
- 전단 속도 : 1360 sec-1
용융 매스에, 추가의 팽창제로써, 1.5 중량 % 양의 CO2 를 40 바의 공급 압력에서 첨가한다. 수득된 관형 시이트는 약 3 mm 의 두께, 70 kg/m3 의 밀도 및 90 ㎛ 의 평균 셀 치수 (최소/최대 셀 치수 = 10/290 ㎛) 를 갖는다. 시이트의 수분 함량은 약 1.8 중량% 이고 시이트를 구성하는 물질의 고유 점도는 m = 1.1 dl/g 이다.
실시예 3
실시예 2 에서 수득된 관형 시이트를 캘린더링하고 시이트의 수분 함량이 15 % 가 될 때까지 증기 조건화 공정을 수행하여 개구시킨다. 패스트푸드 제품에 적당한 햄버거용 용기의 힌지 트레이를 위한 암수형의 도 2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당한 금형으로 성형이 수행된다.
성형은 6 kg/cm2 의 압력을 가하여 약 80 ℃ 의 온도에서 유지된 시이트상에 주위 온도에서 다이로 수행된다. 성형 사이클은 약 6 초이며 이와 같이하여 수득된 제품은 약 1.6 mm 의 두께 및 165 kg/m3 의 바닥 벽 밀도를 갖는다.
특히, 수득된 제품은 폭 10 cm 의 힌지에 의해 연결된 12.5 cm 의 길이를 갖는 두 비대칭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 구역은 특히 기계적 강도의 성질을 갖는다. 35 % RH 및 23 ℃ 에서 개방/폐쇄 사이클에 대해 3 초간 (약 5000 mm/min 에 해당) 20 회 연속 벤딩을 한 후에도, 이것은 계속해서 그 기능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제품은 또한 제품에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움을 부여하는 중복 편평 리브 (super-imposed flattened ribs) 로 구성된 매우 평활한 표면을 갖는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따라 수득된 수득된 감은 시이트는 14 % 의 수분 함량을 유지시킨다. 시이트에 THF 에서 1.1 dl/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테레프탈레이트 33 몰 % 를 함유하는 14 ㎛ 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아디페이트 필름을 적용한다. 적용된 필름이 있는 시이트는 80 ℃ 가 되게 하고 실시예 3 에서 기재된 금형에서 성형시킨다. 수득된 용기는, 발포 전분 용기의 붕괴 또는 균열없이 80℃ 에서 20℃ 로 온도가 저하되는데 필요한 시간인 1 시간 동안 80℃ 에서 내수성이 있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 세바케이트 필름을 적용하였다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같이 수행한다. 트레이는 전분 제품의 포화 및/또는 붕괴 없이 완전하게 내수성이 있다.
실시예 6
폴리에스테르 필름대신에 30 g/m2 점도의 부직포를 적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같이 수행한다.
실시예 7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밀도 80 kg/m3 및 두께 300 ㎛ 의 폴리에틸렌 세바케이트의 발포 시이트로 대체되었다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같이 수행한다.
실시예 8
필름을 양쪽면에 적용하였다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같이 수행한다. 생성된 트레이는 쇠고기의 포장 시험을 위해 이용된다. 기계적 성질 및 육류의 보전성에 대한 결과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트레이에 대하여 관측된 것에 필적한다.
실시예 9
실시예 1 에 따라 수득된 관형 시이트를 2.5 cm 깊이 및 15x12 cm 트레이 형태의 암/수 금형으로 실시예 3 의 조건에서 직접 성형하여 두께 약 3 mm 의 이중 용기를 형성한다. 이중 용기는 실시예 4 에서 기술된 타입의 서로 용접된 10 ㎛ 의 두 필름 사이에 위치시켜, 그 안에 트레이가 포함되어 있는 백을 성형한다. 필름을 열 수축시켜 육류를 위한 조밀하고 불침투성인 제품을 형성한다.
실시예 10
하기 조성을 갖는 혼합물이 제조된다:
- 74.3 중량 % 의 감자 전분 (H2O 16%)
- 10.0 중량 % 의 에코플렉스(Ecoflex) EBX 7000 (BASF)
- 0.3 중량 % 의 록시올(Loxiol) G 10 F
- 15.4 중량 % 의 물.
조성물은 (d) = 30.0 mm 및 L/D = 40 을 갖는 이축 스크루 압출기 APV 2030 에 공급한다. 조작 조건은 하기와 같다:
- RPM : 170
- 온도 프로파일(℃) :
30/100/100/150/160/150/140/130/110x8
기체제거 단계는 펠렛내의 수분 함량이 약 13.5-14.5% 가 되도록 조절한다. 그 후, 펠렛을 2.5 % 의 탈크, 평균 직경 1.5 ㎛ 의 입자와 혼합하고, 후속하여 직경 (d) = 113.8 mm 및 L/D 비 = 19: 1 인 공 회전 스크루가 있는 느린 이축 스크루 압출기에 공급한다. 압출기의 끝에 직경 100 mm 및 0.1 mm 의 립 개구가 있는 관형 시이트를 위한 압출 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조작 조건은 하기와 같다:
- RPM : 14
- 온도 프로파일(℃) :
90/120/140/180/210/210/210/195/196
- 공급 속도 : 72 kg/h
- 전단 속도 : 31531 sec-1
공급 조성물에 대하여, 0.8 중량 % 의 CO2 를 40 바의 공급 압력에서 추가의 팽창제로써 용융 매스에 더 첨가한다. 수득된 발포 시이트는 약 5 mm 의 두께, 81 kg/m3 의 밀도(캘린더링) 및 86 ㎛ 의 셀 치수 평균값 (셀 치수는 35 내지 188 ㎛ 범위이다) 을 갖는다.

Claims (45)

  1. 발포체를 만드는 전분은 30 ℃ 에서 DMSO 중 1.5 내지 0.3 dl/g 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20 내지 150 kg/m3 의 밀도, 25 내지 700 ㎛ 의 셀 치수, 셀의 80 % 가, 연신 부재하에, 20 내지 400 ㎛ 의 치수인 셀 분포를 갖는, 연속 상으로써 발포된 탈구조화 또는 복합화된 전분을 함유하는, 발포 시이트 물질 형태의 발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25 내지 100 kg/m3 의 밀도, 40 내지 600 ㎛ 의 셀 치수, 셀의 80% 가, 연신 부재하에 25 내지 300 ㎛ 의 치수인 셀 분포를 갖는, 발포 시이트 물질 형태의 발포체.
  3. 제 2 항에 있어서, 30 내지 70 kg/m3 의 밀도, 셀의 80% 가, 연신 부재하에, 30 내지 200 ㎛ 의 치수인 셀 분포를 갖는, 발포 시이트 물질 형태의 발포체.
  4. 제 3 항에 있어서, 30 내지 70 kg/m3 의 밀도 및 80 내지 120 ㎛ 의 평균 셀 치수를 갖는, 발포 시이트 형태의 발포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천연 또는 변성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발포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변성 전분이 감자, 밀, 옥수수, 및 타피오카에서 유도된 발포체.
  7. 제 5 항에 있어서, 변성 전분이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변성된 발포체.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단없이 35% RH 및 23℃ 에서, 각각의 개방 및 폐쇄 조작을 2-4 초간 수행하는 10 회 이상의 연속 개방/폐쇄 사이클을 견딜 수 있는 성형 단계에서 수득된, 힌지를 갖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발포체.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 에서 DMSO 중 고유 점도가 1.2 내지 0.4 dl/g 인 발포체.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 에서 DMSO 중 고유 점도가 1.1 내지 0.6 dl/g 인 발포체.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 내지 175℃의 융점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발포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변성되거나 변성되지 않을 수 있는 천연 기원의 중합체인 발포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합성 또는 발효 기원의 생분해성 중합체인 발포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에틸렌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또는 이타콘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포화산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알콜 및 카르복실 작용기를 갖는 친수성 단위가 있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알콜 및 카르복실 작용기를 갖는 친수성 단위가 있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또는 비스페놀을 함유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배열이 개재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인 발포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융점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분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인 발포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비닐알콜, 올레핀 중합체와 비닐 알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숙시네이트, 아젤라산, 세박산, 브라실릭산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세바케이트, 폴리알킬렌-아젤레이트, 폴리알킬렌브라실레이트, C2-C13을 포함하는 디올과의 공중합체, 이량체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형의 방향족-지방족 중합체 및 비스페놀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발포체.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범위의 농도로 성핵제를 함유하는 발포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성핵제가 탈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탄산 칼슘, 소듐 및 바륨의 술페이트, 또는 이산화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 조성물로 구성되고, 성핵제의 표면은 실란 또는 티타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접착 촉진제로 처리되는 발포체.
  1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범위의 농도로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그레이프 잔류 분말, 밀기울, 옥수수 껍질, 또는 천연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충전제 및 섬유를 함유하는 발포체.
  2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핵제; 윤활제, 분산제, 또는 윤활제 및 분산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발포체.
  2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에 의한 습윤성 감소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자유, 옥수수유, 대두유 또는 해바라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식이성 오일, C12 내지 C22 지방산, 이들의 글리세리드, 및 적어도 주변 온도에서 고체인 동물 또는 합성 기원의 수소화 지방을 함유하는 발포체.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 공정 동안 전분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락트산, 타르타르산 또는 시트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산을 함유하는 발포체.
  2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 직물, 종이, 생분해성 및 비생분해성 필름 또는 알루미늄 층으로 발포 시이트에 적층화하여 수득된 발포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주트 섬유, 면 또는 양모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직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전분 아세테이트 또는 비스코스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사카라이드 기재 섬유; 또는 생분해성 중합체로부터 출발하여 생성된 섬유의 부직포 또는 직물로 발포 시이트에 적층하여 제조된 발포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블로운 압출, 공압출, 캐스팅 또는 이들의 복합 공정에 의해 수득된, 생분해성 중합체에 의해 구성된 필름으로 결합(coupling)된 발포체.
  2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중합체의 에멀션, 분산액, 용액 또는 열 용융물로 코팅한 발포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락트산의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알콜기재의 생분해성 접착체, 카제인 또는 글루텐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 전분, 덱스트린 및 폴리사카라이드의 적용, 열(temperature), 또는 상기 적용 및 열에 의해 필름이 결합된 발포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필름이 캐스팅 또는 버블 필름 성형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발포 지지체를 위한 접착 표면과 공압출될 수 있는 발포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필름이 60℃ 초과의 융점을 갖는 발포체.
  30. 제 25 항에 있어서, 비적층된 시이트로서 성형할 수 있는 발포체.
  3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0℃ 이하의 융점을 갖는 천연 및 합성 왁스로 처리된 발포체.
  3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압출기에 의한, 연속 상으로써 발포된 탈구조화 또는 복합화된 전분을 함유하는 발포 시이트 형태의 발포체의 제조 방법:
    - 전체 조성물의 6 내지 30 중량 % 비율의 물의 존재하에 2 내지 0.6 dl/g 범위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전분을 압출기에 공급하는 단계;
    - 전분 매스를 완전히 용융하는 단계;
    - 전체 조성물의 0.4 내지 10 중량 %의 CO2를, 100 내지 180℃의 용융물에 도입하는 단계;
    - 상기 용융물에 팽창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 팽창제, 물 및 CO2 의 혼합물의 분포를 균일화하고, 조성물의 점도를 1.5 내지 0.3 dl/g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5 내지 40 분간 용융물을 압출기 내에서 체류시키는 작업 단계.
  33. 제 32 항에 있어서, 용융물을 압출기 내에서 체류시키는 작업 단계 이후에, 용융 전단 속도 500 내지 50,000 sec-1로 부여할 수 있도록 평판형(flat) 또는 관형(tubular) 헤드를 통해 용융물의 압출이 수행되는 방법.
  34. 삭제
  35. 제 33 항에 있어서, 관형 시이트가 공기 또는 증기로 취입되어 시이트 자체를 팽창시키고 원하는 수분점에 유지하고, 개방, 캘린더링 및 편평한 시이트로 절단되는 방법.
  36. 삭제
  37.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체의 성형 방법:
    - 발포체를 6 내지 30 중량%의 수분 함량 및 40 내지 120℃의 온도로 조건화 하는 단계,
    - 주위 온도 내지 80℃ 의 암수 충격 금형 내에서의 성형 단계,
    - 반복된 폐쇄/개방 사이클에 대한 힌지 내성을 갖는 40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 성형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주름 형성 단계.
  38. 삭제
  39. 삭제
  40. 육류, 유제품, 야채류, 계란, 과일 포장을 위한 30일 정도의 수명을 갖는 식품용 트레이; 작은 치수의,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 포장을 위한 디스플레이 용기, 패스트 푸드용 용기; 패스트 푸드 및 음식을 위한 다구획 용기로서 식품 포장 분야에 사용되는, 제 37 항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
  41. 커피 및 음료용의 뜨겁거나 찬 액체에 사용되는 컵, 수프용 용기 및 패스트 푸드 및 음식을 위한 액체 함량이 높은 제품용 용기에 사용되는, 제 37 항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
  42. 압착 종이의 용기와 마주쳤을 때 마모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계적 성질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소형 가전 제품을 위한 다구획 트레이의 경량의 물건을 위한 용기로써 사용되는, 제 37 항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
  43. 트레이를 불침투성이 되도록 하는 필름 아래에 적용되는, 존재하는 피를 제거하기 위한 흡수 또는 초강 흡수 재료의 용도로 제공된, 슈퍼마킷에서 육류를 싸기 위한 트레이 형태로 사용되는, 제 37 항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
  44. 수분 제거 효과에 의한 용기의 과도한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 처리된 오븐 및 마이크로웨이브용 용기 형태로 사용되는, 제 37 항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
  4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천연 또는 합성 열가소성 중합체, 및 가소제, 윤활제, 성핵제, 계면활성제, 약산 또는 충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공급하고, 상기 도입되는 팽창제는 시트르산 또는 중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 팽창제인 방법.
KR1020027010615A 2000-02-15 2001-02-14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 KR100827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00A000141 2000-02-15
IT2000TO000141A IT1320163B1 (it) 2000-02-15 2000-02-15 Foglia e prodotti formati a base di amido espans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37A KR20020086537A (ko) 2002-11-18
KR100827255B1 true KR100827255B1 (ko) 2008-05-07

Family

ID=1145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615A KR100827255B1 (ko) 2000-02-15 2001-02-14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010014388A1 (ko)
EP (1) EP1127914B1 (ko)
JP (1) JP2003523432A (ko)
KR (1) KR100827255B1 (ko)
CN (1) CN1273522C (ko)
AT (1) ATE423159T1 (ko)
AU (2) AU3174201A (ko)
BR (1) BR0108382B1 (ko)
CA (1) CA2399964A1 (ko)
DE (1) DE60137659D1 (ko)
ES (1) ES2322544T3 (ko)
IL (2) IL151212A0 (ko)
IT (1) IT1320163B1 (ko)
NO (1) NO20023839L (ko)
WO (1) WO2001060898A1 (ko)
ZA (1) ZA2002064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002A (ko) * 2010-05-14 2013-10-07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조사에 의해 발포되는 생분해성 펠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65A (ko) * 2001-09-01 2003-03-10 드림라이프테크(주)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그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 및그의 제조방법
NZ515097A (en) * 2001-10-29 2004-03-26 Blue Marble Polymer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io-degradable foamed products
CN100402593C (zh) 2002-01-11 2008-07-16 新冰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或可堆肥的容器
NZ535124A (en) 2002-02-21 2007-09-28 Nissei Kk Biodegradable molded article comprising starch and high amylose starch
JP4995407B2 (ja) 2002-04-25 2012-08-08 バナー ファーマキャップ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咀嚼可能なソフトカプセル
US7960326B2 (en) * 2002-09-05 2011-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ruded cleansing product
KR100574547B1 (ko) * 2003-03-21 2006-04-27 율촌화학 주식회사 내수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20307510U1 (de) * 2003-05-13 2004-09-23 Artur Fischer Tip Gmbh & Co. Kg Flexible Bahn
EP1666222B1 (en) * 2003-09-17 2015-02-25 Sekisui Plast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oam particle
EP1671784B1 (en) * 2003-10-03 2012-08-22 Toppan Printing Co., Ltd. Multilayered container made by stretch form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90160095A1 (en) * 2004-11-19 2009-06-25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Biodegradable thermoplasticized starch-polyester reactive blends for thermoforming applications
US7629405B2 (en) * 2004-11-19 2009-12-08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Starch-polyester biodegradable graft copolyer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7939582B2 (en) * 2005-01-24 2011-05-10 Biotech Products, Llc Compostable vinyl acetate polymer compositions, composites and landfill biodegradation
US8487018B2 (en) 2005-01-24 2013-07-16 Biotech Products, Llc Heavy metal-free and anaerobically compostable vinyl halide compositions, articles and landfill biodegradation
GB2428628A (en) * 2005-07-14 2007-02-07 Green Light Products Ltd Multilayer material useful for packaging
JP2009529926A (ja) 2006-03-01 2009-08-27 エフエムシー バイオポリマー エイエス ゲル化複合体
WO2007123598A1 (en) * 2006-04-19 2007-11-01 Fmc Biopolymer As A foam and use thereof
CN1861352B (zh) * 2006-06-12 2011-01-19 南星家居科技(湖州)有限公司 用蒸压法制造轻质菱苦土木丝板的方法
TWM321371U (en) * 2006-12-22 2007-11-01 Chun-Chih Lai Flaky texture for polylactic acid and thin wood sheet
JP5008405B2 (ja) * 2007-01-18 2012-08-22 剛行 山松 ポリ乳酸ラミネート紙からなる紙コップ
JP5211520B2 (ja) * 2007-03-22 2013-06-12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38504B2 (en) * 2007-03-27 2011-05-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WO2009073197A1 (en) * 2007-12-05 2009-06-11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Biodegradable thermoplasticized starch-polyester reactive blends for thermoforming applications
US8524790B2 (en) * 2007-12-27 2013-09-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arch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rch foam
TWI381010B (zh) * 2007-12-27 2013-01-01 Ind Tech Res Inst 澱粉發泡體的製備方法
KR100837834B1 (ko) * 2008-01-11 2008-06-13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생분해성 나노입자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DE102008028394A1 (de) * 2008-06-13 2009-12-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mpostierbare Verpackung für elektronische Bauelemente
JP2012510563A (ja) * 2008-12-03 2012-05-10 エコシンセテイツ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向上した性能を有する生体高分子ナノ粒子バイオラテックス組成物と、それをベースにした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製造方法
US8691340B2 (en) 2008-12-31 2014-04-08 Apinee, Inc. Preservation of woo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CN101613485B (zh) * 2009-06-23 2011-07-27 扬州大学 一种基于生物相容高分子的超多孔材料的制备方法
US8641311B2 (en) 2010-10-11 2014-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head for a target surface
KR101221211B1 (ko) * 2010-12-07 2013-01-1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락트산의 블렌드 방사를 통한 생분해성과 낮은 탄소배출 특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8763192B2 (en) 2011-03-28 2014-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ch head having a stiffening member
US8726444B2 (en) 2011-03-28 2014-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ch head for cleaning a target surface
US9878464B1 (en) 2011-06-30 2018-01-30 Apinee, Inc. Preservation of cellulosic material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8877862B2 (en) 2011-07-15 2014-11-04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 for color stabilization of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US9334360B2 (en) 2011-07-15 2016-05-1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lor-stabilized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8933162B2 (en) 2011-07-15 2015-01-1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Color-stabilized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EP2556953A1 (de) 2011-08-11 2013-02-1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pier-Schaumstoffverbunds
US8946345B2 (en) 2011-08-30 2015-02-0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through the in situ phosphorus containing titanium based catalyst
CN102582963A (zh) * 2012-02-10 2012-07-18 李清华 果蔬、食物调湿抑菌保鲜包装物和制作方法及其应用
US8901273B2 (en) 2012-02-15 2014-12-02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Amorphous,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o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8889820B2 (en) 2012-02-15 2014-11-18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Amorphous,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o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8969506B2 (en) 2012-02-15 2015-03-0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Amorphous,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o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9034983B2 (en) 2012-03-01 2015-05-19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8895660B2 (en) 2012-03-01 2014-11-25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8901243B2 (en) 2012-03-30 2014-12-02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WO2014138236A1 (en) * 2013-03-05 2014-09-12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omposite materials
TWI494323B (zh) * 2013-08-30 2015-08-01 Ind Tech Res Inst 改質澱粉組成物、澱粉複合發泡材料及其製備方法
CA2844886C (en) * 2014-03-06 2020-09-01 Nova Chemicals Corporation Radiation crosslinked polyethylene hinge
KR20150125052A (ko) * 2014-04-29 2015-11-09 (주)엘지하우시스 식품 포장용 발포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1579B1 (ko) * 2014-07-09 2015-03-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옥피를 이용한 가식성 식품 포장 필름 제조 방법
US10400105B2 (en) 2015-06-19 2019-09-03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xtruded starch-lignin foams
NL2016056B1 (en) * 2016-01-05 2017-07-13 Paperfoam Holding B V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products and coated products.
EP3480134A1 (en) * 2016-06-29 2019-05-08 FUJIFILM Corporation Fruit and vegetable packaging material
US10920043B2 (en) 2017-09-19 2021-02-16 NewStarch Solutions, LLC Sheets of starch based packing material, starch pellets for sheet extrusion and methods for forming the pellets and sheets
CN107877767A (zh) * 2017-10-14 2018-04-06 佛山海格利德机器人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型聚氨酯泡沫材料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8675823A (zh) * 2018-04-20 2018-10-19 安徽中都环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柴油机碳烟颗粒净化dpf用蜂窝陶瓷载体
CN109401622A (zh) * 2018-09-12 2019-03-01 安徽康瑞高科新材料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化妆品包装瓶涂料及其制备方法
DE102020115765A1 (de) 2020-06-15 2021-12-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Expandierbares Granulat auf Basis eines nachwachsenden Rohstoffs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2251864B (zh) * 2020-09-25 2022-06-07 江西金源纺织有限公司 一种耐磨改进型粘胶复合纱及其制备方法
DE102022121488A1 (de) 2022-08-25 2024-03-07 Krones Aktiengesellschaft Fasermaterial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s unter Verwendung des Fasermaterials und Behälter umfassend das Fasermaterial
CN117510998B (zh) * 2023-11-14 2024-04-09 中山市泰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环保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037A (en) 1988-12-30 1992-10-0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Biodegradable shaped products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5437924A (en) 1993-07-08 1995-08-0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postable, biodegradable foam core boar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G46154A3 (en) 1983-02-18 1989-10-16 Warner Lambert Co Method for preparing of capsules
GB2214918B (en) 1988-02-03 1992-10-07 Warner Lambert Co Polymeric materials made from starch and at least one synthetic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
WO1991002757A1 (en) * 1989-08-14 1991-03-07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Biodegradable polymers
US5219646A (en) * 1990-05-11 1993-06-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blends and their use in compostable products such as disposable diapers
IT1274603B (it) 1994-08-08 1997-07-18 Novamont Spa Materiali espansi plastici biodegradabili
DE19624641A1 (de) * 1996-06-20 1998-01-08 Biotec Biolog Naturverpack Biologisch abbaubarer Werkstoff, bestehend im wesentlichen aus oder auf Basis thermoplastischer Stärk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037A (en) 1988-12-30 1992-10-0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Biodegradable shaped products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5437924A (en) 1993-07-08 1995-08-0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postable, biodegradable foam core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002A (ko) * 2010-05-14 2013-10-07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조사에 의해 발포되는 생분해성 펠렛
KR101878994B1 (ko) * 2010-05-14 2018-07-16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조사에 의해 발포되는 생분해성 펠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7914A2 (en) 2001-08-29
ATE423159T1 (de) 2009-03-15
AU2001231742B2 (en) 2005-01-20
CA2399964A1 (en) 2001-08-23
EP1127914B1 (en) 2009-02-18
US20090324913A1 (en) 2009-12-31
DE60137659D1 (de) 2009-04-02
US20010014388A1 (en) 2001-08-16
WO2001060898A1 (en) 2001-08-23
AU3174201A (en) 2001-08-27
CN1422299A (zh) 2003-06-04
ITTO20000141A1 (it) 2001-08-15
KR20020086537A (ko) 2002-11-18
BR0108382B1 (pt) 2011-01-25
ZA200206462B (en) 2003-08-13
EP1127914A3 (en) 2001-09-26
IL151212A0 (en) 2003-04-10
BR0108382A (pt) 2002-10-29
CN1273522C (zh) 2006-09-06
NO20023839D0 (no) 2002-08-14
WO2001060898B1 (en) 2001-12-06
IL151212A (en) 2007-06-03
IT1320163B1 (it) 2003-11-18
JP2003523432A (ja) 2003-08-05
ES2322544T3 (es) 2009-06-23
AU2001231742B8 (en) 2005-02-24
NO20023839L (no)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55B1 (ko) 발포 형상 전분 기재 시이트 및 제품
AU2001231742A1 (en) Foamed Starch Sheet
JP2003523432A5 (ko)
CN1980976B (zh) 包含羟基链烷酸的共聚醚酯组合物及由其制备的成型制品
CN1980977B (zh) 包含羟基链烷酸的磺化共聚醚酯组合物及由其制备的成型制品
EP0696612B1 (en) Biodegradable foamed articl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7678444B2 (en) Thermoformed article made from renewable polymer and heat-resistant polymer
US20070148384A1 (en) Processes for filming biodegradable or compostable containers
CN100558785C (zh) 磺化脂族-芳族共聚酯和从其生产的成形物品
US7967904B2 (en) Biodegradable or compostable containers
US20090274920A1 (en) Thermoformed Article Made From Bio-Based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DE19802718C2 (de) Thermoplastische, kompostierbare Polymerzusammensetzung
CN1980975A (zh) 包含羟基链烷酸基团的磺化芳族共聚酯及由其制备的成型制品
CN103097112A (zh) 用于制备波纹产品的设备和方法
Glenn et al. Starch-based foam composite materials: Processing and bioproducts
JP3631743B1 (ja) シート用生分解性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発泡体を用いた生分解性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307703B (en) A sheet and product based on foamed shaped starch
JP2004306507A (ja) エステル変性でんぷん系樹脂複合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JP2002210869A (ja) シートおよびシー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