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330B1 - 모바일용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모바일용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330B1
KR100826330B1 KR1020050088340A KR20050088340A KR100826330B1 KR 100826330 B1 KR100826330 B1 KR 100826330B1 KR 1020050088340 A KR1020050088340 A KR 1020050088340A KR 20050088340 A KR20050088340 A KR 20050088340A KR 100826330 B1 KR100826330 B1 KR 10082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optical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802A (ko
Inventor
이승우
윤상경
유승원
여인재
한규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3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광을 확대 투사하여 영상 이미지를 스크린에 프로젝션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구비된 모노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변조 광학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계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계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광변조 광학계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50088340
프로젝션,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광변조, 회절형 광변조기

Description

모바일용 프로젝터{Projector using in mobil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구동부의 내부 블럭 구성도.
도 3a는 래스트 방식의 표준 영상 입력 데이터의 입력 데이터 시퀀스를 보여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출력 방향과 스캔 방향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a는 480*600 픽셀로 구성되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4b는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횡방향 배열에서 종방향 배열로 트랜스포즈된 구조도.
도 5는 도 1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사시도.
도 6은 입사된 회절광을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6 :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118 :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
120 : 디스플레이부 122 :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140 : 프로젝션 제어부 150 : 광변조 광학계
151 : 모노 광원계 152 : 조명 광학부
153 : 회절형 광변조기 154 : 슐리렌 광학부
155 :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 155b: 갈바노 미터 미러
160 : 스크린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광을 확대 투사하여 영상 이미지를 스크린에 프로젝션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산업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거의 모든 산업부분에서 데스크톱 피씨(desk top 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unit)를 통하여 각종 문자 및 화상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에 의한 정보 활용이 높아지면서 종전의 데스크톱 피씨나 노트북 피씨는 물론 휴대폰에 의해서도 인터넷과 연결하여 정보처리작업을 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데스크톱 피씨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일정 규격의 모니터가 단말기 본체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서 화면의 시각범위와 판독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피씨의 디스플레이장치인 CRT(Cathode ray tube)모니터는, 화면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면서도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비교적 높은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조건이 불리하고, 휴대용으로 부적합하며, 화면방향이 주로 사용자의 정면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시각범위가 모니터 화면의 전면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트북 피씨의 디스플레이장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화면의 크기가 상기 CRT에 비하여 더욱 한정되어 있고, 화면방향도 노트북 본체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서 주로 사용자의 전면으로만 시각범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장치인 액정표시장치는 화면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시각범위와 정보표시면적이 극히 좁게 한정되고, 이에 따라 글자의 크기도 매우 작아서 판독성이 낮으며, 특히 웹브라우저를 내장하여 인터넷과 접속되는 인터넷 휴대폰에서는 단위 프레임 표시면적이 제한됨으로써 전체적인 인터넷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데스크톱 피씨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에 의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필요가 있을 때에 매우 불편하고, 모니터의 양 측면이나 후면 측에서는 전혀 화면을 볼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는, 데스크톱 피씨,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에 커넥터로 연결하여 단말기용 데이터메모리의 데이터를 인터 페이스 하여 TFT 액정표시장치와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액정프로젝터가 제공되어 있으나, 이는 원거리 투사방식으로 밝은 광원을 필요로 하며 장치의 부피가 크고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모노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요구하는 소형화의 요구와 저전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용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구비된 모노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변조 광학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계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계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광변조 광학계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130)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10),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12),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14),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와 모바일용 프로젝터(130)의 프로젝션 제어부(140) 등을 제어하여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스크린(160)에 투사되도록 하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 구비된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 전송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를 화면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120),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나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입력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전송하여 액정화면 등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모바일용 프로젝터(130)로 전송하여 스크린(160)에 영상 이미지가 투사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의 제어에 의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160)에 투사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13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와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제어계로 명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용 프로젝터(130)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광변조 광학계(150)가 생성하도록 광변조 광학계(150)를 제어하는 프로젝션 제어부(140)와,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160)에 투사하는 광변조 광학계(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 입력부(142),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 구동신호 제어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변조 광학계(150)는 모노 광원(R, G 또는 B)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계(151), 광원계(152)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153)에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부(152), 조명 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즉, 조명 광학부(152)가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회절차수의 회절광중에서 어느 한 차수 또는 복수 차수의 회절광이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153),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슐리렌 광학부(154),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슐리렌 광학부(154)를 통과한 회절광으로 이루어진 영상 이미지를 갈바노 미터 미러(미도시)를 사용하여 스크린(160)에 투사하는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를 포함한다.
한편,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142)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122)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으로부터 직접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는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트랜스포즈를 수행하여 횡방향으로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의 영상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처럼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에서 데이터 트랜스포즈가 필요한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을 이용한 광변조 광학계(150)의 경우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픽셀(pixel)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가로 방향으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즉, 도 3a와 같이 래스트 방식의 표준 영상 입력 데이터는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러나, 광변조 광학계(150)의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 미러들이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복수개씩의 이미지 데이터를 횡방향으로 스캐닝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이용한 광변조 광학계(150)는 일예로 480 X 600개의 픽셀로 구성되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를 스캐닝하기 위해 600개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도4a는 480 X 600 픽셀로 구성되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4a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터는 외부에서 횡방향으로, 즉 (0,0),(0,1),(0,2),(0,3)...의 순서로 입력된다.
그러나,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이용한 광변조 광학계(153)은 600개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가 요구되므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횡방향 배열에서 종방향 배열로 트랜스포즈되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부터 횡방향으로 데이터 트랜스포즈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광원계(151)와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제어하여 회절광을 이용한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한편, 광변조 광원계(150)의 광원계(151)는 모노 광원(일 예로 Red 광원, Green 광원 또는 Blue 광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모노 광을 집광하여 출사한다.
다음으로, 조명 광학부(152)는 광원계(151)에서 출사된 광을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회절형 광변조기(153)로 입사시킨다.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조명 광학부(152)로부터 선형의 평행광이 입사되면 광변조를 수행하여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물론 이때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절광을 사용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일예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가 있는데,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는 실리콘 기판(501)과, 절연층(502),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와, 복수의 엘리멘트(510a~510n))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연층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를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였지만 절연층에 광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면 절연층 자체가 하부 마이크로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501)은 엘리멘트(510a~510n)에 에어 스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함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층(502)이 적층되어 있으며,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가 상부에 증착되어 있고,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에 엘리멘트(510a~510n)의 하면이 부착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501)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Si, Al2O3, ZrO2, Quartz, SiO2 등의 단일물질이 사용되며, 바닥면과 위층(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을 다른 이종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는 실리콘 기판(501)의 상부에 증착되어 있으며,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회절시킨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메탈(Al, Pt, Cr, 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멘트(대표적으로 도면부호 510a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나머지도 같다)는 리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분이 실리콘 기판(501)의 함몰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양끝단의 하면이 각각 실리콘 기판(501)의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지역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지지대(511a)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지지대(511a)의 양 측면에는 압전층(520a, 520a')이 구비되어 있으며, 구비된 압전층(520a, 520a')의 수축 팽창에 의해 엘리멘트(510a)의 구동력이 제공된다.
하부 지지대(511a)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Si 산화물(일예로 SiO2 등), Si 질화물 계열(일예로 Si3N4 등), 세라믹 기판(Si, ZrO2, Al2O3 등), Si 카바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511a)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압전층(520a, 520a')은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521a, 521a')과, 하부전극층(521a, 521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522a, 522a')과, 압전 재료층(522a, 522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522a, 522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523a, 523a')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전극층(523a, 523a')과 하부 전극층(521a, 521a')에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재료층(522a, 522a')은 수축 팽창을 하여 하부 지지대(511a)의 상하 운동을 발생시킨다.
전극(521a, 521a', 523a, 523a')의 전극재료로는 Pt, Ta/Pt, Ni, Au, Al, RuO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01~3㎛ 범위에서 sputter 또는 evaporation 등의 방법으로 증착한다.
한편, 하부 지지대(511a)의 중앙 부분에는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가 증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오픈홀(531a1~531a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오픈홀(531a1~531a4)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 타원형 등 어떤 폐곡선의 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에서 하부 지지대를 광반사성 물질로 형성한다면 별도로 상부 마이크로 미러를 증착할 필요가 없으며 하부 지지대가 상부 마이크로 미러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홀(531a1~531a4)은 엘리멘트(510a)에 입사되는 입사광이 관통하여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 입사광이 입사되도록 하며, 이렇게 하여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와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가 화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예로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A) 부분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B) 부분이 하나의 화소(픽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해당 부분에 입사할 수 있으며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간격이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의 회절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절 광변조기는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를 사용하였으나 국내 특허출원번호 P2004-74875(US10/952556)호)호의 함몰형 회절형 광변조기와, 돌출형 회절형 광변조기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P2004-77388호의 "저전압으로 구동되는 회절형 광변조기"나, 제P2004-29928호의 "투과형 압전 박막 광변조기"나, 제P2004-30160호의 "임베디드 회절 광변조기"나, 제P2004-30161호의 "상하부미러가 일체화된 하이브리드 광변조기"나, 제P2004-40384호의 "정전기 방식의 가변형 회절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이나, 제P2004-40387호의 "가변형 회절 광변조기"나, 제P2004-40388호의 "근접장을 이용한 광변조기"등에 개시된 회절 광변조기도 사용가능하다.
그 이외에 실리콘 라이트 머신사의 GLV나, 소니사의 GLV 그리고 코닥사의 GEMS 등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슐리렌 광학부(154)는 일예로 퓨리에 렌즈(미도시)와 색선별 필터(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고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투과/통과시킨다.
그리고,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는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160)에 투사하여 영상 이미지를 스크린(160)상에 생성하여 시청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입사된 회절광을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의 구조도이다.
여기에서,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는 집광 렌즈(155a), 스캐너(155b)와 프로젝션 렌즈(155c)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155b)는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160)에 라인 스캐닝을 수행하여 칼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는 슐리렌 광학부(154)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복수개의 픽셀 일 예로 1080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라인 이미지를 스캔하면서 스크린(160)에 디스플레이하여 칼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집광 렌즈(155a)는 슐리렌 광학부(154)를 통과한 회절빔을 스크린(160)에 초점이 맞도록 회절광을 집광시킨다. 물론 집광렌즈(155a) 이후에 오목렌즈(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슐리렌 광학부(154)를 통과한 회절빔을 집광한 후에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스캐너(155b)에 투영할 수도 있다.
스캐너(155b)는 X축 스캐너이고 갈바노 미터 미러로서 프로젝션 제어부(140) 의 제어에 따라 입사된 라인 이미지를 스크린(160)에 좌에서 우로 스캐닝을 수행한다.
이제,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12)를 사용하여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션 모드를 선택하고(이러한 프로젝션 모드는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스크린(160)에 투사를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이미지를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프로젝션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프로젝션 제어부(140)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신호를 광원계(151)와 회절형 광변조기(153)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러면,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142)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 전송하고,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는 영상 입력부(142)에서 입력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으로 트랜스포즈하여 트랜스포즈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구동신호 제어부(146)로 전송한다.
한편,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신호를 회절형 광변조기(153)로 전송한다.
그러면,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조명 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변조하여 복수의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스크린(160)에 투사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외장형도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연결잭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와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에 접속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프로젝터를 구현하게 되면 소형의 프로젝터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의 회절형 광변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저전력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광변조기가 구비된 모노 광원계에서 출사되는 모노 광을 변조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갈바노 미터 미러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광변조 광학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계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계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광변조 광학계의 상기 광변조기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변조기는 회절형 광변조기로서 입사되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회절광으로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광변조 광학계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상기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광학계와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가 일체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광학계와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잭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외장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광학계의 상기 모노 광학계는 모노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고,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광변조 광학계는,
    상기 모노 광원계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부; 및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이미지를 상기 갈바노 미터 미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용 프로젝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는,
    기판;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각각은 상기 기판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상기 기판에 배향하는 표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반사부 사이에 상기 제1 반사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확보하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반사부들 사이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2 반사부; 및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제1 반사부의 중간 부분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움직여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광으로 형성되는 회절광의 광양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는,
    기판;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각각은 상기 기판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상기 기판에 배향하는 표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픈홀이 형성되어 입사광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반사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반사부 사이에 상기 제1 반사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확보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반사부의 상기 오픈홀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2 반사부; 및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제1 반사부의 중간 부분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움직여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광으로 형성되는 회절광의 광양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계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가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계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용 프로젝터.
  9. 삭제
KR1020050088340A 2005-09-22 2005-09-22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2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340A KR100826330B1 (ko) 2005-09-22 2005-09-22 모바일용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340A KR100826330B1 (ko) 2005-09-22 2005-09-22 모바일용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02A KR20070033802A (ko) 2007-03-27
KR100826330B1 true KR100826330B1 (ko) 2008-05-02

Family

ID=4164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340A KR100826330B1 (ko) 2005-09-22 2005-09-22 모바일용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31B1 (ko) * 2005-09-22 2008-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32618B1 (ko) * 2005-09-27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수직 방향 스캐닝을 수행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84A (ja) * 1989-07-05 1991-02-20 Pioneer Electr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H03121486A (ja) * 1989-10-04 1991-05-23 Pioneer Electr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2000050360A (ja)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投映装置及びその投映装置を搭載した携帯電話機並びに携 帯情報端末
JP2001021992A (ja) 1999-07-09 2001-01-26 C Media:Kk 携帯型端末、携帯型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
JP2002350749A (ja) * 2001-05-23 2002-12-04 Sony Corp 光変調素子駆動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装置、並びに投映システム
KR20060116050A (ko) * 2005-05-09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가능한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
KR20070033803A (ko) * 2005-09-22 2007-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1 패널 모바일용 모노 프로젝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84A (ja) * 1989-07-05 1991-02-20 Pioneer Electr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H03121486A (ja) * 1989-10-04 1991-05-23 Pioneer Electr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2000050360A (ja)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投映装置及びその投映装置を搭載した携帯電話機並びに携 帯情報端末
JP2001021992A (ja) 1999-07-09 2001-01-26 C Media:Kk 携帯型端末、携帯型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
JP2002350749A (ja) * 2001-05-23 2002-12-04 Sony Corp 光変調素子駆動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装置、並びに投映システム
KR20060116050A (ko) * 2005-05-09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가능한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
KR20070033803A (ko) * 2005-09-22 2007-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1 패널 모바일용 모노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02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622B1 (ko)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KR100905554B1 (ko)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EP2278798A2 (en)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US6094294A (en) Optical modulator device,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TWI334046B (en) Color filterles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528020A (ja) 投影装置
US2009001575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JP2004514925A (ja) 覗き込みと投射ディスプレイのデュアルモードシステム
CN111190281B (zh) 光路移位设备以及图像显示装置
KR100826331B1 (ko)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26330B1 (ko)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32621B1 (ko) 정역방향 스캐닝을 수행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US20100118274A1 (en) Projection display having dual mode function
KR100832618B1 (ko) 수평/수직 방향 스캐닝을 수행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JP3337022B2 (ja) プロジェクタ
KR100832619B1 (ko) 1판넬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제어 기능을 갖는 프로젝션제어 장치
KR100890301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컬러 특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6434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40009754A (ko)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