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303B1 -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6303B1 KR100826303B1 KR1020040118053A KR20040118053A KR100826303B1 KR 100826303 B1 KR100826303 B1 KR 100826303B1 KR 1020040118053 A KR1020040118053 A KR 1020040118053A KR 20040118053 A KR20040118053 A KR 20040118053A KR 100826303 B1 KR100826303 B1 KR 100826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
- component
- acid
- composite fiber
- isla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6—Matrix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해도형 복합섬유로 상기 해성분이 질소 분위기하 10℃/분의 승온속도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으로 융점 피크를 발생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섬유 및 이 복합섬유를 사용한 포백(fabric)이다. 이들 포백은 가열처리(텐터가공)에 의해서 뛰어난 형태 안정성을 갖는다.
연화점, 해도형 복합섬유, 폴리에스테르, 형태안정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도형 복합섬유를 사용한 포백으로, 수지 코팅 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열접착에 의하여 형태 안정성을 갖는 포백을 제공하는 것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열세팅에 의해 원사가 융착함으로서 인접하는 원사의 교락점끼리 서로 접착하여 형태 안정성을 갖는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해도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초(sheath)성분에 저융점 폴리머를 사용한 심초형의 형상을 갖는 복합섬유를 사용한 포백으로 열처리에 의해 경사 및 위사의 교락점을 융착하여 고정시킨 포백(fabric)은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백은 촉감이 뺏뻣하고 저융점 폴리머 성분이 직물 표면에 나타나므로 염색견뢰도가 저하하거나 염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많다. 또한 열 처리에 의한 초성분의 융착에 의해 경사 및 위사의 교락점이 서로 융착하여 고정된다 하더라도 그 초성분의 함량이 심성분의 함량에 비하여 더 낮은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충분한 열접착성이 확보되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형태 안정성이 떨어져 포백의 밀도가 낮은 경우를 실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초성분의 함량을 심성분의 함량보다 더 높게 한다면 열처리에 의한 융착에서 그만큼의 많은 초성분이 녹아내림으로써 원사나 포백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데니어가 낮아지거나 불균일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원사나 포백의 품위가 많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상대적으로, 심(core)성분에 저융점 폴리머를 사용한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한 직물로서는 몇몇 예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6-220770호에서는 포백 표면에 명확한 주름 형태의 요철효과와 색차를 갖는 포백을 얻기 위해서 심성분에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초성분에 폴리아미드 성분을 사용한 역전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4-11006호에서는 내마찰 용융성을 향상시킨 스포츠 의류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심성분에 저융점 폴리머를 배치한 역전 심초형 복합섬유로 이루어진 가연가공사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앞의 포백은 굴곡 열고정된 것이나 열처리 조건을 엄격하게 제어하지 않으면 섬유의 촉감이 나빠지거나 굴곡부의 고정이 약해지며 표면에 주름형태의 요철 효과를 부여하는 제품 이외에 다른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또 후자는 슬라이딩 등에 의한 마찰로 손상되지 않는 의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심성분에 저융점 폴리머를 사용한 역전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였다고는 하지만 이 복합섬유가 포백이나 의료의 성능 등에 특별한 효과를 주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플리트(Pleats) 가공, 경화가공 등에 있어서 형태안정성을 제공하거나 우산지 등에 적합한 방수포를 얻기 위해서는 종래 포백 표면에 멜라민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코팅하는 것이 필수였다. 그러나 이들 수지 코팅은 촉감이 뻣뻣해지거나 수지에 따라서는 열 성형 할 때 악취 등의 폐해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의 코팅에서는 코팅면에 있어서 염료의 이행이 일어나기 쉽다. 예를 들면, 승용차의 리어 윈도우부에 방치된 우산은 곧 염료가 이행하여, 우산의 색이 얼룩이 지거나 프린트 무늬가 불선명하게 되는 등 상품으로서는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열세팅에 의해 원사가 융착함으로서 인접하는 원사의 교락점끼리 서로 접착하여 형태 안정성을 갖는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의 열접착 복합섬유로서, 열처리에 의해 해성분이 융착되고 도성분은 융착되지 않음으로서, 초성분이 융착되고 심성분은 융착되지 않는 심초형의 열접착 복합섬유에 비해 융착되어 서로 접착되는 원사 간 인접부위의 면적이 증가하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므로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을 구성하는 원사 간 접착력이 우수하고 밀도를 낮춘 경우에도 그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수지 코팅 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포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해도형 복합섬유로 위와 같은 해성분이 질소 분위기 아래서 10℃/분의 승온속도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으로 융점 피크를 발생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 폴리머로 이루어진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와 이를 열처리한 포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그 단면이 해도형이며 열 기계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고, 위와 같은 해성분이 질소 분위기 아래서 1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에서 융점 피크를 발생시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계 해도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정질 해도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에 결정화도가 낮고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열에 의한 열고정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섬유의 멀티 필라멘트에 의해 직조된 천을 가열하여 융착시킨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에 있어서 경사 또는 위사에 위에 기재한 해도형 복합섬유로 구성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뛰어난 열융착 가공포백을 포함한다. 상기 직물은 저연화점 및 비정질의 폴리머로 이루어진 해성분만을 융착에 의해 열접착시켜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해도형 복합섬유로 위에 기재된 해성분이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으로 융점 피크를 발생시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특히 도성분이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지고, 해 성분이 60 내지 80℃의 유리 전이점을 갖고 더욱이 연화점이 200℃이하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지 않거나 연화점이 200℃이하가 되지 않으면, 해도형 복합섬유로 구성된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을 열처리하여 융착에 의한 열접착을 시킴에 있어서 해성분만 녹고 도성분은 녹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한 적정 열처리 온도를 설정하기가 어려워지거나 또는 잘못 세팅하여 결국 해성분과 도성분이 모두 녹아버리거나 모두 녹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해성분에 이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대표적인 것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산성분에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아제라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나프탈렌 디카르본산(naphthalenedicarboxylic acid),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본산(diphenyl ether dicarboxylic acid) 등의 공지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또 디올 성분에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공지된 디올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 것으로 20몰% 내지 40몰% 비율로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첨가되어도 좋다. 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공중합 성분을 바람직한 연화점이 되도록 방사 및 가공 조업성을 잃지 않는 물성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사용하는 것이 공업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입수가 안정적이며 게다가 폴리머 물성도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는 이소프탈산 성분이 20 내지 40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 해도형 복합섬유의 해/도의 비율은 복합섬유의 횡단면의 면적비율로 15/85 내지 50/50, 더욱 좋게는 30/70 내지 5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섬유의 단면형상은 도성분은 20 내지 50개로 분할이 가능하고 해성분에 파묻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없는 해도형 구조를 갖는다.
이소프탈산 성분이 20몰% 미만이면 해성분의 융착온도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이 해도형 복합사로 만든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은 열처리에 의하더라도 제대로 융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고, 이소프탈산 성분이 40몰% 초과이면 해성분의 융착온도가 너무 낮아지기 때문에 방사 또는 사가공 기타 원사나 포백을 처리하는 공정에서 원사나 포백이 녹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중합 제조공정에서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해도형 복합섬유의 해성분의 비율이 복합섬유의 횡단면의 면적비율로 15 미만이면 열처리에 의한 융착으로 서로 접착하는 해성분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접착성과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의 형태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반대로 면적비율 이 50 초과이면 너무 많은 양의 해성분이 융착하여 접착하기 때문에 오히려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롭지 못하고 열접착성이나 형태안정성 면에서는 별다른 이점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복합섬유의 단면이 심초형인 경우에는 초성분이 융착되고 심성분은 주로 원형의 형태로 그대로 유지되지만, 그 단면이 해도형인 경우에는 해성분이 융착되어 흘러내림과 동시에 20 내지 5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도성분이 펼쳐짐으로서 직물 또는 편물 기타 포백 상태의 교락점에서 인접하는 원사들이 서로 융착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해진다. 한편 도성분이 해성분에 파묻히지 못하고 외부로 노출되면 융착에 의한 열접착 성능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시예 1]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30몰%를 점유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10℃/분의 승온속도에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DSC법)으로 융점피크를 발생시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연화점 140℃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해성분으로 하고,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연화점 240℃)를 도성분으로 하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해/도 용적비) 40/60으로 방사하여, 도성분의 분할수가 37개인 250d/48f 원사를 얻었다. 이 원사를 직물의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통상의 평직물을 제직하고 160℃의 가열처리(텐터가공)를 행하였다.
[실시 예 2]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4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50℃로 한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실시 예 3]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7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60℃로 한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실시 예 4]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5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63℃로 하고 도성분의 분할수가 25개인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실시 예 2]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4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50℃로 한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실시 예 3]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7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60℃로 한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실시 예 4]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5몰%를 점유하고 비정질의 연화점을 163℃로 하고 도성분의 분할수가 25개인 것 이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비교예 1]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15몰%를 점유하고 연화점이 203℃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해성분으로 하고,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연화점 240℃)를 도성분으로 하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해/도 용적비) 40/60 으로 방사하여 도성분의 분할수가 25개인 250d/48f 원사를 얻었다. 이 원사를 직물의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통상의 평직물을 제직하고 160℃의 가열처리(텐터가공)를 행하였다.
[비교예 2]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7몰%를 점유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10℃/분의 승온속도에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DSC법)으로 융점피크를 발생시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연화점 160℃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해성분으로 하고,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연화점 240℃)를 도성분으로 하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해/도 용적비) 10/90으로 방사하여, 도성분의 분할 수가 37개인 250d/48f 원사를 얻었다. 이 원사를 직물의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통상의 평직물을 제직하고 160℃의 가열처리(텐터가공)를 행하였다.
[비교 예 3]
해도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해/도 용적비) 60/40으로 방사한 것 이 외에는 비교 예 2와 동일하다.
[비교 예 3]
해도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해/도 용적비) 60/40으로 방사한 것 이 외에는 비교 예 2와 동일하다.
삭제
삭제
[비교예 4]
이소프탈산(IPA)이 산성분의 27몰%를 점유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10℃/분의 승온속도에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DSC법)으로 융점피크를 발생시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연화점 160℃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초성분으로 하고,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연화점 240℃)를 도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섬유를 복합비율(초/심 용적비) 40/60으로 방사하여 250d/48f 원사를 얻었다. 이 원사를 직물의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통상의 평직물을 제직하고 160℃의 가열처리(텐터가공)를 행하였다.
열접착성 | 형태안정성 | |
실시예 1 | ◎ | ◎ |
실시예 2 | ◎ | ◎ |
실시예 3 | ○ | ○ |
실시예 4 | ○ | ○ |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 × | × |
비교예 3 | △ | △ |
비교예 4 | × | × |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섬유는 뛰어난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을 가지므로 플리츠를 한 커튼이나 의료(衣料), 조화, 부채, 전등 갓, 레인 코트, 윈드 블레이커, 우산, 텐트, 자동차 커버, 가방, 장갑, 깃발(carp streamer), 랜턴 등의 여러 가지 용도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열세트 하는 것에 의해 형태 유지성을 갖는 제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포백은, 직물, 편물, 부직포의 어느 것이든 포함하는 것이며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해도형 복합섬유는 이들 포백을 구성하는 실의 적어도 일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족하다.
Claims (3)
- 해성분의 연화점이 도성분의 연화점보다 20℃이상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해도형 복합섬유로, 상기 해성분이 질소 분위기 하 10℃/분의 승온속도로 가열하는 시차 열분석법으로 융점 피크를 발생하지 않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산성분에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아제라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나프탈렌 디카르본산(naphthalenedicarboxylic acid),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본산(diphenyl ether dicarboxylic acid) 등의 공지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또 디올 성분에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공지된 디올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20몰% 내지 40몰% 사용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해성분과 도성분이 복합비 15 대 85 내지 50 대 50의 해도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도성분의 분할수가 20 내지 5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제 1항 또는 제 2항 기재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해성분의 연화점 이상, 도성분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열세팅하여 수득한, 열 접착성과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포백(fabri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8053A KR100826303B1 (ko) | 2004-12-31 | 2004-12-31 |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8053A KR100826303B1 (ko) | 2004-12-31 | 2004-12-31 |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8737A KR20060078737A (ko) | 2006-07-05 |
KR100826303B1 true KR100826303B1 (ko) | 2008-04-30 |
Family
ID=3717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8053A KR100826303B1 (ko) | 2004-12-31 | 2004-12-31 |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630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991B1 (ko) * | 2009-06-11 | 2010-10-2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369717B1 (ko) * | 2011-12-30 | 2014-03-06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분해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1727B1 (ko) * | 2010-12-31 | 2013-07-04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탄성회복률을 가지는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056A (ko) * | 2002-02-05 | 2002-06-21 | 구광시 | 해도형 복합섬유 |
-
2004
- 2004-12-31 KR KR1020040118053A patent/KR1008263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056A (ko) * | 2002-02-05 | 2002-06-21 | 구광시 | 해도형 복합섬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991B1 (ko) * | 2009-06-11 | 2010-10-2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369717B1 (ko) * | 2011-12-30 | 2014-03-06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분해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8737A (ko) | 2006-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90315B2 (ja) | 布製面ファスナー | |
JP2009209500A (ja) | 染色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染色織物および繊維製品 | |
EP0885988B1 (en) | Cloth having configurational stability and/or water resistance, and core/sheath type composite thread used therefor | |
JP5249649B2 (ja) | 繊維製品 | |
KR20080025495A (ko) | 별형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포백 | |
JP5356771B2 (ja) |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KR100826303B1 (ko) | 열접착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포백 및 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 |
JP5350696B2 (ja) | 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JP2017140770A (ja) | 遮熱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JP2006307383A (ja) | 鮮明性に優れた保温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布帛 | |
KR100649541B1 (ko) | 분할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963931B2 (ja) | 形態安定性に優れたエンボス加工織物 | |
JP2000017578A (ja) | 鞄地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鞄 | |
JP3419578B2 (ja) | 不透明な繊維集合体 | |
KR100825886B1 (ko) | 심지 및 직물제품과 이러한 심지를 직물제품에 장착하는방법 | |
JP3591619B2 (ja) | 産業資材用布帛 | |
JP3963930B2 (ja) | カバリング糸及び平面平滑性を与えた布帛 | |
JP3912625B2 (ja) | 耐水性及び形態安定性を改善した布帛 | |
JP5022290B2 (ja) | 防水透湿性布帛および衣料 | |
JP5260376B2 (ja) | 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JP3591620B2 (ja) | 産業資材用樹脂加工布帛 | |
JP2019181804A (ja) | 遮熱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JP2004332152A (ja) | 原着熱接着性長繊維 | |
JP7267820B2 (ja) | 滑り止め布帛を用いてなるシューズ用インソール | |
JP7201395B2 (ja) |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