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143B1 -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143B1
KR100826143B1 KR1020060100938A KR20060100938A KR100826143B1 KR 100826143 B1 KR100826143 B1 KR 100826143B1 KR 1020060100938 A KR1020060100938 A KR 1020060100938A KR 20060100938 A KR20060100938 A KR 20060100938A KR 100826143 B1 KR100826143 B1 KR 10082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tensile strength
reinforcement
reinforc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680A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739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61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06010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1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봉강, 원형봉강 (이하 철근이라 함) 등을 기계적 이음 방식으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러에 다줄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커플러의 중앙부분의 유효단면적을 크게 하여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는 철근 체결시 손 또는 공구로 커플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수단를 구비한다.
커플러, 철근, 이형봉강, 인장강도

Description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COUPLER FOR IRON REINFORCING RODS TO STRENGTHEN TENSILE STRENGTH}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커플러와 철근 이음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1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의 단면도
도 2B는 2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의 단면도
도 2C는 3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의 단면도
도 3은 2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에 대한 인장실험결과 사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1의 커플러의 사시도
도 5A는 도4의 C-C'선 절개 단면도
도 5B는 도4의 D-D'선 절개 단면도
도 5C는 도4의 E-E'선 절개 단면도
도 6은 2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의 인장 파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2의 커플러의 사시도
도 8은 도7의 F-F'선 절개 단면도
도 9A는 다각형 커플러와 원형 커플러의 단면 비교도
도 9B는 요철부가 형성된 커플러와 원형 커플러의 단면 비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커플러 12 수나사
13 암나사 50 커플러
53 내주면부 54 인장강도 보강부
55 외주면부 56 미끄럼 방지수단
본 발명은 철근과 철근의 기계적 이음에 사용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어주는 철근보다 더 큰 인장하중에 견딜 수 있는 커플러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부족한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철근이 함께 사용된다. 통상 철근은 일정 길이의 규격품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시공 시 필요에 따라 철근과 철근을 이어서 사용한다.
근래에 와서 철근과 철근의 이음은, 커플러라는 이음구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방식으로 이어주는 기계적 이음이 많이 사용된다.
종래부터 사용해온 기계적 이음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기계적 이음에 사용되는 커플러는 보통 [도 1A]처럼 외주면이 팔각, 십이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B]처럼 외주면이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지는 짧은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커플러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암나사(13)가 형성된다.
이렇게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하거나,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는 이유는 철근 체결작업시 커플러가 손이나 공구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이었다.
커플러로 체결되는 철근의 끝 부분에는 상기 암나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나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철근(11)을 커플러(10)로 나사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커플러와 철근에 형성된 나사는 한줄 나사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어서 체결 속도가 느리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체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나사의 리드각을 크게 하여 나사를 1회전 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거리를 크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리드각이 커질수록 나사의 체결력은 약해지므로 단순히 리드각을 크게 하여 체결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한계를 가진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체결속도도 향상시킨 커플러를 공개실용신안 제 20-186303호'콘크리트 보강용 이형봉강의 연결단부 및 그의 연결장치'에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 발명은 [도 1]에 나타나는 종래의 커플러와 구성이 동일하나 커플러의 암나사와 이에 대응하는 철근의 수나사를 2줄 나사나 3줄 나사 같은 다줄 나사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나사의 1회전시 축방향 전진거리가 1리드이므로 체결속도는 리드에 의하여 결정되고, 1줄 나사에서는 L=P, 2줄 나사에서는 L=2P, … , n줄 나사에서는 L=nP(L은 리드, P는 피치, n은 나사의 줄 수)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발명은 다줄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1줄 나사와 같은 피치를 갖더라도 리드가 n배가 되므로 나사를 1회전 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n피치의 거리만큼 전진 시킬 수 있어서 n배 빠르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으나, 반면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도 2A]에는 1줄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커플러의 축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와 A-A'선을 따라 절개한, 즉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도 2B]와 [도 2C]는 각각 2줄 나사와 3줄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커플러의 축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와 B-B'선 및 G-G'선을 따라 각각 절개한, 즉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의 커플러의 축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1줄 나사는 나사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2줄 나사의 경우에는 [도 2B]의 커플러의 축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골과 골이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3줄 나사의 경우는 나사산과 골이 마주보게 형성되기는 하나 한 단면에 마주보는 부분이 3곳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2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와 [도 2B] 및 [도 2C]의 B-B'선 및 G-G'선 따라 절개한 단면도에서 확연히 비교되듯이, 다줄 나사를 형성한 커플러의 유효단면적이 1줄 나사를 형성한 커플러의 유효 단면적보다 대폭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유효단면적은 나사의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산출한 단면적을 말한다.
그런데 철근 콘크리트에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근이음용 커플러 허용인장응력은 구조물 설계기준이 되는 철근의 허용인장응력보다 커야하고, 따라서 커플러로 기계적 이음 처리된 철근을 인장시험하는 경우 철근의 파단이 발생하기 전에 커플러의 파단이 발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3]은 종래의 커플러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한 채 2줄 나사를 형성한 경우에 인장시험을 실시한 경우의 사진으로서, 커플러 내에서 철근과 철근이 맞닿는 부위에서 커플러 파단이 발생하였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다줄 나사를 형성한 커플러의 유효단면적이 1줄 나사를 형성한 커플러의 유효 단면적보다 줄어들어 인장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일어 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커플러는 건설 현장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커플러의 내경은 그대로 유지하고 외경을 전체적으로 확대하여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살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유효단면적을 늘려 주어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철근 콘크리트 시공시 철근의 간격을 굵은 골재가 막힘이 없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를 유지하여 콘크리트에 곰보현상을 방지하는 철근의 순간격(순간격이란 인접하게 배근된 철근과 철근의 바깥 표면 사이의 최단거리를 말한다)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 커플러들은 외주면이 다각형 또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커플러들은 외주면이 다각형인 경우 순간격은 철근에 결합된 커플러의 다각형 외주면의 꼭지점과 인접한 커플러의 다각형 외주면의 꼭지점 사이의 거리로 설계되므로 커플러의 살두께가 두꺼울수록 필요한 순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 철근의 배근 간격을 더 넓혀야하고, 마찬가지로 커플러들은 외주면이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인 경우에도 순간격이 철근에 결합된 커플러 외주면의 철부 표면에서 인접한 커플러 외주면의 철부 사이의 거리로 설계되므로, 이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커플러의 살두께 증가는 재료비의 상승으로 인한 경제성 문제도 초래한다.
[도 9A]는 동일한 유효단면적을 갖는 커플러에 있어서, 외주면부가 6각형인 경우와 원형인 경우를 겹쳐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B]는 외주면부가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경우와 원형인 경우를 겹쳐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커플러는 외주면 최대 직경이 외주면이 원형인 커플러의 최대직경에 비하여 더 클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현재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외주면이 다각형이거나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통상의 커플러를 동일한 유효단면적을 갖는 원형 커플러로 환산하여보면 커플러 규격에 따라 최대반경이 0.5mm에서 2.5mm까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가로 세로 각각 30개의 철근이 10Cm의 순간격을 가지도록 배근되는 사각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한다면, 종래 외주면이 다각형이거나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커플러로 배근하면 원형인 커플러로 배근할 때 보다 콘크리트 기둥의 한 변이 3Cm 내지 15Cm 까지 넓게 설계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소요 콘크리트량이 많아져 구조물 자체 하중이 커지고, 기둥의 부피가 커져서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다줄 나사가 형성된 철근이음용 커플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통형 커플러의 내주면부에 다줄 나사를 형성하더라 도 인장력을 가할 때 커플러가 철근보다 먼저 파단하지 않도록 커플러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이나 공구로 커플러와 철근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커플러의 구조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도 가진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줄나사를 사용하는 철근용 커플러에 있어서 인장강도 보강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는 철근 체결시 손 또는 공구로 커플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플러의 가장 기본적 형태를 보여주는 실시예1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플러는 통상 강철 재질로 제조되며, 전체 형상은 기본적으로 중공 원통형을 이룬다.
이러한 커플러(50)의 외부 표면을 외주면부(55), 중공부의 내부 표면을 내주 면부(53)라고 정의한다.
실시예1에서는 내주면부(53)에는 암나사가 2줄 나사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하려는 철근의 끝부분에는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부(53)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도 2줄 나사로 형성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외주면부(55)는 그 중앙부위의 일정길이는 원형의 외주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인장강도 보강부(54)를 형성한다.
따라서 실시예1에서 커플러의 외주면 중 가장 바깥쪽에 해당하는 부분은 인장강도 보강부(54) 외주면이 되고, 인장강도 보강부(54)는 원형이므로 커플러의 외주면 전체로 보아 최외곽점은 항상 일정하다.
이는 종래 외주면이 다각형 또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커플러의 최외각점이 다각형의 꼭지점이 되거나, 철부의 외표면이 되므로 커플러의 최외곽점이 외주면 전체로 항상 일정하지 않았던 것과 차별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1과 같이 커플러의 외주면 중 최외곽부를 형성하는 인장강도 보강부(54)를 원형 원주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1에서는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좌우측으로는 원통의 둘레를 따라 필요한 수만큼의 일정 간격으로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철부를 만들어 미끄럼 방지수단(56)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의 커플러를 [도 4]의 C-C'선, D-D'선 및 E-E'선을 따라 절개한 면의 단면도가 [도 5A], [도 5b] 및 [도 5C]에 차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커플러의 최대직경은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직경인 d이다. 커플러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의 유효직경을 d₁이라 하면 커플러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유효 단면적을 산출할 때 사용되는 유효 살두께는 t'= d - d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좌우측으로 미끄럼 방지수단(56)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최대직경, 즉 철부의 직경은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직경과 동일하게 d이다. 반면에 미끄럼 방지수단(5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최소 직경, 즉 요부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의 커플러 직경은 d₂라 하면, 동일한 유효 단면적을 갖는 중공원통 단면으로 치환하였을 때의 커플러의 미끄럼 방지수단(5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유효 직경은 d₃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1의 미끄럼 방지수단(5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유효 살두께는 t = d₃- d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플러의 전체 길이를 S라 할 때, 인장강도 보강부(54)의 길이를 S'라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커플러의 인장강도 보강부의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 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플러의 재질인 강철 등을 인장 시험하는 경우 하중축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는 각도로 최대전단응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미끄럼변형이 생기면서 파단을 일으키게 된다.
[도 6]은 [도 3]의 인장실험결과사진에서 볼 수 있는 2줄 나사가 형성된 종래 커플러의 파단 상태를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종래 커플러는 인장 파단시 내부에 결합된 한 쌍의 철근이 맞닿는 중앙부위 M 으로부터 약 45도의 각도를 가지는 a-a` 또는 b-b'의 원추형 파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커플러의 외주면에서 상기 원추형 파단면을 포함하는 영역, 커플러의 a-a` 또는 b-b'의 원추형 파단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플러 외주면의 파단선을 각각 N-N, O-O라 할 때, 파단선 N-N과 O-O 사이의 간격은
Figure 112006074870714-pat00001
를 포함하는 영역에 유효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커플러의 전체의 살두께를 두껍게 만들지 않아도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종래 커플러의 살두께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커플러에서 살두께가 얇아 인장강도가 작은 부분인 미끄럼 방지수단(56) 형성부의 유효 살두께와 동일하게 t로 한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 상기 간격
Figure 112006074870714-pat00002
부분 만의 [도 5C]에 도시된 인장강도 보강부의 유효 살두께 t'로 증가시켜 유효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소정의 인장강도를 갖는 커플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현장에서 작업자가 커플러에 철근을 체결하는 경우 결합되는 한 쌍의 철근이 맞닿는 중앙부위 M을 항상 커플러의 중앙점 M'와 일치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중앙부위 M은 커플러의 중앙점 M'에서 통상 좌우로 1Cm 정도 까지는 작업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사항들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커플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철근이 맞닿는 중앙부위 M이 커플러의 중앙점 M'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파단선 N-N과 O-O 사이의 간격
Figure 112006074870714-pat00003
= 2×
Figure 112006074870714-pat00004
= 2×
Figure 112006074870714-pat00005
= 2×t×tan45° = 2t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 커플러의 중앙점 M'로부터 좌우로 t만큼의 길이에 걸쳐 살두께를 t'로 증가시켜 형성한 인장강도 보강부(54)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중앙부위 M의 작업오차 좌우 1Cm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길이 S'는 최대 2t + 2Cm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인장강도 보강부(54)는 커플러의 중앙점 M'로부터 좌우로 t에서 t + 1Cm 사이의 길이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위 실시예1을 변형한 실시예2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부(55)는 그 중앙부위의 일정길이는 원형의 외주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인장강도 보강부(54)를 형성하고, 인장강도 보강부의 좌우측으로는 외주면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원통형태 그대로인 원형부(57)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2에서는 인장강도 보강부(54)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요부와 철부를 반복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수단(56)이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실시예2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표면에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지 않고 원통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미끄럼 방지수단(56)을 미세한 줄무늬모양의 깔쭉이로 대체 형성하는 등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미끄럼 방지수단(56)이 형성된 인장강도 보강부(54)를 커플러 원통 축선에 대하여 직각([도 7]의 F-F'선)으로 자른 단면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2에서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커플러의 전체 길이를 S, 인장강도 보강부(54)의 길이를 S'라 라한다.
또 실시예2의 커플러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최대직경, 즉 인장강도 보강부(54)에서 철부의 직경을 d라 하고, 커플러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최소직경, 즉 인장강도 보강부(54)에서 요부에서 가장 낮은 위치의 커플러 직경은 d₂라 하면, 동일한 유효 단면적을 갖는 중공원통 단면으로 치환하였을 때의 커플러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유효 직경은 d₃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실시2의 미끄럼 방지수단(56) 형성되어 있는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유효 살두께는 t'= d₃- d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좌우로 원형부(57)의 유효 살두께를 t라 하면, 위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커플러의 인장강도 보강부의 길이 S'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2에서도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인장강도 보강부(54)를 커플러의 중앙점 M'로부터 좌우로 t에서 t + 1Cm의 길이 사이에서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2의 인장강도 보강부(54)는 외주면이 요부와 철부가 반복 형성되는 형태이므로, 인장강도 보강부(54)를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인장강도 보강부(54) 외주면의 최외곽부까지의 최대직경 d를 크게 형성하여야한다.
즉 실시예2는 커플러의 최대 외경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결국 철근 배근시 순간격 확보에 있어서 약간 불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보다는 재료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2의 인장강도 보강부(54)의 표면에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지 않고 원통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미끄럼 방지수단(56)을 미세한 줄무늬모양의 깔쭉이로 대체 형성하는 등의 변형 실시를 하면 커플러의 최대 외경의 증가도 막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데에 큰 문제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플러와 철근을 결합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작업자는 커플러와 철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다를 회전시켜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하되, 최대한 한 쌍의 철근이 커플러의 내주면부(53)의 중앙부분, 즉 인장강도 보강부(54)의 중앙에서 맞닿도록 결합시켜 마무리한다.
미끄럼 방지수단(56)은 커플러와 철근의 결합작업 시에 손이나 공구 등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표면에 홈을 파게 되어 그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굴곡의 인위적인 형성으로 인하여 체결 작업시 손이나 작업공구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커플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줄 나사를 형성한 커플러에 다줄 나사로 인한 유효단면적 감소에 따라 전단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부위의 유효단면적을 인위적으로 크게 한 인장강도 보강부를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줄 나사의 사용으로 인한 체결 작업시간 단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인장강도 보강부는 커플러 중앙 일정부위에 유효한 길이만 형성하므로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중량을 감소시켜 운반 및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러는 외주면 중 가장 바깥쪽에 해당하는 인장강도 보강부의 표면은 그 형상이 종래 커플러와 같이 다각형의 꼭지점, 또는 요부와 철부 중 철부의 표면이 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 형상의 외주면이 되므로, 종래 커플러에서 단순히 살두께를 키워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것보다 직경의 증가가 크지 않아 철근 배근의 순간격 확보측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또 커플러에 미끄럼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철근과 커플러의 결합 시 사람의 손이나 공구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미끄럼 방지수단 형성으로 인하여 커플러 외주면의 표면적이 늘어나게 되므로 콘크리트와 결합할 때 상호간의 접촉면적의 증가로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철근과 철근의 끝단을 기계적 이음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상기 커플러의 중공부의 내주면부에는 다줄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부에는 인장강도 보강부를 형성하되,
    상기 인장강도보강부는 커플러의 중앙점 M'로부터 좌우로, 인장강도 보강부의 좌우측 부분의 유효 살두께 t에 해당하는 길이로부터 t + 1Cm에 해당하는 길이 사이의 어느 한 지점까지 형성되고,
    상기 인장강도 보강부의 유효 살두께 t'는 상기 인장강도 보강부의 좌우측 부분의 유효 살두께 t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2. 삭제
  3. 제1항 에 있어서,
    인장강도 보강부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형 원주를 갖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4.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도 보강부의 좌우측 커플러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5.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도 보강부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KR1020060100938A 2006-10-17 2006-10-17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KR10082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38A KR100826143B1 (ko) 2006-10-17 2006-10-17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38A KR100826143B1 (ko) 2006-10-17 2006-10-17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80A KR20080034680A (ko) 2008-04-22
KR100826143B1 true KR100826143B1 (ko) 2008-04-30

Family

ID=3957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938A KR100826143B1 (ko) 2006-10-17 2006-10-17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1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06B1 (ko) 2010-06-28 2010-11-26 (주)대흥이엔지 일체형 구조물 연결체
KR101505961B1 (ko) 2014-04-11 2015-03-26 기언관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5U (ko) * 1996-09-06 1998-06-25 김해수 철근용 커플러
KR200332980Y1 (ko) * 2003-08-08 2003-11-12 최진호 철근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5U (ko) * 1996-09-06 1998-06-25 김해수 철근용 커플러
KR200332980Y1 (ko) * 2003-08-08 2003-11-12 최진호 철근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06B1 (ko) 2010-06-28 2010-11-26 (주)대흥이엔지 일체형 구조물 연결체
KR101505961B1 (ko) 2014-04-11 2015-03-26 기언관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80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096A (en) Rebar splicing and anchoring
CN201297042Y (zh) 加固混凝土梁的体外预应力结构
CN107989187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柱机械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US20080302063A1 (en) Reinforcing rod
WO2013037944A1 (en)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reinforcing bars
KR100826143B1 (ko) 인장강도를 보강한 철근용 커플러
US20060067785A1 (en) Tubular coupler for concrete reinforcing bars
JP2003239458A (ja) ねじ節鉄筋用ねじ継手及びねじ節鉄筋用カプラーの製造方法
JP3160121U (ja) 鉄筋及び鉄筋継手
JPH08319696A (ja) 棒鋼のねじ継手および継手金具
WO2011049170A1 (ja) 鋼管の連結構造
KR20090011949U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199848B1 (ko) 토크쉐어 볼트를 사용한 이분할 부재 연결구
KR100610498B1 (ko) 철근 이음장치
JP2023121246A (ja) 鋭角ネジ節鉄筋及び軽量継手
JP5840434B2 (ja) 杭頭鉄筋用接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KR100857930B1 (ko) 철근 및 철근 커플러와 그들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 방법
KR20130099839A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JP2009174126A (ja) 鉄筋の機械継手
CN111636626A (zh) 一种钢筋套筒接头及其施工方法
KR20030032149A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101025489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철근 커플러
KR20150108712A (ko) 다줄 나사식 철근 커플러
KR200227284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 연결구
JP7169188B2 (ja) 構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122

Effective date: 2010052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019

Effective date: 201105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20

Effective date: 201111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222

Effective date: 20120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19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13

Effective date: 201803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383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30

Effective date: 20181213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