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434B1 -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 Google Patents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434B1
KR100546434B1 KR1020040042428A KR20040042428A KR100546434B1 KR 100546434 B1 KR100546434 B1 KR 100546434B1 KR 1020040042428 A KR1020040042428 A KR 1020040042428A KR 20040042428 A KR20040042428 A KR 20040042428A KR 100546434 B1 KR100546434 B1 KR 10054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joint unit
turnbuckle
tensio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490A (ko
Inventor
채흥석
Original Assignee
채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흥석 filed Critical 채흥석
Priority to KR102004004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4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Abstract

내력이 부족한 구조부재(보, 슬래브)의 내하력증대를 위한 보강공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외부 포스트텐셔닝(Post Tensioning)공법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은 유압잭을 사용하여 보강재를 긴장하여 보강하려는 구조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을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포스트텐션에 의한 보강에 있어서 보강재의 긴장을 턴버클(Turn Buckle)을 이용하기 위하여 보강재의 단부에 설치하는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Joint Unit)이다. 본 발명인 조인트 유닛을 턴버클의 양단에 체결하고 턴버클을 회전시켜 보강재를 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조인트 유닛을 사용하여 보강재를 긴장하는 경우 기존의 포스트텐셔닝공법에서 사용하던 PS강선뿐만 아니라 강봉 및 Steel Wire를 사용할 수 있어 현장여건 및 요구되는 보강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포스트텐션후 도입된 보강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강 후에 보강력을 추가로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턴버클, 조인트 유닛,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토크렌치

Description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Joint Unit for Turn Buckle}
도1은 본 발명인 조인트유닛의 외형
도2는 본 발명인 조인트 유닛의 내부 형상 및 턴버클과의 연결도
본 발명은 내력이 부족한 구조부재(보, 슬래브)의 내하력증대를 위한 보강공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외부 포스트텐셔닝(Post Tensioning)공법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인 유압잭을 사용하여 보강재를 긴장하여 보강하려는 구조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을 대체하여, 외부 포스트텐션에 의한 보강에 있어서 보강재의 긴장을 턴버클(Turn Buckle)을 이용하기 위하여 보강재의 단부에 설치하는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Joint Unit)이다. 본 발명인 조인트 유닛을 턴버클의 양단에 체결하고 턴버클을 회전시켜 보강재를 긴장할 수 있다.
종래 구조물의 포스트텐션 방법은 유압잭을 이용하여 PS강선을 긴장하여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이며, 한 번 도입된 PS강선의 긴장력은 보강 후 재긴장 하기가 매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을 요하는 대상부재(보, 슬래브)의 포스터텐셔닝보강에 있어서 종래의 유압잭 대신에 수공구인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이용하여 턴버클을 회전시켜 보강재를 긴장할 수 있는 보강재와 턴버클을 연결시켜주는 조인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통형 형상의 한쪽은 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인 너트 형상을 하며, 반대편은 원통의 외부에 숫나사산이 성형되어 있다. 도2에서 보면 원통형상의 단면은 외부가 육각너트형상(8)인 쪽은 내부가 보강재(1)가 관통할 수 있는 원형의 통로(4)가 형성되어있고, 원통형상의 외부가 숫나사산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가면서 보강재가 관통하는 통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형상(5)을 하여 보강재 정착용 쐐기(2)가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정착용 쐐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3)을 끼울 수 있도록 외부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마지막 부분까지 내부에 암나사산(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내력이 부족한 부재를 보강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재를 조인트 유닛(11)의 보강재 통로(4)를 통해 관통시키고 정착용 쐐기(2)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쐐기 고정용 볼트(3)를 체결하여 1조의 보강재 세트를 조립한다. 또 다른 1조의 보강재 세트는 조인트 유닛(11) 외부에 반대방향의 숫나사산이 형성된 조인트 유닛을 이용하여 조립한다. 다음으로 보강하고자 하는 부재의 길이에 맞추어 보강재를 재단한 후 단부를 고정하고 조립된 2세트의 보강재 세트를 턴버클(12)의 양단에 끼우면 보강재를 긴장할 수 있는 상태가 준비된다. 현장 여건 및 필요에 따라 턴버클을 추가로 설치여 보강재를 긴장할 수 도 있다.
조인트 유닛 및 턴버클을 이용하여 보강하려는 부재에 보강재를 설치한 후 보강재의 긴장은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이용하여 턴버클을 회전시키면 도입된 토크치와 보강재에 도입된 긴장력과의 관계에서 사전에 계산된 토크치만큼 토크를 도입하면 보강재의 긴장은 완료된다.
본 발명을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은 기존의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에 비해 보강재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하는 경로에서 가장 큰 차이를 가진다. 즉, 종래의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이 보강재인 PS강선을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긴장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은 본 발명인 조인트 유닛과 연결된 턴버클을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긴장하게 된다. 이는 현장에서 간단한 토크렌치만을 사용하여 보강재를 긴장하기 때문에 보강작업이 기존의 공법에 비하여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보강재의 이완 및 하중의 증가 등으로 재 긴장이 필요한 경우 아주 간단하게 보강재를 재 긴장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보강재가 관통할 수 있는 원형의 통로가 형성되어있고, 원통형상의 외부가 숫나사산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가면서 보강재가 관통하는 통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형상을 하여 보강재 정착용 쐐기가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정착용 쐐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을 끼울 수 있도록 외부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마지막 부분까지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통형 형상의 한쪽은 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인 너트 형상을 하며, 반대편은 원통의 외부에 숫나사산이 성형되어 있는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Joint Unit for Turn Buckle)
KR1020040042428A 2004-06-10 2004-06-10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KR10054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28A KR100546434B1 (ko) 2004-06-10 2004-06-10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28A KR100546434B1 (ko) 2004-06-10 2004-06-10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90A KR20040062490A (ko) 2004-07-07
KR100546434B1 true KR100546434B1 (ko) 2006-01-26

Family

ID=3735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428A KR100546434B1 (ko) 2004-06-10 2004-06-10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01A (zh) * 2014-06-19 2014-10-08 北京工业大学 一种防屈曲钢筋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9439B2 (en) * 2018-09-23 2022-12-06 Deere & Company Quick release lock turnbuck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01A (zh) * 2014-06-19 2014-10-08 北京工业大学 一种防屈曲钢筋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90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096A (en) Rebar splicing and anchoring
US7856774B1 (en) Sheathing-retaining wedge assembly for use with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US20040071507A1 (en) Reinforcing bar coupling
US77978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hrinkage of a sheathing over a tendon
US20150345142A1 (en) Post-Tensioned Concrete Reinforcement Anchor Assembly With Radiused Tooth Tips
KR101174206B1 (ko) 포켓포머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구조
US11718990B2 (en) Rebar anchoring method
KR20120041470A (ko) 소켓과 턴버클을 이용하여 긴장재를 긴장하는 방법
KR100546434B1 (ko) 턴버클 연결용 조인트 유닛
KR20040077592A (ko) 조인트 유닛 및 긴장용 너트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KR101335368B1 (ko)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JP4024686B2 (ja) 木造建築物の接合補強材及び接合補強構造
TWI809329B (zh) 鋼筋錨定系統及方法
JP3272320B2 (ja) 緊張定着構造及び緊張定着方法
CN209874067U (zh) 一种柔性高强连接筋
CN109826323B (zh) 一种柔性高强连接筋及其装配方法
KR200374940Y1 (ko) 철근 연결구조
KR20120052059A (ko) 와이어 및 정착 고정구를 이용한 부재의 설치 시공 방법 및 와이어 정착 고정구
KR200349643Y1 (ko) 철근연결구조
JP202019010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203628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684235B1 (ko) 스트럽철근커플러
KR100750938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JP2006112189A (ja) 緊張材定着具
KR101358866B1 (ko)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