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866B1 -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866B1
KR101358866B1 KR1020130128963A KR20130128963A KR101358866B1 KR 101358866 B1 KR101358866 B1 KR 101358866B1 KR 1020130128963 A KR1020130128963 A KR 1020130128963A KR 20130128963 A KR20130128963 A KR 20130128963A KR 101358866 B1 KR101358866 B1 KR 10135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sheath pipe
sheath tube
centr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빌테크
Priority to KR102013012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0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쉬스관 내에서의 긴장재 이동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쉬스관은 중앙쉬스관과, 중앙쉬스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쉬스관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쉬스관의 일측 내면에는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된 내면에 대응하는 중앙쉬스관의 외면에는 위치확인수단이 형성되며, 중앙쉬스관의 측면에는 제1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는, 쉬스관을 장착하면서 상기 쉬스관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쉬스관 장착부와, 쉬스관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쉬스관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관 장착부에는 제1회동방지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제2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Prestress-loss prevention sheath and the fixture of it}
본 발명은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쉬스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쉬스관 내에서의 긴장재 이동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1/10이 채 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량이나 건축물의 거더 등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재에 대하여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무시하고 철근만이 인장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보아 구조설계를 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철근 콘크리트 보에 사용하중이 가해지면 인장측의 콘크리트는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균열은 장기간에 걸쳐 철근을 부식시켜 부재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장측의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프리스트레싱)시켜 놓고 상기 미리 도입시킨 압축응력(프리스트레스)으로 부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리스트레싱 공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프리스트레싱 공법은 크게, 주로 프리캐스트부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사용되는 프리텐션 공법과, 주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나누어진다.
프리텐션 공법은 긴장재에 인장력을 주어 긴장해 놓은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상기 긴장재의 인장력을 풀어줌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임에 비하여, 포스트텐션 공법은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방법으로서, 긴장재의 긴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긴장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미리 쉬스관을 미리 매입시킨다.
즉 포스트텐션 공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쉬스관을 매립시켜 놓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쉬스관 내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이를 긴장한 후 양 단부를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시킨다.
한편, 긴장재의 배치형태에 따라 부재에 압축응력만 발생할 수도 있고, 압축응력과 함께 휨모멘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거더와 같이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수평부재에 대하여는, 필요한 부분의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킴과 아울러 부재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전단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긴장재를 포물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긴장재의 배치 및 긴장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의 크기는 부재의 도심축과 긴장재간의 편심거리(e)의 크기에 비례하게 되는 바, 이러한 편심거리(e)를 크게 가지도록 긴장재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부재 등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에는 긴장재가 쉬스관의 배치형태에 따라 배치된 것으로 보고, 도 2의 (a)에서와 같이 쉬스관의 단면 중심(P₁)과 긴장재의 단면 중심(P₂)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산정한 편심거리(e₁)를 기준으로 하여 가해 주어야 하는 프리스트레싱의 정도를 산출하게 된다.
그런데 쉬스관의 내경은 다수 가닥의 긴장재가 쉽게 삽입되도록 하거나 향후 그라우팅에 의해 긴장재와 쉬스관의 일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긴장재 전체에 대한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쉬스관과 긴장재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극(k)이 형성된다.
띠라서 포물선 형태로 배치된 긴장재를 부재의 양단에서 긴장시키게 되면, 도 2의 (b)에서와 같이 긴장재가 쉬스관 내에서 부재의 내측, 즉 편심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편심거리의 감소량(△)은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로 이어지게 되므로 당초의 설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KR 10-2012-0071913 A KR 10-0414729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포물선 형태로 배치된 긴장재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때 상기 긴장재가 쉬스관 내부에서 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설계치와 시공치의 편차를 줄여 줌으로써 효율적인 프리스트레싱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위한 쉬스관의 정확한 배치상 확인 및 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쉬스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재가 삽입되는 쉬스관에 있어서, 상기 쉬스관은 중앙쉬스관과, 중앙쉬스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쉬스관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쉬스관의 일측 내면에는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된 내면에 대응하는 중앙쉬스관의 외면에는 위치확인수단이 형성되며, 중앙쉬스관의 측면에는 제1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로서, 쉬스관을 장착하면서 상기 쉬스관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쉬스관 장착부와, 쉬스관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쉬스관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관 장착부에는 제1회동방지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제2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관 고정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은 긴장재의 긴장시 포물선의 정점에 위치한 긴장재의 이동을 방지하여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하여 응력도입의 정확성을 도모하게 한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에 적합한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의 정밀성을 도모시켜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고품질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에 긴장재가 배치되는 일반적인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의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설계시 일반적으로 가정되는 편심거리와 프리트레싱을 가했을 때 실제로 나타는 편심거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쉬스관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횡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각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쉬스관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 의한 쉬스관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횡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각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제2실시예의 쉬스관에서 중앙쉬스관과 측부쉬스관을 연결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쉬스관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쉬스관 고정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쉬스관 고정구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쉬스관(10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쉬스관(100)을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쉬스관(100)은 크게 중앙쉬스관(110)과, 중앙쉬스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쉬스관(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쉬스관(110)은 이에 삽입된 긴장재(300)가 쉬스관(100) 내부에서 상하의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부재의 도심과 긴장재(300) 단면의 중심간 편심거리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방지돌기(112)과, 위치확인수단(111) 및 제1회동방지수단(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부쉬스관(120)은 통상적인 쉬스관의 내경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쉬스관(11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쉬스관(110)과는 분리 제작된 후 사용시 나사체결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중앙쉬스관(1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중앙쉬스관(110)은 긴장재(300)의 상하의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부재에 쉬스관(100)을 배치할 때 상기 쉬스관(100)이 배치되는 포물선의 정점에 중앙쉬스관(110)의 중앙이 위치하게 된다.
중앙쉬스관(11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되는 이동방지돌기(112)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앙쉬스관(110)의 양 단부에서 중앙점을 향하여 경사져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돌출높이(h)는 적어도 측부쉬스관(120)의 내경과 긴장재(300)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극(k)의 절반 이상이 되어야 하나, 그렇다고 하여 간극(k)의 범위를 초과할 수는 없다.
아울러 이동방지돌기(112)의 경사각은 긴장재(300)가 삽입될 때 진입단면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긴장재(300)들끼리 꼬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중앙쉬스관(110)의 길이는 긴장재(300)가 배치되는 포물선의 구체적인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동방지돌기(112)가 형성된 내면에 대응하는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에는 위치확인수단(111)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확인수단(111)은 중앙쉬스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방지돌기(112)의 위치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방지돌기(112)은 긴장재(300)가 부재의 내측, 즉 부재의 도심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쉬스관(100)의 내면중 부재의 내측을 향한 면에 위치됨(예컨대, 중앙에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단순보의 경우는 중앙쉬스관(110)이 단순보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방지돌기(112)은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야 하고,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연속보의 단부부분에서는 이동방지돌기(112)가 위를 향해 돌출되어야 한다)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위치확인수단(111)은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에서 식별할 수 있는 특수한 기호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봉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형상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홈형상을 가지는 위치확인수단(111)은, 상기 홈에 봉부재(400)를 삽입시켜 쉬스관(100)을 쉽게 회전시켜 의도하는 방향에 이동방지돌기(112)가 위치하도록 할 뿐 아니라,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도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 사이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에는 제1회동방지수단(113)이 더 구비된다. 제1회동방지수단(113)은 후술하는 고정구의 제2회동방지수단(213)과 결합되어 작업중 부주의에 의해 중앙쉬스관(110)이 회전됨으로써 이동방지돌기(112)가 잘못된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의 정밀성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 제1회동방지수단(113)은 홈이나 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회동방지수단(213)은 역시 이에 대응하여 돌기나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설치된 중앙쉬스관(110)이 쉽게 회동되지 않는 구조면 어떠한 구조로도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쉬스관(100)에 긴장재(300)를 삽입시킨 후 긴장재(300)를 긴장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300)를 긴장시키더라도 상기 긴장재(300)는 이동방지돌기(112)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긴장작업 전후의 위치적인 이동이 없게 되어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쉬스관(10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7은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쉬스관(100)을 횡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각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쉬스관(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이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중앙쉬스관(110)은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이동방지돌기(112)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외면에는 위치확인수단(111)이 구비되며, 양 측면에는 제1회동방지수단(113)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확인수단(1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쉬스관(110)은 양 단부의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부쉬스관(120)의 일 단부 외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분리된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을 나사체결하여 연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쉬스관(110)에 구비된 홈형상의 위치확인수단(111)에 봉부재(400)를 삽입한 후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은 손쉽게 나사체결된다.
상기 중앙쉬스관(1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 형상은 중앙쉬스관(11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양 측에 결합되는 두 개의 측부쉬스관(120)이 동시에 체결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체결시킨 후 나머지 한쪽의 측부쉬스관(120)을 체결시키기 위해 긴 측부쉬스관(120)을 회전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제거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은 다각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이 스패너 등의 공구에 의해서도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기한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쉬스관(100)에 긴장재(300)를 삽입시킨 후 긴장재(300)를 긴장시켰을 때 긴장재(300)가 이동방지돌기(11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10은 상기한 제1, 2실시예에 의한 쉬스관(100)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2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쉬스관 고정구(200)를 이용하여 제2실시예의 쉬스관(100)을 사용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쉬스관 고정구(200)는 쉬스관 장착부(210)와 쉬스관고정부로 구성된다.
쉬스관 정착부는 이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쉬스관(1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쉬스관 장착부(210)는 저면의 받침판(211)과 상기 받침판(211)의 양 측단으로부터 절곡된 한 쌍의 측판(2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 측판(212)의 각각에는 중앙쉬스관(110)에 구비된 제1회동방지수단(113)과 결합되는 제2회동방지수단(213)이 구비된다. 따라서 중앙쉬스관(110)의 제1회동방지수단(113)이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측판(212)에 구비된 제2회동방지수단(213)은 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쉬스관 장착부(210)는 쉬스관(100)이 삽입되면 측판(212)의 탄성력에 의해 제2회동방지수단(213)이 제1회동방지수단(113)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중앙쉬스관(110)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받침판(211)과 측판(212)으로 구성되는 쉬스관 장착부(210)의 내면은 이에 장착되는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제2실시예에 의한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이 다각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쉬스관 장착부(210)의 내면도 이에 대응하는다각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한 제1, 2회동수단과 함께 중앙쉬스관(110) 회동의 방지를 보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회동방지수단(113)과 제2회동방지수단(213)은, 이들이 서로 결합될 때 중앙쉬스관(110)의 이동방지돌기(112)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회동방지수단(113)과 제2회동방지수단(213)의 결합위치를 중앙쉬스관(11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방지돌기(112)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쉬스관 장착부(210)의 하부에는 쉬스관 고정부(220)가 핀결합(미도시)되어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쉬스관 고정부(220)는 쉬스관(100)을 안치시킨 쉬스관 고정구(200)가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철근에 엮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쉬스관 장착부(210)와 쉬스관 고정부(220)의 회동가능한 핀결합의 구성은 쉬스관 고정부(220)로 엮어주는 철근의 방향에 대한 범용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쉬스관 110: 중앙쉬스관
111: 위치확인수단 112: 이동방지돌기
113: 제1회동방지수단 120: 측부쉬스관
200: 쉬스관 고정구 210: 쉬스관 장착부
211: 받침판 212: 측판
213: 제2회동방지수단 220: 쉬스관 고정부
300: 긴장재 400: 봉부재

Claims (7)

  1. 긴장재(300)가 삽입되는 쉬스관에 있어서, 상기 쉬스관(100)은 중앙쉬스관(110)과, 중앙쉬스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쉬스관(120)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쉬스관(110)의 일측 내면에는 이동방지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방지돌기(112)가 형성된 내면에 대응하는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에는 위치확인수단(1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쉬스관(110)의 측면에는 제1회동방지수단(11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쉬스관(110)의 양 단부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측부쉬스관(120)의 일단부 외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중앙쉬스관(110)과 측부쉬스관(120)은 나사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방지용 쉬스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수단(111)은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방지용 쉬스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쉬스관(110)의 외면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방지용 쉬스관.
  6. 제2항에 의한 쉬스관(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200)로서, 상기 쉬스관 고정구(200)는 쉬스관(100)을 장착하면서 상기 쉬스관(1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쉬스관 장착부(210)와, 쉬스관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쉬스관 고정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관 장착부(210)에는 제1회동방지수단(113)과 결합될 수 있는 제2회동방지수단(21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관 고정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관 장착부(210)와 쉬스관 고정부(220)는 핀결합되어 서로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관 고정구.
KR1020130128963A 2013-10-29 2013-10-29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KR10135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63A KR101358866B1 (ko) 2013-10-29 2013-10-29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63A KR101358866B1 (ko) 2013-10-29 2013-10-29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866B1 true KR101358866B1 (ko) 2014-02-06

Family

ID=5026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963A KR101358866B1 (ko) 2013-10-29 2013-10-29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27B1 (ko) * 2014-03-19 2015-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긴장재 덕트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02Y1 (ko) 1999-07-31 2000-02-15 정규성 새들을이용한콘크리트구조물보강장치
JP2001123580A (ja) 1999-10-25 2001-05-08 Vsl Japan Kk シース管
KR100911545B1 (ko) 2007-04-20 2009-08-10 (주)삼현피에프 선하중이 도입되는 강재를 수용하는 쉬즈관을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0989947B1 (ko) 2010-02-11 2010-10-26 민경기술 주식회사 영구적 재긴장이 가능한 구조물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02Y1 (ko) 1999-07-31 2000-02-15 정규성 새들을이용한콘크리트구조물보강장치
JP2001123580A (ja) 1999-10-25 2001-05-08 Vsl Japan Kk シース管
KR100911545B1 (ko) 2007-04-20 2009-08-10 (주)삼현피에프 선하중이 도입되는 강재를 수용하는 쉬즈관을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0989947B1 (ko) 2010-02-11 2010-10-26 민경기술 주식회사 영구적 재긴장이 가능한 구조물 보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27B1 (ko) * 2014-03-19 2015-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긴장재 덕트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21B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s with pre-stressing connectors
KR102274029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US11326345B2 (en) Hollow composite beam using dual-we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0432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KR101499337B1 (ko) 광폭 pc 복합거더
JP2009281066A (ja) 梁端部をpc造とする複合構造梁を用いた建物構造
KR101358866B1 (ko) 프리스트레스 손실 방지용 쉬스관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쉬스관 고정구
KR101854160B1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KR20100123405A (ko)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6053417B2 (ja) 橋桁および橋桁の施工方法
JP6532906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設置構造
KR101181160B1 (ko)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KR101397131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439016B2 (ja) 埋設型枠
KR20090054511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72616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375153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KR200291793Y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KR101413974B1 (ko) 피에스씨 빔 시공방법
JP2017206844A (ja) 耐震壁構造
KR100684235B1 (ko) 스트럽철근커플러
JP6352092B2 (ja) 接合構造
KR20190100757A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