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979A - 철근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979A
KR20200022979A KR1020180099275A KR20180099275A KR20200022979A KR 20200022979 A KR20200022979 A KR 20200022979A KR 1020180099275 A KR1020180099275 A KR 1020180099275A KR 20180099275 A KR20180099275 A KR 20180099275A KR 20200022979 A KR20200022979 A KR 2020002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low
reinforcing bars
coupler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조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호 filed Critical 조승호
Priority to KR102018009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979A/ko
Publication of KR2020002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하우징에 한 쌍의 철근 단부 일부분을 내입시키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된 철근 단부의 일부분은 하우징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조임볼트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 체결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용 커플러{Connecting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하우징에 한 쌍의 철근 단부 일부분을 내입시키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된 철근 단부의 일부분은 하우징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조임볼트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 체결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분야이다.
각종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철근을 이중으로 겹친 상태에서 철사 등으로 묶어서 고정하였으나, 이러한 철근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철사를 다수 회 철근 외주로 권취한 다음 묶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철근의 중심이 수직이 되지 않고 삐뚤어질 뿐 아니라 철사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끊어지면서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을 철사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쉽고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들의 대부분은 철근을 하우징 내부에 나사방식으로 회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은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183호는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원체로 형성시켜 내주연에 다수개의 마디홈을 형성시키고 외주연을 테이퍼지게 형성시켜 이를 한 쌍으로 하여 이음하는 철근의 단부 내측 외주연에 각각 결합시키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을 내부에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 일측으로 테이퍼공을 형성시키고 타측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시킨 이음커플러와, 상기 이음커플러의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연 일측으로 숫나사를 형성시키고 내부에 체결편을 내입 시킬 수 있도록 테이퍼공을 형성시켜 이음커플러와 결합시 이음되는 철근의 양단부가 밀착되면서 이음되도록 하는 결합커플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이음 결합되는 철근의 양 단부가 상호 밀착되면서 이음 결합되도록 하여 이음장치 내에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철근의 압축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상기 결합커플러를 돌려서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183호(2003.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544호(2006.12.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379호(2004.1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357호(2012.06.25.)
본 발명은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철근의 단부와 철근 연결용 커플러 간의 체결이 견고하지 못하여 철근 연결용 커플러로 연결된 한 쌍의 철근에 인장력을 가할 경우,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서 철근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한 쌍의 철근을 상호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중공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철근 각각의 단부를 상기 중공에 내입시키며, 외부와 상기 중공을 관통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홀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 각각에 내입 체결되고, 하우징의 중공에 내입된 한 쌍의 철근 각각의 단부에 조임력을 가하는 복수 개의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하우징의 중공 양쪽으로 각각 내입된 철근을 하우징에 구비된 복수 개의 조임볼트로 조임 체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하우징과 철근의 체결력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앙에 분할핀이 더 꽂여지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중공으로 내입되는 한 쌍의 철근 단부가 분할핀에 의하여 이동 제한되어, 하우징에 내입되는 철근의 내입 깊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철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철근(50a, 50b)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철근(50a, 50b)의 길이 연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철근(50a, 50b)을 상호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중공(11)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를 상기 중공(11)에 내입시키며, 외부와 상기 중공(11)을 관통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홀(12)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2) 각각에 내입 체결되고, 하우징(10)의 중공(11)에 내입된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에 조임력을 가하는 복수 개의 조임볼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이하, ‘커플러’라 칭함.)는 도 1과 같이 철근(50a, 50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한 쌍의 철근(50a, 50b)들을 상호 결합체결시켜, 철근(50a, 50b)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철근(50a, 50b)들의 단부 일정부분(이하,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이라 칭함.)은 철근(50a, 50b)의 길이방향 말단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철근(50a, 50b)의 단부에 해당할 수 있고, 별도의 단부 가공처리가 되거나 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철근(50a, 50b)의 단부 일부분의 외주에는 하기 조임볼트(20)와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 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요철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요철 또는 나사산이 미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철근(50a, 50b)의 외부에는 일반적인 철근(50a, 50b)과 마찬가지로 철근(50a, 50b)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철근(50a, 50b)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리브(52)가 형성될 수도 있고, 철근(50a, 50b)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반원형태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마디(51)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철근(50a, 50b)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마디(5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마디(51) 중 어느 하나의 마디(51)와 인접된 다른 마디(51)는 철근(50a, 50b)의 길이방향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엇갈리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철근(50a, 50b)이 상기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 개의 마디(51)가 서로 엇갈리며 이격 형성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는 거시적으로, 복수 개의 볼트홀(12)이 형성된 하우징(10) 및 상기 볼트홀(12)에 체결되는 조임볼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11)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 일부분을 상기 중공(11)에 내입시키며, 외부와 상기 중공(11)을 관통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홀(12)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형성된 중공(11)의 양쪽 각각으로 내입되는 철근(50a, 50b)의 단부 일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복수 개로 나뉘어져 구성되지 않고 단일체로 구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공(11)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중공(11)에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을 내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중공(11)에 내입된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에 하우징(10)에 체결된 하기 조임볼트(20)에 의한 조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중공(11)의 내경은 철근(50a, 50b)의 외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이 중공(11)에 내입될 수 있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단일체로 구성되어 하우징(10) 중공(11)의 양쪽에서 각각 내입된 철근(50a, 50b)에 가해질 수 있는 당김력에 의하여 하우징(10)이 끊어지거나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치 않도록 일정의 물리적인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하우징(10)의 중공(11)을 양분시키는 분할핀(30)이 더 꽂여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분할핀(30)에 의하여 양분된 중공(11)은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중공(11)과 타측에 위치되는 제2중공(1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공(11)과 제2중공(11) 각각에는 한 쌍의 철근(50a, 50b) 중 어느 하나의 철근(50a)과 다른 하나의 철근(50b) 각각의 단부 일부분이 내입되고, 각각의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은 하기 복수 개의 조임볼트(20)에 의하여 하우징(1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분할핀(30)은 일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핀형태의 것으로 구성되어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앙에 꽂여 하우징(10) 중공(11)으로 내입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의 중앙에는 외부와 중공(11)의 길이방향 중앙을 연통시키는 핀홀(14)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14)에는 분할핀(30)이 꽂이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와 같이 분할핀(30)이 핀홀(14)에 꽂여져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면, 하우징(10)의 제작시에 중공(11)을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삭하여 파내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0)의 중공(11)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하우징(10)의 중공(11)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생산성이 향상시킬 수 있고; 분할핀(30)이 내입될 수 있을 정도의 핀홀(14)만이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핀홀(14) 형성에 의한 하우징(10)의 기계적인 강도 저하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임볼트(20)는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2) 각각에 내입 체결되고, 하우징(10)의 중공(11)에 내입된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에 조임력을 가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하우징(10)과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 간의 주된 체결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조임볼트(20)는 작업공구가 치합되는 다각형의 외주를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연결되어 하우징(10)에 형성된 상기 볼트홀(12)에 내입체결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디의 외주에는 상기 볼트홀(12)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홈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20)의 바디 말단은 하우징(10) 중공(11)에 내입된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에 조임력을 가하는 구성으로서, 도 3과 같이 바디 말단이 뾰족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조임볼트(20)의 조임력에 의하여 뽀쪽한 상태의 바디 말단 일부분이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에 박히거나 뭉게지며 철근(50a, 50b) 말단 일부분의 외주면에 강력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임볼트(20)의 바디는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마디(51)에 걸림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바디의 측부와 철근(50a, 50b) 마디(51)의 걸림에 의한 걸림력으로도 커플러에 장착된 철근(50a, 50b)의 빠짐을 방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임볼트(20)는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홀(12)에 각각 내입 체결되어 복수 개의 조임볼트(20)가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을 복수 부분에서 조임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조임볼트(20) 각각은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 외주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마디(51) 각각에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1)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50a, 50b)의 외주에 형성된 마디(51)가 내입될 수 있는 원형 또는 나선형의 요홈(13)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요홈(13)은 하우징(10)의 중공(11) 내주면에 원형 또는 나선형의 형태를 이루며 파여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볼트(20)에 의하여 조여진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마디(51)를 내입시킴으로써, 철근(50a, 50b) 단부 일부분과 하우징(10) 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요홈(13)의 폭과 깊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커플러에 의하여 체결되는 철근(50a, 50b)의 외주에 형성된 마디(51)의 폭과 높이에 대응 또는 유사한 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철근(50a, 50b)의 마디(51)가 요홈(13)에 내입된 상태에서 최대한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 일부분을 관통시키는 관통홀(41)이 형성된 고정너트(40)가 각각 더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너트(40)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양단의 중공(11)에 각각 내입 체결된 철근(50a, 50b)의 움직임에 의하여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하우징(10) 양단 일부분에 대한 철근(50a, 50b)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0)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고정너트(40)가 하우징(10) 길이방향 말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보다 상세하면, 고정너트(40)의 관통홀(41) 내주면에서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의 외주에는 상기 고정너트(40)의 나사홈과 대응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고정너트(40)가 하우징(10) 길이방향 말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고정너트(40)가 체결되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에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15)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홈(15)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중공(11)의 외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의 중공(11)으로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이 내입될 때 철근(50a, 50b)이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10)의 중공(11)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절개홈(15)은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이 하우징(10)의 중공(11)에 내입될 때에는 중공(11)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이 하우징(10)의 중공(11)으로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이 중공(11)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40)가 하우징(10) 단부에 체결될 때에는 다시 철근(50a, 50b)이 내입된 중공(11)쪽으로 축소되어 철근(50a, 50b) 단부의 일부분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보다 강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0)가 체결되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단부 일부분의 중공(11) 내주면에는 중공(11)에 내입된 철근(50a, 50b)의 외주에 형성된 철근(50a, 50b)의 마디(51)를 내입시킬 수 있는 요홈(42)이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고정너트(40)에 의한 조임력으로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단부 일부분이 더욱 강력하게 철근(50a, 50b)의 마디(5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중공
12 : 볼트홀 13 : 요홈
14 : 핀홀 15 : 절개홈
20 : 조임볼트 30 : 분할핀
40 : 고정너트 41 : 관통홀
42 : 요홈 50a, 50b : 철근
51 : 마디 52 : 리브

Claims (4)

  1. 한 쌍의 철근(50a, 50b)을 상호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중공(11)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를 상기 중공(11)에 내입시키며, 외부와 상기 중공(11)을 관통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홀(12)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2) 각각에 내입 체결되고, 하우징(10)의 중공(11)에 내입된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에 조임력을 가하는 복수 개의 조임볼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하우징(10)의 중공(11)을 양분시키는 분할핀(30)이 더 꽂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1)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50a, 50b)의 외주에 형성된 마디(51)가 내입될 수 있는 원형 또는 나선형의 요홈(13)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철근(50a, 50b) 각각의 단부 일부분을 관통시키는 관통홀(41)이 형성된 고정너트(40)가 각각 더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180099275A 2018-08-24 2018-08-24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200022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75A KR20200022979A (ko) 2018-08-24 2018-08-24 철근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75A KR20200022979A (ko) 2018-08-24 2018-08-24 철근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79A true KR20200022979A (ko) 2020-03-04

Family

ID=6978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75A KR20200022979A (ko) 2018-08-24 2018-08-24 철근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9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734A (zh) * 2021-08-12 2021-11-19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墙体的支撑杆及龙骨支撑体系
WO2022270873A1 (ko) * 2021-06-22 2022-12-29 김중호 철근 커플러
KR20230000026U (ko) * 2021-06-25 2023-01-03 김동우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23033369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알오씨 원터치 철근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200364379Y1 (ko) 2004-07-05 2004-10-08 주식회사 팸택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KR100665544B1 (ko) 2004-12-14 2007-02-27 오원석 철근 이음장치
KR101161357B1 (ko)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200364379Y1 (ko) 2004-07-05 2004-10-08 주식회사 팸택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KR100665544B1 (ko) 2004-12-14 2007-02-27 오원석 철근 이음장치
KR101161357B1 (ko)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73A1 (ko) * 2021-06-22 2022-12-29 김중호 철근 커플러
KR20230000026U (ko) * 2021-06-25 2023-01-03 김동우 철근 연결용 커플러
CN113668734A (zh) * 2021-08-12 2021-11-19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墙体的支撑杆及龙骨支撑体系
CN113668734B (zh) * 2021-08-12 2023-04-28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墙体的支撑杆及龙骨支撑体系
WO2023033369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알오씨 원터치 철근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979A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070054417A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WO1998044215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interconnecting objects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20100109829A (ko) 철근이음구
JP2008144823A (ja) スリーブホルダ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86138Y1 (ko)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봉재 또는 강봉을 연결하는쇄기형 커플러
KR102301458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189193B1 (ko) 철근 커플러
KR20140128853A (ko) 철근 커플러
KR100603754B1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JPH0579799B2 (ko)
KR20030032149A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JPH10325213A (ja) 鉄筋カプラー
JP3547823B2 (ja) 角締め用金具
KR200351043Y1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KR200203628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406140B1 (ko) 철근 이음장치
KR20110022124A (ko) 암거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JP3933458B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用連結金具とその連結金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連結構造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