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040B1 -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040B1
KR100826040B1 KR1020060078555A KR20060078555A KR100826040B1 KR 100826040 B1 KR100826040 B1 KR 100826040B1 KR 1020060078555 A KR1020060078555 A KR 1020060078555A KR 20060078555 A KR20060078555 A KR 20060078555A KR 100826040 B1 KR100826040 B1 KR 10082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eived
signal
unit
set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131A (ko
Inventor
기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04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서 PC로부터 외부신호입력을 받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외부신호입력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각 영상에 최적화된 영상처리 방법으로 변경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제어방법은,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수신되는 영상이 PC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각 경우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값으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영상처리장치에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여부가 자동으로 판단되어, 상기 각 영상에 최적화된 화면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동영상, 움직임, 감지, 판단

Description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moving picture and image}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영상 표시 장치 210 : 영상 수신부
220 : 영상 처리부 230 : 제어부
240 : 영상 판단부 2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상표시장치에서 PC로부터 외부신호입력을 받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외부신호입력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각 영상에 최적화된 영상처리방법으로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영상표시장치 중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정에 보급되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에는 동영상 감상, 온라인 게임, 홈 네트워킹 등 더욱 다양하고 향상된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 및 개인용 컴퓨터 각 분야의 발전과, 상기 각각의 기기를 상호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기능의 발전에 따라,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호환성이 갈수록 향상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근래에 상기 PDP, LCD 또는 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개인용 컴퓨터(PC)를 연결하여 홈시어터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화 등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향이 확산 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기본적으로 정지영상으로 간주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정지영상에 적합한 영상처리방법 및 설정으로 디스플레이하였다. 다시 말하면, 영상표시장치에 PC가 연결될 경우,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무조건 정지영상으로 간주하여, 정지영상에 적합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영상표시장 치(100)는 TV 방송 신호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수신되는 영상 수신부(110)와, 상기 수신된 신호가 입력되어 해당 영상에 적합한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영상 처리부(120)와, 상기 영상 처리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조정된 결과가 적용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영상 수신부(110)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11)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부(1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수신부(110)는 상기 튜너(111) 또는 외부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영상 수신부(110)의 출력신호 중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130) 및 후술할 이미지 프로세서(122)로 제공하는 디코더(121)와, 상기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최적화된 영상으로 설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12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122)는 화면의 명암을 조절하는 명암 조절부(Contrast controller)(125),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Brightness controller)(126), 화면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 조절부(Sharpness controller)(127), 화면의 색상을 조절하는 색상 조절부(Color controller)(128) 및 화면의 색농도를 조절하는 농도 조절부(concentration controller) 등, 각각의 영상 설정 값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결과가 저장되는 메모리(150)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영상 수신부(110)의 튜너(111) 또는 외부 신호 입력부(112)로부터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디코더(121)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121)에서는 상기 영상 수신부(110)의 출력신호 중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130) 및 이미지 프로세서(122)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영상 신호가 PC로부터 입력되는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신호가 PC로부터 입력되는 것이면, 정지영상에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이 설정되도록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122)에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122)에서는 상기 전달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명암, 밝기, 선명도, 색상, 농도 등 영상 설정 값들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상기 조정된 결과가 적용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에서 영상 설정 값 변경 신호가 수신되 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30)는 상기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이 설정되도록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122)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122)에서 영상 설정 값이 조정되어, 상기 조정된 영상 설정 값이 반영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100)에서는, PC 입력을 무조건 정지영상으로 간주하여, PC 입력 시에는 이를 무조건 정지영상에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동영상과 정지영상의 영상처리방법 및 설정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 말하면, 정지영상의 경우 주로 강의, 프리젠테이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글자나 사진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밝고 선명하고 명확한 화면이 제공되어 문자 및 기호의 가독성이 높은 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동영상의 경우 재생되는 영상이 자연스러워야 하고, 영상이 끊기지 않고 부드럽게 재생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시각에 부담이 덜 가도록 편안한 영상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구분하지 않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무조건적으로 정지영상에 적합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하였기 때문에,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영상처리능력을 완전히 이용하지 못하여, 각 상황에 적합한 최적화된 영상이 표현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영상표시장치에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그 사용 용도에 따라서 최적화된 영상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영상 설정 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그 설정이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영상 설정 값이 수동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어울리는 영상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가 구비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TV 방송 신호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수신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영상 설정 값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어 출력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수신되는 신호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의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조정된 결과가 적용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가 구비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영상 설정 값이 반영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영상처리장치에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여부가 자동으로 판단되어, 상기 각 영상에 최적화된 화면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는, TV 방송 신호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수신되는 영상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된 신호가 입력되어 해당 영상에 적합한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영상 처리부(220)와, 상기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240)와, 상기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조정된 결과가 적용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영상 수신부(210)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211)와, 상기 영상표시장치(2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부(2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수신부(210)에서는 상기 튜너(211) 또는 외부 신호 입력부(212)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영상 처리부(220)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220)는, 상기 영상 수신부(210)의 출력신호 중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230) 및 후술할 이미지 프로세서(222)로 제공하는 디코더(221)와, 상기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 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최적화된 영상으로 설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22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서는 화상 강조(image enhancement), 즉 화상 정보를 처리하여 화상 내의 특정 정보를 강조하고 관측하기 쉬운 화상으로 변환하는 조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image enhancement가 수행되기 위하여, 화면의 명암을 조절하는 명암 조절부(Contrast controller)(225),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Brightness controller)(226), 화면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 조절부(Sharpness controller)(227), 화면의 색상을 조절하는 색상 조절부(Color controller)(228) 및 화면의 색농도를 조절하는 농도 조절부(concentration controller)(229) 등, 각각의 영상 설정 값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부(225)(226)(227)(228)(229)에서는,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코더(221)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의 영상 설정 값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5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로 입력되는 신호가 PC 입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가 PC 입력이면 상기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영상 판단부(240)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판단부(240)에서 전달되는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이 설정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로 전달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 즉 image enhancement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영상 판단부(240)는 영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241)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경되었는지 여부가 비교되는 영상 비교부(242)와, 상기 영상 비교부(242)의 비교 결과를 검토하여 상기 영상 화면상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2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장치(200)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이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234)의 제어 결과가 저장되는 메모리(250)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34)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200)의 화면 조정 방법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조정 방법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버튼 등을 이용하여, 직접 화면의 밝기, 명암, 선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화면 조정 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영상 수신부(210)의 튜너(211) 또는 외부 신호 입력부(212)로부터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디코더(221)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221)에서는 상기 영상 수신부(210)의 출력신호 중 비디오 스트림이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제어부(230) 및 이미지 프로세서(222)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영상 신호가 PC로부터 입력되는 것인지 여부가 검사되고, 상기 영상 신호가 PC로부터 입력되는 것이면, 상기 영상 신호는 영상 판단부(240)의 영상 저장부(241)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 저장부(241)에는 상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비교부(242)에서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움짐임 검출부(243)에서는 상기 영상 비교부(242)의 비교 결과를 검토하여 영상 화면상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 즉 상기 영상이 동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부(243)에서 검출된 결과는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상기 동영상 판단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움직임 검출부(243)에서 검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이 설정되도록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서는 상기 전달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명암, 밝기, 선명도, 색상, 농도 등 영상 설정 값들이 조정되고, 상기 조정된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50)로 전달되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이 적용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상세히, 일반적인 정지영상의 경우 강의, 프리젠테이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영상은 움직임이 적고 글자나 사진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밝고 선명한 화면이 중요시된다. 따라서, 화면의 밝기는 더욱 밝아져야 하고, 명암은 뚜렷해져야 하고, 선명도는 향상되어야 한다.
이에 반하여, 동영상의 경우, 영상이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고, 부드럽고 끊기지 않도록 재생되어야 하고,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고 편안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면의 밝기는 일정 정도 어두워져야 하고, 명암은 흐릿해져야 하고, 선명도는 감소되어야 한다.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각각의 경우의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은, 영상표시장치의 주 사용자, 주 사용지역, 주 사용국가, 주 사용환경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PC 입력 시 자동으로 입력 신호가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검출되어 각각의 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이 설정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PC 입력시 동영상과 정지영상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는 종래 다양한 기술이 존재한다. 특히 정지영상의 경우 영상의 일부 영역에서만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검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과의 차를 구하여 얻어진 차영상의 픽셀(pixel) 값을 이용하는 픽셀 값 기반의 움직임 검출 방법이 있다. 즉, 차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픽셀 값으로부터 평균, 표준편차 등 통계적 특징값을 유도하고, 이를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적정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영상에서 움직임 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상세히,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감지장치의 움직임 검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되어 영상 처리부(220) 및 제어부(230)를 통과한 영상 신호는 상기 영상 저장부(241)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저장부(241)는 영상의 비교를 위해 이전의 입력 영상과 현재의 입력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 비교부(242)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과 영상 저장부(241)에 저장된 이전 영상의 차영상을 구한다.
그리고, 움직임 검출부(243)는 각 픽셀의 차영상 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움직임이 있는 픽셀과 움직임이 없는 픽셀을 결정하고 이를 움직임이 있는 픽셀과 없는 픽셀로 이진화한 후, 영상 비교부(242)가 이진화 영상으로 변환된 픽셀의 전체 합을 산출한다. 이진화 영상의 픽셀 전체의 합은 움직임 검출부(243)에서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된다. 상기 비교결과 이진화 영상의 합이 임계값 이상이면 영상에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차 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검출 방법은 픽셀 단위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차 영상의 다양한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 다.
이 밖에도, 동영상과 정지영상의 판단 방법에 관하여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S310 ~ S320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PC 입력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30 단계) 만약, 상기 수신되는 신호가 PC 입력이 아니라면, 해당 방송 신호 또는 해당 외부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335 단계)
한편, 입력 신호가 PC 입력인 경우,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자동 모드인지 또는 수동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40 단계)
만약, 상기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자동 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 판단부(240)에서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가 판단된다.(S350 단계)
상세히, 상기 입력 신호가 PC 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영상 저장부(241)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저장부(241)에는 상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비교부(242)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비교된다. 그리고, 상기 움짐임 검출부(243)에서는 상기 영상 비교부(242)의 비교 결과를 검토하여 영상 화면상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 즉 상기 영상이 동영상인지 여부가 검출된다.(S360 단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부(243)에서 검출된 결과는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이면,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동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 제어 명령이 전달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서는 상기 전달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명암, 밝기, 선명도, 색상, 농도 등 영상 설정 값들이 조정되고, 상기 조정된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5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S371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이면,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정지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 전달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2)에서는 상기 전달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영상 설정 값들이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부(250)에서 디스플레이된다.(S373 단계)
여기서,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들은, 영상표시장치의 주 사용자, 주 사용지역, 주 사용국가, 주 사용환경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들은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260)에 기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 화된 설정 값으로 조정한 후, 이를 상기 메모리(260)에 저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수동 모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가 동영상 모드인지 또는 정지영상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65 단계) 만약, 사용자가 동영상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는 동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반면, 사용자가 정지영상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는 정지영상에 가장 적합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가 PC 입력에서 다른 입력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80 단계), 상기 입력 신호가 PC 입력인 경우, 상기 S340 ~ S380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자동으로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라 최적화된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가 가지고 있는 영상 처리 능력이 최대한 이용되어, 사용자는 최적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해서, 영상표시장치에 외부 입력으로서 PC가 연결될 경우, 그 사용 용도에 따라서 최적화된 영상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화면 설정이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영상 설정 값이 수동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어울리는 영상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처리능력이 최대한 발휘되므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서,
    TV 방송 신호 또는 상기 PC와 같은 외부기기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PC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신호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영상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영상 설정 값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를 통해 영상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수신부의 출력신호 중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이미지 프로세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에는 화면의 명암을 조절하는 명암 조절부,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 화면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 조절부, 화면의 색상을 조절하는 색상 조절부 및 화면의 색농도를 조절하는 농도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영상 설정 값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서,
    TV 방송 신호 또는 상기 PC와 같은 외부기기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PC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신호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영상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영상 설정 값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를 통해 영상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고,
    상기 영상 판단부는 영상 데이터가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경되었는지 비교하는 영상 비교부와, 상기 영상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검토하여 상기 영상 화면상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5. 삭제
  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가 구비되고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상기 PC로부터 수신된 영상이면, 수신된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에 따른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영상 설정 값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되는 단계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경되었는지 비교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의하여 영상 화면상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검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가 구비되고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상기 PC로부터 수신된 영상이면, 수신된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에 따른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영상 설정 값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은,
    제품 제작 시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가 구비되고 PC와 연계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상기 PC로부터 수신된 영상이면, 수신된 영상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에 따른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영상 설정 값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PC 입력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되는 영상이 PC 입력이면 기 설정된 모드가 자동 모드인지 수동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영상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설정 값으로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78555A 2006-08-21 2006-08-21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2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55A KR100826040B1 (ko) 2006-08-21 2006-08-21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55A KR100826040B1 (ko) 2006-08-21 2006-08-21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31A KR20080017131A (ko) 2008-02-26
KR100826040B1 true KR100826040B1 (ko) 2008-04-28

Family

ID=3938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555A KR100826040B1 (ko) 2006-08-21 2006-08-21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410B1 (ko) * 2008-09-30 2011-06-01 주식회사 바이오넷 초음파 영상 진단기의 자동 다중해상도 표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619A (ko) * 2000-10-13 2002-04-19 가네꼬 히사시 액정 표시 장치 및 컴퓨터
KR20060080887A (ko) * 2005-01-06 2006-07-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619A (ko) * 2000-10-13 2002-04-19 가네꼬 히사시 액정 표시 장치 및 컴퓨터
JP2002123223A (ja) * 2000-10-13 2002-04-26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KR20060080887A (ko) * 2005-01-06 2006-07-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410B1 (ko) * 2008-09-30 2011-06-01 주식회사 바이오넷 초음파 영상 진단기의 자동 다중해상도 표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31A (ko)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of image display device
CN106878787B (zh) 电视影院模式实现方法及装置
KR101024196B1 (ko) 반투명 백그라운드를 갖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시스템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방법
JP3957730B2 (ja) 画像表示装置
US10788946B2 (en) Display apparatus, source apparatus, and methods of providing content
JP2008152720A (ja) 電子機器
JP4693918B2 (ja) 画質調整装置および画質調整方法
CN114630053B (zh) 一种hdr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JP2007065680A (ja) 画像表示装置
JP2013258683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5641824A (zh) 画面调整设备、显示设备及画面调整方法
JP2009100186A (ja)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78626A (ja) マルチ画面音声出力制御装置
JP2009198653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8836862B2 (en) Method of picture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0826040B1 (ko) 동영상과 정지영상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WO2021031608A1 (zh) 一种摄像头物理开关锁定状态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080011026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2004070103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16736A (ja) 液晶表示装置の画像切り換え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821279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a
JP2009276702A (ja) 画像表示装置
JP2010128408A (ja) 画像表示装置
JP200725696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2038587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