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95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954B1
KR100825954B1 KR1020010086105A KR20010086105A KR100825954B1 KR 100825954 B1 KR100825954 B1 KR 100825954B1 KR 1020010086105 A KR1020010086105 A KR 1020010086105A KR 20010086105 A KR20010086105 A KR 20010086105A KR 100825954 B1 KR100825954 B1 KR 10082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eservoir
washing machine
uneven portio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971A (ko
Inventor
류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8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95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PCT/KR2002/002445 priority patent/WO2003056094A1/en
Priority to US10/469,159 priority patent/US7421862B2/en
Priority to JP2003556601A priority patent/JP2005512743A/ja
Priority to DE60233688T priority patent/DE60233688D1/de
Priority to CNB028056167A priority patent/CN1309894C/zh
Priority to AU2002359043A priority patent/AU2002359043B2/en
Priority to EP02793525A priority patent/EP1458921B1/en
Priority to DE60226489T priority patent/DE60226489D1/de
Priority to EP06013818A priority patent/EP1719831B1/en
Publication of KR2003005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20) 내부의 정보, 예를 들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저수조(20)를 관통하지 않고 저수조하면(22)에서 저수공간(21)의 내부를 향해 센서요철부(27)를 형성하였다. 상기 센서요철부(27)는 저수조하면(22)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부(28)이고 저수공간(21)으로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철부(29)이다.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요부(28)에는 센서(30)가 상기 저수조(2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센서(30)의 선단은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철부(29)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저수공간(21)의 내부의 정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30)는 체결판(34)을 구비하여 상기 저수조하면(22)에 형성된 체결보스(23)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를 관통하지 않고도 센서(30)를 설치할 수 있어 누수염려가 없으며, 실링재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센서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저수조(2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센서, 장착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센서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저수조의 하면에서 본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저수조 21: 저수공간
22: 저수조하면 23: 체결보스
25: 보강리브 27: 센서요철부
28: 요부 29: 철부
30: 센서 32: 연결선
34: 체결판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에서 세탁이 이루 어지는 공간 내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탁기의 외관을 캐비넷(1)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의 내부에는 저수조(3)가 서포터(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3)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저수조(3)의 내부에는 세탁조(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세탁조(5)의 내부에서는 실질적인 세탁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세탁조(5)에는 상기 저수조(3)와의 연통을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5)의 바닥에는 세탁날개(6)가 상기 세탁조(5)와 함께 또는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세탁조(5)와 세탁날개(6)의 회전은 상기 저수조하부(3')에 장착된 모터(7)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모터(7)는 회전축(8)을 통해 상기 세탁조(5) 및 세탁날개(6)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자(7r)와 상기 회전자(7r)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자(7r)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저수조하부(3')에 장착되는 고정자(7s)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8)에는 상기 회전자(7r)의 회전력을 상기 세탁조(5)와 세탁날개(6)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의 상단에는 탑커버(9)가 장착되고, 상기 탑커버(9)의 중앙에는 상기 세탁조(5)의 내부를 선택적 개폐하는 리드조립체(10)가 설치된다.
한편, 세탁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저수조(3)와 세탁조(5)의 내부의 정보(예를 들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2)를 장착하기도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하부(3')에 통공(3h)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h)을 통해 저수조(3)의 내부로 노출되게 센서(12)를 설치한다. 상기 센서(12)에는 장착판(14)이 구비되어 저수조하부(3')의 체결보스(3b)에 체결나사(15)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장착판(14)과 저수조(3)의 하면 사이에는 실링재(13)가 설치되어 상기 통공(3h)을 통한 누설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센서(12)를 설치하기 위해 저수조(3)에 통공(3h)을 천공하게 되면, 상기 통공(3h)을 통한 누수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누수 방지를 위해 별도의 실링재(13)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센서(12)는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기 통공(3h)을 통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전사고나 단락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리고, 센서(12)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상대적으로 기능이 높은 기종으로, 종류가 그다지 많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류가 많지 않은 세탁기를 생산하기 위해 통공(3h)을 천공한 저수조(3)를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수의 염려가 없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의 사용유무에 상관없이 저수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공간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요철부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센서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는 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은 상기 저수조에 형성된 체결보스에 체결되어 센서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요철부는 상기 저수조의 하면에서는 함몰되는 요부이고, 저수공간으로는 돌출되는 철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센서장착구조에 의하면 센서의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저수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센서장착부에서 별도의 실링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저수조의 하면에서 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저수조(20)는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저수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21) 내에는 세탁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저수공간(21)(세탁조의 내부 포함)에는 세탁수가 채워진다.
상기 저수조(20)의 하부를 구성하는 저수조하면(22)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보스(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23)는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면 부호 25는 저수조(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이다.
상기 체결보스(23)의 사이에 해당되는 저수조하면(22)은 요입되어 상기 저수공간(21)의 내부로 돌출되게 센서요철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요철부(27)는 상기 저수조하면(22)에서 볼 때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부(28)이고, 상기 저수공간(21)에서 볼 때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철부(29)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요철부(27)가 저수공간(21)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높이(H)는 8에서 13mm 정도로 된다. 그리고, 센서요철부(27)의 두께(t)는 대략 0.7에서 1.7mm 정도이다. 상기 센서요철부(27)가 형성되는 세탁조 하부의 공간은 센서요철부(27)가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가 있으나,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돌출높이(H)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온도감지측면에서는 돌출높이(H)가 높은 것이 유리하나 높이(H)가 높아지면 두께(t)가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요부(28)에는 센서(30)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저수조 하면(22)으로부터 상기 요부(28)에 상기 센서(30)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센서(30)에는 연결선(32)이 연결되어 있어 감지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30)에는 체결판(34)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저수조하면(22)에 형성된 체결보스(23)에 체결되어 센서(30)가 고정되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센서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30)를 저수조(20)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저수조하면(22)에는 요입되게 요부(28)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21)으로는 돌출되게 철부(29)로 형성되는 센서요철부(27)의 상기 요부(28)에 상기 센서(30)의 선단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30)에 구비된 체결판(34)을 상기 체결보스(23)에 안착시키고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체결판(34)을 체결보스(23)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센서(30)의 장착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30)가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요부(28)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센서(30)는 상기 센서요철부(27)의 돌출되어 있는 철부(29)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저수공간(21) 내부의 정보를 얻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철부(29)의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 예를 들면 온도를 상기 센서(30)가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철부(29)의 표면적, 두께(t) 및 높이(H)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실험을 통해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센서요철부(27)가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철부(29)의 표면적 이 넓어지면 상기 저수공간(21) 내부의 영향을 상기 센서(30)가 보다 많이 받게 되어 정확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센서요철부(27)의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센서요철부(27)가 적절하게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센서(30)로 얻기에 적절한 것으로 온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30)로는 써미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30)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센서요철부(27)가 관통되어 형성되지 않으므로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센서요철부(27)를 통한 누수 문제가 없게 된다. 이에 더불어 센서(30)를 사용하지 않는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요철부(27)에 센서(3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면 되므로, 하나의 저수조(20)를 생산하여 센서(30) 사용유무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에서는 센서로 써미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센서는 센서요철부와 접촉하여 센서요철부로 전달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고, 센서요철부와 접촉되지 않더라도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에서는 저수조하면에서 요입되어 저수공간의 내부로 돌출된 센서요철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저수공간 내부의 정도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센서를 설치함에 있어 저수조를 관통하지 않았으므로 누수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부품의 갯수가 줄 어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장착을 위한 센서요철부가 저수조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센서가 채용되지 않는 세탁기에서는 상기 센서요철부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며 되고, 센서가 채용되는 세탁기에서는 상기 센서요철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저수조를 공용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저수조의 제조원가가 줄어 들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공간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요철부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센서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는 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은 상기 저수조에 형성된 체결보스에 체결되어 센서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요철부는 상기 저수조의 하면에서는 함몰되는 요부이고, 저수공간으로는 돌출되는 철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삭제
  4. 삭제
KR1020010086105A 2001-12-27 2001-12-27 세탁기 KR10082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105A KR100825954B1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
US10/469,159 US7421862B2 (en) 2001-12-27 2002-12-27 Washing machine with temperature sensor arrangement
JP2003556601A JP2005512743A (ja) 2001-12-27 2002-12-27 洗濯機
DE60233688T DE60233688D1 (de) 2001-12-27 2002-12-27 Waschmaschine
PCT/KR2002/002445 WO2003056094A1 (en) 2001-12-27 2002-12-27 Washing machine
CNB028056167A CN1309894C (zh) 2001-12-27 2002-12-27 洗衣机
AU2002359043A AU2002359043B2 (en) 2001-12-27 2002-12-27 Washing machine
EP02793525A EP1458921B1 (en) 2001-12-27 2002-12-27 Washing machine
DE60226489T DE60226489D1 (de) 2001-12-27 2002-12-27 Waschmaschine
EP06013818A EP1719831B1 (en) 2001-12-27 2002-12-27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105A KR100825954B1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971A KR20030055971A (ko) 2003-07-04
KR100825954B1 true KR100825954B1 (ko) 2008-04-29

Family

ID=3221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105A KR100825954B1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95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788U (ko) * 1980-02-05 1981-09-03
JPS62127286U (ko) * 1986-02-05 1987-08-12
JPH0464389A (ja) * 1990-07-02 1992-02-28 Brother Ind Ltd 乾燥洗濯機
KR920012621A (ko) * 1990-12-29 1992-07-27 강진구 세탁수의 혼탁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920018284A (ko) * 1991-03-29 1992-10-21 가나이 쓰도무 세탁기
KR930008226A (ko) * 1991-10-19 1993-05-21 강진구 삶는 세탁기의 안전장치
KR940003528U (ko) * 1992-07-09 1994-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삶는 세탁기의 히터안전장치
KR940003528A (ko) * 1992-08-21 1994-03-12 배순훈 자외선 발생 장치를 가진 식기세척기
KR960018016A (ko) * 1994-11-25 1996-06-17 이헌조 세탁수의 농도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3970A (ko) * 1996-12-18 1998-10-07 요제프케슬 복합 유체도관을 장착한 드럼식 세탁기
KR19980066086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세탁기의 온도센서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788U (ko) * 1980-02-05 1981-09-03
JPS62127286U (ko) * 1986-02-05 1987-08-12
JPH0464389A (ja) * 1990-07-02 1992-02-28 Brother Ind Ltd 乾燥洗濯機
KR920012621A (ko) * 1990-12-29 1992-07-27 강진구 세탁수의 혼탁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920018284A (ko) * 1991-03-29 1992-10-21 가나이 쓰도무 세탁기
KR930008226A (ko) * 1991-10-19 1993-05-21 강진구 삶는 세탁기의 안전장치
KR940003528U (ko) * 1992-07-09 1994-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삶는 세탁기의 히터안전장치
KR940003528A (ko) * 1992-08-21 1994-03-12 배순훈 자외선 발생 장치를 가진 식기세척기
KR960018016A (ko) * 1994-11-25 1996-06-17 이헌조 세탁수의 농도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3970A (ko) * 1996-12-18 1998-10-07 요제프케슬 복합 유체도관을 장착한 드럼식 세탁기
KR19980066086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세탁기의 온도센서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971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199B2 (ja) 洗濯機
KR20050056363A (ko) 탑로딩방식 드럼 세탁기
KR100825954B1 (ko) 세탁기
CN210862740U (zh) 一种传感器
US20070285261A1 (en) Float Switch of Washing Machine
KR100847559B1 (ko) 세탁기
KR20100008780U (ko) 차량 회전센서
JP3544776B2 (ja) 脱水兼用洗濯機の回転槽
KR20020073063A (ko) 수온 센서
EP1458921B1 (en) Washing machine
KR100471447B1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JPS5938237Y2 (ja) 洗濯機等の操作箱
KR100680195B1 (ko) 세탁기의 수질 감지센서
JP2538485Y2 (ja) 洗濯機
KR100493273B1 (ko) 모우터의 센서 조립구조
KR100792717B1 (ko) 세탁기의 케이스 구조
KR200160453Y1 (ko) 누수방지 구조를 갖는 상부판과 세탁조
KR101464298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CN113445265B (zh) 滚筒式衣物处理装置的内筒和具有其的滚筒式衣物处理装置
KR900004386Y1 (ko) 거울겸용 회전식 비누갑
KR100548712B1 (ko)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누수방지구조
KR20070066607A (ko)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KR20040085968A (ko) 수질감지센서
JPH0342118B2 (ko)
KR19980067584U (ko) 세탁기의 전면판넬과 밀폐캡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