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298B1 -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298B1
KR101464298B1 KR1020070118725A KR20070118725A KR101464298B1 KR 101464298 B1 KR101464298 B1 KR 101464298B1 KR 1020070118725 A KR1020070118725 A KR 1020070118725A KR 20070118725 A KR20070118725 A KR 20070118725A KR 101464298 B1 KR101464298 B1 KR 10146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sealing cover
tub
fitted
electrod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159A (ko
Inventor
임명훈
오수영
박태영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1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29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8852220.6A priority patent/EP2220280A4/en
Priority to US12/743,794 priority patent/US20100281625A1/en
Priority to EP08851389.0A priority patent/EP2227580A4/en
Priority to EP08851339.5A priority patent/EP2220279A4/en
Priority to US12/743,725 priority patent/US20100306927A1/en
Priority to PCT/KR2008/006846 priority patent/WO2009066940A2/en
Priority to PCT/KR2008/006845 priority patent/WO2009066939A2/en
Priority to US12/743,762 priority patent/US20100251780A1/en
Priority to PCT/KR2008/006847 priority patent/WO2009066941A2/en
Publication of KR2009005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극센서는 터브에 압입되는 실링커버와,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에 압입되는 센서바디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가 상기 터브에 압착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상기 실링커버에 압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와 실링커버, 상기 실링커버와 센서바디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전극, 센서, 실링, 조립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An electrode sensor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electrode sensor}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떼어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겸하는 건조겸용 세탁기로 구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 는 구동부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세탁조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센서는 내부에 방수재가 충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전극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세탁조의 외측 하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전극센서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조립 시간 및 공수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상기 세탁조와 상기 전극센서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극센서의 설치가 보다 간편해져 조립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브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커버와,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센서바디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실링커버는 상기 센서바디보다 탄성이 큰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도록 바디 압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바디 압입부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이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압입된 후 상기 실링커버의 내면에 걸림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에서 상기 장착홀에 압입되도록 형성된 커버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가 상기 장착홀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커버 압입부의 외경은 상기 장착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는 상기 장착홀에 압입된 후 상기 터브내에 노출되는 선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센서는 터브에 압입되는 실링커버와,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에 압입되는 센서바디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가 상기 터브에 압착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상기 실링커버에 압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와 실링커버, 상기 실링커버와 센서바디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세탁기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세탁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4)와, 상기 터브(4)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과, 상기 드럼(6)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6)을 구동시키는 모터(8)와, 상기 터브(4)내로 물 또는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터브(4)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의 저면에는 베이스(10)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의 상면에는 탑커버(12)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 커버(14)에는 세탁물 출입홀부를 개폐하는 도어(16)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동작을 조작하고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18)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는 외부 호스(2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호스(20)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22)와, 상기 급수밸브(22)를 통과한 물을 세제박스(24)로 안내하는 제 1급수호스(26)와, 상기 세제박스(24)에서 물과 세제가 섞인 세탁수를 상기 터브(4)로 안내하는 제 2급수호스(28)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터브(4)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4)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1배수호스(30)와, 상기 제 1배수호스(30)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32)와, 상기 배수펌프(32)내의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 2배수호스(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터브(4)에는 상기 터브(4)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센서(50)가 배치된다. 상기 전극센서(50)는 상기 터브(4)의 하측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50)는 상기 터브(4)의 후면(5)에 형성된 장착홀(5a)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브에 전극센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극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전극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센서(50)는 상기 장착홀(5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커버(60)와, 복수개의 전극(72)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60)에 형성된 관통홀(6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센서바디(70)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커버(60)는 상기 터브(4)와 상기 센서 바디(70)에 압입에 의해 결합되므로 상기 터브(4)나 상기 센서 바디(70)보다 탄성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0)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0)는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되도록 형성된 커버 압입부(62)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압입부(62)가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커버 압입부(62)의 외경(d2)은 상기 장착홀(5a)의 내경(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커버 압입부(62)의 외경(d2)와 상기 장착홀(5a)의 내경(d1)의 차이는 약 0.5mm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압입부(62)가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되면, 상기 커버 압입부(62)는 상기 장착홀(5a)의 내주면에 의해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압입부(62)가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된 이후의 상기 커버 압입부(62)의 외경(d2')는 상기 장착홀(5a)의 내경(d1)과 동일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링커버(60)는 상기 장착홀(5a)에 삽입된 후 상기 터브(4)의 후면부(5)에 전후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돌출 형성된 제 1,2리브(63)(6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2리브(63)(64)는 상기 커버 압입부(62)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2리브(63)(64)는 상기 커버 압입부(62)의 외주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리브(63)와 상기 제 2리브(64)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상기 터브(4)의 후면부(5)가 끼워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리브(64)에서 상기 터브(4)의 후면부(5)에 접하는 면(64a)은 상기 관통홀(61)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0)에서 상기 장착홀(5a)을 향한 선단부(65)는 상기 장착홀(5a)에 압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커버(60)는 상기 제 2리브(64)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커버 원통부(66)와, 상기 커버 원통부(66)에서 상기 센서바디(70)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후크부(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67)는 상기 커버 원통부(66) 중 적어도 일부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부(67)는 상기 커버 원통부(66)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바디(70)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72)이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바디(70)는 2개의 전극이 인서트되고, 상기 전극(72)의 단부가 상기 센서바디(7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바디(70)는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바디 압입부(73)와, 상기 바디 압입부(73)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바디 원통부(74)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 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바디 압입부(73)의 외경(d4)는 상기 관통홀(61)의 내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바디 압입부(73) 의 외경(d4)과 상기 관통홀(61)의 내경(d3)의 차이는 약 2mm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 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되면, 상기 관통홀(61)은 상기 바디 압입부(73)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 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된 이후의 상기 관통홀(61)의 내경(d3')은 상기 바디 압입부(73)의 외경(d4)와 동일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바디(70)는 상기 바디 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된 후 상기 후크부(67)에 걸림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턱(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75)은 상기 후크부(67)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바디(70)의 바디 원통부(74)에는 상기 후크부(67)가 끼워지도록 단차부(7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터브(4)의 장착홀(5a)에 상기 실링커버(60)를 밀어 넣어 압입한다.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커버 압입부(61)의 외경(d2)이 상기 장착홀(5a)의 내경(d1)보다 크고, 상기 실링커버(60)가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커버 압입부(61)가 상기 장착홀(5a)의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기 장착홀(5a)에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커버(60)를 상기 터브(4)의 장착홀(5a)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상기 실링커버(60)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커버 압입부(61)가 상기 장착홀(5a)에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실링커버(60)와 상기 터브(4)의 장착홀(5a)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실링커버(60)의 관통홀(61)에 상기 센서바디(70)를 밀어 넣어 압입한다.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바디 압입부(73)의 외경(d4)가 상기 관통홀(61)의 내경(d3)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바디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의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기 관통홀(61)에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바디(70)를 상기 실링커버(60)의 관통홀(61)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상기 센서바디(70)와 상기 실링커버(60)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센서바디(70)의 바디 압입부(73)가 상기 관통홀(61)에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센서바디(70)와 상기 실링커버(60)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센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6)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터브(4)의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전극센서(50)가 상기 터브(4)에 담긴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전극센서(50)에서 상기 터브(4)의 내측으로 노출된 2개의 전극(72)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2개의 전극(72)이 세탁수를 매개로 통전되어,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센서는 터브에 압입되는 실링커버와,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에 압입되는 센서바디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가 상기 터브에 압착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상기 실링커버에 압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와 실링커버, 상기 실링커버와 센서바디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브에 전극센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며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센서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극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며고,
도 7은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전극센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4: 터브 5a: 장착홀
50: 전극센서 60: 실링커버
61: 관통홀 62: 커버 압입부
63: 제 1리브 64: 제 2리브
66: 커버 원통부 67: 후크부
70: 센서바디 72: 전극
73: 바디 압입부 74: 바디 원통부
75: 걸림턱

Claims (8)

  1. 장착홀이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의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센서바디와;
    상기 센서바디가 결합되기 전,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센서바디보다 탄성이 큰 실링커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도록 바디 압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바디가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바디 압입부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이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압입된 후 상기 실링커버의 내면에 걸림되도 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에서 상기 장착홀에 압입되도록 형성된 커버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커버가 상기 장착홀에 압입되기 이전의 상기 커버 압입부의 외경은 상기 장착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는 상기 장착홀에 압입된 후 상기 터브내에 노출되는 선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8.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70118725A 2007-11-20 2007-11-20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KR10146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725A KR101464298B1 (ko) 2007-11-20 2007-11-20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US12/743,794 US20100281625A1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08851389.0A EP2227580A4 (en) 2007-11-20 2008-11-20 LAUNDRY PROCESSING MACHINE AND DETECTOR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ASSOCIATED WATER
EP08851339.5A EP2220279A4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08852220.6A EP2220280A4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H
US12/743,725 US20100306927A1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PCT/KR2008/006846 WO2009066940A2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PCT/KR2008/006845 WO2009066939A2 (en) 2007-11-20 2008-11-20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therefor
US12/743,762 US20100251780A1 (en) 2007-11-20 2008-11-20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Therefor
PCT/KR2008/006847 WO2009066941A2 (en) 2007-11-20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725A KR101464298B1 (ko) 2007-11-20 2007-11-20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59A KR20090052159A (ko) 2009-05-25
KR101464298B1 true KR101464298B1 (ko) 2014-11-21

Family

ID=4086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725A KR101464298B1 (ko) 2007-11-20 2007-11-20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97B1 (ko) * 2022-05-30 2022-09-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지보수가 간편한 탐사로봇 하부캐리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847A (en) * 1991-03-29 1994-05-31 Hitachi, Ltd. Washing machine
KR20040046961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도도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847A (en) * 1991-03-29 1994-05-31 Hitachi, Ltd. Washing machine
KR20040046961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도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59A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522B2 (en) Water level sensor of steam generating apparatus for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steam generating apparatus with the same
EP1892467B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00251780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Therefor
JP2004501705A (ja) シールスリーブ
KR20060052203A (ko) 드럼식 세탁기
KR101464298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KR101437969B1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08007218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36773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100748977B1 (ko) 드럼 세탁기
KR1013945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극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를 포함하는세탁물 처리기기
KR2008007218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558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수 감지장치 및 상기 세탁수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07355A (ko) 세탁장치
KR101036463B1 (ko) 건조덕트 구조
KR10257864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395269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8001607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119437A (ko) 드럼세탁기
KR100954855B1 (ko) 세탁기
KR20090024468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노이즈 필터
KR100872788B1 (ko) 드럼세탁기
KR200153537Y1 (ko) 세탁기의 벨로우즈구조
US20090064723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door switch thereof
KR1014875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