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09B1 -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 Google Patents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09B1
KR100825409B1 KR1020070055078A KR20070055078A KR100825409B1 KR 100825409 B1 KR100825409 B1 KR 100825409B1 KR 1020070055078 A KR1020070055078 A KR 1020070055078A KR 20070055078 A KR20070055078 A KR 20070055078A KR 100825409 B1 KR100825409 B1 KR 10082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plate
support
buil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07005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Abstract

본 발명은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의 건물 바닥에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이하, 바닥판이라 한다)을 설치하기 위한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건물 바닥의 전, 후, 좌, 우에 배열되게 장착되는 베이스 지지판(Q)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결합되는 받침대 본체(8)를 설치하여 받침대(S)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S)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S) 위에는 바닥판(P)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이다.
그리고 제2 특징은 건물 바닥에 바닥판(P)을 지지 설치하는 받침대(S)는 지지골조체(4)와, 상기 지지골조체(4) 위에 씌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는 지지캡(7)으로 구성된 받침대 본체(8)와, 상기 받침대 본체(8)의 하측부에 결합 구성되는 높이조절용 지지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하측부에 베이스 지지판(Q)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바닥판(P)을 지지해주는 받침대(S)가 장착되는 베이스 지지판(Q)을 전, 후, 좌, 우에서 스트링거(G)에 의해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받침대(S)를 본드 접착에 의한 설치 고정을 하지 않아도 되어 친환경적인 것이고, 또 상기 바닥판(P)의 설치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설치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철거 시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철거(복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닥판(P)을 시공 설치할 시 건물바닥면의 수평이 고르지 않은 부분에서 필요한 두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선택하거나 다수 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건물바닥의 면적이 넓어도 수평 상태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다.
셋째,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두께에 따라 색상을 구별하여 구성함에 따라 현장 작업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베이스 지지판(Q)의 전, 후, 좌, 우에 외측부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부(100)를 형성함에 따라 조립 구성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외측부로부터 충분하게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100)에 스트링거(G)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를 할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 지지판(Q)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걸림턱(102)(103)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전, 후, 좌, 우로 변동됨이 없이 장착할 수 있어 받침대 본체(8)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여섯째, 적은 인력 및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바닥판의 설치 시공할 수 있고, 정확한 공사 시간을 맞출 수 있어 계획된 즉시 입주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Installation structure of access floor for building and support used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D-D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지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지지 링"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지지 링의 체결용 돌기"에 "스트링거(Stringer)"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5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골조체"와 결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 링"의 다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거(Stringer)"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골조체"의 "베이스 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2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 체결 볼트 F: 건물바닥
G: 스트링거 P: 바닥판
Q: 베이스 지지판 R: 높이조절용 지지 링
S: 받침대
1: 체결용 돌기 2: 체결공
3: 결합돌기 4: 지지골조체
4a: 베이스 판 4b: 돌출부
5: 결합홈 6: 결합공
7: 지지캡 8: 받침대 본체
9: 구멍 100: 결합부
101: 체결용 돌기 102,103: 걸림턱
200: 관통공
본 발명은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의 건물 바닥에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이하, 바닥판이라 한다)을 설치할 시 설치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설치 시공 비용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철거 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원상복구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에서는 각종 전자 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케이블과 전선의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위치변동을 자유롭게하기 위하여 바닥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판은 통상 프리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 칭하고, 흔히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약칭된다.
이러한 바닥판은 본 발명의 도면인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건물의 바닥면(F)에 받침대(S)를 통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바닥면(F)과 바닥판(P)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간부인 배선통로(T)가 형성되며, 이 배선통로(T)를 통하여 각종 전자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배선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바닥판을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하기 위해 받침대를 건물 바닥에 고정되게 한 후 그 위에 바닥판을 장착하여 시공 설치하였는데, 상기 받침대를 건물 바닥에 고정되게 하는 방법으로서 받침대 밑에 본드 접착을 하여 고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본드 접착제로부터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것이어서 인체에 매우 해로운 것이고, 본드 접착 시공은 작업자가 일일이 본드를 칠하면서 작업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며, 특히 본드의 건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 완료 즉시 입주가 불가한 것이며 설치 시공비가 많이 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와 같이 바닥판을 시공 설치하여 사용한 후 건물의 임대 기간 만료나 이전 등으로 인해 시공 설치한 바닥판을 철거하여 원상복귀를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받침대의 본드 접착은 철거가 용이하지 못해 철거에 어려움이 있고 원상복귀에 따른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건물에 바닥판을 시공 설치하였을 경우 바닥판과 천장 간의 높이가 낮아져 전산설비나 가구 등의 배치 등 건물 사용에 따른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바닥판은 건물 바닥과 바닥판 간의 높이(도 2의 "h")가 50㎜ 이하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구조 특성상 건물 바닥과 바닥판 간의 높이를 50㎜ 이하로의 설치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래서 기존에는 바닥판 자체의 두께를 50㎜ 이하로 하고 그 소재를 플라스틱 재로 하여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바닥판은 지지력이 약하여 위험성이 있으며 건물바닥과 바닥판 간에 통로가 형성되지 않아 별도의 배선 통로를 시공해야하며 이 경우 여러 방향으로의 배선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고, 또한 건물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면 시공 설치 후 바닥판의 수평상태 또한 고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바닥판 자체가 플라스틱 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이 발생하여 넓은 면적의 건물 바닥일 경우에는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에 열팽창에 의한 완충 패드를 별도로 시공 설치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바닥에 바닥판을 설치할 시 설치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설치 시공 비용 및 제작비용이 절감 되고 또한 철거 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원상복구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로서, 건물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 후, 좌, 우에 배열되게 장착하는 베이스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 위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 링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과 결합되는 받침대 본체를 설치하여 받침대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지지판 간에 스트링거(Stringer)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 위에는 바닥판을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로서, 베이스판 위에 체결 볼트를 갖는 돌출부를 결합 구성한 지지골조체와, 상기 지지골조체 위에 씌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는 지지캡으로 구성된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하측부에 결합하여 구성된 높이조절용 지지링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의 하측부에 베이스 지지판을 결합하여 구성된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이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건물 바닥(F)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 후, 좌, 우에 배열되게 장착하는 베이스 지지판(Q)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결합되는 받침대 본체(8)를 설치하여 받침대(S)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S)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S) 위에는 바닥판(P)을 체결 볼트(B)에 의해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전, 후, 좌, 우에 결합부(10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00)에는 체결용 돌기(101)를 세워지게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그 전체 소재가 합성수지재로서 이루어져 상기 체결용 돌기(101)는 텐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그 전체 형상이 원형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소정의 높이로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결합 될 수 있게 결합턱(102)(103)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은, 도 1, 도 4,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의 전, 후, 좌, 우에 돌출 형성한 결합부(100)의 체결용 돌기(101)에 스트링거(Stringer)(G)의 선단부에 형성한 체결공(2)(도 21 참조)을 상기 체결용 돌기(101)에 삽입하여 체결 구성한다(도 10 참조).
상기 체결용 돌기(101)는 베이스 지지판(Q)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기능을 갖게 되어 상기 스트링거(Stringer)(G)의 체결공(2)과 삽입 결합이 용이하다.
즉, 상기 체결용 돌기(101)에 스트링거(Stringer)(G)의 체결공(2)을 삽입할 경우 체결용 돌기(101)가 압축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삽입이 완료되면 압축되었던 체결용 돌기(101)는 텐션 기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상기 받침대 본체(8)의 결합 구성은 도 4, 5, 9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양측으로 결합 돌기(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8)를 구성하는 지지골조체(4)의 외측 주연부와 결합 구성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결합 돌기(3)는 도 15 및 도 19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골조체(4)를 구성하는 베이스판(4a)에는 도 22 및 도 24에서와 같이 외측 주연부에 결합 홈(5)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결합 돌기(3)와 결합하며 결합 시 상기 결합 돌기(3)는 결합 홈(5)에 걸려 유동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이 받침대 본체(8)와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도 4, 도 5, 도 8,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장착한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은 베이스 지지판(Q)의 걸림턱(102)(103)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은 되어도 전, 후, 좌, 우로 유동 됨이 없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받침대 본체(8)와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은 건물 바닥(F)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 후, 좌, 우에 배열되게 장착된 베이스 지지판(Q)에 위치 변동 없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S) 위에 바닥판(P)을 체결 볼트(B)에 의해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베이스 지지판(Q)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함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받침대 본체(8) 위에 바닥판(P)을 체결할 시 받침대 본체(8)의 지지프레임(7a) 위에 바닥판(P)의 모서리와 정확히 조절[바닥판 본체(8)를 좌, 우로 회전시켜 조절함]하여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은 그 두께가 3㎜, 4㎜, 5㎜, 10㎜ 등 다양한 두께로 구성할 수 있고 이들 두께별로 빨강, 노랑, 파랑, 초록 등의 여러 가지 색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와 같이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필요에 따라 다수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다수로 결합하는 수단을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도 15 및 도 19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상기 결합 돌기(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3)와 결합되는 결합공(6)을 도 15 및 도 18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다수로 적층되게 결합하는 방법은, 다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준비하여, 도 19에서의 결합 돌기(3)를 다른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결합공(6)에 삽입 결합하면 도 20에서와 같이 다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적층시켜 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바닥에 바닥판(P)을 설치하는 방법을 보면, 먼저 건물바닥(F)의 전, 후, 좌, 우에 베이스 지지판(Q)을 배치하고 그 위에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결합 된 받침대 본체(8)를 장착하던가,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결합 된 받침대 본체(8)를 베이스 지지판(Q)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을 건물바닥(F)의 전, 후, 좌, 우에 배열 장착한 다음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G)로써 고정 설치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결합 된 받침대 본체(8)가 장착된 베이스 지지판(Q)의 돌출된 결합부(100)의 체결용 돌기(101)에 스트링거(G)의 체결공(2)에 의해 체결 고정함으로써 받침대(S)를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위와 같이 고정 설치된 받침대(S) 위에 바닥판(P)을 체결 볼트(B)에 의해 고정 설치하여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고정 설치한 스트링거(G)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별도의 본드 접착에 의한 설치 고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 바닥에 상기 바닥판(P)의 설치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설치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철거 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S)를 시공 설치할 시 건물바닥면의 수평이 고르지 않은 부분에서는 받침대 본체(8)의 밑면에 필요한 두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도 20에서와 같이 다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결합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건물바닥의 면적이 넓어도 상기 받침대(S) 위에 장착되는 바닥판(P)의 수평 상태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두께에 따라 색상을 구별하여 구성함에 따라 현장 작업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G)를 조립할 시 베이스 지지판(Q)의 전, 후, 좌, 우에 결합부(100)를 돌출 형성하여 받침대 본체(8)가 결합 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외측부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용 돌기(101)에 스트링거(G)의 체결공(2)을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G)를 조립하는 구조에서 베이스 지지판(Q)의 결합부(100)에 돌출 형성한 체결용 돌기(101)와 스트링거(G)의 체결공(2)이 조립되도록 한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100)의 양측부로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스트링거(G)의 양측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상기 결합부(100)에 스트링거(G)가 조립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전, 후, 좌, 우에 체결용 돌기(1)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용 돌기(1)에 스트링거(G)를 조립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을 생략하고 받침대 본체(8)가 결합 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이 건물바닥(F)에 직접 장착되게 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체결용 돌기(1) 부분을 도 11에서의 베이스 지지판(Q)에 구성된 결합부(100)와 같이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건물바닥(F)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S) 위에 체결 볼트(B)에 의해 바닥판(P)을 고정 설치하여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는 작업현장 상황에 따라 시공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4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건물 바닥에 바닥판을 지지 설치하는 받침대(S)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4a) 위에 체결 볼트(B)를 갖는 돌출부(4b)를 결합 구성한 지지골조체(4)와, 상기 지지골조체(4) 위에 씌워져 바닥판(P)을 지지하는 지지캡(7)으로 구성된 받침대 본체(8)와, 상기 받침대 본체(8)의 하측부에 결합 구성되는 높이조절용 지지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하측부에 베이스 지지판(Q)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 본체(8)의 하측부에 높이조절용 지지링(R)을 결합하는 수단은 도 4, 5, 9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양측으로 결합 돌기(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 본체(8)를 구성하는 지지골조체(4)의 베이스판(4a) 주연부에는 도 22 및 도 24에서와 같이 외측 주연부에 결합 홈(5)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결합 돌기(3)와 결합 구성한다.
상기 지지골조체(4)는 그 소재가 금속재 또는 지지력이 뛰어난 합성수지재 등으로 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금속재이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R)은 도 15 내지 도 19에서와 같은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도 15 및 도 17에서와 같이 높이조절용 지지링(R)은 중앙에 구멍(9)이 형성되고, 도 15 및 도 19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결합 돌기(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결합 돌기(3)와 결합되는 결합공(6)을 도 15 및 도 18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전, 후, 좌, 우에는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작업현장 상황에 따라 스트링거(G)와 체결하기 위한 예비용도의 체결용 돌기(1)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은 그 두께를 3㎜, 4㎜, 5㎜, 10㎜ 등 다양한 두께로 구성할 수 있고 이들 두께별로 작업현장 등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빨강, 노랑, 파랑, 초록 등의 여러 가지 색깔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공(200)을 형성하여 건물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시공 설치시 수평도를 높였고, 전, 후, 좌, 우에는 외측부로부터 결합부(100)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100)에는 체결용 돌기(10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내측부와 외측부에 걸림턱(101)(102)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00)의 체결용 돌기(101)에는 스트링거(G)가 조립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받침대는 건물바닥에 바닥판을 시공 설치할 시 상기 스트링거(G)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건물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넓은 면적이라 할지라도 정밀하고 용이하게 수평을 맞춰 바닥판을 시공 설치할 수 있다.
즉, 건물바닥의 전, 후, 좌, 우 사방에, 도 1에서와 같이 받침대(S)를 배열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S)의 지지 캡(7) 위에 바닥판(P)을 체결 볼트(B)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S)의 고정 설치는 하측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판(Q)의 결합부(100)에 구성된 체결용 돌기(101)에 스트링거(G)를 이용하여 전, 후, 좌, 우 사방에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받침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스트링거(G)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골조체(4)는 바닥판(P)을 시공 설치하였을 경우 하중에 의한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고, 지지캡(7)은 바닥판(P)의 장착을 안정되고 용이하며 미끄럼 방지 등의 기능을 하며, 체결 볼트(B)는 바닥판(P)을 고정시켜 이탈이나 유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체결 볼트(B)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고도 바닥판(P)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은 그 두께를 3㎜, 4㎜, 5㎜, 10㎜ 등 다양한 두 께로 구성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결합하여 건물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부분에 선택하여 사용함에 따라 받침판 위에 시공 설치되는 바닥판의 수평상태를 좋게 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각각의 두께별로 빨강, 노랑, 파랑, 초록 등의 여러 가지 색깔로 구성하여 작업현장 등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은 전, 후, 좌, 우에 외측부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부(100)를 형성함에 따라 조립 구성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외측부로부터 충분하게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100)에 스트링거(G)를 조립 및 분리를 할 시 작업자로 하여금 결합부(100)의 체결용 돌기(101)와 스트링거(G)의 체결공(2)을 정확하게 맞추어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걸림턱(102)(103)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전, 후, 좌, 우로 변동됨이 없이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S)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첫째, 바닥판(P)을 지지해주는 받침대(S)가 장착되는 베이스 지지판(Q)을 전, 후, 좌, 우에서 스트링거(G)에 의해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받침대(S)를 본드 접착에 의한 설치 고정을 하지 않아도 되어 친 환경적인 것이고, 또 상기 바닥판(P)의 설치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설치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철거 시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철거(복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닥판(P)을 시공 설치할 시 건물바닥면의 수평이 고르지 않은 부분에서 필요한 두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선택하거나 다수 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건물바닥의 면적이 넓어도 수평 상태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다.
셋째,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두께에 따라 색상을 구별하여 구성함에 따라 현장 작업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베이스 지지판(Q)의 전, 후, 좌, 우에 외측부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부(100)를 형성함에 따라 조립 구성된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의 외측부로부터 충분하게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100)에 스트링거(G)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를 할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 지지판(Q)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걸림턱(102)(103)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전, 후, 좌, 우로 변동됨이 없이 장착할 수 있어 받침대 본체(8)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여섯째, 적은 인력 및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바닥판의 설치 시공할 수 있고, 정확한 공사 시간을 맞출 수 있어 계획된 즉시 입주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건물 바닥의 전, 후, 좌, 우에 배열되게 장착되는 베이스 지지판(Q)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Q) 위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 링(R)과 결합되는 받침대 본체(8)를 설치하여 받침대(S)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S)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S) 위에는 바닥판(P)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 본체(8)의 하측부에 다수의 높이조절용 지지 링(R)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판(Q) 간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는 수단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Q)의 전, 후, 좌, 우에 돌출되게 결합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00)에 스트링거(Stringer)(G)를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결합부(100)에 체결용 돌기(101)를 돌출 형성하고, 스트링거(Stringer)(G)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101)와 체결 결합되는 체결공(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5. 건물 바닥에 바닥판(P)을 지지 설치하는 받침대(S)는 지지골조체(4)와, 상기 지지골조체(4) 위에 씌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는 지지캡(7)으로 구성된 받침대 본체(8)와, 상기 받침대 본체(8)의 하측부에 결합 구성되는 높이조절용 지지링(R)과,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하측부에 베이스 지지판(Q)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받침대 본체(8)와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결합 수단은 지지골조체(4)의 주연부에 결합홈(5)을 형성하고 높이조절용 지지링(R)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홈(5)과 결합되는 결합돌기(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7. 제5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용 지지링(R)은 양측으로 결합 돌기(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3)와 결합되는 결합공(6)을 상기 결합 돌기(3) 사이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8. 제5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용 지지링(R)은 다양한 두께로 각각 구성하고 두께별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여러 가지 색깔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용 지지링(R)은 그 두께를 3㎜, 4㎜, 5㎜, 10㎜로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10.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판(Q)은 전, 후, 좌, 우에 스트링거(Stringer)(G)가 체결되는 결합부(100)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11. 제10항에 있어서, 결합부(100)에 스트링거(Stringer)(G)의 체결공(2)과 결합되는 체결용 돌기(101)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12.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판(Q)은 내측부와 외측부에 걸림턱(102)(10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받침대.
KR1020070055078A 2007-06-05 2007-06-05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KR10082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78A KR100825409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78A KR100825409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409B1 true KR100825409B1 (ko) 2008-04-29

Family

ID=3957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078A KR100825409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427A (zh) * 2018-04-27 2018-09-18 江苏创森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地板支撑底板及其制备工艺和一种模块式铺设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625A (ja) * 1991-09-25 1993-04-09 Naka Ind Ltd 二重床
JPH07173923A (ja) * 1993-12-10 1995-07-11 Kokuyo Co Ltd 床パネル支持装置
KR970013912U (ko) * 1995-09-01 1997-04-28 주식회사세양 건물 바닥판용 받침대
JPH1122156A (ja) 1997-07-08 1999-01-26 Hitachi Zosen Corp 床構造
JP2002180641A (ja) 2000-12-08 2002-06-26 Kokuyo Co Ltd 二重床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625A (ja) * 1991-09-25 1993-04-09 Naka Ind Ltd 二重床
JPH07173923A (ja) * 1993-12-10 1995-07-11 Kokuyo Co Ltd 床パネル支持装置
KR970013912U (ko) * 1995-09-01 1997-04-28 주식회사세양 건물 바닥판용 받침대
JPH1122156A (ja) 1997-07-08 1999-01-26 Hitachi Zosen Corp 床構造
JP2002180641A (ja) 2000-12-08 2002-06-26 Kokuyo Co Ltd 二重床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427A (zh) * 2018-04-27 2018-09-18 江苏创森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地板支撑底板及其制备工艺和一种模块式铺设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983A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JP2011032723A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装置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CN201991188U (zh) 积木式防水户外地板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0825409B1 (ko)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KR100818695B1 (ko) 건물용 바닥판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받침대
KR100795132B1 (ko) 천장용 패널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JP2015028270A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CN208907303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建筑工程用木模板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CN206298894U (zh) 一种建筑工程用组合桩
EP2016238B1 (en) A spacer element for flat elements, such as slabs, tiles and the like.
CN104213659A (zh) 幕墙安装系统
KR200212918Y1 (ko) 건물 바닥판용 받침대
CN210195114U (zh) 一种室内装饰墙板与墙体的固定连接结构
KR101290645B1 (ko) 타일몰딩장치
CN210947498U (zh) 一种室内装饰护墙板墙体功能金属阳角装饰型材连接装置
CN217079528U (zh) 易装易拆地板安装系统
JP6300170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CN214786274U (zh) 一种装配式叠合板可调式独立支撑装置
JP4731449B2 (ja) 二重床パネルの支持脚ユニットとこの支持脚ユニットを用いた二重床パネルの施工方法
JPS61261562A (ja) タイルブロツクを用いた建物の外装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