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614B1 -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614B1
KR100824614B1 KR1020060124607A KR20060124607A KR100824614B1 KR 100824614 B1 KR100824614 B1 KR 100824614B1 KR 1020060124607 A KR1020060124607 A KR 1020060124607A KR 20060124607 A KR20060124607 A KR 20060124607A KR 100824614 B1 KR100824614 B1 KR 10082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lding
injection
cooling wat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효원
권혁성
Original Assignee
천효원
권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효원, 권혁성 filed Critical 천효원
Priority to KR102006012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6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이나 젤 등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되는 튜브를 성형기에서 플라스틱 원료(PE 등)로 성형하여 압출한 후 이를 냉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상태 및 냉각수중에 있는 성형물의 외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아웃사이드 쿨링방식의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압출기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압출한 후, 다이헤드에서 소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시키고, 상기 성형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된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장치; 상기 다이헤드에서 압출된 성형물이 내부로 지나가면서 내벽에 눌어붙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상기 제1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부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사부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로 이루어지는 1차냉각존; 상기 1차냉각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공급장치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급파이프와, 내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4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공급파이프로부터의 냉각수가 상기 제4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유입로가 형성되며 테두리에 다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냉각링과, 상기 냉각링이 소정 개수로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링의 결합홀이 끼워지는 결합샤프트로 이루어지는 2차냉각존; 상기 1,2차냉각 존의 내부 온도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온도게이지; 상기 1,2차냉각존의 내부 진공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진공게이지; 및 상기 1,2차냉각존의 내부 진공을 제어하는 진공제어장치;로 구성되어 1,2차냉각존의 내부가 진공 및 수중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압출성형물, 진공냉각, 냉각장치, 아웃사이드 쿨링, 냉각시스템, 냉각기

Description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OF EXTRUDED PLASTIC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를 나타낸 전체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1,2차냉각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1차냉각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2차냉각존의 냉각링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2차냉각존의 결합샤프트에 냉각링이 설치된 정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각수공급장치
120 : 1차냉각존
122 : 제1냉각부
122a : 제1진입홀 122b : 제1분사홀
124 : 제2냉각부
124a : 제2진입홀 124b : 제2분사홀
126 : 제3냉각부
126a : 제3진입홀 126b : 제3분사홀
130 : 2차냉각존
132 : 공급파이프 134 : 냉각링
134a : 제4분사노즐 134b : 유입로
134c : 결합홀 136 : 결합샤프트
140 : 온도게이지
150 : 진공게이지
160 : 진공제어장치
T : 성형물
본 발명은 크림이나 젤 등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되는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플라스틱원료를 성형기에 주입하여 성형한 후, 이를 압출시킨 성형물을 냉각시키는 성형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냉각수중에서 성형물의 외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젤이나 화장품 등의 튜브 용기는 다이헤드를 통해 성형물이 압출되면 다이헤드 앞쪽에 형성되는 사이징 맨드렐에 의해 압출물의 내측면을 냉각시키며 성형물의 직경(사이즈)을 형성시키는 방법인 인사이드 냉각방법에 의해 성형물의 내면을 우선적으로 냉각시키고 지지 및 이송하며 이후 성형물의 외면을 스프레이 냉각이나 수중에서 기본냉각하는 방식으로 냉각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인사이드 냉각방식에 의해 불순물이 미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은 성형물의 표면상에 나타날 수 있는 상황으로 표면에 광택이 저하되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때문에 상기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불순물 제거용 스크린체인져를 다이헤드에 설치 운영하는데 이러한 다이헤드에 사용되는 스크린체인져는 스크린을 교환하기 위해 소비하는 시간에 의해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성형물의 색상을 교환할 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압출성형물이 사이징 멘드렐에 의해 인사이드 냉각되는 것만으로는 성형물에 충분한 냉각을 보장하지 못하는 관계로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제약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헤드를 통해 압출되는 성형물을 진공상태 및 수중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겉표면에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아웃사이드 쿨링 냉각방식을 이용하여 생산속도를 증가시키고(기존 인사이드 냉각방식의 3~5배의 생산속도), 냉각과정에서 불순물을 포함한 분자들이 미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은 성형물의 내부로 이동하여 제품의 겉표면이 부드럽고 광택이 나는 미려한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스크린 체인저가 필요없는 압출 시스템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는, 압출기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압출한 후, 다이헤드에서 소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시키고, 상기 성형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된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장치; 상기 다이헤드에서 압출된 성형물이 내부로 지나가면서 내벽에 눌어붙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상기 제1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부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사부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로 이루어지는 1차냉각존; 상기 1차냉각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공급장치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급파이프와, 내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4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공급파이프로부터의 냉각수가 상기 제4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유입로가 형성되며 테두리에 다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냉각링과, 상기 냉각링이 소정 개수로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링의 결합홀이 끼워지는 결합샤프트로 이루어지는 2차냉각존; 상기 1,2차냉각존의 내부 온도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온도게이지; 상기 1,2차냉각존의 내부 진공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진공게이지; 및 상기 1,2차냉각존의 내부 진공을 제어하는 진공제어장치;로 구성되어 1,2차냉각존의 내부가 진공 및 수중 상태로 성형물을 냉각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냉각존의 제1분사부는, 내부로 성형물이 통과하는 제1진입홀; 및 상기 제1진입홀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1진입홀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1분사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분사홀은, 성형물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냉각존의 제2분사부는, 내부로 성형물이 통과하는 제2진입홀; 및 상기 제2진입홀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2진입홀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2분사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분사홀은, 성형물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냉각존의 제3분사부는, 내부로 성형물이 통과하는 제3진입홀; 및 상기 제3진입홀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3진입홀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3분사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진입홀은, 성형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냉각존의 냉각링 내주면 직경 및 진공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른 내부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의 직경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2차냉각존의 냉각링 개수를 조절해줌으로써, 생산속도 및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를 나타낸 전체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1,2차냉각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1차냉각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2차냉각존의 냉각링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2차냉각존의 결합샤프트에 냉 각링이 설치된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는, 압출기(1)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압출한 후, 다이헤드(2)에서 소정 형상의 성형물(T)로 성형시키고, 상기 성형물(T)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된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냉각수공급장치(110), 1차냉각존(120), 2차냉각존(130), 온도게이지(140), 진공게이지(150), 진공제어장치(160)로 구성된다.
1) 냉각수공급장치
냉각수공급장치(110)는,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에 냉각수를 공급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2) 1차냉각존
1차냉각존(120)은, 상기 다이헤드(2)에서 압출된 성형물(T)이 내부로 지나가면서 내벽에 눌어붙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122)와, 상기 제1분사부(1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부(122)를 지난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124)와, 상기 제2분사부(12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사부(124)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1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1차냉각존(120)의 제1분사부(122)는, 내부로 성형물이 통과하는 제1진입홀(122a); 및 상기 제1진입홀(122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1진입홀(122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1분사홀(122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분사홀(122b)은, 성형물(T)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성형물(T)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내벽과 수막이 형성되어 성형물(T)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내벽과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성형물(T)의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냉각존(120)의 제2분사부(124)는, 내부로 성형물(T)이 통과하는 제2진입홀(124a); 및 상기 제2진입홀(124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2진입홀(124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2분사홀(124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분사홀(124b)은, 성형물(T)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분사부(122)의 제1분사홀(122b)이 갖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1차냉각존(110)의 제3분사부(126)는, 내부로 성형물(T)이 통과하는 제3진입홀(126a); 및 상기 제3진입홀(126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3진입홀(126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3분사홀(126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진입홀(126a)은, 성형물(T)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성형물(T)이 내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 2차냉각존
2차냉각존(130)은, 상기 1차냉각존(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와 호스(H)로 연결되는 공급파이프(132)와, 내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4분사노즐(134a)을 갖고 상기 공급파이프(132)로부터의 냉각수가 상기 제4분사노즐(134a)로 유입되는 유입로(134b)가 형성되며 테두리에 다수 개의 결합홀(134c)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냉각링(134)과, 상기 냉각링(134)이 소정 개수로 일정한 간격(D2)을 두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링(134)의 결합홀(134c)이 끼워지는 결합샤프트(13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차냉각존(130)의 상기 냉각링(134) 내주면 직경 및 진공제어장치(160)의 제어에 따른 내부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T)의 직경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2차냉각존(130)의 냉각링(134) 개수를 조절해줌으로써, 생산속도 및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냉각링(134)의 개수를 늘리게 되면, 성형물(T)의 냉각효과가 증대되고 이로 인해 생산속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링(134) 간의 소정 간격(D2)으로 설치함으로써, 냉각링(134)의 내부로 이송되는 성형물(T)에 진공압이 전달되어 성형물(T)이 충분히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내부의 진공압의 크기는 진공제어장치(160)에서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압이 크면 성형물(T)이 더 크게 부풀어 오르게 되며, 진공압이 낮으면 성형물(T)이 덜 부풀어 오름으로써, 성형물(T)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T)이 냉각링(134)의 내주면에 이격되는 간 격(D1)이 조절되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각링(134)의 제4분사노즐(134a)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성형물(T)의 겉표면이 냉각된다.
4) 온도게이지
온도게이지(140)는,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온도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에서의 냉각수 온도는 성형물(T)이 급속하게 냉각되지 않도록 10~2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진공게이지
진공게이지(150)는,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진공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6) 진공제어장치
진공제어장치(160)는,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진공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는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가 진공 및 수중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성형물(T)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제어장치(160)는 상기 제1,2차냉각존(120,130)의 내부 진공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1차냉각존(120)은, 성형물(T)이 냉각수에 일정부분 잠기도록 1차냉각존(120) 내부에 냉각수를 채운 후 상기 다이헤드(2)에서 압출된 성형물(T)이 상기 제1진입홀(122a) 내부로 통과 시 상기 진공제어장치(160)를 작동하여 상기 1차냉각존(1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1분사홀(122b)에서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3진입홀(124a,126a)로 상기 성형물(T)이 순차적으로 진입하며, 상기 제2,3분사홀(124b,126b)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성형물(T)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1차냉각존(120)은 진공 상태이므로 상기 제1,2,3분사홀(122b,124b,126b)에서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시 분사되는 냉각수의 수압이 낮아져 상기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다이헤드(2)를 거친 성형물(T)은 냉각시 냉각수의 수압에 의하여 성형물(T)이 변형되므로 상기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1차냉각존(12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성형물(T)의 냉각과 동시에 상기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2차냉각존(130), 상기 1차냉각존(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1차냉각존(120)을 통과한 성형물(T)이 일정부분 잠기도록 2차냉각존(130) 내부에 냉각수를 채운 후 성형물(T)이 2차냉각존(130) 내부로 진입시 상기 진공제어장치(160)의 제어로 상기 2차냉각존(13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제4분사노즐(134a)에서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성형물(T)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2차냉각존(130)은 진공 상태이므로 상기 제4분사노줄(134a)에서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시 분사되는 냉각수의 수압이 낮아져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진공제어장치(160)의 제어에 따른 2차냉각존(130) 내부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T)의 직경이 결정된다.
특히, 상기 성형물(T)은 냉각시 냉각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성형물(T)이 변형되므로 상기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2차냉각존(13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성형물(T)을 냉각과 동시에 상기 성형물(T)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인 본 발명인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압출기(1)의 홉퍼로 플라스틱 원료를 투입한다.
b) 투입된 플라스틱 원료는 다이헤드(2)로 압출된다.
c) 다이헤드(2)에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d) 성형된 성형물(T)은 다이헤드(2)와 연결된 1차냉각존(120)의 제1냉각부(122), 제2냉각부(124), 제3냉각부(126)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이때, 냉각수에 의해 수막이 형성되면서 성형물(T)이 내벽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e) 1차냉각존(120)에서 냉각 처리된 성형물(T)은 2차냉각존(130)으로 진입하면서 내부의 다수 개 냉각링(134)의 제4분사노즐(134a)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이차 냉각된다. 이때, 2차냉각존(130)의 진공압의 크기 및 냉각링(134)의 내주면 직경에 따라 성형물(T)의 직경이 결정된다. 진공제어장치(160)에 의해 내부 진공압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T)의 직경이 결정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f) 2차냉각존(130)에서 이차 냉각 처리된 성형물(T)은 통상의 인출기에 의해 인출되면서 통상의 커팅기에서 소정 크기로 커팅된다.
삭제
따라서, 다이헤드(2)에 수집된 플라스틱원료(PE)는 고온으로 용융되어 150~170℃의 고온 상태이며, 상기 다이헤드(2)에서 압출된 성형물(T)은 1,2차냉각 존(120, 130)에 의해 겉표면에 냉각수가 분사되면서 1차, 2차 냉각처리된다.
또한, 아웃사이드 쿨링(OUTSIDE COOLING)을 하게 되면 상기 냉각링(134)의 제4분사노즐(134a) 냉각수 분사 수압과 냉각링(134)의 내주면에 의해 내부로 이송되는 성형물(T)을 지지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별도의 지지수단 지지에 따른 성형물(T)의 겉표면 손상방지와 효율적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진공상태에서 성형물(T)이 냉각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빨라지고(분당 10~30m), 냉각링(134)의 개수를 늘릴수록 생산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헤드를 통해 압출되는 성형물을 진공상태 및 수중상태에서 성형물의 겉표면에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아웃사이드 쿨링 냉각방식을 이용하여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고, 제품의 겉표면이 부드럽고 광택이 나는 미려한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스크린 체인저가 제거되어 재료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며, 냉각 과정에서 성형물에 접촉이 적어 성형물 표면 손상 방지와 냉각효과가 뛰어나고, 생산속도가 빠른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압출기(1)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압출한 후, 다이헤드(2)에서 소정 형상의 성형물(T)로 성형시키고, 상기 성형물(T)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된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장치(110);
    상기 다이헤드(2)에서 압출된 성형물(T)이 내부로 지나가면서 내벽에 눌어붙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122)와, 상기 제1분사부(1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부(122)를 지난 성형물(T)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124)와, 상기 제2분사부(12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사부(124)를 지난 성형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126)로 이루어지는 1차냉각존(120);
    상기 1차냉각존(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와 호스(H)로 연결되는 공급파이프(132)와, 내주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4분사노즐(134a)을 갖고 상기 공급파이프(132)로부터의 냉각수가 상기 제4분사노즐(134a)로 유입되는 유입로(134b)가 형성되며 테두리에 다수 개의 결합홀(134c)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냉각링(134)과, 상기 냉각링(134)이 소정 개수로 일정한 간격(D2)을 두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링(134)의 결합홀(134c)이 끼워지는 결합샤프트(136)로 이루어지는 2차냉각존(130);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온도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온도게 이지(140);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진공 수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진공게이지(150); 및
    상기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 진공을 제어하는 진공제어장치(160);
    로 구성되어 1,2차냉각존(120, 130)의 내부가 진공 및 수중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냉각존(120)의 제1분사부(122)는,
    내부로 성형물이 통과하는 제1진입홀(122a); 및
    상기 제1진입홀(122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1진입홀(122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1분사홀(122b);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홀(122b)은,
    성형물(T)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냉각존(120)의 제2분사부(124)는,
    내부로 성형물(T)이 통과하는 제2진입홀(124a); 및
    상기 제2진입홀(124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2진입홀(124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2분사홀(124b);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홀(124b)은,
    성형물(T)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냉각존(120)의 제3분사부(126)는,
    내부로 성형물(T)이 통과하는 제3진입홀(126a); 및
    상기 제3진입홀(126a)의 일단 내주면에 상기 제3진입홀(126a)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제3분사홀(126b);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진입홀(126a)은,
    성형물(T)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냉각존(130)의 상기 냉각링(134) 내주면 직경 및 진공제어장치(160)의 제어에 따른 내부 진공압의 크기에 따라 성형물(T)의 직경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냉각존(130)의 냉각링(134) 개수를 조절해줌으로써, 생산속도 및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KR1020060124607A 2006-12-08 2006-12-08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KR10082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07A KR100824614B1 (ko) 2006-12-08 2006-12-08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07A KR100824614B1 (ko) 2006-12-08 2006-12-08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614B1 true KR100824614B1 (ko) 2008-04-23

Family

ID=3957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607A KR100824614B1 (ko) 2006-12-08 2006-12-08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6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43B1 (ko) 2008-11-20 2010-11-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인 압출물의 히팅장치
RU2471624C1 (ru) * 2011-09-05 2013-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ргово-промышленная группа "Соли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профилей
KR101319005B1 (ko) 2011-03-14 2013-10-17 구봉석 진공성형물 냉각장치
KR101329556B1 (ko) * 2012-06-05 2013-11-20 주식회사 코레스 냉각수단이 구비된 압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729A (ja) * 1995-09-22 1997-06-03 Sekisui Chem Co Ltd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729A (ja) * 1995-09-22 1997-06-03 Sekisui Chem Co Ltd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43B1 (ko) 2008-11-20 2010-11-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인 압출물의 히팅장치
KR101319005B1 (ko) 2011-03-14 2013-10-17 구봉석 진공성형물 냉각장치
RU2471624C1 (ru) * 2011-09-05 2013-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ргово-промышленная группа "Соли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профилей
KR101329556B1 (ko) * 2012-06-05 2013-11-20 주식회사 코레스 냉각수단이 구비된 압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63B1 (ko) 에어쿨링 냉각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틱 펠렛 성형장치 및 플라스틱 펠렛 제조방법
US3819317A (en) Apparatus for blow molding and injecting cooling gas
KR100824614B1 (ko)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US6221305B1 (en) Compression molded neck body with smooth inner wall
CN104284768A (zh) 吹塑薄膜成形方法及装置
CA2943680C (en) Injection molded preform and manufacture thereof
US93816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lastics material pre-forms from a thermoplastic plastics material
US11633897B2 (en) Method,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clamping ring
CN115923026B (zh) 一种汽车玻璃密封条加工用注塑装置
KR100824613B1 (ko) 압출 성형물 냉각 시스템
KR101401014B1 (ko) 온도제어가 가능한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KR100991443B1 (ko) 타이어 반제품인 압출물의 히팅장치
KR100476692B1 (ko) 재활용 원료를 이용한 타포린 제조용 압출방법
CN205167435U (zh) 快速冷却的注塑模具
CN112895333B (zh) 一种医用x光显影高分子材料的加工工艺
KR200366627Y1 (ko) 두께조절수단이 구비된 압출기
KR20100016890A (ko) 다수의 내관 성형을 위한 다이스유닛 및 그 다이스유닛을갖는 합성수지제 튜브의 제조장치
KR101118021B1 (ko) 고광택 압출 성형물의 제조를 위한 압출 시스템
CN106273366A (zh) 一种吹瓶机瓶口成型系统烟雾处理装置
JPH10264227A (ja) 押出成形方法及びダイ
KR20040003776A (ko) 압출성형용 다이
JP3046333U (ja) 熱可塑性樹脂ストランドの延伸冷却造粒装置
JP2841913B2 (ja) ブロー成形用パリソン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KR200259988Y1 (ko) 재활용 원료를 이용한 타포린 제조용 압출장치
JP2581877Y2 (ja) ブロー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