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076B1 -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076B1
KR100823076B1 KR1020060116314A KR20060116314A KR100823076B1 KR 100823076 B1 KR100823076 B1 KR 100823076B1 KR 1020060116314 A KR1020060116314 A KR 1020060116314A KR 20060116314 A KR20060116314 A KR 20060116314A KR 100823076 B1 KR100823076 B1 KR 100823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oil
powder
pear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하
박명삼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1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와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리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파우더 바인더를 함유함으로써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면서도 제형안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펄, 메이크업 화장료, 오일 바인더, 파우더 바인더, 제형 안정성

Description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gh pearl content with excellent stability}
본 발명은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와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리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파우더 바인더를 함유함으로써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면서도 제형안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메이크업 화장료는 펄 함량이 50% 미만이거나 큰 펄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일반 오일 및 파우더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트랜드가 고(高) 펄감을 선호하면서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기호에 맞는 제품을 출시하려 하지만 펄 함량이 늘어나는 만큼 제형 안정도 확보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 기존에 사용하는 일반 오일 및 파 우더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내용물이 분리되거나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낙하에 대한 안정도가 매우 낮아지게 되어 일반 펄 화장료에 비해 파손율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에, 미국특허 제4783333호에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리튬 스테아레이트(lithium stearate), 아연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aluminum stearate) 등의 스테아레이트(stearate) 종류의 금속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품의 결합력을 향상시켰으나, 여전히 제형안정도가 충분하지 못했다.
따라서, 펄 고함유 화장료의 경우 내용물의 깨짐이나 분리 현상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부주의로 떨어뜨렸을 때 파우더 가루로 인해 클레임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제형안정성이 확보되어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펄 고함유 화장료를 위한 오일 및 파우더 바인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오일 바인더(하이드로 카본계, 실리콘계, 에스터계, 미네럴계 등)와 파우더 바인더(탄소 개수별, 금속 이온 종류별)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 및 18개의 탄소 2기(디스테아레이트: 금속 이온과 결합한 18개 탄소 그룹 2개)와 탄소 3기(트리스테아레이트: 금속 이온과 결합한 18개 탄소 그룹 3개)를 가진 파우더 바인더를 사용하였을 때, 높은 펄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깨짐이나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제형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면서도 제형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오일 바인더 및 파우더 바인더를 함유하고,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이고, 상기 파우더 바인더는 디스테아레이트계 파우더 바인더 또는 트리스테아레이트계 파우더 바인더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펄 60% 이상 함유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고 제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 및 18개의 탄소 2기(디스테아레이트(Distearate): 금속 이온과 결합한 18개 탄소 그룹 2개)와 탄소 3기(트리스테아레이트(Tristearate): 금속 이온과 결합한 18개 탄소 그룹 3개)에서 선택된 파우더 바인더를 사용한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는 점도가 35~1,000cp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Ethylhexyl Stear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 Triisostearate),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파우더 바인더로서 18개의 탄소 2기(디스테아레이트: 금속 이온과 결함한 18개 탄소 그룹 2개)로는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Aluminum distearate), 탄소 3기(트리스테아레이트: 금속 이온과 결합한 18개 탄소 그룹 3개)로는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Aluminum Tristearate)가 바람직하다.
한편, 다양한 파우더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 종류에 따른 제형안정도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측정은 MODEL JIS K 6301 / HARDNESS TESTER TYPE 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낙하테스트는 높이 50cm에서 정면 1회, 후면 1회에서 낙하한 한 후, 높이 30cm에서 측면 1회 낙하한 점수를 하기 점수척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5점: 파손없음, 4점: 3차 낙하시 들뜸 현상, 3점: 3차 낙하시 깨짐, 2점: 2차 낙하시 깨짐, 1점: 1차 낙하시 깨짐, 0점: 성형 안 됨.
펄 고함유 화장료의 파우더 바인더 종류에 따른 제형 안정도
파우더 바인더 종류 구조 경도 낙하
1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Sodium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1
21.5 1.5
2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Aluminum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2
26.0 2.0
3 아연 스테아레이트 (Zinc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3
22.5 1.5
4 칼슘 스테아레이트 (Calcium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4
28.5 1.5
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agnesium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5
27.5 1.5
6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Aluminum di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6
32.5 3.0
7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Magnesium myrist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7
27.0 2.0
8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Aluminum tri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8
33.5 3.5
펄 고함유 화장료의 오일 바인더 종류에 따른 제형 안정도
오일 바인더 종류 구조 경도 낙하
1 헥실 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09
20.0 1.5
2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Ethylhexyl Palmit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0
27.5 2.5
3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1
34.5 2.5
4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2
25.5 1.8
5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3
26.0 2.0
6 스쿠알란 (Squalan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4
17.0 1.5
7 페닐 트리메치콘 (Phenyl Trimethicone)
Figure 112006086006459-pat00015
(1,000 < X < 100,000)
16.5 1.0
상기 표 1에서 기존의 스테아레이트(stearate) 종류의 파우더 바인더에 비해 본 발명의 디스테아레이트(distearate) 및 트리스테아레이트(tristearate) 종류의 파우더 바인더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낙하안정성을 나타내어 제형안정성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 하이드로카본 오일(6번), 실리콘계 오일(7번)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터계 오일(1~5번) 바인더가 보다 높은 제형안정도를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일 바인더를 8 내지 18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파우더 바인더를 1 내지 5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일 바인더 함량이 8중량%보다 적을 경우 오일의 파우더내로 퍼지는 정도가 약해져서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에 도움이 되지 않고, 18중량%보다 많을 경우 오일끼리 뭉치게 되어 사용감이 매우 저하된다. 파우더 바인더의 경우도 5중량%가 넘는 경우 거칠한 사용감을 야기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하기 표 3에 나타낸 배합비율로 원료 성분번호 1~7을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혼합하고(1), 성분번호 8~9를 85℃로 가열, 용해한 후(2), 상기 혼합된 (1)에 (2)를 분무하고 헨슬믹서로 혼합하여 펄 고함유(60%) 아이섀도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이섀도를 상기 기재된 경도측정과 낙하테스트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성분 번호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마이카 10.0 10.0 10.0 10.0 10.0 10.0
3 색소 3.0 3.0 3.0 3.0 3.0 3.0
4 60.0 60.0 60.0 60.0 60.0 60.0
5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 - 3.0 - - 3.0
6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3.0 - - 3.0 - -
7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 3.0 - - 3.0 -
8 에스터계 오일 15.0 15.0 15.0 - - -
9 실리콘계 오일 - - - 15.0 15.0 15.0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4]
상기 표 3에 나타낸 각각의 배합비율을 사용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행하여 아이섀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에스터계 오일과 파우더 바인더로서 기존에 알려진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고, 비교예 2, 3, 4는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와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트리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이트에 대한 비교예이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2과 비교예 1~4를 내용물 성형 후, 경도 측정 및 낙하 테스트를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파우더 바인더 오일 바인더 경도 낙하 테스트
실시예 1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에스터계 오일 55 4.8
실시예 2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에스터계 오일 58 4.9
비교예 1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에스터계 오일 41 4.3
비교예 2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실리콘계 오일 32 2.9
비교예 3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실리콘계 오일 33 3.0
비교예 4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실리콘계 오일 27 2.7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와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를 함유함으로써 경도 45 이상, 낙하 4.5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며, 실리콘계 오일 사용시 상대적으로 낮은 제형 안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실시예 1~2가 비교예 1~4보다 경도와 낙하 테스트에서 향상되어 파손의 위험이 줄어들었으며 제품의 질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 1~4를 전문 패널 30명이 제품의 안정성, 밀착감, 사용감, 가루날림에 대해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안정성 5.0 5.0 4.5 3.8 3.8 3.4
밀착감 4.6 4.7 4.5 4.2 4.0 4.4
사용감(퍼짐성,거침) 4.8 4.9 4.6 4.8 4.3 4.1
가루날림 4.5 4.9 4.2 4.1 3.9 3.2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2: 약간 나쁨, 1: 매우 나쁨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경우 비교예 1~4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나고 가루날림이 적으며 밀착감 및 사용감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의 파우더 바인더와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를 사용하여 펄 고함유 화장료를 성형할 경우, 기존에 알려진 스테아레이트 종류의 파우더 바인더보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제형 안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펄이 60%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에스터계 오일에서 선택된 오일 바인더와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리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파우더 바인더를 함유함으로써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경도와 낙하에 의한 깨짐을 방지하였고, 적은 가루날림과 향상된 밀착력으로 제품의 품질도 증가시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에 적합한 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펄을 조성물 충 중량에 대하여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오일 바인더 및 파우더 바인더를 함유하고,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이고, 상기 파우더 바인더는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Ethylhexyl Stear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 Triisostearate),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및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18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파우더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의 점도가 35 ~ 1,000 cps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116314A 2006-11-23 2006-11-23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82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14A KR100823076B1 (ko) 2006-11-23 2006-11-23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14A KR100823076B1 (ko) 2006-11-23 2006-11-23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076B1 true KR100823076B1 (ko) 2008-04-18

Family

ID=3957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14A KR100823076B1 (ko) 2006-11-23 2006-11-23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92B1 (ko) 2009-10-30 2012-04-30 (주)아모레퍼시픽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180B1 (ko) 2009-06-30 2012-07-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630A (ko) * 2000-02-09 2001-08-21 성재갑 고급 지방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분백류 화장료의조성물
KR20060070845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태평양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630A (ko) * 2000-02-09 2001-08-21 성재갑 고급 지방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분백류 화장료의조성물
KR20060070845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태평양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80B1 (ko) 2009-06-30 2012-07-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092B1 (ko) 2009-10-30 2012-04-30 (주)아모레퍼시픽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0092B1 (ko)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823076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62426B1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153538B1 (ko)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69B1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9B1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60070845A (ko)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7837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63839B1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16850B1 (ko)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2931A (ko) 돔형태 건식 프레스 글리터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95B1 (ko)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2726B1 (ko) 모이스쳐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