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95B1 -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95B1
KR101534595B1 KR1020080067053A KR20080067053A KR101534595B1 KR 101534595 B1 KR101534595 B1 KR 101534595B1 KR 1020080067053 A KR1020080067053 A KR 1020080067053A KR 20080067053 A KR20080067053 A KR 20080067053A KR 101534595 B1 KR101534595 B1 KR 10153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powder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nyl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729A (ko
Inventor
이윤하
이찬기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6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코팅 처리한 구상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구상 파우더와 달리,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 처리를 하여 아이섀도, 블러셔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를 향상시키면서 매끄러운 사용감(슬라이딩)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상파우더, 나일론, 폴리머, 아이섀도, 블러셔, 슬라이딩

Description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spherical powder coated by a polymer,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머 코팅 처리한 구상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구상 파우더와 달리,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 처리를 하여 아이섀도, 블러셔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를 향상시키면서 매끄러운 사용감(슬라이딩)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상 파우더로는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등이 있으며, 이는 아이섀도, 블러셔 등의 메이크업 제품에서 매끄럽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구상 파우더는 비코팅(non-coating) 또는 메치콘(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및 실란(silane) 코팅을 사용하며, 이는 사용감과 더불어 내수성 및 내유성을 부여하기 위해 처리되곤 하였다. 그러나 상기 코팅 또는 비코팅(non-coating) 구상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 15% 이상 다량 사용시 구상 원료간의 탄성으로 내용물의 결합력이 약해져 성형이 어렵게 되며,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 가루날림 등)도 매우 낮아지게 된다. 이에 일정 함량의 사용을 권장하게 되었고, 이는 특이 사용감 개발에 한계가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구상 파우더를 이중 결합 탄소(8개 탄소 이중결합부터 12개 탄소 이중결합: 폴리옥텐(polyoctene), 폴리노넨(polynonene), 폴리데켄(polydecene), 폴리운데켄(polyundecene), 폴리도데켄(polydodecene))를 이용한 폴리머로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슬라이딩)이 개선되고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 가루날림 등)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보다 결합력을 높이는 폴리머 코팅 처리를 하여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 가루날림 등)를 높이면서 매끄럽고 부드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이 확보된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로 코팅된 구상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상 파우더는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및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폴리머는 폴리옥텐(polyoctene), 폴리노넨(polynonene), 폴리데켄(polydecene), 폴리운데켄(polyundecene) 및 폴리도데켄(polydodec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다.
본 발명은 구상 파우더가 15% 이상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구상 파우더 원료를 폴리머로 코팅함으로써 제형 안정도 (경도, 낙하, 가루날림)를 확보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을 구현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상 파우더를 15% 이상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폴리머로 코팅된 구상 파우더, 일반 판상 파우더, 펄 및 오일 바인더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상 파우더는 폴리머로 코팅된 것으로서, 구상 파우더로는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를 원료로 사용하며, 코팅 기재로는 이중 결합 탄소(8개 탄소 이중결합부터 12개 탄소 이중결합: 폴리옥텐(polyoctene), 폴리노넨(polynonene), 폴리데켄(polydecene), 폴리운데켄(polyundecene), 폴리도데켄(polydodecene))를 이용한 폴리머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코팅된 구상 파우더를 15~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 파우더를 코팅하는 폴리머를 구상 파우더 100중량%에 대하여 3~7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상기 코팅된 구상 파우더 함량이 1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는 향상되나 매끄럽고 부드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의 구현이 어렵고, 25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함량에 따른 구상 파우더의 반발력으로 제형 안정도(경도, 낙하, 가루날림)가 매우 낮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팅하는 폴리머의 경우, 구상 파우더 100중량%에서 함량을 3중량% 미만으로 하여 코팅을 하면 제형 안정도의 효과가 반영되지 않고 7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원료간의 결합력이 높아져 뭉침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함유되는 일반 판상 파우더, 펄 및 오일 바인더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상 파우더는 탈크(Talc), 마이카(Mica), 세리사이트(Sericite), 바륨설페이트(Barium Sulfate),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알루미나(Alumina) 등의 원료를 사용힐 수 있다. 또한 펄은 마이카(Mica)에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코팅된 것과 보로실리케티트(Borosilicate)에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코팅된 원료 및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에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일 바인더는 에스터계 오일(Ester oil), 실리콘계 오일(Silicon oil) 및 하이드로카본(Hydro carbon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투웨이케익, 팩트, 블러셔, 아이섀도 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구상 파우더 종류에 따른 제형 안정도
구상 파우더를 제외한 모든 원료는 동일 조건으로 하여 아이섀도를 제조한 다음, 다양한 구상 파우더의 종류에 따른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나일론, 실리카, PMMA를 구상 파우더로 사용하고, 각각을 폴리옥텐, 폴리노넨, 폴리데켄, 폴리운데켄 및 폴리도데켄으로 코팅하였으며, 코팅 비율도 3%, 5%, 7%로 각기 달리 진행하였다. 원료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번호 성분(중량%) 실시예
1 탈크 To 100
2 마이카 10.0
3 색소 3.0
4 30.0
5 칼슘 스테아레이트 3.0
6 구상 파우더 15.0
7 에스터계 오일 4.0
8 실리콘계 오일 4.0
총량 100
아이섀도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배합비율로 원료 성분번호 1~6을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혼합한다.
2. 성분번호 7~8를 85℃로 가열, 용해한다.
3. 상기 혼합된 (1)에 (2)를 분무하고 헨슬믹서로 혼합하여 아이섀도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이섀도에 대하여 경도측정과 낙하테스트를 실시하여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경도측정은 MODEL JIS K 6301 / HARDNESS TESTER TYPE 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낙하테스트는 높이 50cm에서 정면 1회, 후면 1회에서 낙하한 한 후, 높이 30cm에서 측면 1회 낙하한 점수를 하기 점수척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5점: 파손없음, 4점: 3차 낙하시 들뜸 현상, 3점: 3차 낙하시 깨짐, 2점: 2차 낙하시 깨짐, 1점: 1차 낙하시 깨짐, 0점: 성형 안 됨.
구상 파우더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구상 파우더 종류 3% 코팅 5% 코팅 7% 코팅
경도 낙하 경도 낙하 경도 낙하
1 나일론 비코팅: 경도 5.0 / 낙하 0.0
2 나일론 & 폴리옥텐 25.0 4.0 25.5 4.0 25.5 4.0
3 나일론 & 폴리노넨 27.5 4.5 27.5 4.5 27.5 4.5
4 나일론 & 폴리데켄 30.0 5.0 31.0 5.0 31.0 5.0
5 나일론 & 폴리운데켄 30.5 5.0 31.0 5.0 31.0 5.0
6 나일론 & 폴리도데켄 30.5 5.0 31.0 5.0 31.0 5.0
7 실리카 비코팅: 경도 0.0 / 낙하 0.0
8 실리카 & 폴리옥텐 23.0 4.0 23.0 4.0 23.0 4.0
9 실리카 & 폴리노넨 26.0 4.5 25.5 4.5 25.5 4.5
10 실리카 & 폴리데켄 29.5 4.5 30.0 5.0 30.0 5.0
11 실리카 & 폴리운데켄 29.5 4.5 30.0 5.0 30.0 5.0
12 실리카 & 폴리도데켄 29.0 4.5 31.0 5.0 31.0 5.0
13 PMMA 비코팅: 경도 0.0 / 낙하 0.0
14 PMMA & 폴리옥텐 24.0 4.5 24.0 4.0 24.0 4.0
15 PMMA & 폴리노넨 25.5 4.5 25.0 4.5 25.0 4.5
16 PMMA & 폴리데켄 30.5 5.0 30.0 4.5 30.0 4.5
17 PMMA & 폴리운데켄 30.0 5.0 31.0 5.0 31.0 5.0
18 PMMA & 폴리도데켄 31.1 5.0 30.5 5.0 30.5 5.0
상기 표 2에서 기존의 코팅되지 않은 구상 파우더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PMMA(polymethylmethacrylate)에 비해 폴리머로 코팅된 구상 파우더를 사용할 때 월등히 높은 경도와 낙하 안정성을 나타내어 제형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머 코팅 비율을 3%, 5%, 7%로 각기 달리 진행하였을 때는 상호간의 큰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으며 최소 3% 이상의 코팅시 높은 제형 안정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참고예]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아이섀도를 제조하였다.
성분
번호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마이카 10.0 10.0 10.0 10.0 10.0 10.0
3 색소 3.0 3.0 3.0 3.0 3.0 3.0
4 30.0 30.0 30.0 30.0 30.0 30.0
5 칼슘 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6 나일론 - - - - 5.0 15.0
7 나일론 & 5% 폴리데켄 15.0 25.0 - - - -
8 실리카 & 5% 폴리데켄 - - 15.0 25.0 - -
9 에스터계 오일 4.0 4.0 4.0 4.0 4.0 4.0
10 실리콘계 오일 4.0 4.0 4.0 4.0 4.0 4.0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아이섀도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배합비율로 원료 성분번호 1~8을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혼합한다.
2. 성분번호 9~10를 85℃로 가열, 용해한다.
3. 상기 혼합된 (1)에 (2)를 분무하고 헨슬믹서로 혼합하여 아이섀도를 제조한다.
[시험예 2] 구상 파우더의 함량에 따른 제형 안정도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2를 내용물 성형 후, 경도측정 및 낙하 테스트를 실시하여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경도측정은 MODEL JIS K 6301 / HARDNESS TESTER TYPE 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낙하테스트는 높이 50cm에서 정면 1회, 후면 1회에서 낙하한 한 후, 높이 30cm에서 측면 1회 낙하한 점수를 하기 점수척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5점: 파손없음, 4점: 3차 낙하시 들뜸 현상, 3점: 3차 낙하시 깨짐, 2점: 2차 낙하시 깨짐, 1점: 1차 낙하시 깨짐, 0점: 성형 안 됨.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구상 파우더 함량 경도 낙하 테스트
실시예 1 나일론 & 5% 폴리데켄 15% 31 5.0
실시예 2 나일론 & 5% 폴리데켄 25% 25 4.5
실시예 3 실리카 & 5% 폴리데켄 15% 30 5.0
실시예 4 실리카 & 5% 폴리데켄 25% 26 4.5
비교예 1 나일론 5% 25 4.5
비교예 2 나일론 15% 0 0.0
상기 표 4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시 경도 최소 25 이상, 낙하 4.5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며, 코팅된 구상 파우더가 코팅되지 않은 구상 파우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제형 안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팅되지 않은 구상 파우더의 경우에는 함량이 증가하면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코팅된 구상 파우더를 사용하면 25%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제형 안정도가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실시예 1~4가 비교예 1~2보다 경도와 낙하 테스트에서 향상되어 파손의 위험이 줄어들었으며 제품의 질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2를 전문 패널 30명이 제품의 안정성, 밀착감, 사용감, 가루날림에 대해 비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안정성 4.8 4.1 4.6 4.2 4.3 1.0
밀착감 4.2 4.0 4.1 3.8 4.2 1.0
사용감(퍼짐성,soft) 4.6 4.9 4.7 5.0 2.0 1.0
가루날림 4.3 4.5 4.5 4.5 4.6 1.0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2: 약간 나쁨, 1: 매우 나쁨
상기 표 5로할 수 있게 되었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나고 가루날림이 적으며 밀착감 및 사용감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과 실시예를 비교할 경우도, 모든 실시예가 우수한 퍼짐성과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비교예 1 대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를 코팅한 구상 파우더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 할 경우 제형 안정도는 증가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을 가지는 새로운 제품을 구현다.

Claims (5)

  1. 폴리옥텐(polyoctene), 폴리노넨(polynonene), 폴리데켄(polydecene), 폴리운데켄(polyundecene) 및 폴리도데켄(polydodec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머로 코팅된 구상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MODEL JIS K 6301 / HARDNESS TESTER TYPE A를 이용하여 측정할 때 23.0~31.1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나일론(nylon 6 / nylon 12), 실리카(silica) 및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중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구상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25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구상 파우더 중량에 대하여 3~7중량%의 양으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67053A 2008-07-10 2008-07-10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153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053A KR101534595B1 (ko) 2008-07-10 2008-07-10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053A KR101534595B1 (ko) 2008-07-10 2008-07-10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29A KR20100006729A (ko) 2010-01-21
KR101534595B1 true KR101534595B1 (ko) 2015-07-08

Family

ID=4181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053A KR101534595B1 (ko) 2008-07-10 2008-07-10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004B1 (ko) * 2012-10-18 2019-10-01 (주)아모레퍼시픽 눈썹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 2019-09-30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550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코팅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KR20060116228A (ko) * 2004-02-26 2006-11-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메이크업 조성물
KR20060128353A (ko) * 2005-06-10 2006-12-14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또는 무기 입자의 표면이 발수성 극박막 층으로표면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JP2007277145A (ja) * 2006-04-06 2007-10-25 Shiseido Co Ltd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550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코팅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KR20060116228A (ko) * 2004-02-26 2006-11-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메이크업 조성물
KR20060128353A (ko) * 2005-06-10 2006-12-14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또는 무기 입자의 표면이 발수성 극박막 층으로표면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JP2007277145A (ja) * 2006-04-06 2007-10-25 Shiseido Co Ltd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29A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789036B1 (ko) 구상 실리콘 t 레진을 주 체질안료로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130344121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up containing silicone elastomer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0092B1 (ko)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232A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4595B1 (ko)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86913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1838478B1 (ko)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69B1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135252B1 (ko)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케이크 타입의 습식성형 팩트 조성물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2071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933A (ko) 소성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076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0275240A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1782616B1 (ko) 콘택트 렌즈 폴리머 또는 그 유사물질로 코팅된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61B1 (ko)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매끄러운 발림성 및 폭신폭신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는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019A (ko)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