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394B1 -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394B1
KR100822394B1 KR1020060020443A KR20060020443A KR100822394B1 KR 100822394 B1 KR100822394 B1 KR 100822394B1 KR 1020060020443 A KR1020060020443 A KR 1020060020443A KR 20060020443 A KR20060020443 A KR 20060020443A KR 100822394 B1 KR100822394 B1 KR 10082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frame
shock absorber
cover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71A (ko
Inventor
임성호
Original Assignee
(주) 세일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일스텐 filed Critical (주) 세일스텐
Priority to KR102006002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3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프레임을 저면에 형성하는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가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 및 바닥플레이트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에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형성되는 쇼크업쇼바가 각각 결합되어 점검부로의 커버 낙하 우려를 해결함과 동시에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함은 물론,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안전부로 인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점검부 내로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개구부 커버, 쇼크업쇼바, 안전부, 시공체

Description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Checking Box Safe Cover By Shock Absor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의 쇼크업쇼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가 결합된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개폐부 11: 덮개플레이트
12: 프레임 13: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
14: 접합틀 17: 개폐손잡이
21: 바닥플레이트 22: 개구틀
23: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 24: 도어프레임
30: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 40: 쇼크업쇼바
43: 쇼크업쇼바 돌설상부 44: 쇼크업쇼바 돌설하부
본 발명은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프레임을 저면에 형성하는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가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 및 바닥플레이트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에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형성되는 쇼크업쇼바가 각각 결합되어 점검부로의 커버 낙하 우려를 해결함과 동시에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함은 물론,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안전부로 인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점검부 내로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증축하는 경우에는 배관공사를 병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관공사를 위해 건축물에 개구부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변기 등 설비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특정 장소에 개구부가 형성되게 된다.
즉,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바닥슬라브를 관통하여 각기 공기, 배관, 전선관이 통과하거나 쓰레기를 하강시키기 위한 AD(Air Duct), PS(Pipe Space), EPS(Electric Pipe Space), DS(Dust Space) 등의 개구부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개구부를 판자 등으로 덮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개구부를 덮은 판자 등은 정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어 작업자가 개구부에 빠질 위험이 항상 내포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판자는 작업자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 되었다.
이러한 개구부는 시공중에는 어쩔 수 없이 열려있는 상태로 공사가 진행되다가 시공의 마지막 단계에서 내장 및 외장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마감되면서 공사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드러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시공중에 충분한 조명이 제공되지 않아 통상적으로 매우 어둡기 마련인 공사현장에서 이러한 개구부가 열려있는 상태로 있게 되면 개구부를 통해 공사인부가 추락하거나 공사자재가 낙하할 우려가 있고, 특히 시공체가 고층건물인 경우에는 개구부의 위치가 각 층마다 고소에서 저소까지 동일한 곳에 위치하여 연결되므로 이러한 추락 및 낙하에 따른 위험이 매우 크다.
한편, 이러한 개구부는 시공과정상 각 층간에 공사자재의 운반통로로도 사용되므로 개구부의 마감 공사시까지 완전히 덮어 놓을 수도 없기 때문에, 기존에는 적당한 크기의 패널을 단순히 개구부 위에 올려놓아 임시로 가리거나 개구부 주위에 추락위험을 환기시키는 경고를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개구부 덮개는 거의 모두 주물성형 되는 제품으로서, 직경이 80㎜이하의 지관에 이용되는 일체형과, 직경이 80㎜ 이상인 주관에 이용되는 좌우분리형으로 구분되고 또 일체형은 주거공간 내에 시공됨에 따라 작고 가볍게 제작되나, 좌우분리형 및 건물에 주요 사용되는 덮개는 외부의 도로에 시공되고 또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확보를 위하여 크고 견고하게 제작됨으로 좌우분리형의 경우 한 짝당 무게는 약 20∼30㎏으로서 매우 무겁다.
그로 인해, 덮개를 개방할 경우 2인 이상이 작업을 해야하고, 이동시에 허리부상 등의 산업재해 발생 유려가 생기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개구부에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침시 이러한 무거운 덮개를 개폐시켜 주기란 여간 힘들고 까다로운 일이 아닐 수 없고 또 근래에 들어서는 정책적으로 여성위주로 검침원을 채용함에 따라 여성검침원들은 타인의 도움없이 자력으로는 검침이 불가능하므로 여성검침원들의 효용성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업무에 큰 혼란이 야기되는 등 심각한 문제점들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을 저면에 형성하는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가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 및 바닥프 레이트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에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각각 결합되어 점검부로의 커버 낙하 우려를 해결함은 물론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안전부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점검부 내로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플레이트 저면에 접합틀을 형성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덮개플레이트 저면에 형성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휘어짐을 완화하는 격자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로 구성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되,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접합 되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개구틀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합 되며 일정간격 이 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과,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 일측에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로 구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실린더에 내삽되어 길이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피스톤로드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상기 피스톤로드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쇼크업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플레이트 저면에 접합틀을 형성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덮개플레이트 저면에 형성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휘어짐을 완화하는 격자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로 구성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되,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접합 되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개구틀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합 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과,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 일측에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로 구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며, 굽힘시 상기 프레임 저면에 안착 되고, 펼침시 상기 도어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부와; 실린더에 내삽되어 길이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피스톤로드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상기 피스톤로드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쇼크업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의 쇼크업쇼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가 결합된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부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점검부에서 이탈시키지 않으며 손쉽게 계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부 안전커버이며, 덮개플레이트(11), 개폐손잡이(17), 프레임(12), 도어개폐부(10), 바닥플레이트(21),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 도어프레임(24), 쇼크업쇼바(40), 안전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11)는 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무늬가 형성되며, 상면엔 개폐손잡이(17)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부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11)의 휘어짐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손잡이(17)는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형성되되,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상단의 개폐손잡이(17)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서 양단부를 고정하는 접합틀(14)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개폐부(10)는 상기 덮개플레이트(11)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1)의 저면에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 형성된 복수의 셀 내부이며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접합틀(14)을 형성하여 양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상면에 위치하는 개폐손잡이(17)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플레이트(21)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부에 직접 결합되는 부위로써,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형성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2)이 대응하며 내삽되는 개구틀(22)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틀(22)은 바닥플레이트(21) 저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은 프레임(12)에 형성된 쇼크업쇼바 상부결 합부(13)와 동시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틀(22) 일측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바닥플레이트(21) 일면에 상기 개구틀(22)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프레임(24)은 도어개폐부(10) 하단에 형성된 프레임(12)이 내설되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2)과 대응하는 개구틀(22)이 사각판형의 바닥플레이트(21)에 형성되되, 저면을 향해 상기 프레임(12)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21)의 개구틀(22)은 시공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움 결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저면으로 돌출형성된 개구틀(22)은 일측에 판형의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이 결합이 되되, 일측은 상기 개구틀(22)에 결합이 되고, 타측은 저면을 향하는 구성을 갖는다.
더불어 저면을 향하는 타측에는 개구틀(22) 내부로 향하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쇼크업쇼바(40)는 원통형의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에 내삽되어 길이방향으로 좌, 우 유동 가능한 피스톤로드(42)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41)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개폐부(10)의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13)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상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42) 하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24) 일측에 형성된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의 일단에 돌출형성된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하부(44)를 형성한다.
상기 안전부(50)는 상기 도어개폐부(10)의 프레임(12) 양측에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접힘시(비사용시)에는 내부로 프레임(12)과 접합하는 형태를 취하며, 펼침시(사용시)에는 상기 도어프레임(24)의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고정이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는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로써,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2)이 접합 되고, 상기 프레임(12)의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13)가 돌출형성되는 도어개폐부(10)가 상기 도어개폐부(10)의 프레임(12)이 내설되되, 상기 점검구를 향해서 돌출되는 개구틀(22)을 형성한 바닥플레이트(21)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틀(22) 일측 후면에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가 상기 점검구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 일단에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가 상기 개구틀(22)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구성되는 도어프레임(24)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도어개폐부(10)와 도어프레임(24)은 힌지결합에 의해 상기 도어개폐부(10)가 상기 개구틀(22)에 접합되어 시공체의 형성된 점검구를 덮게 된다.
또한, 점검구를 덮개 될 시, 원통형의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의 일측에 내삽되어 좌, 우로 유동가능한 피스톤로드(42)로 구성되는 쇼크업쇼바(4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쇼크업쇼바 돌설상부(43)와 쇼크업쇼바 돌설하부(44)가 상기 도어개폐부(10)에 형성된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13)와 상기 도어프레임(24)에 형성된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에 각각 결합되어 기존의 덮개와는 달리 상기 쇼크업쇼바(40)의 피스톤작용으로 인해 혼자의 힘으로도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덮개플레이트(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2)의 양측에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안전부(50)가 힌지결합된다.
힌지결합된 상기 안전부(50)는 접힘시 상기 프레임(12)과 접합 되어 안착 되고, 펼침시 상기 도어프레임(24)의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고정되어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부로 낙하 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을 저면에 형성하는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입설되는 개구틀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가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 및 바닥프레이트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와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에 쇼크업쇼바 돌설상부와 쇼크업쇼바 돌설하부가 형성되는 쇼크업쇼바가 각각 결합되어 점검부로의 커버 낙하 우려를 해결함과 동시에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안전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점검부 내로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시공체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플레이트(11)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접합틀(14)을 형성하는 개폐손잡이(17)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1) 저면에 형성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11)의 휘어짐을 완화하는 격자형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13)로 구성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1)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2)이 입설되는 개구틀(22)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플레이트(11)와 대응되며 접합 되는 바닥플레이트(21)와, 상기 개구틀(22)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합 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과,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판(30) 일측에 형성되는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로 구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프레임(12)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복수의 셀을 형성하도록 내부로 가로지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며, 굽힘시 상기 프레임(12) 저면에 안착 되고, 펼침시 상기 도어프레임(24)의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부와;
    실린더(41)에 내삽되어 길이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피스톤로드(42)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41)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상부결합부(13)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상부(43)와, 상기 피스톤로드(42)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쇼크업쇼바 하부결합부(23)와 결합하는 쇼크업쇼바 돌설하부(4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쇼크업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KR1020060020443A 2006-03-03 2006-03-03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KR10082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3A KR100822394B1 (ko) 2006-03-03 2006-03-03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3A KR100822394B1 (ko) 2006-03-03 2006-03-03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1A KR20070090571A (ko) 2007-09-06
KR100822394B1 true KR100822394B1 (ko) 2008-04-16

Family

ID=3868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443A KR100822394B1 (ko) 2006-03-03 2006-03-03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46B1 (ko) * 2010-12-14 2011-08-04 주식회사 세계주철 개폐가 용이한 원형 맨홀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4655B (zh) * 2008-09-26 2011-05-25 牡丹江水力发电总厂 一种多功能坑井防护盖板
KR101346387B1 (ko) * 2012-01-04 2014-01-02 정기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024A (en) * 1998-03-20 1999-08-24 Journault-Jourplex Inc. Floor hatch with integrated security fence
KR200337060Y1 (ko) * 2003-09-17 2004-01-03 주식회사 타 셋 하,폐수 처리장의 맨홀 커버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024A (en) * 1998-03-20 1999-08-24 Journault-Jourplex Inc. Floor hatch with integrated security fence
KR200337060Y1 (ko) * 2003-09-17 2004-01-03 주식회사 타 셋 하,폐수 처리장의 맨홀 커버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46B1 (ko) * 2010-12-14 2011-08-04 주식회사 세계주철 개폐가 용이한 원형 맨홀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1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394B1 (ko)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0908864B1 (ko) 하중전달판과 슬릿강판을 이용한 강재댐퍼
JP2012082682A (ja) 拡張機能を有する建築工事用ケージ
IT201600125768A1 (it) Giunto trave-colonna
KR100593417B1 (ko)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안전난간 부착형 점검구 및기기반입구 안전커버
KR100908863B1 (ko)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CN206360472U (zh) 一种新型道桥施工用安全围挡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JP6989301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KR20130037882A (ko) 금고용 도어
ITMI941033A1 (it) Colonna con una traversa e rotaie di profilato metallico applicate su entrambi i lati
KR20100106948A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0638805B1 (ko) 건축물의 안전사고 방지용 창호구조
JP6564177B2 (ja) 建物
KR200385987Y1 (ko) 개구부 덮개
JP5892322B2 (ja) 壁面への建具枠の設置構造
KR102439551B1 (ko) 좌우 겸용 방화문
JP2008196267A (ja) 家屋の耐震補強体構造
KR101022286B1 (ko) 왕복식 마찰 댐퍼
JP3175735U (ja) 衝撃吸収型仕切防煙垂壁
KR102632791B1 (ko) 터널용 공동구 덮개
KR200420321Y1 (ko) 조립식칸막이연결지주
CN205477294U (zh) 一种开启式的防护窗
CN106760277A (zh) 一种楼梯护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