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227B1 - 다이캐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227B1
KR100822227B1 KR1020010068458A KR20010068458A KR100822227B1 KR 100822227 B1 KR100822227 B1 KR 100822227B1 KR 1020010068458 A KR1020010068458 A KR 1020010068458A KR 20010068458 A KR20010068458 A KR 20010068458A KR 100822227 B1 KR100822227 B1 KR 10082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mold
hot water
cas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678A (ko
Inventor
고치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도요 기카이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기카이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기카이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2Hot chamber machines, i.e. with heated press chamber in which metal is mel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22D17/2023Nozzles or shot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 장치는 다이캐스트 금형과, 다이캐스트 금형의 고정 금형이 장착되는 고정 다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오목 부분에 수납되고, 상기 오목 부분 내에 수탕구(受湯口)가 제공된 금형 슬리브를 갖는 다이캐스트기와, 다이캐스트기에 근접하여 이격될 수 있게 설치되고, 용탕 유지용의 도가니와, 도가니 내에 설치된 급탕 펌프와, 급탕 펌프의 펌프 토출구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다이캐스트 금형의 금형 슬리브의 수탕구에 위치 맞춤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용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탕도관(湯道管)을 갖는 용해로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10068458
다이캐스트 장치, 다이캐스트 금형, 다이캐스트기, 용해로, 도가니, 탕도관

Description

다이캐스트 장치{Die cas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의 금형 슬리브로의 급탕(給湯)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탕도관(湯導管)의 회동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의 탕도관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금형 슬리브 부분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이캐스트 금형 2 : 용해로
3 : 탕도관 4 : 히터
5 : 용탕(溶湯; 쇳물) 6 : 노즐부
7 : 저탕부(貯湯部) 8 : 저탕부용 히터부
13 : 중간부 14 : 흡탕부(吸湯部)용 히터부
15 : 중간부용 히터부
본 발명은, 초소형·초박형 다이캐스트 제품 제조에 가장 적합한 다이캐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트 제품은 복잡한 형상의 금속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계 부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그 성형성의 우수성으로부터 「휴대전화 프레임」이나 「디지털 카메라 바디」와 같은 소형 박형 다이캐스트 제품에 대한 응용이 왕성하게 행하여지게 되고, 종래의 다이캐스트 장치로는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최근에는 소형·박형 다이캐스트 제품 대응이 가능한 다이캐스트 장치가 요구되게 되었다.
또한, 제품의 고성능화 뿐만 아니라, 최근의 세계화에 기인하는 제품의 저가격화의 진행은, 인건비의 삭감에 대한 압력이 되어 기업을 압박하고 있으며, 다이캐스트 장치의 자동화와 숙련공의 고갈 또는 비숙련 외국 노동자의 증가에 따른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나 관리 편리성에 대한 요구도 강해지고 있고, 다이캐스트 장치 전체에 대한 코스트 퍼포먼스가 더욱 중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획기적인 다이캐스트 장치의 개발이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이다.
「청구항 1」의 다이캐스트 장치(A)는, 「(a) 이동 금형(1b) 및 고정 금형(1a)을 갖는 다이캐스트 금형(1)과, 상기 이동 금형(1b)이 장착되는 이동 다이플레이트(22)와, 오목 부분(19)을 가지며, 상기 고정 금형(1a)이 장착되는 고정 다이플레이트(20)와, 상기 오목 부분(19)에 수납되어 상기 오목 부분(19) 내에 수탕구(28)가 설치된 금형 슬리브(26)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B)과, (b) 원료 금속을 용해하여 소정의 탕 온도로 유지하는 용해로(2)와, 용해로(2) 내에 설치되어 용해로 내의 용탕(5)을 보내는 급탕 펌프(17)와, 급탕 펌프(17)와 금형 슬리브(26) 사이에 배치된 탕도관(3)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캐스트 급탕 장치(C)와, (c) 잉곳(ingot)으로 공급된 다이캐스트 금속(18)을 스톡하여 상기 다이캐스트 금속(18)을 반송 컨베이어(85)로 차차 상기 용해로(2)에 자동 공급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F)와, (d)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B)에 연동하여 형 개방시에 상기 다이캐스트 금형(1)으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D)을 취출하는 제품 취출기(T)를 구비하고, 용해로(2) 내의 용탕을 급탕 펌프(17)로부터 탕 도관(3) 및 금형 슬리브(26)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하는 다이캐스트장치로서,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F)나 상기 제품 취출기(T) 등의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B)의 부속 설비가 다이캐스트 머신(B)에 탑재되어 있는 전체 제어부(S)에서 통일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F)로부터의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은 제품 쇼트수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품 쇼트수가 설정 쇼트수에 도달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동시에 탕면 높이도 탕면 높이 검출 장치에서 검출되며, 탕면 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지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다이캐스트 장치(A)는, 「(a) 이동 금형(1b) 및 고정 금형(1a)을 갖는 다이캐스트 금형(1)과, 상기 이동 금형(1b)이 장착되는 이동 다이플레이트(22)와, 오목 부분(19)을 가지며, 상기 고정 금형(1a)이 장착되는 고정 다이플레이트(20)와, 상기 오목 부분(19)에 수납되어 상기 오목 부분(19) 내에 수탕구(28)가 설치된 금형 슬리브(26)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B)과, (b) 원료 금속을 용해하여 소정의 탕 온도로 유지하는 용해로(2)와, 용해로(2) 내에 설치되어 용해로 내의 용탕(5)을 보내는 급탕 펌프(17)와, 급탕 펌프(17)와 금형 슬리브(26) 사이에 배치된 탕도관(3)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캐스트 급탕 장치(C)와, (c) 잉곳(ingot)으로 공급된 다이캐스트 금속(18)을 스톡하여 상기 다이캐스트 금속(18)을 반송 컨베이어(85)로 차차 상기 용해로(2)에 자동 공급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F)와, (d)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B)에 연동하여 형 개방시에 상기 다이캐스트 금형(1)으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D)을 취출하는 제품 취출기(T)를 구비하고, 용해로(2) 내의 용탕을 급탕 펌프(17)로부터 탕 도관(3) 및 금형 슬리브(26)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하는 다이캐스트장치로서,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F)로부터의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은 제품 쇼트수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품 쇼트수가 설정 쇼트수에 도달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동시에 탕면 높이도 탕면 높이 검출 장치에서 검출되며, 탕면 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지령되며, 상기 제품 쇼트수와 탕면 높이의 불일치의 괴리가 큰 경우에는, 탕 누수 등의 용해로 이상의 경보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금형 슬리브(26)가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 부분(19)에 수납되고, 상기 오목 부분(19) 안에 수탕구(2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다이캐스트기(B')의 금형 슬리브(26')에 비하여 슬리브 길이(L)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 슬리브 충전율, 고속 사출이 가능해 져, 캐비티 내에서의 용탕(5)의 흐름이 고속이 되어 초박형 제품(D)이라도 탕 순환 부족이 해소된다.
또, 종래의 다이캐스트기(B')의 금형 슬리브(26')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탕(5')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6')를 고정 다이 플레이트(20') 중에 삽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금형 슬리브(26')가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의 후단(20a')으로부터 후방으로 L1' 만큼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L1')에 형성된 수탕구(28')로부터 용탕(5')을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종래의 다이캐스트기(B')의 금형 슬리브(26')의 슬리브 길이(L')는 본 발명의 슬리브 길이(L)보다 길어지고, 용탕 깊이(p')는, 본 발명의 용탕 깊이(P)보다 얕아진다. 따라서, 종래 예의 경우는 슬리브 충전율이 낮아지고, 고속 사출이 불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초박형·소형 다이캐스트 제품의 제조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용해로(2) 및 화로 내에 배치된 급탕 펌프(17), 급탕 펌프(17)와 다이캐스트 금형(1)을 접속하는 탕도관(3), 필요에 따라서 용해로(2)에 부속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F)나 다이캐스트기(B)에 부속되는 제품 취출기(T) 등 다이캐스트기(B)의 부속 설비가 다이캐스트기(B)의 전체 제어부(S)에서 통일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게 본 장치(A)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 장치(A)는 대략, 다이캐스트기(B), 원료 금속을 용해하여, 소정의 탕온으로 유지하 는 용해로(2) 및 용해로(2) 안에 설치되어 용탕(5)을 보내는 급탕 펌프(17)와, 용해로(2)로부터 용탕(5)을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하는 탕도관(3)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캐스트 급탕 장치(C), 용해로(2)에 잉곳(ingot)형으로 공급되는 다이캐스트 금속 냉괴(18)를 투입하는 반송 장치(F), 다이캐스트기(B)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D)을 취출하기 위한 제품 취출기(T) 및 취출된 다이캐스트 제품(D)을 이송하는 컨베이어(H)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다이캐스트기(B)의 개요를 설명한다.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와 틸 스톡(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가설된 지지봉(21; tiebar)에 이동 다이 플레이트(22)가 왕복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와 이동 다이 플레이트(22)의 금형 설치면에 고정 금형(1a), 이동 금형(1b)이 형 개방·형 체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금형(1a), 이동 금형(1b)에는 온도 센서(23)(24) 및 금형 히터(25)가 배치되어 있어, 다이캐스트 금형(1)의 온도 조절을 행하고 있다.
고정 다이 플레이트(20)로부터 고정 금형(1a) 및 이동 금형(1b)에 걸쳐서 금형 슬리브(26)가 배치되어 있고, 사출용 피스톤(27)이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금형 슬리브(26)의 상측 면에는 수탕구(28)가 개설되어 있다. 또한 금형 슬리브(26)에는 금형 슬리브용 히터(29) 및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어 금형 슬리브(26)의 온도 조절을 행하고 있다. 상기 금형 슬리브(26)에는 냉각 배관(30)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금형 슬리브(26)는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 부분(19) 안에 수납되어 있고, 수탕구(28)는 오목 부분(19)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 슬리브(26)의 전체 길이(L)는 종래의 금형 슬리브(26')에 비해 대폭으로 짧아진다. 그 때문에 금형 슬리브(26)의 저면부로부터 충전된 용탕(5)의 탕면의 높이(P)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슬리브(26)쪽이 대폭으로 커지고, 슬리브 충전율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금형 슬리브(26) 안의 충전 용탕(5)의 단위 면적당 노출 표면적은, 종래 예와 비교하여 대폭으로 작아지고, 금형 슬리브(26) 안의 충전 용탕(5)의 산화가 경감된다. 더욱이, 금형 슬리브(26)의 길이(L)가 짧아지기 때문에, 사출용 피스톤(26)의 전진 속도가 같으면, 보다 단시간에 사출이 완료되므로, 사출 속도가 그 만큼 커져, 캐비티 내에서의 탕 유동 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금형 슬리브(26)의 전체 길이(L)는 금형 슬리브(26)의 안쪽 단부로부터 후퇴 한계에 위치하는 사출용 피스톤(27)의 선단까지의 길이를 말하여,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후퇴 한계에 위치하는 사출용 피스톤(27)의 선단이 오목 부분(19)의 단부로부터 내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금형(1a)과 고정 다이 플레이트(20) 사이에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층(36)이 배치되어 있어, 고정 금형(1a)으로부터의 고정 다이 플레이트(20)로 의 열 전도를 억제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캐비티 내에 사출 충전된 용탕(5)이 급속하게 고정 금형(1a)에 열을 빼앗겨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초박형 부분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극히 좁은 틈에도 충분히 탕을 순환시킬 수 있고, 다이캐스트 제품(D)의 박형화에 금형측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 다이 플레이트(20)의 오목 부분(19)은 금형 슬리브(26)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탕도관(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6)도 고정 다이 플레이트(20) 내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해로(2)는, 차륜(35)으로 레일(31)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용해로(2)의 왕복 이동은, 용해로(2)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핸들(32)을 회전시킴으로써 레일(3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일형 기어(33)에 맞물리는 회전 기어(34)를 회전 및 정지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정지는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행한다.
용해로(2) 안에는 용탕(5)을 유지하는 도가니(40)가 형성되어 있고, 도가니(40)의 천정부(41)상에는 설치대(42)가 설치되어 있고, 설치대(42)에는 급탕용 피스톤(57)을 구동하기 위한 급탕용 실린더(43)와, 전환 밸브(44)를 구동하기 위한 로터리 액추에이터(45)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용 실린더(43)는 커플링(46)을 통해서 급탕용 피스톤(57)의 피스톤 로드(57a)에 접속되어 있다. 도가니(40) 안에는, 급탕용의 급탕 펌프(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탕용 피스톤(57)은 급탕 펌프(17)의 천정부(41)에 설치된 펌프 실린더부(48)에 삽입되어 있다.
급탕 펌프(17)의 펌프 바디(47)의 단부에 제공된 펌프 토출구(49a)에는 후술하는 탕도관(3)의 접속단(60)이 접속되어 있고, 펌프 실린더부(48)와 연통해 있다. 탕도관(3)의 접속단(60)과 펌프 실린더부(48)의 연통 구멍(49)에는, 연통 구멍(49)의 개폐를 행하는 전환 밸브(4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45)에 접속되어 있다. 또, 펌프 실린더부(48)로의 용탕(5)의 공급은 급탕용 피스톤(57)이 하사점(최하부 위치)으로부터 상사점(최상부 위치)으로 이동할 때, 전환 밸브(44)의 용탕 흡입구(44a)로부터 용탕(5)을 흡인하는 것으로 행한다. 용탕 흡입구(44a)는 연통 구멍(49)의 폐쇄시에 펌프 실린더(48)측의 연통 구멍(49a)과 도가니(40)가 연통되어 도가니(40) 안의 용탕(5)의 펌프 실린더(48) 안으로의 흡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잉곳과 같은 원료 금속 냉괴(18)는, 천정부(41)에 형성한 재료 투입부(52)의 투입문(53)을 통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재료 투입부(52)의 천정부(41)에는, 도가니(40)를 대략 전체 폭에 걸쳐 구분짓는 구분판(54)이 수직 설치·도약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가니(40)를 재료 투입부(52) 바로 아래의 부분과 급탕측으로 분할하여, 재료 투입부(52) 바로 아래의 부분에서 발생한 부유물(scum; 도시하지 않음)이 급탕측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도가니(40) 안의 탕온은, 도가니용 온도계(55)로 상시 감시되고 있다. 또한, 용해로(2)에는 버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투입 원료 금속 냉괴(18)의 용해 및 탕온의 유지 등이 행하여진다. 용해로(2) 안은 산화 방지용 가스(예를 들면 6불화 혼합 가스)로 채워져 있고, 천정부(41)에 형성된 가스 공급관(56)으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탕도관(3)은 다이캐스트 금형(1)과 용해로(2)를 접속하여 용해로(2)의 용탕(5)을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에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의 용탕 도관(61)이 삽입 통과되고, 그 주위에 히터(4)가 권착되며, 또한 그 주위에 단열 부재(62)가 권설되어 있다. 용탕 도관(61)의 용탕 침적측 단부는 볼 록 반구형의 접속단(60)으로 되어 있고, 펌프 바디(47)의 펌프 토출구(49b)에 제공된 오목 반구형의 피벗 시트(63; pivot seat)에 가압되어 끼워져 있다. 용탕 도관(61)의 타단은 탕도관(3)의 선단의 노즐부(6)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급탕 노즐(64)에 접속되어 있다.
탕도관(3)은 다이캐스트 금형(1)과 용해로(2)를 접속하여 용해로(2)의 용탕(5)을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해로(2)의 천정부(41)를 관통하여 피벗 시트(63)에 달하는 수직부(65), 수직부(65)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신장하는 수평부(66), 수평부(66)의 선단으로부터 경사상으로 신장한 경사부(67), 경사부(67)로부터 약간 낮은 경사로 신장되어 급탕 노즐(64)에 접속하는 접속부(68)로 구성되어 있다.
탕도관(3)의 히터(4)는 3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 1 영역으로서, 경사부(67)와 이것에 계속되는 수평부(66)의 일부, 즉, 도 5의 (7)로 도시하는 범위(이 부분을 저탕부(7)로 한다)와 그것에 계속되는 수평부(66)의 대부분 및 수직부(65)의 내, 용해로(2)에 달하는 범위(이 부분을 중간부(13)로 한다)와, 용해로(2)의 천정부(41)로부터 아래 부분(이 부분을 흡탕부(12)로 한다)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역(7)(12)(13)에는 저탕부용 히터부(8), 중간부용 히터부(15) 및 흡탕부용 히터부(14) 및 온도 센서(69)(70)(71)가 장착되어 있고, 각각 독립하여 온도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저탕부(7)의 크기는 다이캐스트 제품(1)의 주입 중량의 1 내지 2배(예를 들면, 다이캐스트 제품(D)의 중량이 100 내지 150g인 경우, 저탕부(7)의 탕 양은 180 내지 200g 정도의 범위)이다.
노즐부(6)는 탕도관(3)의 선단 부분에서, 용탕 도관(61)의 접속부(68)에 접속되어 있는 급탕 노즐(64)이 비스듬하게 관통하고 있고, 그 상단에는 질소 가스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7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즐부(6)에는 단독으로 노즐부용 히터(11)와 온도 센서(73)가 설치되어 있다.
용탕 도관(61)의 수직부(65)는 단지 천정부(41)로부터 용해로(2)의 내부로 삽입되고, 피벗 시트(63)에 자중으로서 가압되며 또한 여기를 중심으로 접속단(60)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용탕 도관(6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암(16)이 상기 천정부(41)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암(16)은 천정부(41)에 설치된 지지축(80)과, 그 일단이 지지축(80)에 회전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고, 타단이 지지 암(16)을 지지하는 회전 암부(8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해로(2)에는, 용해로(2)에 부속되어 있는 원료 공급 장치(F)는 잉곳으로 공급된 다이캐스트 금속(18)을 스톡하고, 다이캐스트기(B)에 탑재되어 있는 전체 제어부(S)로부터의 지령(후술하는 쇼트수 및/또는 탕면 높이)으로 다이캐스트 금속(18)을 반송 컨베이어(85)로 용해로(2)에 차차 자동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이캐스트기(B)에는, 필요에 따라서 제품 취출기(T)가 부설되어 있어, 형 개방한 다이캐스트기(B)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D)을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취출 방법은, 냉각·응고한 다이캐스트 제품(D)의 비스킷을 끼워 지지하여 캐비티로부터 꺼내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제품 취출기(T)의 옆에 반송 장치(H)가 설치되어 있어, 취출된 다이캐스트 제품(D)이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반송 장치(H)에는, 예를 들면 다이캐스트 제품(D)의 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반송 장치(H)에 다이캐스트 제품(D)이 보내지면 이것을 검지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품 취출기(T)는 다이캐스트기(B)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이캐스트 장치(A)의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이캐스트 머신(B)의 로컬 제어부(S11)에 상기 부속되는 일련의 장치의 제어를 집약하여, 전체 제어부(S)로서 전체를 통일적으로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설치된 원료 공급 장치(F)로부터의 다이캐스트 금속(18)의 도가니(40) 안으로의 투입은 제품 쇼트량에 의해서 관리되며, 설정 쇼트수에 달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행하여진다. 동시에 탕면 높이도 탕면 높이 검출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검출되고, 탕면 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다이캐스트 금속(18)의 투입이 지령되나, 쇼트수와 탕면 높이의 불일치의 괴리가 크면, 탕 누수 등의 경보(후술하는 「용해로 이상」)가 발하게 된다.
또한, 용해로(2)에는 급탕 펌프(17)와 이것에 접속한 탕도관(3)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급탕 펌프(17)의 급탕용 피스톤(57)을 작동시키는 급탕용 실린더(43)나 연통 구멍(49)의 개폐를 행하는 전환 밸브(44) 로터리 액추에이터(45)의 급탕·흡인 작동도 전체 제어부(S)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 흡인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환 밸브(44)를 회전시켜 연통 구멍(49)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 도가니(40) 안과 펌프 실린더(48)측의 연통 구멍(49a)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급탕용 피스톤(43)을 작동시켜서, 급탕용 피스톤(57)을 하사점(최하부 위치)으로부터 상사점(최상부 위치)으로 이동 시켰을 때, 도가니(40) 안의 용탕(5)을 펌프 실린더(48)내로 흡입한다.
급탕 작동은 그 반대로, 전환 밸브(44)를 역전시켜, 연통 구멍(49)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탕용 실린더(43)를 작동시켜서, 급탕용 피스톤(57)을 상사점(최상부 위치)으로부터 하사점(최하부 위치)으로 이동시키면 펌프 실린더(48) 안의 용탕(5)은 연통 구멍(49)으로 밀려 나오고, 탕도관(3)을 통과하여 다이캐스트 금형(1)에 공급된다. 또한, 탕도관(3)의 3 영역으로 분할된 히터(4), 노즐부(6)의 히터(11) 등도 독립하여 전체 제어부(S)에서 온도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 외, 다이캐스트기(B)의 전체 제어부(S)는, 다이캐스트 금형(1)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22)의 왕복 동작이나 왕복 속도, 고정 금형(1a)이나 이동 금형(1b)의 온도 센서(23)(24)의 입력 데이터의 분석, 해당 데이터에 근거하는 금형 히터(25)(29)의 온도 조절, 사출용 피스톤(27)의 사출 속도나 동작 타이밍, 상술한 바와 같이 취출 장치(T)나 반송 장치(H)의 동작 타이밍의 제어 외에 전체 다이캐스트기(B) 및 그 부속 설비에 관한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다이캐스트기(B)에 탑재되어 있는 전체 제어부(S)는 표시 장치(G) 및 텐 키를 갖는 입력 장치(N)를 갖고 있고, 전체 제어부(S)로의 설정치의 입력이나 정정, 각종 작업 상태의 표시 등은 이들을 통하여 통일적으로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용해로 및 화로 내에 배치된 급탕 펌프, 탕도관, 필요에 따라서 용해로에 부속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나 제품 취출기 등 다이캐스트기의 부속 설비가 다이캐스트기의 전체 제어부에서 통일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본 장치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장치의 금형 슬리브의 슬리브 길이가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으로 짧아져 있기 때문에, 고 슬리브 충전율, 고속 사출이 가능해지고, 초박형 제품의 제조가 가능해졌다.

Claims (4)

  1. (a) 이동 금형 및 고정 금형을 갖는 다이캐스트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이 장착되는 이동 다이플레이트와, 오목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정 금형이 장착되는 고정 다이플레이트와, 상기 오목 부분에 수납되어 상기 오목 부분 내에 수탕구가 설치된 금형 슬리브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과, (b) 원료 금속을 용해하여 소정의 탕 온도로 유지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 내에 설치되어 용해로 내의 용탕을 보내는 급탕 펌프와, 상기 급탕 펌프와 상기 금형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탕도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캐스트 급탕 장치와, (c) 잉곳(ingot)으로 공급된 다이캐스트 금속을 스톡하여 상기 다이캐스트 금속을 반송 컨베이어로 차차 상기 용해로에 자동 공급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 및 (d)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에 연동하여 형 개방시에 상기 다이캐스트 금형으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을 취출하는 제품 취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해로 내의 용탕을 급탕 펌프로부터 탕도관 및 금형 슬리브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에 공급하는 다이캐스트장치로서,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 및 제품 취출기 등의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의 부속 설비가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에 탑재되어 있는 전체 제어부에서 통일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로부터의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은 제품 쇼트수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제품 쇼트수가 설정 쇼트수에 도달하면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동시에 탕면 높이도 탕면 높이 검출 장치에서 검출되며, 탕면 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이 지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장치.
  2. (a) 이동 금형 및 고정 금형을 갖는 다이캐스트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이 장착되는 이동 다이플레이트와, 오목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정 금형이 장착되는 고정 다이플레이트와, 상기 오목 부분에 수납되어 상기 오목 부분 내에 수탕구가 설치된 금형 슬리브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과, (b) 원료 금속을 용해하여 소정의 탕 온도로 유지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 내에 설치되어 용해로 내의 용탕을 보내는 급탕 펌프와, 상기 급탕 펌프와 상기 금형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탕도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캐스트 급탕 장치와, (c) 잉곳(ingot)으로 공급된 다이캐스트 금속을 스톡하여 상기 다이캐스트 금속을 반송 컨베이어로 차차 상기 용해로에 자동 공급하는 원료 금속 공급 장치, 및 (d)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에 연동하여 형 개방시에 상기 다이캐스트 금형으로부터 다이캐스트 제품을 취출하는 제품 취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해로 내의 용탕을 급탕 펌프로부터 탕도관 및 금형 슬리브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에 공급하는 다이캐스트장치로서,
    상기 원료 금속 공급 장치로부터의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은 제품 쇼트수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제품 쇼트수가 설정 쇼트수에 도달하면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동시에 탕면 높이도 탕면 높이 검출 장치에서 검출되며, 탕면 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다이캐스트 금속의 투입이 지령되고,
    상기 제품 쇼트수와 탕면 높이의 불일치의 괴리가 큰 경우에는, 탕 누수 등의 용해로 이상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10068458A 2000-11-15 2001-11-05 다이캐스트 장치 KR100822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8292A JP3899228B2 (ja) 2000-11-15 2000-11-15 ダイカスト装置
JPJP-P-2000-00348292 2000-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678A KR20020037678A (ko) 2002-05-22
KR100822227B1 true KR100822227B1 (ko) 2008-04-17

Family

ID=188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58A KR100822227B1 (ko) 2000-11-15 2001-11-05 다이캐스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99228B2 (ko)
KR (1) KR100822227B1 (ko)
CN (1) CN1232370C (ko)
TW (1) TW5584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40B1 (ko) * 2016-03-24 2017-05-18 주식회사 동서기공 주물용 용탕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82B1 (ko) * 2011-12-09 2013-07-0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용탕 이송장치
CN104084558B (zh) * 2014-07-24 2016-05-04 永泰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金属超薄壳体的浇注系统
CN104985164A (zh) * 2015-06-30 2015-10-21 湖州鑫霸液压机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压铸机成品收集装置
CN108555263A (zh) * 2018-07-05 2018-09-21 中山市甘田电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冷室压铸机
CN114433813B (zh) * 2022-01-19 2024-04-02 浙江飞哲科技股份有限公司 全铝散热器的加工装置及其加工工艺
CN115041658B (zh) * 2022-08-15 2022-10-25 苏州春兴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薄壁铝合金压铸件的压铸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743A (ja) * 1991-08-05 1993-02-19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付内燃機関
JPH0671411A (ja) * 1992-05-18 1994-03-15 Toshiba Mach Co Ltd 製品取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743A (ja) * 1991-08-05 1993-02-19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付内燃機関
JPH0671411A (ja) * 1992-05-18 1994-03-15 Toshiba Mach Co Ltd 製品取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40B1 (ko) * 2016-03-24 2017-05-18 주식회사 동서기공 주물용 용탕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8465B (en) 2003-10-21
CN1232370C (zh) 2005-12-21
JP3899228B2 (ja) 2007-03-28
CN1359773A (zh) 2002-07-24
JP2002144015A (ja) 2002-05-21
KR20020037678A (ko)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7857C (en) Die casting machine and method
US7150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lic parts by die casting
KR100822227B1 (ko) 다이캐스트 장치
JP2007253168A (ja) 竪型鋳造装置及び竪型鋳造方法
KR20040100902A (ko) 중력 이용 공급법을 이용한 수직 주입 기계
JP4237688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スプレー装置
JP2007326130A (ja) マグネシウム合金鋳塊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S60148655A (ja) コ−ルドチヤンバダイカストマシン
KR100550144B1 (ko) 다이케스팅기의 진공장치
KR200326494Y1 (ko) 다이케스팅기의 진공장치
CN217044568U (zh) 一种机器人浇铸生产线
JP7254617B2 (ja) 給湯装置及び成形機
JP7301563B2 (ja) 給湯装置およびダイカストマシン
JP2002144013A (ja) ダイカスト装置
JPH0327860A (ja) 自動給湯装置
JP2021192918A (ja) 給湯装置およびダイカストマシン
KR101350464B1 (ko) 윈치 픽업 트러블 방지 장치
JPH0327861A (ja) 自動給湯装置
JPH0335860A (ja) 自動給湯装置
KR100193233B1 (ko) 진공 감압 주조장치
KR100936865B1 (ko) 경동장치를 구비한 금속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KR101661978B1 (ko) 주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649841B2 (ja) 自動給湯装置
JPH01186255A (ja) マルチショット型成形機
JP2005324223A (ja) 低圧鋳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