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92B1 -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92B1
KR100821692B1 KR20060083240A KR20060083240A KR100821692B1 KR 100821692 B1 KR100821692 B1 KR 100821692B1 KR 20060083240 A KR20060083240 A KR 20060083240A KR 20060083240 A KR20060083240 A KR 20060083240A KR 100821692 B1 KR100821692 B1 KR 10082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water
powder
powder particle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8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163A (ko
Inventor
장태선
이혁희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2006008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인체 및 환경친화적이면서 양이온성을 갖는 키토산으로 개질하면, 개질 반응 시 부가적인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높은 양전하의 성질을 띠게 되어, 음전하를 갖는 수중 부유물질의 흡착이 용이하고, 자력으로 고속분리가 가능하며,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타이트, 양전하, 음전하, 키토산

Description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Wastewater treatment powder which has characteristic of minus charge in the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이산화티타늄의 원폐수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처리 분말과 자력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된 이산화티타늄의 처리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인체 및 환경친화적이면서 양이온성을 갖는 키토산으로 개질하면, 개질 반응 시 부가적인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높은 양전하의 성질을 띠게 되어, 음전하를 갖는 수중 부유물질의 흡착이 용이하고, 자력으로 고속분리가 가능하며,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음전하를 띠고 있는 부유물질(현탁물질)에 반대전하를 띠고 있는 양전하를 공급하여 응집시키려는 콜로이드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콜로이드를 상호 결합시키고, 이를 침강 내지는 부상을 시켜 제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때, 사용되는 응집제로는 무기응집제와 유기응집제로 크게 구분된다.
먼저, 무기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염화제이철, 알루미늄산 나트륨을 주로 사용되는 데, 이 중 황산알루미늄은 응집제 중에 제일 먼저 등장할 정도로 관록과 전통을 자랑하며 독보적 위치를 지키고 있다. 이러한 황산알루미늄은 황색이고, 정수·폐수처리에 사용되고, 화학분자식은 Al2(SO4)3·xH2O이고, 수산화알루미늄과 황산으로부터 제조되며, 고상 또는 액상으로 존재하는 데 보통 액상을 사용한다. 또한, 침상의 단사 결정으로서 물에 잘 용해되나 알콜에는 녹지 않으며,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고 850 ℃ 정도에서 열분해가 완료되어 알루미나(Al2O3)가 된다.
염화제이철(Ferric cholride, FeCl3)은 황갈색의 결정으로 조해성이 크며 수용액에서는 강산성을 나타내는 데, pH 적정범위가 4 ∼ 12로서 매우 넓으며 탈색성을 갖고, 특히 pH 9이상에서는 Mn·H2S의 제거도 가능하고 플록(floc)이 무거워 쉽게 침전한다. 그러나 부식성이 매우 강해 설비 기자재가 잘 부식되며, pH 2이하에서는 수화물을 형성한다.
알루미늄산 나트륨(NaAlO2)은 주로 응집보조제로서 사용되며, Al2O3 농도가 약 25 %이므로 고농도 제품이나 Al의 반대이온인 Na 양이온인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유기응집제인 고분자 응집제는 현탁액 중의 콜로이드나 분립체를 응집시킬 목적으로 첨가하는 유기고분자의 응집제로서, 그 효과적인 면에서는 표면전하의 중화 및 입자 사이의 가교에 의한 2차 입자(flock)의 안정화가 있다. 이들은 비교적 저중합도(천 ∼ 수만 분자량)의 것과 고중합도(수10만 ∼ 수백만 분자량)의 것이 있고, 고분자사슬를 구성하는 단위(unit)의 관능기가 해리하여 음이온을 만드는 알긴산(alginic acid),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등의 Na 염, 양이온을 만드는 폴리에틸렌 아민(polyethylene amine), 폴리우레아 아세트산(polyurea acetic acid)의 염, 특히 해리하는 관능기를 갖지 않는 전분,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음·양 양쪽성을 갖는 젤라틴(gelatin) 등이 있다.
이들은 무기응집제에 비하여 비싸고 보통 다른 응집제와 병용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무기 또는 유기응집제들에 의해 중화 및 입자들 사이의 가교에 의해 안정화되어진 2차 입자의 플록(floc)들은 침강 내지는 부상 방법에 의해 제거되고 있다. 그러나, 반응기 내부에 침강 내지는 부상을 시키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수중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장시간 소요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유물질을 고속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매우 제한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110352호에서는 "마그네타이트 분말과 부영양화 물질 및 유기물 흡착제가 함유된 미세구형 과립상태인 수처리 미세과립의 제조방법 및 초고속 수처리공정"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마그네타이트 분말, 부영양화 물질 및 유기물 흡착제가 함유된 미세구형 과립상태의 수처리 미세과립으로 구체적으로 마그네타이트의 자성분말과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및 수산화칼슘을 혼합하여 미세 구형을 과립을 제조하여 이를 수 처리에 적용하는 분말이다. 이 방법은 비표면적이 넓으면서 친유성의 성질을 띠고 있는 활성탄 및 활성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질이나 악취를 제거하여 화학적산소요구량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부영양화 물질인 인산염을 소석회(Ca(OH)2)를 이용하여 불용성의 인산칼슘을 생성시켜 녹조 및 적조의 원인인 부영양화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타이트를 혼합하여 수중에 있는 환경유해물질 내지는 오염물질을 흡착한 후 자력에 의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미세구형의 과립상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활성탄 분말 내지는 활성탄소섬유와 소석회 및 마그네타이트의 분말과 결합제, 물을 혼합한 후 미세구형제조 장치를 이용한 과정 중에 복잡한 제조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대량생산이 어렵고, 특히 수분이 함유된 미세구형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으며, 비표면적이 매우 우수한 활성탄소섬유인 경우 분말이 아니기 때문에 미세구형으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20098호에는 "전자석의 교대(alternate) 자력을 이용한 녹조, 적조정화시스템 및 분말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흡착제와 마그네타이트 분말이 혼합된 과립을 전자석의 교대(alternate)자력을 이용하여 물속의 조류 및 질소(N), 인(P)을 쉽게 정화할 수 있는 녹조, 적조정화 시스템 및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타이트(Fe3O4)에 제올라이트, 활성탄, 황토와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을 함유시키며, 이 분말을 바인더에 의해 과립상태로 제조한 것을 자력을 걸어줄 수 있는 2개의 전자석 수평 칸막이 내부에 넣어주고, 일정한 간격으로 번갈아 교대로 자력을 걸어주어 물속에서 과립형 흡착제에 의해 유동거리(반응시간)를 길게하므로서, 녹조와 부영양화 원인인 질소, 인의 흡착, 제거 방법에 관련된 녹조, 적조 정화시스템 및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교대자력에 의해 해양이나 댐과 같이 수중에 오염된 조류를 흡착하고, 녹조, 적조의 원인인 질소나 인을 흡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댐이나 바다와 같은 수중에 반응성을 좋게 하거나 길게하기 위하여 수중에 장시간 부유시간을 길게하며, 반드시 미세입자로 제조해야 된다. 또한, 교대자력에 의해 반응성을 길게하여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마그네타이트의 분말을 수 mm 내지는 수 cm의 과립상태로 제조할 경우 비중이 크기 때문에 수중에 장시간 부유할 수 없으며, 실시예 1을 살펴보면 500 ℃의 불활성 분위기의 로에서 소결시키게 되므로 연료비 가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으며, 불활성 조건이라 할지라도 500 ℃의 고온에서 다공성물질인 활성탄 내지는 제올라이트가 변성될 확률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110350호에는 "표면개질화한 마그네타이트와 자력을 이용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방제 방법 및 자동화 방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마그네타이트(Fe3O4) 분말 표면에 양(+)전하를 띠게 표면을 개질화하여, 전자석 내지는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물속의 조류를 고속으로 제거할 수 있는 녹조, 적조 제거 방제방법 및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음(-)전하를 띠고 있는 조류와 마그네타이트 표면에 양(+)전하를 이용하여 조류를 흡착한 다음 영구자석 내지는 전자석이 부착된 콘베어 벨트를 이용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방제방법 및 방제 시스템을 제공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타이트 표면에 양전하의 알루미늄의 수산화물 내지는 산화물 상태로 표면개질화를 하여 양전하를 띠게 하고, 음전하를 띠고 있는 조류와 반응하여 무전하의 조류를 형성시켜 쉽게 조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자력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수산화물 내지는 산화물 상태로 표면개질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인 경우에는 출발물질로 알루미늄의 황산, 질산 및 염산 등을 사용하고,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과 반응시키는 과정 중에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질산나트륨의 부산물에 의해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 으며, 산화알루미늄인 경우 높은 온도에서 가열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타이트 표면을 개질화한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알루미늄의 접착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수산화 및 산화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마그네타이트 표면의 개질 시 부산물로 인한 2차오염 및 사용시간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인체 및 환경친화적인 키토산을 이용하여, 상기 입자의 표면을 키토산의 양이온으로 개질하면, 개질 반응 시 부가적인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높은 양전하의 성질을 띠게 되어, 음전하를 갖는 수중 부유물질의 흡착이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성을 갖는 입자 표면을 키토산으로 개질하여 음전하를 갖는 수중 부유물질의 고속제거가 용이한 분말 입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0.1 ㎛ ∼ 1 ㎜이고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키토산 양이온으로 표면을 개질하되,
상기 키토산은 자성을 갖는 입자 100 중량%에 대하여 0.25 ∼ 12 중량% 범위 로 개질된 것을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제거용 분말 입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중 음이온성을 부유물질을 고속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말 입자에 관한 것으로,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키토산의 양이온으로 표면을 개질한 분말 입자로서, 이를 이용하면 종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110350호와 같이 수산화 및 산화 알루미늄을 이용한 표면 개질반응 시에 부가적인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높은 양전하의 성질을 띠게 되어, 음전하를 갖는 수중 부유물질의 흡착이 용이하고, 특히 상기 수산화 및 산화 알루미늄은 접착력이 약하여 사용시간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지된 발명은 표면을 개질하는 성분으로 무기물인 알루미늄 성분을 사용하고, 본 발명은 유기물인 키토산을 사용한 바, 일반적으로 무기물에 비해 유기물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양전하를 띠고 있는 아크릴 아마이드류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표면개질화 후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중에 아크릴 아마이드류의 고분자가 용해되어 COD의 증가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표면 개질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표면개질 후 수중에 용해되지 않으면서 양전하를 띠고 있는 키토산을 사용하여 이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제거용 분말 입자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성을 갖는 입자의 표면을, 키토산 양이온으로 표면을 개질한 분말 입자에 기술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자성을 갖는 입자는 크기가 가능한 미분인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0.1 ㎛ ∼ 1 ㎜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0.1 ㎛ ∼ 0.1 ㎜ 범위,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 ∼ 5 ㎛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바, 분말 입자의 크기가 0.1 ㎛ 미만이면 비표면적이 더욱 커져서 수중에 있는 부유물질들을 흡착될 가능성이 높아지나, 미립자에 의한 분진으로 작업에 불편을 줄 수 있고, 미립자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며, 1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적고, 침강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중의 부유물질과 접촉하여 흡착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자성을 갖는 입자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자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마그네타이트(Fe2O3) 또는 철(Fe) 분말을 사용하나, 바람직하기로는 가격이 저렴하며, 미분으로의 제조가 용이하고, 내산성이 우수한 마그네타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자성을 갖는 입자 표면을 양이온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키토산을 선택 사용하는 바, 키토산은 인체의 세포 활성화와 항암작용, 면연력 강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고혈압 예방, 피하지방해소, 혈당상승억제, 중금속의 체외배출이 우수하여 건강보조식품 분야, 수술 시 사용되는 봉합사, 의료용솜, 거즈, 붕대, 반창고 등의 소모품 및 인공피부나 암치료제, 항종양제와 같은 고도의 의료 시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키토산은 천연 고분자 물질이 지닌 강한 흡착력의 특성을 활용하여 방사능원소나 중금속을 제거용, 다이옥신을 억제용으로 그 효과가 탁월하며, 식물의 면역성을 강화하여 성장촉진 작용으로, 농약과 비료를 절감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에 대해서도 지력을 증가시켜주는 토양개량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외에도 축산사료나 수산용 양식사료에 배합하면 성장촉진과 면역력을 높여 항생제 투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농산물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인 농·수·축산업 육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토산은 게나 가재,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60 %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65 ∼ 98% 범위로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토산의 분자량은 10,000 ∼ 250,000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10,000 ∼ 100,000 범위,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0,000 ∼ 70,00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표면개질화 후 수처리 과정 중에 수중에 용해되어 COD의 증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250,000의 분자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매로 용해하는 과정 중에 점도증가(swelling)가 되어 작업성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개질된 분말 입자는 상기 키토산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자성을 갖는 분말 입자를 침적시켜 표면을 개질화시킨 다음 용매의 건조 및 분쇄하는 과정을 통하여 양전하로 표면이 개질된 자성을 갖는 분말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 용매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 등의 산(acid)을 사용하는 바, 구체적으로 젖산, 구연산, 초산, 황산, 염산 및 질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표면개질화를 시키기 위한 자성을 갖는 입자를 침적할 때 냄새에 의한 불쾌감 내지는 호흡기 질환을 방지를 위해서는 황산, 젖산 및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표면개질 후의 부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초산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키톤산은 자성을 갖는 입자 100 중량%에 대하여 0.25 ∼ 12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 5.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바, 상기 사용량이 0.25 중량% 미만이면 자성입자 표면에 양전하의 량이 적어 수중의 음전하를 띠고 있는 부유물질을 쉽게 제거하기 어려우며,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전하를 더 이상 제공하기 어렵고 표면개질화 공정이 더 필요하여 경쟁력을 잃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키토산을 표면이 개질된 자성을 갖는 입자는 표면이 양이온으로 개질되어 질소나 인과 같은 부영양화물질에 오염된 녹조, 적조 등의 조류를 쉽게 흡착제거하고, 자성을 가지고 있어 고속처리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높고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산 용매하에서, 평균입자 크기가 6.5 ㎛인 마그네타이트 분말에 상기 분말에 대하여 1.0 중량%의 키토산(소와화학 제품, 분자량 36,000, 키틴의 아세틸화 정도: 80 %)을 첨가하여, 키토산의 양이온의 표면이 개질화된 마그네타이트 분말 입자를 제조하였다.
1L 메스실린더에 이산화티타늄이 15.8 g(고형분: 1.58 %) 함유된 폐수를 분취한 후, 상기에서 얻어진 표면개질된 마그네이트 분말 입자를 10 g을 넣고 힘차게 흔들어 준 후 곧바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를 하였다.
실시예 2
초산 용매하에서, 평균입자 크기가 0.25 ㎛인 마그네타이트 분말에 상기 분말에 대하여 4.5 중량%의 키토산(소와화학 제품, 분자량 36,000, 키틴의 아세틸화 정도: 80 %)을 첨가하여, 키토산의 양이온으로 표면이 개질된 마그네이트 분말 입자를 제조하였다.
1L 메스실린더에 이산화티타늄이 15.8 g(고형분: 1.58 %) 함유된 폐수를 분취한 후, 상기에서 얻어진 표면개질된 마그네이트 분말 입자를 20 g을 넣고 힘차게 흔들어 준 후 곧바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를 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표면개질된 마그네타이트 분말을 이용하여 1L 메 스실린더에 클로로필-a(Chlorophyll-a)가 75,000 cells/mL인 대청호의 담수호를 분취하였다. 이후에 상기에서 얻어진 표면개질된 마그네이트 분말 입자를 20 g을 넣고 힘차게 흔들어 준 후 곧바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를 하였다.
비교예 1
1L 메스실린더에 이산화티타늄이 15.8 g 함유된 폐수를 분취하고, 유기응집제인 폴리아크릴 아마이드((주)싸이언스 케미칼 사)의 유기응집제 0.54 g을 넣고 힘차게 흔들어 준 후 방칭하여 고·액분리의 시간을 확인 하였다.
구분 고·액분리 시간 처리 후 수질의 색깔
실시예 1 2분 55초 매우투명
실시예 2 2분 13초 매우투명
실시예 3 2분 42초 매우투명
비교예 1 34분 26초 다소투명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키토산을 표면개질 물질로 사용한 실시예 1 ∼ 2는 수처리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류의 유기응집제를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유물질의 고·액분리 시간이 매우 빠르면서 수질의 색깔이 매우 투명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3에서도 본 발명에 의해 녹조와 적조와 같은 조류를 고속으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 3에서 마그네타이트의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개질화된 마그네타이트의 량이 많을수록, 수중에 첨가된 표면개질화된 마그네타이트의 량이 많을수록 수중의 부유물질 내지는 조류의 흡착, 제거율이 높아 매우 투명한 수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성을 갖는 분말 입자의 표면을, 키토산 양이온으로 표면개질된 분말을 사용하여 수처리를 수행하면, 수중에 포함된 음전하를 띠고 있는 부유물질은 물론 조류를 쉽게 흡착하고, 이를 외부의 자력에 의해 고속으로 분리가능하여, 종래의 무기 내지는 유기고분자에 의한 부유물질의 고·액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며, 특히 환경친화적인 방법에 의하여 조류를 쉽게 흡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질환경보호는 물론 기업의 경제성 및 작업성 확보에 큰 이점이 기대된다.

Claims (8)

  1. 마그네타이트(Fe3O4) 분말 및 철(Fe) 분말 중에서 선택되고, 입자크기가 0.1 ㎛ ∼ 1 ㎜ 범위인 자성분말입자 표면에, 분자량이 30,000 ∼ 70,000 범위인 키토산 양이온이 침적되어 있으며,
    상기 키토산은 자성분말입자 100 중량%에 대하여 0.25 ∼ 12 중량% 범위로 자성분말입자 표면에 침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의 음전하성 조류 및 부유물질 제거용 분말 입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키틴이 80 ∼ 98% 범위로 탈아세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입자.
  4. 삭제
  5. 산용매에서, 마그네타이트(Fe3O4) 분말 및 철(Fe) 분말 중에서 선택되고, 입자크기가 0.1 ㎛ ∼ 1 ㎜ 범위인 자성분말입자와 분자량이 30,000 ∼ 70,000 범위인 키토산을 상기 자성분말입자 100 중량%에 대하여 키토산이 0.25 ∼ 12 중량% 범위로 혼합한 후에, 용매를 건조시켜
    키토산 양이온이 표면에 침적된 자성분말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의 음전하성 조류 및 부유물질 제거용 자성분말입자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키틴이 80 ∼ 98% 범위로 탈아세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용매는 젖산, 구연산, 황산, 염산 및 질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20060083240A 2006-08-31 2006-08-31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3240A KR100821692B1 (ko) 2006-08-31 2006-08-31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3240A KR100821692B1 (ko) 2006-08-31 2006-08-31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163A KR20080020163A (ko) 2008-03-05
KR100821692B1 true KR100821692B1 (ko) 2008-04-14

Family

ID=3939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83240A KR100821692B1 (ko) 2006-08-31 2006-08-31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0B1 (ko) * 2007-08-29 2009-01-15 한국화학연구원 전위차법에 의한 조류 및 영양염류의 연속 제거장치 및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819A (en) 1980-01-28 1981-08-2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unctional magnetic microspheres
JP2913150B2 (ja) 1995-03-10 1999-06-28 工業技術院長 有害性陰イオン除去剤及び有害性陰イオンの除去方法
JP2005296942A (ja) 2004-03-15 2005-10-27 Hitachi Maxell Ltd 磁性複合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819A (en) 1980-01-28 1981-08-2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unctional magnetic microspheres
JP2913150B2 (ja) 1995-03-10 1999-06-28 工業技術院長 有害性陰イオン除去剤及び有害性陰イオンの除去方法
JP2005296942A (ja) 2004-03-15 2005-10-27 Hitachi Maxell Ltd 磁性複合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163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Performance and mechanisms of wastewater sludge conditioning with slag-based hydrotalcite-like minerals (Ca/Mg/Al-LDH)
EP2180944B1 (en) Surface treated calcium carbonate and its use in waste water treatment
Wang et al. Palygorskite nanomaterials: structure, properties, and functional applications
KR100848605B1 (ko) 수계의 부영양화 방지를 위한 질소와 인의 동시 처리제 및이의 제조방법
JP2001520578A (ja) 沈殿物の改善用材料および改善方法
CN1830823B (zh) 纺织印染废水处理剂
CN108821383A (zh) 一种新型河道浊度原位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10000709A (ko) 수처리용 흡착제
CN1698948A (zh) 以坡缕石、海泡石为载体的水净化剂及其制备与使用方法
Ahmadian et al. Recent advances in adsorp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using metal–organic frameworks-based hydrogels
CN108059225B (zh) 钛凝胶-聚二甲基二烯丙基氯化铵复合混凝剂及其应用
Valizadeh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curdlan composite magnetized by zinc ferrite for efficient adsorp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water
Bakr et al. Eco-friendly zeolite/alginate microspheres for Ni ions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Kinetic and isotherm study
CN102963983A (zh) 一种LDHs覆膜改性的垂直流人工湿地基质及其制备方法
CN110465273B (zh) 一种壳聚糖除磷材料的制备方法及壳聚糖除磷材料
Shen et al. Polydopamine modified cerium-based MOFs/chitosan aerogel beads for the efficient phosphate removal
KR100821692B1 (ko) 수중의 음전하성 부유물질 고속처리용 분말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8588B1 (ko) 마그네타이트 나노 파티클-담체 결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
CN105198059A (zh) 一种水处理絮凝剂
Madhukar et al. A review on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methods for defluoridation of water
JPWO2004045740A1 (ja) 廃水および汚泥水の浄化処理剤
CN104402070A (zh) 一种重金属污水处理药剂
Said et al. Development of calcium phosphate-chitosan composites with improved removal capacity toward tetracycline antibiotic: Adsorption and electrokinetic properties
Soetaredjo et al. Removal of hazardous contaminants from water or wastewater using polymer nanocomposites materials
Noreen et al. Hydrogels reaction with sodium alginate over pollutant degra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