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569B1 -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569B1
KR100820569B1 KR1020070060174A KR20070060174A KR100820569B1 KR 100820569 B1 KR100820569 B1 KR 100820569B1 KR 1020070060174 A KR1020070060174 A KR 1020070060174A KR 20070060174 A KR20070060174 A KR 20070060174A KR 100820569 B1 KR100820569 B1 KR 10082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vinyl
clip
protective inn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Original Assignee
박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영 filed Critical 박시영
Priority to KR102007006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비닐하우스 골조에 덮여진 비닐의 외면에 탄력없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 보호내관과, 상기 보호내관의 외면에 고정 탄력을 갖고 압박상태로 끼워지는 합성수지재 외관을 갖는 이중관체로 형성되고, 이들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측단 간에 연성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의 구조물로 연결된 합성수지 사출 성형제 비닐클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단일관형 비닐하우스용 비닐 클립은 물론 폭 방향 연접식 이중관형 비닐클립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비닐클립이 이중관형 이면서도 성형성과 제작성이 우수하고, 적은 힘으로 매우 용이하게 체결과 해체작업을 할 수 있으며, 골조에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골조와의 체결과 해체시에 비닐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재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조원가가 저렴한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을 제공한다.
비닐하우스,비닐클립,합성수지재 내관,고정외관,이중관,연성 연결부재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vinyl clip of doule unit-type for vinyl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보호내관 저면도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A-A 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B-B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체결상태 초기 작동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보호내관 체결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고정외관 체결상태 중간 작동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고정외관 체결상태 작동 완료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체결 작동완료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해체 작동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단면 구성 및 체결 작동 완료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110:보호내관 111:보호내관의 원호형 링부재
112:보호내관의 하단개구부 113,113a:보호내관의 좌우측 고정대
114,114a:반 원호형 돌기띠 116:보호내관의 링부재 측단 중앙부
120:고정외관 121:반 원호형의 고정링부재
122:고정외관의 상단개구부 123,123a:고정외관의 좌우측 고정편
124,124a:반호형 요홈띠 125:후크홈
126:고정외관의 고정링부재 후측단 중앙부 127:고정링부재 선측단 중앙부
130:연결띠 200: 다른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210: 다른 실시예 보호내관 211:다른 실시예 링부재
213,213a:다른 실시예 좌우측 고정대 220:다른 실시예 고정외관
223,223a:다른 실시예 좌우측 고정편 F:해체용 후크
P:비닐하우스 골조 VL:비닐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63490호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80092호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77684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3-81804호
일본 공개특허 소 64-60317호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비닐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 클립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닐하우스 골조에 탄력없이 1차로 덮여지는 합성수지재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면에 탄력을 갖고 압박상태로 끼워지는 합성수지재 외관을 갖는 이중관체로 형성되고, 이들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측단 간에 연성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의 구조물로 연결된 합성수지 사출 성형제 비닐클립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의 축조에서 원형 파이프 골조에 비닐을 고정하는 수단인 비닐클립에 관한 종래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합성수지재 단일관형 비닐클립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재 단일관형 비닐 클립에 관한 선 고안으로는, 최근의 실용신안등록 263490호, 실용신안등록 280092호, 실용신안등록 377684호, 공개특허 03-81804호 등을 비롯하여 그 외에도 많은 종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선 고안 합성수지재 단일관형 비닐클립들은 탄성력이 좋은 합성수지재 말굽형 단면의 본체와 부가적으로 본체의 외면에서 압박력을 주는 탄성 핀이나 스프링을 구비하여 골조에의 고정력을 높여주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종래에 제공된 단일관형 비닐 클립들은 그 이전의 다른 선 고안 비닐클립들의 단점을 보완 개선하고자 고정력 높임 수단이나 해체 수단을 개시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구성들이 그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에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닐하우스용 비닐 클립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사항은, 골조와의 고정력이 우수하면서도 체결과 해체 작업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어야하고, 골조와의 체결과 해체시에 비닐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고, 재 사용율이 높으며, 저렴한 제조원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선 고안의 구성 및 다른 종래에 제공된 거의 모든 비닐 클립들은 클립 본체의 구성이 단면이 말굽형인 단일관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골조에 삽입시키는 하단개구부의 내단 폭이 체결되는 골조의 외경에 비하여 거의 1/4 정도의 매우 작은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골조에의 체결시에는 간격이 좁은 클립 본체의 양측 하단개구부를 골조의 외면에 강제적으로 눌러서 2배 이상의 간격으로 벌려 체결하는 강제 벌림 체결 방식이어서, 힘이 많이 들며, 해체시에도 별도의 드라이버, 또는 후크와 같은 해체용 도구 등을 사용하여서도 많은 힘을 주어야만 해체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비닐 클립 본체의 구성이, 골조에 덮힌 비닐의 외면에 대하여 하단개구부를 강제적으로 눌러 끼우고 벌려 해체하는 구성이므로, 클립 본체의 하단개구부 내측단이 금속재 골조에 덮힌 비닐 외면에 대하여 강한 마찰력으로 밀려 출입하면서 비닐을 물고 들어가고 나오게 되어 비닐의 손상율이 높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골조와 체결된 상태에서 클립의 재질인 합성수지 탄성한계에 거의 다다르는 변형상태로 고정되어져서 체결 후에 쉽게 고정력이 약화되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탄성핀을 클립 본체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부설한 고안들은 고정력을 높일 수는 있었으나, 비닐 클립의 본체 구성이 강제 벌림 체결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므로서, 고정력의 높임에 비례하여 체결력과 해체력도 높아져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들은 비닐하우스 축조 작업에서 비닐 클립의 체결과 해체작업을 매우 힘들게 하고, 비닐도 손상되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손실시키고 있으며, 한번 사용한 클립은 재질 탄성력이 약해져 고정력이 문제가 되므로 재 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해결할 수 없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 선 고안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는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 소 64-60317 호에 개시된 이중관형 비닐 클립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구성은, 비닐하우스 골조에 탄력없이 1차로 덮여지는 합성수지재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면에 재질 탄력을 갖고 압박상태로 끼워지 는 합성수지재 고정외관을 갖는 이중관체로 형성되고, 이들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접하되, 고정외관이 내관의 외면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덮여지도록, 연접된 측단 간에 대하여 하단부를 힌지로 유동 자유롭게 연결한 구성이다.
상기한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구성에 의한 비닐클립 체결 작업은, 비닐하우스 골조에 덮여진 비닐의 외면에 1차로 내관을 덮어 감싼 후에, 내관의 외면으로 고정외관을 폭 방향으로 강하게 덮어 누르면서 재질 탄성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내관을 탄력있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실시된다.
상기한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구성에 의한 비닐클립 체결 작업에 의하면, 내관이 비닐의 외면에 먼저 보호상태로 덮여지고, 그 내관의 외면으로 다시 고정외관을 강제적으로 탄력을 갖고 덮어 씌우는 구성이므로, 종래 단일관형 선 고안들의 문제점들 중에서 클립 체결시에 개구부를 벌려서 강제적으로 비닐 외면에 접촉상태로 체결과 해체함에 따른 비닐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클립의 체결과 해체 작용에서는, 주 고정수단인 고정외관을 내관의 외면에 강제적으로 덮는 작용에서 동일 재질 간의 미끄럼 마찰에 의하여 단일관형 클립의 개구부가 비닐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것에 비하여 클립의 체결과 해체 작업을 적은 힘으로 다소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렇지만 상기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전체 구조가, 내관과 고정외관의 두 개의 관체로 형성되고, 이들은 폭 방향으로 연접하여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구성이어서, 상기 내관과 고정외관 부품들의 성형을 위한 사출금형 제작에서 힌지부 구성을 위한 제작 난해성과 단가 상승의 요인이 발생한다.
또한 내관과 고정외관의 부품 사출작업에서도 슬라이드 작동에 의한 성형과정이 요구되므로 성형성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작 수율이 낮으며,
또한 각각 성형된 내관과 고정외관을 별도의 힌지핀을 사용하여 힌지 구조로 연결시키는 조립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므로 제조원가가 대폭 높아진다.
또한 클립의 체결과 해체 작업에서도, 종래의 단일관형 비닐클립에 비하여 다소 용이하지만, 주 고정수단인 고정외관을 내관의 외면에 강제적으로 덮는 작업은, 비닐클립에 요구되는 강한 탄성력을 갖고 오므려진 형태의 고정외관을 내관의 외면에 일측 하단개구부를 폭 방향으로 대접하여 강제적으로 벌려 주면서 밀어 덮어씌우는 것이므로, 고정외관의 개구부 벌림 작업이 종래의 구성과 거의 대등하고접촉 면적이 넓어서 체결과 해체 작업에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일관형 비닐하우스용 비닐 클립은 물론 이중관형 비닐클립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비닐클립이 이중관형이면서도 성형성과 제작성이 우수하고, 적은 힘으로 매우 용이하게 체결과 해체작업을 할 수 있으며, 골조에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골조와의 체결과 해체시에 비닐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체결 후에 고정력이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되며, 재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조원가가 저렴한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구성은, 하단에 길이방향의 하단개구부가 형성되어 골조의 단면상 외면을 원호형으로 거의 감싸는 형상의 원호형 단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개구부의 좌우측단 부재에 대하여 각각 삼각 단면 유사 형상의 두터운 고정부재에 의하여 좌우측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개구부를 양측으로 벌려 압박력없이 비닐이 덮여진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하여 자유롭게 감싸 끼울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 합성수지재 보호내관과;
상기 보호내관의 외면에 상방에서 덮여져 외접되는 "U" 자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미 체결 상태에서의 단면 형태는 하단개구부가 상기 골조에 감싸진 보호내관의 단면 외형규격보다 폭 방향으로 오므려진 말굽형으로 형성되고, 체결 상태에서는 상기 골조에 감싸진 보호내관의 외면에 대하여 요구되는 비닐 고정력으로 내향 탄성 압박력을 갖고 외접되면서, 보호내관의 외면 간에 이탈방지수단을 갖고 외착되는 구성의 합성수지재 고정외관과;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을 각각의 하단개구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접시켜서, 서로 대면하는 측단 연접부에 대하여 각각의 원호 상단 중앙부 간에 일체의 재질로 연결하는 연성 연결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과 연성 연결부재가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의하여 완성품으로 성형되는 단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내관의 구성에는 단면상 원호 상단 내외면 어느 일 측에 두께보다 얇은 띠홈을 길이 방향으로 구비하여, 내관이 좌우로 자유롭게 벌어져 골조에 용이하게 덮을 수 있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 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은,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외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의 돌기띠를 형성하고, 고정외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내측벽에는 상기 돌기띠에 맞물리는 요홈띠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 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은,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외측면을 원호 수평 중심선 이하에서 내향 내향 경사면 또는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고정외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내측벽을 상기 내향 경사면 또는 원호면으로 형성된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외접하는 내향 경사면 또는 원호면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외관의 선단부에는 해체용 후크를 걸어주기 위한 후크홈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외관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포설되는 하나 이상의 봉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관과 고정외관을 일체의 구조체로 연결하는 연성 연결부재는 좁은 폭의 연결띠, 또는 하나 이상의 원형 단면 선형 띠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여러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의 구성과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은 보호내관(110)과 고정외관(120)과 연결띠(130)로 구성되고, 이들은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의하여 단일 구조체로 일시에 성형되는 구성이다.
상기 보호내관(110)은, 대략 12Cm 내외의 길이를 갖고, 골조(P)의 외면을 거의 감싸는 단면형태의 원호형 링부재(111)와, 상기 링부재(11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단개구부(112)와, 상기 하단개구부(112)의 좌우측단에서 링부재(111)에 대하여 삼각 단면 유사 형상의 두터운 고정부재를 갖고 형성되는 좌우측 고정대(113)(113a)로 형성된다.
상기 링부재(111)는, 상기 하단개구부(112)를 양측으로 벌려 압박력없이 비닐(VL)이 덮여진 비닐하우스 골조(P)에 대하여 자유롭게 감싸 끼울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반 원호형 돌기띠(114)(114a)들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외관(120)은, 상기 보호내관(110)의 외면에 상방에서 덮여져 밀접하게 외접되는 "U" 자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는 반 원호형의 고정링부재(121)로 구성되고, 좌우측 부재들은 길이방향의 상단개구부(122)를 형성하면서 좌우측 고정편(123)(123a)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은, 미 체결 상태에서는 상기 골조(P)에 감싸진 내관(110)의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의 외측면 단면 규격보다 폭 방향으로 오므려져 고정링부재(121)와 함께 말굽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체결 상태에서는 상기 골조(P)에 감싸진 보호내관(110)의 외면에 대하여 요구되는 비닐 고정력으로 내향 탄성 압박력을 갖고 외접될 수 있는 적정 함수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의 내벽에는 보호내관(110)의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에 형성된 반 원호형 돌기띠(114)(114a)들과 외접하는 반 원호형 요홈띠(124)(124a)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외관(120)의 고정링부재(121) 선측단 중앙부(127)에는 해체용 후크(F)를 걸어주기 위한 후크홈(125)이 구비된다.
상기 연성 연결부재(130)는, 상기 보호내관(110)과 고정외관(120)을 길이방향으로 연접하되, 각각의 상,하단개구부(122)(11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고정링부재(121)와 링부재(111)들의 측단 연접부들 간에 대하여, 각각의 원호 상단 중앙부(116)(126) 간을 연결하여, 원호로 굽혀질 수 있는 정도의 연성을 갖는 좁고 얇은 띠형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의 사용상태를 도 7~ 도 12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은 사용상태에서 고정 외관(120)의 상단개구부(122)는 위로 향하게 하고, 보호내관(110)의 하단개구부(112)는 아래로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비닐하우스 골조에의 체결 작업은 먼저 도 7, 도 8과 같이, 비닐(VL)이 얹혀진 골조(P)의 외면에 보호내관(110)의 하단개구부(112)를 대고 가볍게 눌러주면, 얇은 두께의 링부재(111)로 된 보호내관(110)은 하단개구부(112)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골조(P)에 덮여진 비닐(VL)을 골조의 원호 단면으로 거의 감싸 덮어준다.
상기와 같은 작업으로 보호내관(110)이 골조(P)에 비닐(VL)을 감싸 덮고 있는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보호내관(110)의 링부재(111) 일 측단과 연결띠(130)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외관(120)의 선단부를, 연결띠(130)를 회동기점으로 하여 보호내관(110)의 링부재(111)의 상면 측으로 회동시켜서, 고정외관(120)의 후단측 상단개구부(122) 일 부분을 보호내관(110)의 링부재(111) 선단측 외면 상단에 끼우면서 점차적으로 눌러 준다.
상기한 작업에 의하면, 먼저 고정외관(120)의 상단개구부(122) 일 측이 다소 벌어지면서,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이 점차적으로 보호내관(110)의 링부재(111) 외측면을 거쳐 좌우측 고정편(113)(113a)들의 외면에 덮여지게 된다.
고정외관(12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이 보호내관(110)의 좌우측 고정편(113)(113a)들의 외면에 완전히 덮여지게 되면, 고정외관(12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의 내벽에 형성된 반 원호형 요홈띠(124)(124a)들이, 보호내관(110)의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에 형성된 반 원호형 돌기띠(114)(114a)들에 각각 안착되고, 이에 따라서 고정외관(120)은 보호내관(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 림상태로 외접하게 된다(도 10, 도 11참조).
상기와 같은 보호내관(110) 외면에의 고정외관(120)의 외접 체결작동에 의하면, 고정외관(12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은 재질 탄성력과 구조적 탄성력에 의한 내향 탄성력으로 보호내관(110)의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을 각각 내측으로 압박하여, 보호내관(110)의 링부재(111)의 내면과 좌우측 고정대(113)(113a)들의 내면은 비닐(VL)을 골조(P)에 압박상태로 조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골조(P)의 외면에 비닐(VL)을 고정 장착하는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을 해체할 때에는 도 12와 같이, 보호내관(110)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외관(120)의 고정링부재(121) 선측단 중앙부(127)에 형성된 후크홈(125)에 해체용 후크(F)를 걸어서 위로 젖혀 올리는 작동으로 실시된다.
해체용 후크(F)를 고정외관(120)의 고정링부재(121) 선단부 후크홈(125)에 걸어 위로 젖혀 올리면, 고정외관(120)은 선단부 부터 내관(110)의 외면에서 이탈되어 벗겨지고, 고정외관(120)이 벗겨지면 보호내관(110)은 고정력이 없는 상태로 비닐(VL)을 감싸고 있는 상태이므로 벗겨진 고정외관(120)을 가볍게 들어 올리면 골조(P)로부터 이탈되어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을 전체적으로 해체시킬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의 구성과 작동상태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골조의 규격이나 용도에 따라서 보호내관이나 고정외관의 길이와 직경 또는 단면 원호형태를 변경시켜 구성하거나, 부가 구성을 더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 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은,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에서 고정외관(12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에 실시된 반 원호형 요홈띠(124)(124a)들과, 보호내관(110)의 좌우측 고정대(113)(113a)에 실시된 반 원호형 돌기띠(114)(114a)들의 구성에 의한 이탈방지구성 외에도, 링부재(211)의 수평 중심선의 폭보다 내측으로 좁여진 경사면 또는 원호형면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탈방지수단을 경사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은, 도 13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200)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200)은, 이탈방지수단의 구성요소들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요소는 상기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한 구성이다.
즉, 보호내관(210)의 좌우측 고정대의 외측면 형태를, 링부재(211)의 수평 중심선 상의 외경보다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 좌우측 고정대(213(213a)로 형성하고, 고정외관(220)의 고정링부재(210)의 양측 하단부인 좌우측 고정편들은 그 내측면 형태를 상기 다른 실시예 좌우측 고정대(213)(213a)의 경사 외측면에 밀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 좌우측 고정 편(223)(223a)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다른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200)의 구성에 의하면, 좌우측 고정편(223)(223a)들의 상단개구부 간격이 미 체결상태에서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의 상단개구부(122)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외관(220)을 보호내관(210)의 외면에 눌러 체결하는 작동에서 상단개구부를 좁아진 만큼 좀더 벌려주어야 되므로, 체결 압박력은 다소 높여야 되는 차이점은 있으나 극히 적은 힘으로 체결할 수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또한 체결 완료상태에서는 고정외관(220)의 좌우측 고정편(223)(223a)들이 보호내관(210)의 좌우측 고정편(123)(123a)들의 외측 경사면에 밀접하여 탄성력으로 압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외관(220)이 보호내관(210)의 외면에서 자연적인이탈을 방지하는 작용면에서도 대동소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보호내관의 구성은 일 실시예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100)에 실시된 보호내관(110)의 구조와 같이 링부재(111)를 두께가 얇은 구성으로 실시하는 구성 외에도, 단면상 원호 상단 내외면 어느 일 측에 길이 방향으로 얇은 띠홈을 구비하여, 보호내관이 좌우로 자유롭게 벌어져 골조에 용이하게 덮을 수 있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외관의 선측단 중앙부에 형성하는 해체용 후크를 걸어주기 위한 후크홈의 구성은 일 실시예의 후크홈(125)과 같이 별도의 홈으로 형성하는 구 성 외에도, 전체적으로 고정외관의 선단부 고정링부 측단 두께부분 전체를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걸림단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외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외관의 외면에는 원호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포설되는 하나 이상의 봉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관과 고정외관을 길이방향으로 연접시키는 연성 연결부재의 구성은, 일 실시예의 좁은 띠형 연결띠(130)의 구성 외에도, 단면이 원형인 하나 이상의 선형 띠의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종래의 합성수지재 단일관형 비닐하우스용 클립의 문제점들 및, 내관과 고정외관이 각각 별개의 부재로 성형되고 이들이 폭 방향으로 연접되어 별도의 힌지 구조로 조립되는 선 고안의 이중관형 비닐클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단일관형 비닐하우스용 클립과 비교하여서는 골조와의 고정력이 우수하면서도, 선 고안의 이중관형 비닐클립의 체결력에 비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체결과 해체를 할 수 있고, 골조와의 체결과 해체시에 비닐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재 사용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상기 선고안의 이중관형 비닐클립과 비교하여, 그 구조적 특성이 비닐하우스 골조에 탄력없이 가벼운 압박 으로 끼워지는 합성수지재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면에 탄력을 갖고 압박상태로 끼워지는 합성수지재 외관을 갖는 이중관체로 형성되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체들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측단 간에 연성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의 구조물 연결된 합성수지 사출 성형제로 구성함으로서 제작성과 제조원가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주요 구성요소인 보호내관과 고정외관과 연결부재가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의하여 한번에 성형되는 단일체 구성이다.
따라서 3개의 별도 부재로 형성되는 선 고안의 이중관형 비닐클립과 비교하여 금형 제작성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부품 사출작업에서도 단순 작동에 의하여 한번에 성형되므로 성형성이 좋고, 성형시간이 단축되어 제작 수율이 높으며, 별개의 힌지핀을 사용하는 힌지부 추가 조립공정이 없으므로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어 매우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내관과 고정외관이 폭 방향으로 연접하는 선 고안의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체결과 해체 작동시에 보호내관과 고정외관의 압박 접촉상태가 전체 길이에서 선 접속으로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체결과 해체 작동시에 외관의 하단개구부를 2배 이상의 간격으로 신축되어야하는 구성에 의하여 여전히 큰 압박력이 요구되고,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은 외관과 내관이 길이방향으로 연접되어 외관이 일 측단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내관의 외면과 점 접촉상태로 체결되므로, 체결과 해체 작동에서 외관 의 상단개구부 벌림 간격이 극히 좁은 간격으로 신축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누구나 용이하게 체결과 해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체결 후에도 외관의 과대 신축에 따른 탄성력 저하를 방지하여 높은 압박력으로 내관을 고정할 수 있으며, 체결 고정력을 장시간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6)

  1. 하단에 길이방향의 하단개구부가 형성되어 골조의 단면상 외면을 원호형으로 거의 감싸는 형상의 원호형 단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개구부의 좌우측단 부재에 대하여 각각 삼각 단면 유사 형상의 두터운 고정부재에 의하여 좌우측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개구부를 양측으로 벌려 비닐이 덮여진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하여 압박력없이 자유롭게 감싸 끼울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 합성수지재 보호내관과;
    상기 보호내관의 외면에 상방에서 덮여져 외접되는 "U" 자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미 체결 상태에서의 단면 형태는 하단개구부가 상기 골조에 감싸진 보호내관의 단면 외형규격보다 폭 방향으로 오므려진 말굽형으로 형성되고, 체결 상태에서는 상기 골조에 감싸진 보호내관의 외면에 대하여 요구되는 비닐 고정력으로 내향 탄성 압박력을 갖고 외접되면서, 보호내관의 외면 간에 이탈방지수단을 갖고 외착되는 구성의 합성수지재 고정외관과;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을 각각의 하단개구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접시켜서, 서로 대면하는 측단 연접부에 대하여 각각의 원호 상단 중앙부 간에 일체의 재질로 연결하는 연성 연결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과 연성 연결부재가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의하여 완성품으로 성형되는 단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 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은,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외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의 돌기띠를 형성하고, 고정외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내측벽에는 상기 돌기띠에 맞물리는 요홈띠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내관과 고정외관 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은,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외측면을 원호 수평 중심선 이하에서 내향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고정외관의 좌우측 개구단 각각의 내측벽을 상기 내향 원호면으로 형성된 보호내관의 좌우측 개구단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외접하는 내향 원호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구성에는 단면상 원호 상단 내외면 어느 일 측에 두께보다 얇은 띠홈을 길이 방향으로 구비하여, 내관이 좌우로 자유롭게 벌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외관의 선단부에는 해체용 후크를 걸어주기 위한 후크홈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외관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포설되는 하나 이 상의 봉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KR1020070060174A 2007-06-19 2007-06-19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KR10082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4A KR100820569B1 (ko) 2007-06-19 2007-06-19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4A KR100820569B1 (ko) 2007-06-19 2007-06-19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569B1 true KR100820569B1 (ko) 2008-04-08

Family

ID=3953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74A KR100820569B1 (ko) 2007-06-19 2007-06-19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23B1 (ko) * 2015-05-14 2017-07-05 (주)선양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용 덮개바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시공방법
KR102612717B1 (ko) 2023-03-23 2023-12-12 세현 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클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6946U (ko) 1975-06-07 1976-12-14
JPS6460317A (en) * 1987-08-30 1989-03-07 Sato Yuichiro Tool for fixing sheet of vinyl house such as greenhouse
JPH10248410A (ja) 1997-03-12 1998-09-22 Fukuniwa Tekkosho:Kk シート固定具
KR200260955Y1 (ko) 2001-10-15 2002-01-17 효 섭 안 비닐하우스용 치마클립
KR200292975Y1 (ko) * 2002-07-25 2002-10-25 김용학 하우스 비닐고정용 클립
KR20030081804A (ko) * 2002-04-13 2003-10-22 효 섭 안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용 클립
JP2004089086A (ja) 2002-08-30 2004-03-25 C I Kasei Co Ltd シート状物の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KR20040081599A (ko) * 2003-03-14 2004-09-22 효 섭 안 비닐하우스용 치마클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6946U (ko) 1975-06-07 1976-12-14
JPS6460317A (en) * 1987-08-30 1989-03-07 Sato Yuichiro Tool for fixing sheet of vinyl house such as greenhouse
JPH10248410A (ja) 1997-03-12 1998-09-22 Fukuniwa Tekkosho:Kk シート固定具
KR200260955Y1 (ko) 2001-10-15 2002-01-17 효 섭 안 비닐하우스용 치마클립
KR20030081804A (ko) * 2002-04-13 2003-10-22 효 섭 안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용 클립
KR200292975Y1 (ko) * 2002-07-25 2002-10-25 김용학 하우스 비닐고정용 클립
JP2004089086A (ja) 2002-08-30 2004-03-25 C I Kasei Co Ltd シート状物の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KR20040081599A (ko) * 2003-03-14 2004-09-22 효 섭 안 비닐하우스용 치마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23B1 (ko) * 2015-05-14 2017-07-05 (주)선양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용 덮개바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시공방법
KR102612717B1 (ko) 2023-03-23 2023-12-12 세현 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412A (en) Production of socket ends in thermoplastic pipes
JP4880670B2 (ja) 流体ラインのための接続装置
KR100820569B1 (ko) 비닐하우스용 이중관형 비닐클립
JPH0726711B2 (ja) ホースクリップ
KR20070120960A (ko) 파이프 커플링용 앵커링 요소
JPS6220432B2 (ko)
CN101287916A (zh) 旋转的钢筋紧固件
CN107920638B (zh) 硅酮夹扣
KR20040025005A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KR20060122777A (ko) 결합되는 2개의 유체 라인의 동축방향 단부 부분에 대한연결 시스템
ITTO960811A1 (it) Rondella distanziale
JPS581452A (ja) おしやぶり
US4078570A (en) Mounting assembly for soothing teats
KR100575516B1 (ko) 파이프 연결구
CN114468490A (zh) 硅酮夹扣
CN101727779A (zh) 附连部件及其制造方法
GB2375300A (en) Personal cleaning implement
US20070216855A1 (en) Spectacles With Mounting and Lenses Interconnected by Strap
CN205410005U (zh) 可伸缩手镯
US6036359A (en) Bracelet-watch wherein the bracelet is attached to the watch by a tie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JPH0788210A (ja) 縄跳び用の跳び縄のロープの長さ調節用止め具
JP3639621B2 (ja) スリーブ継手用プラグ
JP2001309807A (ja) 装身具用連結具
KR200406130Y1 (ko)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