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424B1 -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424B1
KR100820424B1 KR1020060119608A KR20060119608A KR100820424B1 KR 100820424 B1 KR100820424 B1 KR 100820424B1 KR 1020060119608 A KR1020060119608 A KR 1020060119608A KR 20060119608 A KR20060119608 A KR 20060119608A KR 100820424 B1 KR100820424 B1 KR 10082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mper rail
solenoid
bumper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60R19/40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before a collision, or extend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구동 솔레노이드 잠금장치의 동작에 의해 범퍼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 전방에 설치된 범퍼레일(11)의 측면에 사이드 멤버(12)가 부설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12)의 전면에 슬라이딩 부재(14)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13)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4)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는 앞 차량과 충돌 전에는 평상시의 범퍼레일(11) 위치를 유지하고, 앞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2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벨트(23)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범퍼레일(1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를 제시한다.
충돌, 범퍼레일, 사이드멤버, 솔레노이드, 구동풀리

Description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Bumper rail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vehicles}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앞 차량과 뒤 차량 간의 충돌 전(前) 상태와 충돌 후(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의 충돌 전(前) 및 충돌 직전(直前)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범퍼레일 12: 사이드 멤버(side member)
13: 브라켓 14: 슬라이딩 부재(14)
20: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21: 고정부
22: 구동풀리 23: 이동벨트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신호대기 상태의 앞 차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조작할 때 앞 차량과 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범퍼레일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범퍼는 차체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하는 것으로서 앞범퍼(FRONT BUMPER)와 뒷범퍼(REAR BUMPER)로 구분된다. 이러한 범퍼는 범퍼 빔과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차량의 충돌시 차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감소시킬 뿐 아니라 차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내부에 승차한 승객이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범퍼 구조를 갖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신호대기 상태의 상대편 차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조작할 때 앞차와의 충돌사고는 대부분의 차량이 도 1b와 같은 차체하강 현상으로 인해 차량 수리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게 되었다.
즉, 도 1의(a)와 같이 차량의 충돌 전에는 앞 차량의 뒷범퍼 레일(1)과 뒷 차량의 앞범퍼 레일(2)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만, 차량 충돌 후에는 도 1의(b)와 같이 관성력에 의해 차체가 하강하게 되므로 뒷 차량의 앞범퍼 레일(2)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러한 충돌현상으로 인해 차량의 범퍼, 레일, 프런트엔드모듈(FEM),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 헤드 램프, 후드 등의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상황에서 범퍼레일이 충돌 전 상태의 범퍼레일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면 충돌사고로 인한 차량의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레일의 고정상태에서 운전자가 신호대기 상태의 차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경우 범퍼레일이 충돌 전 범퍼레일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범퍼레일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구동 솔레노이드 잠금장치의 동작에 의해 범퍼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 전방에 설치된 범퍼레일(11)의 측면에 사이드 멤버(12)가 부설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12)의 전면에 슬라이딩 부재(14)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13)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4)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는 앞 차량과 충돌 전에는 평상시의 범퍼레일(11) 위치를 유지하고, 앞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2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벨트(23)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범퍼레일(1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의 충돌 전(前) 및 충돌 직전(直前)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차량의 차체 전방에 설치된 범퍼레일(11)의 측면에 사이드 멤버(side member)(12)가 부설되고, 사이드 멤버(12)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부재(14)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14)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는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되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도시안됨)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는 차량의 엔진제어부(도시안됨)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2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벨트(23)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범퍼레일(11)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의 범퍼레일(11)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신호대기 상태의 차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 도 2의(a)와 같이 앞 차량과의 충돌 전에는 평상시 위치를 유지한다.
하지만, 앞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 엔진제어부에서는 급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피치 량을 검출하여 앞 차량과의 충돌 직전에 도 2의(b)와 같이 범퍼레일(11)의 위치 조절을 제어함으로써 관성력에 의해 차량의 앞 부분이 하강할 때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범퍼레일(11)의 위치(대략 5cm)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레일 조절장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범퍼레일(11)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신호대기 상태의 차 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작동시키게 되면, 엔진제어부(도시안됨)에서는 피치(pitch)량을 감안하여 사이드 멤버(12)에 부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범퍼레일 조절장치는 관성력에 의해 차량의 앞 부분이 하강할 때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의 구동풀리(22)를 구동시켜 범퍼레일(11)을 상승시키게 된다. 즉, 순간적으로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를 작동시켜 범퍼레일(11)을 고정시키게 된다.
만약, 앞 차량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를 해제한 뒤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의 구동풀리(22)를 구동시켜 범퍼레일(11)의 위치를 재조정한 다음 범퍼레일(11)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앞 차량과 뒷 차량간의 범퍼레일(11)의 높이가 비슷해지므로 뒷 차량이 앞 차량의 후방을 파고드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레일의 고정상태에서 운전자가 신호대기상태의 차량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경우 범퍼레일이 충돌 전의 범퍼레일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범퍼레일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앞 차량과의 충돌시 뒷 차량이 앞 차량의 후방을 파고드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 충돌로 인한 차량의 부품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구동 솔레노이드 잠금장치의 동작에 의해 범퍼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 전방에 설치된 범퍼레일(11)의 측면에 사이드 멤버(12)가 부설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12)의 전면에 슬라이딩 부재(14)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13)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4)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잠금장치(20)는 앞 차량과 충돌 전에는 평상시의 범퍼레일(11) 위치를 유지하고, 앞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2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벨트(23)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범퍼레일(1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KR1020060119608A 2006-11-30 2006-11-30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KR10082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608A KR100820424B1 (ko) 2006-11-30 2006-11-30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608A KR100820424B1 (ko) 2006-11-30 2006-11-30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424B1 true KR100820424B1 (ko) 2008-04-08

Family

ID=3953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608A KR100820424B1 (ko) 2006-11-30 2006-11-30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76B1 (ko) 2014-09-22 2018-08-20 아르셀러미탈 자동차용 범퍼 보강 시스템
CN109229043A (zh) * 2018-09-11 2019-01-1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汽车防撞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630A (ko) * 1994-06-29 1996-01-25 전성원 자동차의 범퍼
KR20050116539A (ko) * 2004-06-08 2005-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630A (ko) * 1994-06-29 1996-01-25 전성원 자동차의 범퍼
KR20050116539A (ko) * 2004-06-08 2005-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 지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76B1 (ko) 2014-09-22 2018-08-20 아르셀러미탈 자동차용 범퍼 보강 시스템
CN109229043A (zh) * 2018-09-11 2019-01-1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汽车防撞梁
CN109229043B (zh) * 2018-09-11 2021-07-30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汽车防撞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410B2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20060212201A1 (en) Controller for collision object protection device
GB2321624A (en) Bumper assembly with forwardly displaceable lower portion
CN105438023B (zh) 一种碰撞时可自动调节的座椅及其工作方法
KR20080059978A (ko) 철도차량용 공력 브레이크
KR100820424B1 (ko) 차량의 범퍼레일 위치 조절장치
JP2006504563A (ja) 分離ユニットの形態の乗員室を備えた自動車
KR101241158B1 (ko) 자동차용 앵커 프리텐셔너 구조
US8602491B2 (en) Seat for a motor vehicle
JP4527569B2 (ja) 鉄道車両用ステップ装置
KR101271811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
JP2007055423A (ja) 車両側面衝突用乗員保護装置
KR102540443B1 (ko) 대형 상용 차량용 범퍼유닛
KR101039830B1 (ko) 리어 범퍼를 이용한 공기 저항 보조 제동 장치
KR20100089661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CN115027560B (zh) 基于线控底盘的车身悬置系统
KR20050008911A (ko)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CN214952066U (zh) 一种台车侧面碰撞模拟试验工装
CN108909676A (zh) 用于机动车辆的雨刷器子组件
CN211075803U (zh) 无人驾驶安全防撞装置
CN217415680U (zh) 一种新型燃油汽车前围内板
KR102670488B1 (ko)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 시스템
JP2007203808A (ja) 自動車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構造
CN209040646U (zh) 汽车梯减速装置
KR100534955B1 (ko)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