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124B1 -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124B1
KR100820124B1 KR1020060121913A KR20060121913A KR100820124B1 KR 100820124 B1 KR100820124 B1 KR 100820124B1 KR 1020060121913 A KR1020060121913 A KR 1020060121913A KR 20060121913 A KR20060121913 A KR 20060121913A KR 100820124 B1 KR100820124 B1 KR 10082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vehicle
tr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엔진룸에 배터리를 용이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10) 하단에 트레이(100)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0)를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시키는 차량용 배터리(10)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받침대(1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지지대(110)가 형성된 트레이(100)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10) 상단에 위치하며, 중단은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10) 하단에 위치하는 회동수단(200)과; 상기 회동수단(200)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12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되어, 배터리 조립 및 교환시 용이하게 엔진룸에 고정됨으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배터리, 트레이, 고정수단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a battery of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100 : 트레이
110 : 지지대 120 : 받침대
200 : 회동수단 300 : 고정수단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엔진룸에 배터리의 장착이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트레이에 고정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엔진룸에 장착되어 엔진 작동중 제너레이터에서 발전된 전기를 그 내부에 충전하여 엔진 시동시 스타트 모터의 전원뿐만 아니라 조명 등 자동차의 모든 전기장치의 동력원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소모품으로써 교환을 위해 엔진룸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10) 하단에 트레이(2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20)의 일측에는 브래킷(30)이 마련된다.
이때 트레이(20)에 안착된 배터리(10)는 상기 트레이(20) 일측에 마련된 브래킷(30)과의 볼트(40) 체결을 통해 일체로 엔진룸에 고정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는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해 배터리 고정작업 시간이 필요이상으로 소요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비교적 깊은 위치의 볼트 작업으로 인해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조립 및 교환시 용이하게 엔진룸에 고정됨으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 하단에 트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시키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받침대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지지대가 형성된 트레이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상단에 위치하며, 중단은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하단에 위치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 하단에 트레이(100)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0)를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시키는 차량용 배터리(10)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받침대(1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지지대(110)가 형성된 트레이(100)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10) 상단에 위치하며, 중단은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10) 하단에 위치하는 회동수단(200)과; 상기 회동수단(200)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12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엔진룸에 마련된 트레이에 배터리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터리(10) 하단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와, 상기 배터리(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회동수단(200), 그리고 상기 배터리(10)와 상기 트레이(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 내에는 배터리(10)가 장착되도록 패널 형상의 트레이(100)가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와 일체로 엔진룸에 고정된다.
트레이(100)의 일측에는 지지대(1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받침대(120)가 형성된다.
이때 트레이(100) 상단에 장착된 배터리(10)는 상기 트레이(100)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110)와 받침대(120) 사이에 밀착되어 위치하게 된다.
지지대(110)는 트레이(100) 일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10)의 끝단 일부는 배터리(10)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플랜지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20)는 양측단이 절곡된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양측 중단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200)은 지지대(110)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일측은 배터리(10) 상단에 밀착되며, 그 중단은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10)의 상단면과 측면을 감싸면서 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110)와 회동수단(200)이 체결된 부분은 연결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110)를 기준으로 상기 회동수단(2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수단(300)은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동수단(200)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수단(200)의 회동에 따라 트레이(100) 일측에 구비된 받침대(120)에 고정되거나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00)의 케이스 상단에는 레버(310)가 마련되며, 중단 양측에는 고정핀(320)이 외벽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중단에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가 마련되며, 그 양측에 고정핀(320)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 내부에는 케이블(330)이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양측에 삽입된 고정핀(320)을 연결하게 하며, 상기 고정핀(320)과 연결된 케이블(330) 중단은 고 정수단(300) 상단에 마련된 레버(310)와 다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310)를 누르게 되면 케이블(330)이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상기 케이블(330)로 연결된 고정핀(320) 또한 고정수단(30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받침대(120)에 형성된 고정홀(121)로부터 상기 고정핀(320)이 빠지게 됨으로써, 고정수단(300)과 받침대(120)가 분리된다.
이때 고정핀(320)은 고정수단(300) 내부에 마련된 파이프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완전히 빠지지는 않게 된다.
또한 고정핀(320)은 파이프와의 접합 부위에 스프링이 마련되어, 레버(310)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고정수단(300) 내부에 위치하던 상기 고정핀(320)이 다시 외부로 돌출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 상단에 위치한 지지대(110)의 일측과 체결된 회동수단(200)은 그 끝단에 고정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수단(200)과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를 트레이(100)와 고정시킬 때는 회동수단(200)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회동수단(200)과 일체로 회동하는 고정수단(300)이 받침대(120)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고정수단(300) 양측에 돌출된 고정핀(320)이 상기 받침대(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0)는 하단에 안착된 트레이(100)와, 일측면에 밀착된 지 지대(110)와, 상단 및 타측면에 밀착된 회동수단(20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를 트레이(100)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고정수단(300)을 받침대(120)로부터 해제시키고, 회동수단(200)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유동공간을 만들어냄으로써 상기 배터리(10)를 상기 트레이(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가 트레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00)의 상단에 구비된 레버(3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310)와 연결된 케이블(330)이 상방을 향해 상승하게 되어 고정핀(320)과 연결되어 있던 케이블(330)이 상기 고정핀(320)을 케이스 내부로 끌어당겨 받침대(120)에 형성된 고정홀(121)로부터 빠지게 되어 상기 배터리(10)와 상기 트레이(100)가 분리된다.
이때 레버(310)의 누름 상태를 해제시키면 고정핀(320)과 파이프 사이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310)에 연결된 케이블(330)이 본 상태로 복원되면서 고정수단(300) 내부에 위치하던 고정핀(320)이 다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 하단에 마련된 트레이에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차량의 엔진룸에 배터리를 장착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 조립 및 교환시 용이하게 엔진룸에 고정됨으 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배터리 하단에 트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시키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받침대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지지대가 형성된 트레이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상단에 위치하며, 중단(中段)은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따라 하단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하단에 위치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양측단이 직각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 외벽에 고정핀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상단에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중단(中段)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핀은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중단(中段)은 상기 레버에 다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KR1020060121913A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KR10082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13A KR100820124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13A KR100820124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124B1 true KR100820124B1 (ko) 2008-04-07

Family

ID=3953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913A KR100820124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1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548A (ko) * 2013-08-12 2016-03-22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CN109841770A (zh) * 2017-11-24 2019-06-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KR20190097674A (ko) * 2018-02-13 2019-08-2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FR3122123A1 (fr) * 2021-04-27 2022-10-28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une structure et d’une batterie fixee de maniere amovible sur la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499A (ja) * 1994-02-08 1995-08-22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ッテリ固定装置
KR970035018U (ko) * 1995-12-28 1997-07-26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9980028797U (ko) * 1996-11-25 1998-08-05 양재신 자동차의 배터리 홀더
KR19980041925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KR19990026639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499A (ja) * 1994-02-08 1995-08-22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ッテリ固定装置
KR970035018U (ko) * 1995-12-28 1997-07-26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9980028797U (ko) * 1996-11-25 1998-08-05 양재신 자동차의 배터리 홀더
KR19980041925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KR19990026639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548A (ko) * 2013-08-12 2016-03-22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KR101881425B1 (ko) 2013-08-12 2018-07-24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CN109841770A (zh) * 2017-11-24 2019-06-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KR20190097674A (ko) * 2018-02-13 2019-08-2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KR102033722B1 (ko) 2018-02-13 2019-10-1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FR3122123A1 (fr) * 2021-04-27 2022-10-28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une structure et d’une batterie fixee de maniere amovible sur la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3745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KR100820124B1 (ko) 차량용 배터리 고정장치
CN103112414B (zh) 电器盒支架及电器盒
KR200426811Y1 (ko) 와이어 하네스 설치용 지그
CN215816559U (zh) 一种可浮动的电池箱连接器母头结构及具有其的安装结构
CN214780294U (zh) 一种风机安装检修吊装设备
CN217406388U (zh) 电气设备、电气设备挂装系统和光伏电站
CN210273657U (zh) 一种电机与电机控制器一体化安装机构
CN205051477U (zh) 一种电机组装系统
CN211454481U (zh) 一种散热性能良好的计算机风扇
RU2010126454A (ru) Крепе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зла двигателя
CN210041527U (zh) 一种电机接线座
CN220524003U (zh) 一种插拔取电旋转定位型吸顶灯
KR0168729B1 (ko) 자동차용 축전지 고정장치
CN103591473A (zh) 一种灯具
CN210979080U (zh) 一种悬臂式情报板辅助固定装置
CN211370529U (zh) 一种发动机冷却风扇结构
KR100186702B1 (ko) 케이블 소켓의 고정구조
CN218162000U (zh) 一种水箱扇热装置用电机端盖
RU2009147825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JP4122839B2 (ja) 表示装置用取付構造、表示装置本体およびブラケット
CN215772724U (zh) 一种便于拆卸的汽车发电机
CN209766899U (zh) 一种便于拆装的电力仪表柜
CN218347703U (zh) 一种逆变器外壳装配平台的轴向导轨
CN113928095B (zh) 汽车遮阳板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