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341B1 -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341B1
KR100819341B1 KR20060055340A KR20060055340A KR100819341B1 KR 100819341 B1 KR100819341 B1 KR 100819341B1 KR 20060055340 A KR20060055340 A KR 20060055340A KR 20060055340 A KR20060055340 A KR 20060055340A KR 100819341 B1 KR100819341 B1 KR 100819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broadcast
train
state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5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724A (ko
Inventor
박노경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6005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341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4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은 방송 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객실 내에 설치된 모니터들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 출력 과정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시 해당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 상기 모니터들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그 상태를 알리는 모니터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 전원 감지부; 상기 이벤트 신호 및 상기 모니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출력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시 그 오류 내용을 담은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송 감시부; 및 상기 전송 프레임을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 지정된 번호로 전송하는 SMS 전송부를 구비하여,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상태를 감지한 후 그 상태 정보를 SMS 메시지로 실시간으로 열차 외부로 전송해줌으로써 각 열차 내 방송 시스템에 대한 오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train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MS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 시스템 20 : 모니터 전원 감지부
30 : 방송 감시부 40 : SMS 전송부
본 발명은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열차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 방송 감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새롭게 정의한 후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상태를 이 SMS 전송 프레임을 이용한 SMS 메시지로 열차 외부로 전송해줌으로써 각 열차 내 방송 시스템에 대한 오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차 또는 지하철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은 하루 평균 20시간 정도의 연속 재생(5시-익일 1시까지)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열차는 출발역에서 종착역에 도착할 때까지 열차 운행에 관련된 무선망을 제외한 공중 통신망과 같은 대부분의 네트워크와 단절된 상태로 운행하며 고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차 내에 탑재된 방송 시스템은 열차 진동에 따른 시스템 동작 오류 여부, 방송 정보 참조를 위한 네트워크 접속 실패 여부, 모니터의 물리적 출력 오류 여부 등과 같이 열차에 탑재되지 않는 기존의 방송 장비에 비해 보다 다양한 오류가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열차 외부에서 이동중인 열차로의 네트워크 접근이 불안정하며 각 열차들은 그 운행 일정에 맞춘 방송 스케쥴에 따라 열차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열차에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오류를 열차 외부의 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오류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복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하지만, 오류 발생에 따른 신속한 복구 조치가 지연되게 되면 방송 컨텐츠 제공자와 방송 의뢰자 사이의 서비스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게 되어 방송 컨텐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그 수입 모델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열차 방송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생되는 오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 내 방송 시스템에 대한 오류를 보다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그 오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은 방송 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객실 내에 설치된 모니터들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 출력 과정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시 해당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 상기 모니터들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그 상태를 알리는 모니터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 전원 감지부; 상기 이벤트 신호 및 상기 모니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출력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시 그 오류 내용을 담은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송 감시부; 및 상기 전송 프레임을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 지정된 번호로 전송하는 SMS 전송부를 구비한다.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열차의 외부로 전송해주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가 SMS 메시지로 전송하며 상기 SMS 메시지의 전송 프레임은 상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코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열차를 나타내는 열차구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오류가 발생한 시간정보가 포함된 제어 필드; 및 상기 열차에 설치된 모니터들의 위치와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10), 모니터 전원 감지부(20), 방송 감시부(30) 및 SMS 전송부(40)를 구비한다.
방송 시스템(10)은 열차 내 탑재되어 방송 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방송신호를 객실 내에 설치된 각 모니터들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열차 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열차 방송 서비스는 현행 열차 내 고속정보통신 서비스(ITMS) 사업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시스템과 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열차 방송 서비스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송 시스템(10)은 열차 방송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과정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오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방송 감시부(30)로 통보해준다. 즉 방송 시스템(10)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위 실행 과정(방송 스케쥴에 따라 특정 방송 영상을 패치(Fetch)하여 출력하는 과정)에서 실행 대상 자원의 상태 및 방송 시스템(10)의 상태를 감시부(30)로 통보해준다. 예컨대, 열차 내 방송 서비스는 열차의 운행에 따라 방송 스케쥴이 설정되며 열차 운행 시작 전후에 미리 설정된 방송 스케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실시한다. 따라서, 방송 시스템(10)이 열차 운행시 기 설정된 방송 스케쥴 자체에 오류가 있거나 방송 스케쥴을 제대로 찾지 못하게 되면 정상적인 방송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방송 시스템(10)은 해당 사항을 즉시 방송 감시부(30)로 통보해준다. 이 때, 방송 시스템(10)에서 방송 감시부(30)로 통보해주는 이벤트 신호는 미리 일정한 코드값으로 규정되며, 그 이벤트(오류)의 종류 및 해당 이벤트 신호는 시스템 설계자 또는 운영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모니터 전원 감지부(20)는 전원 센서로서 객실 내에 구비된 각 모니터에 일대일 대응되게 모니터 전원에 연결되어 각 모니터에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방송 감시부(30)에게 알려준다. 즉, 모니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대응되는 전원 센서는 온 되어 방송 감시부(30)로 "1"값을 갖는 모니터 상태신호를 전송하며, 반대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센서는 오프 되어 방송 감시부(30)로 "0"값을 갖는 모니터 상태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방송 감시부(30)는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의 이벤트 신호 및 모니터 전원 감지부(20)로부터의 모니터 상태신호에 따라 방송 상태를 감시하고 그 상태 정보를 도 2에서와 같은 구조의 전송 프레임으로 구성한 후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방송 감시부(30)는 각 전원 센서(20)를 각 객실 및 해당 객실의 모니터 별로 식별하며 각 전원 센서로부터 모니터 상태신호를 제공받음으로써 각각의 모니터들이 정상적으로 온이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송 감시부(30)는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를 통해 방송 시스템(10)에 기 정의된 특정 오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이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지 여부를 통해 방송 시스템(10) 자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SMS 전송부(40)는 방송 감시부(30)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을 SMS 메시지로 변환한 후 이동통신망(CDMA)을 통해 기 지정된 번호(미도시된 감시 서버의 번호)로 전송한다.
도 2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MS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SMS 전송 프레임은 총 80 바이트로 이루어지며, 이 중 최초 10 바이트는 방송 시스템(10)의 상태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필드로 정의되고 이후 70 바이트는 열차의 객실에 설치된 각 모니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필드로 정의된다.
제어 필드는 '상태코드', '열차구분', '발생년', '발생월', '발생일' 및 '시간' 정보로 구성된다.
'상태코드'는 방송 시스템(10)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표 1과 같이 17개의 상태만을 정의하여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43072994-pat00001
'열차구분'은 0 ∼ 65535(216)개의 서로 다른 열차를 구분하여 나타낸다.
'발생년', '발생월', '발생일' 및 '시간'은 이벤트가 발생한 때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이벤트가 발생한 년도, 월, 일 및 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시간'은 24시간을 초단위로 표시한다.
데이터 필드는 각 모니터의 위치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열차 내에 설치된 각 모니터별로 1 바이트가 할당되며 각 1 바이트에는 모니터가 설치된 객실을 나타내는 '객실구분', 각 객실 내에서 모니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니터구분' 및 모니터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70 바이트의 데이터 필드를 갖는 본 실시예에서의 SMS 전송 프레임은 최대 70개 모니터에 대한 상태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각 모니터의 상태는 대응되는 모니터 전원 감지부(20)의 모니터 상태신호에 의해 정해진다. 이때, '상태'값은 모니터가 온 상태이면 "0"으로 에러상태이면 "1"로 설정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의 감시 동작을 표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초기화시, 방송 감시부(30)는 먼저 SMS 전송부(40)로 접속을 시도하여 SMS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SMS 전송부(40)로의 접속이 실패한 경우 방송 감시부(30)는 기 설정된 횟수(예컨대, 10회) 만큼 재접속을 연속적으로 시도하며 그래도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 실패 메시지를 화면에 현시하고 열차 방송 감시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SMS 전송부(40)로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방송 감시부(30)는 감시 활동 시작 시간을 저장한 후 열차 방송이 제공되는 동안 각 모니터 전원 감지부(20)와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 각각 모니터 상태신호와 이벤트 신호를 제공받아 그에 대응되는 SMS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방송 감시부(30)는 먼저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의 이벤트 신호가 불분명한 S/W 오류를 나타내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이벤트 신호는 방송 시스템(10)에 에러를 알리는 메시지 창이 현시되는 경우 발생된다. 만약 불분명한 S/W 오류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감시부(30)는 먼저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0000 1000"으로 설정해 SMS 전송부(40)로 전송하고 다시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0000 0111"로 설정해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다음에, 방송 감시부(30)는 방송 시스템(10)의 H/W 및 S/W에 대한 실행 상태 및 리셋 시도 여부를 확인한다. 방송 감시부(30)는 H/W 리셋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0000 0101"로 설정하고 S/W 리셋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상태코드'를 "0000 0011"로 설정하여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반면에 방송 감시부(30)는 H/W 리셋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0000 0110" 및 "0000 0111"로 각각 설정하고 S/W 리셋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상태코드'를 "0000 0100"으로 설정하여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다음에, 방송 감시부(30)는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 현재 방송 영상의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플래그)를 획득하여 그 이벤트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코드값으로 '상태코드'를 설정한다. 즉, 방송 감시부(30)는 표 1에서와 같이 스케쥴 블랭크(Blank) 오류인 경우에는 "0000 1001"로, 스케쥴 대상 파일 개방 오류인 경우에는 "1111 1011"로, 스케쥴 찾기 실패로 인한 유휴 동작중인 경우에는 "0000 1010"과 "0000 0111"로 '상태코드'를 설정한다. 이외에도 방송 감시부(30)는 네트워크 접근 실패, 뉴스 정보 수신 실패, 스크롤 정보 수신 실패, 시스템 갱신 실패에 대한 이벤트를 방송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하면 표 1의 대응되는 코드값으로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설정한 후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감시부(30)는 열차 객실 내 모니터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 전원 감지부(20)로부터의 모니터 상태신호를 통해 감지하여 그 상태에 따라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열차 방송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던 중 어느 한 객실(예컨대, 객실 9)의 특정 모니터(예컨대, 1번째 모니터)에 전원이 오프되면, 대응되는 전원 센서(23)의 출력값이 "1"에서 "0"으로 바뀌게 된다. 방송 감시부(30)는 이처럼 특정 전원 센서(23)의 값이 "0"으로 변환되면 해당 모니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간주하여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는 "0000 0001"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필드에서 73번째 바이트의 '상태'는 "1"로 설정하여 SMS 전송부(40)로 전송한다. 만약 모든 전원 센서(21 ∼ 24)의 출력값이 "0"으로 바뀌게 되면 방송 감시부(30)는 모든 모니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간주하여 SMS 전송 프레임의 '상태코드'는 "0000 0010"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필드의 모든 '상태'를 "1"로 설정하게 된다.
만약, 모든 방송 시스템(10)이 아무 이상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방송 감시부(30)는 '상태코드'를 "1111 1111"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시스템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은 열차 내 방송 시스템과 연동하여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상태를 감지한 후 그 상태 정보를 SMS 메시지로 실시간으로 열차 외부로 전송해줌으로써 각 열차 내 방송 시스템에 대한 오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6)

  1. 방송 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객실 내에 설치된 모니터들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 출력 과정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시 해당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
    상기 객실 내에 설치된 모니터들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그 상태를 알리는 모니터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 전원 감지부;
    상기 이벤트 신호 및 상기 모니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출력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시 그 오류 내용을 담은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송 감시부; 및
    상기 전송 프레임을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 지정된 번호로 전송하는 SMS 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프레임은, 상기 이벤트 신호 및 모니터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코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열차를 나타내는 열차구분, 및 상기 오류가 발생한 시간정보가 포함된 제어필드;를 포함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전원 감지부는
    상기 모니터에 일대일 대응되게 모니터 전원에 연결되어 각 모니터에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원 센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은
    상기 열차에 설치된 모니터들의 위치와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각 모니터별로 해당 모니터가 설치된 객실을 나타내는 객실구분, 해당 객실 내에서의 모니터 위치를 나타내는 모니터구분 및 상기 모니터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5. 열차 내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열차의 외부로 전송해주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는 SMS 메시지로 전송되며,
    상기 SMS 메시지의 전송 프레임은
    상기 방송 서비스의 오류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코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열차를 나타내는 열차구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오류가 발생한 시간정보가 포함된 제어 필드; 및
    상기 열차에 설치된 모니터들의 위치와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각 모니터별로 해당 모니터가 설치된 객실을 나타내는 객실구분, 해당 객실 내에서의 모니터 위치를 나타내는 모니터구분 및 상기 모니터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방법.
KR20060055340A 2006-06-20 2006-06-20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KR10081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5340A KR100819341B1 (ko) 2006-06-20 2006-06-20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5340A KR100819341B1 (ko) 2006-06-20 2006-06-20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24A KR20070120724A (ko) 2007-12-26
KR100819341B1 true KR100819341B1 (ko) 2008-04-02

Family

ID=3913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55340A KR100819341B1 (ko) 2006-06-20 2006-06-20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59B1 (ko) * 2013-12-31 2015-07-16 주식회사 에이텍 오디오/비디오 제어용 고속버스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303A (ja) * 2002-03-18 2003-09-26 Sony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車載装置、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038700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303A (ja) * 2002-03-18 2003-09-26 Sony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車載装置、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の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038700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24A (ko)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1630A1 (en) Fault detection method, fault detection device and fault detection system
JP2003319375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EP2056031B1 (en) Error management system of air conditioner
CN109634260B (zh) 车辆控制器在线监控方法
US7486631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reduced functionality devices in an IEEE 802.15.4 network
CN110927349B (zh) 一种基于Lora的粮仓气体监测方法
US8698640B1 (en) Monitored weather and emergency alert system
CN208227042U (zh) 一种服务器实时自动故障报警装置
KR100819341B1 (ko) 실시간 열차 방송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US108725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upervision signals
JP3969665B2 (ja) 無線監視システム
JP200802096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の異常・故障通報方式および方法
JP2021027541A (ja) 放送信号伝送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伝送方法、および放送信号受信方法
CN107426030B (zh) 一种链路故障提醒方法及装置
KR100919511B1 (ko)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091679A (zh) 一种无线烟感装置
JP2003150407A (ja) 障害自動復旧システム及び装置
JP6935345B2 (ja) 火災報知設備
JP2001075837A (ja) コンピュータ機器の障害監視システム
JP2002169706A (ja) 監視システム
JP2022182636A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障害予測方法
KR100969206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JP2009171258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装置管理方法及び装置管理制御プログラム
US20150145640A1 (en) Wireless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16088480A (zh) 一种设备联动控制方法以及设备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