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337B1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9337B1 KR100819337B1 KR20060053250A KR20060053250A KR100819337B1 KR 100819337 B1 KR100819337 B1 KR 100819337B1 KR 20060053250 A KR20060053250 A KR 20060053250A KR 20060053250 A KR20060053250 A KR 20060053250A KR 100819337 B1 KR100819337 B1 KR 100819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quantum dots
- light source
- quantum dot
- excitation light
- short wave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종래의 백색발광 장치는 서로 다른 색을 발하는 광원들을 결합하는 방법을 택하거나 발광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현하고 있다. 서로 다른 색을 발하는 광원들을 결합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청색광원과 황색광원을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GaN 청색 LED와 이로부터 나오는 광원을 이용하여 황색을 내는 YAG계 형광체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고, 충분한 적색영역을 표현하기 힘들어 연색성 지수가 낮은 백색광이 되는 문제가 있다. 발광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광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습식 화학법을 이용하여 각 크기에서 고색순도의 고유 발광 파장을 발하는 각각의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즉 적색(Red)을 발하는 양자점, 녹색(Green)을 발하는 양자점, 청색(Blue)을 발하는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양자점을 전도성이 우수하고 밴드갭이 큰 매질에 담거나 분산하여 파장 변환 매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양자점과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이러한 파장 변환 매체를 단파장 여기 광원과 결합하면 다양한 새로운 광원의 개발이 가능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빛의 삼원색인 RGB를 발하는 양자점의 제조, 이 양자점을 매질에 분산하여 백색광을 발하는 양자점, 매트릭스 파장 변환 매체의 제조, 이 백색광을 발하는 양자점과 매트릭스 매체와 단파장 여기 광원을 결합하면, 높은 에너지 효율과 자연백색광을 발하는 높은 색순도를 갖는 백색광 LED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Claims (10)
- 단파장 여기광원과, 상기 단파장 여기광원 상부에는 상기 여기광원에 의해 여기되어 파장이 변환되는 양자점들을 함유하거나 도포되어 있는 막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양자점들은 여기 광원에 의해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빛을 발하는 파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크기의 양자점들인 백색광 LED 소자.
- 단파장 여기광원과, 상기 단파장 여기광원 상부에 상기 여기광원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빛을 발하는 파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크기의 양자점들이 상기 양자점들보다 큰 밴드갭을 갖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백색을 발하는 양자점-매트릭스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LED 소자.
-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양자점들은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으로서, 양자점의 크기의 조절을 통해 여기광원에 의해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빛을 발하는 파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LED 소자.
- 습식화학법으로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의 크기를 조절하여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빛을 발하는 양자점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양자점을 양자점보다 밴드갭이 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하여 양자점-매트릭스 발광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양자점-매트릭스 발광체를 단파장 여기광원위에 도포하거나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LED 소자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53250A KR100819337B1 (ko) | 2006-06-14 | 2006-06-14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53250A KR100819337B1 (ko) | 2006-06-14 | 2006-06-14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04A KR20070119104A (ko) | 2007-12-20 |
KR100819337B1 true KR100819337B1 (ko) | 2008-04-02 |
Family
ID=3913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600532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9337B1 (ko) | 2006-06-14 | 2006-06-14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9337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991B1 (ko) | 2008-09-03 | 2010-09-17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양자점 파장변환체, 양자점 파장변환체의 제조방법 및 양자점 파장변환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
KR100991904B1 (ko) | 2007-12-14 | 2010-1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062789B1 (ko) * | 2009-06-22 | 2011-09-07 | 한국과학기술원 |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소자 |
KR20120059058A (ko) * | 2010-11-30 | 2012-06-08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양자점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물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구조물을 적용한 발광소자 |
WO2012070784A3 (en) * | 2010-11-26 | 2012-07-19 | Seoul Opto Device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8835965B2 (en) | 2012-01-18 | 2014-09-16 |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 Application of semiconductor quantum dot phosphors in nanopillar light emitting diodes |
CN105156931A (zh) * | 2015-10-20 | 2015-12-1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背光源、背光模组和显示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3653B1 (ko) * | 2008-06-26 | 2016-02-12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발광 모듈 및 발광 모듈 제조방법 |
KR101462655B1 (ko) | 2008-09-05 | 2014-12-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나노결정-금속 산화물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결정-금속 산화물 복합체 |
KR101577300B1 (ko) | 2008-10-28 | 2015-12-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발광다이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KR101650375B1 (ko) * | 2009-11-17 | 2016-08-24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양자점 코팅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리페어 방법 및 장치 |
KR101683270B1 (ko) * | 2010-03-31 | 2016-12-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US20130112941A1 (en) | 2011-11-09 | 2013-05-09 | Juanita Kurtin |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nanocrystalline core and nanocrystalline shell with insulator coating |
US20130112942A1 (en) | 2011-11-09 | 2013-05-09 | Juanita Kurtin | Composite having semiconductor structures embedded in a matrix |
WO2014073895A1 (ko) * | 2012-11-09 | 2014-05-15 | 주식회사 엘엠에스 |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장치 |
US8889457B2 (en) * | 2012-12-13 | 2014-11-18 | Pacific Light Technologies Corp. | Composition having dispersion of nano-particles therein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
KR102447373B1 (ko) * | 2015-06-15 | 2022-09-28 |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 백색 발광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0474A (ko) * | 2000-09-09 | 2002-03-15 | 박호군 | 양자점 배열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
-
2006
- 2006-06-14 KR KR20060053250A patent/KR10081933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0474A (ko) * | 2000-09-09 | 2002-03-15 | 박호군 | 양자점 배열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904B1 (ko) | 2007-12-14 | 2010-1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0982991B1 (ko) | 2008-09-03 | 2010-09-17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양자점 파장변환체, 양자점 파장변환체의 제조방법 및 양자점 파장변환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
KR101062789B1 (ko) * | 2009-06-22 | 2011-09-07 | 한국과학기술원 |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소자 |
WO2012070784A3 (en) * | 2010-11-26 | 2012-07-19 | Seoul Opto Device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20120059058A (ko) * | 2010-11-30 | 2012-06-08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양자점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물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구조물을 적용한 발광소자 |
KR101689664B1 (ko) * | 2010-11-30 | 2017-01-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양자점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물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구조물을 적용한 발광소자 |
US8835965B2 (en) | 2012-01-18 | 2014-09-16 |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 Application of semiconductor quantum dot phosphors in nanopillar light emitting diodes |
CN105156931A (zh) * | 2015-10-20 | 2015-12-1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背光源、背光模组和显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04A (ko) | 2007-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9337B1 (ko)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
Cui et al. | The use of carbon quantum dots as fluorescent materials in white LEDs | |
KR100991904B1 (ko) |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led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Lim et al. | Preparation of highly luminescent nanocrystals and their application to light‐emitting diodes | |
Tang et al. | Enhancement of luminous efficiency and uniformity of CCT for quantum dot-converted LEDs by incorporating with ZnO nanoparticles | |
Kim et al. | Characteristics of CuInS2/ZnS quantum dots and its application on LED | |
EP3068845B1 (en) | Led cap containing quantum dot phosphors | |
CN103456865B (zh) | 一种led封装 | |
KR101707858B1 (ko) | 양자점 임베디드 실리카입자 및 상기 실리카입자를 포함하는 발광고분자필름 | |
US7884384B2 (en) |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CN110551304A (zh) | 一种铯铅卤无机钙钛矿量子点/透明高分子复合薄膜 | |
KR20180097201A (ko) | 금속산화막이 껍질로 형성된 연속적 결정성장 구조의 양자점 합성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자점 | |
KR101568707B1 (ko) | 양자점 포함 실리카입자가 포함된 발광고분자필름을 포함하는 백색 led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8232563B2 (en) | Light-emitting device | |
KR101360073B1 (ko) | 발광다이오드용 양자점 및 이를 이용한 백색 발광 소자 | |
KR20090026508A (ko) | Yag계 황색 형광체와 적색 양자점을 결합한 높은연색성을 갖는 백색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Zhang et al. | High luminescent aqueous CdZnTe QDs incorporated in CaCO3 for excellent color-rendering WLEDs | |
KR100416493B1 (ko) | 백색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Yin et al. | Applying InP/ZnS green-emitting quantum dots and InP/ZnSe/ZnS red-emitting quantum dots to prepare WLED with enhanced photoluminescence performances | |
Gosnell et al. | Cadmium selenide nanocrystals as white-light phosphors | |
TWI309257B (ko) | ||
Mousavi et al. | Light-Emitting Devices–Luminescence from Low-Dimensional Nanostructures | |
KR100376403B1 (ko) | 2-6족 화합물 반도체 코어/2-6'족 화합물 반도체 쉘구조의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702863B2 (ja) | 白色発光素子 | |
US20100270504A1 (en) | Photoluminescent metal nanoclus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