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311B1 -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 Google Patents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311B1
KR100819311B1 KR1020067018132A KR20067018132A KR100819311B1 KR 100819311 B1 KR100819311 B1 KR 100819311B1 KR 1020067018132 A KR1020067018132 A KR 1020067018132A KR 20067018132 A KR20067018132 A KR 20067018132A KR 100819311 B1 KR100819311 B1 KR 10081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optical disk
claw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877A (ko
Inventor
데이유 고토
다카마사 아라키
노부토시 하마다
하지매 이시하라
미츠유키 도쿠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06701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3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7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8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disk drives, onto a chassi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는, 캐비넷 내에 디스크 주 몸체를 실장함으로써 형성된 디스크(D)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 및 수용부(1)의 디스크 수납 개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2)를 포함하고, 수용부(1)는 디스크(D)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수용부(1)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벽(11), 수용된 디스크(D)를 수용부(1)의 개구측으로부터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누르기 위해 직립벽(11)으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 및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의 양 쪽에 형성되고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디스크(D)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지지 돌기들(13)을 가진다.
Figure R1020067018132
캐비넷, 디스크 주 몸체, 고정 클로, 수용부

Description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Disk containing body and information providing body}
본 발명은 캐비넷(cabinet)을 갖는 디스크 및 캐비넷 내에 실장된 디스크 주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lid section)를 포함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이러한 디스크 수용 몸체를 갖는 정보 제공 몸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CD(compact disk)들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들과 같은 광 디스크들은 음향 정보, 비디오 정보 및 게임들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들로서 매우 대중화되었다. 기록된 음향 정보, 비디오 정보 등을 저장하는 광 디스크들은 비디오 테이프들의 대용물로서 넓게 배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공지된 광 디스크들은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를 갖는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수용부와 리드부는 몰딩(molding)에 의해 불가결하게 형성되고, 수용부는 광 디스크의 중심 구멍과 맞물리는 유연한 맞물림부가 제공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광 디스크를 케이스로부터 꺼낼 때, 맞물림부는 광 디스크가 맞물림부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눌려지고 변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1-58689호 (도 1, 요약)
한편, 공지된 광 디스크들은 디스크 주 몸체가 자기-광 디스크들과 같이 실장되는 캐비넷이 제공되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광 디스크들에서는, 디스크 주 몸체가 노출되지 않는다. 캐비넷이 제공된 광 디스크가 수용될 때, 맞물림부는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구멍과 맞물릴 수 없다. 이러한 광 디스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면, 케이스(case) 내부에 있는 광 디스크는 케이스가 이송될 때 이동한다. 케이스의 내부는 광 디스크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재로 채워져야 한다. 그러면 포장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광 디스크를 꺼낸 후에 쓰레기가 생길 수 있다.
디스크를 둘러싸고 케이스 내에 실장된 광 디스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 내의 배열벽들 또는 오목부의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광 디스크는 케이스 내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틈이 거의 없이 케이스 내에 실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열은 광 디스크를 케이스로부터 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시간을 소비하는 포장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디스크 주 몸체가 실장된 캐비넷이 제공된 디스크를 수용할 수 있는 디스크 수용 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크 주 몸체는 CD, CD-ROM, CD-R, CD-RW, DVD-ROM, DVD-R, DVD-RW, DVD+R, DVD+RW 또는 DVD-RAM, MO(magneto-optical) 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레코드(record)와 같은 광 디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는, 캐비넷 내에 디스크 주 몸체를 실장함으로써 형성된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디스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벽; 수용된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anchoring claw)들; 및 고정 클로들과 디스크의 바닥면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분리된 위치들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고정 클로들은 삽입된 디스크와 함께 서로 마주보는 위치들에서 직립벽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몸체는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한다. 정보 제공 몸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디스크 저장 정보; 및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수용 몸체를 포함하고, 디스크 수용 몸체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이며,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수용된다.
도 1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1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선 Ⅱ-Ⅱ에서의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에서의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2 실시형태의 개요도이며;
도 8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3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9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4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디스크 끼움 구조를 설명하는, 제 4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5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선 ⅩⅡ-ⅩⅡ에서의 제 5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선 ⅩⅢ-ⅩⅢ에서의 제 5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선 ⅩⅢ-ⅩⅢ에서의 제 5 실시형태의 닫힌 디스크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6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선 ⅩⅥ-ⅩⅥ에서의 제 5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제 6 실시형태의 부분 확대 개요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선 ⅩⅥ-ⅩⅥ에서의 제 6 실시형태의 닫힌 디스크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7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 ⅩⅩ-ⅩⅩ에서의 제 7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21은 디스크 케이스가 어떻게 꺼내지는 지를 설명하는, 제 7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제 7 실시형태의 이동 제한부의 확대 개요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선 ⅩⅩⅢ-ⅩⅩⅢ에서의 제 7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24는 제 7 실시형태의 유지부(keeping section)의 확대 개요도이며;
도 25는 제 7 실시형태의 닫힌 디스크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26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제 8 실시형태의 개요도이며;
도 27은 디스크 수용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제 9 실시형태의 개요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선 ⅩⅩⅤⅢ-ⅩⅩⅤⅢ에서의 제 9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선 ⅨⅩⅩ-ⅨⅩⅩ에서의 제 9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30은 제 9 실시형태의 닫힌 디스크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31은 제 9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를 변형함으로써 얻어진 디스크 케이스의 개요도이고;
도 32는 제 9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변형된 고정 클로의 단면도이며;
도 33은 제 7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 제 1 실시형태 >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1 실시형태인 디스크 케이스를 도시한다. 디스크 케이스는 게임 프로그램 또는 비디오 정보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수용한다.
디스크 케이스는 광 디스크(D)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 및 디스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1)의 개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2)를 포함한다. 수용부(1) 및 리드부(2)는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한 벨트형부(belt-shaped section; 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벨트형부(3) 및 수용부(1)의 경계와 벨트형부(3) 및 리드부(2)의 경계는 각각 힌지(hinge)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부(2)는 리드부(2)를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 역할을 하는 벨트형부(3)를 중심으로 수용부(1)를 향하여, 수용부(1)를 완전히 닫도록 회전할 수 있다.
벨트형부(3)에 연결된 수용부(1)의 가장자리 벽에 대향하게 위치된 수용부(1)의 가장자리 벽의 내부에 2개의 맞물림 그루브(groove)들(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벨트형부(3)에 연결된 가장자리 벽에 대향하게 위치된 리드부(2)의 가장자리 벽에 맞물림 돌기들(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1)를 리드부(2)로 닫을 때, 맞물림 돌기들(5)은 디스크 케이스를 확고히 닫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의 맞물림 그루브들(4)에 밀어 넣어진다.
리드부(2)의 내면에는, 맞물림 돌기들(5)이 형성된 가장자리 벽 근처의 위치들에 측면이 L형인 2개의 클로(claw)들(6)이 형성되어 있다.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설명서, 영화의 광고지 등이 클로들(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용부(1)는 광 디스크(D)를 수용하고 광 디스크(D)를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용부(10) 및 외부 메모리(M)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 수용부(20)를 가진다.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 디스크(D)는, 원 모양을 가지는 디스크 주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방패형의 평면을 가진 캐비넷을 포함한다. 내부에 수용되는 디스크 주 몸체는 광적으로 판독가능한 원형 디스크이며 게임 프로그램 또는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캐비넷의 측부 가장자리에 셔터(shutter)가 형성되어 있어, 광 디스크(D)가 전자 기기에 실장될 때 셔터(shutter)가 열려 디스크 주 몸체에 기록된 정보가 광적으로 판독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는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외형과 부합하는 외형을 가진 수용 공간 및 방패형의 외형을 가진 수용 공간의 외주 가장자리들을 둘러싸는 한 쌍의 직립벽들(11)을 내부에 갖는다. 직립벽들(11)은 광 디스크(D)의 방패형 외형의 측부 가장자리들을 따라 뻗어 있고 직립벽들(11)의 각각의 대향하는 말단들 중 일단은 방패형 캐비넷의 원호형 하부의 일부분을 수납하기 위해 구부러져 있고, 타단은 방패형 캐비넷의 상부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수납하기 위해 구부러져 있다.
직립벽들(11)은 합성 수지로 만든 수용부(1)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올림으로 써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크 케이스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직립벽들이 디스크 케이스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직립벽들(11)은, 마주보고 배열되며 수용된 광 디스크(D)와 함께 대응하는 측부 벽면들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이 직립벽들의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은 수용된 디스크(D)의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이하에서 기술될 이동 제한부(14)의 중심 정도)을 통과한다.
고정 클로들(12)은 수용된 광 디스크(D)를 개구로부터 수용부(1)의 바닥면으로 누르기 위한 구성요소들로서 수용된 광 디스크를 고정되게 지지한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 각각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솟아오른 기저부(121) 및 기저부의 전방 말단에 기저부(121)를 굽힘으로써 형성된 클로부(122)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광 디스크(D)에 인접한 클로부(122)의 인접면은 수용부(1)의 바닥면에 접근하도록 클로부(122)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기저부(121)를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이 서로 분리된 각각의 위치들에서 지지 돌기들로서 수용부(1)의 바닥면과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돌기들(12)을 연결하는 선(A)의 양편에 위치되어 있다.
지지 돌출 융기부(13)는,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디스크 수용부(10)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하면에 인접한다.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은 선(A)을 따라 뻗어 있고 선(A) 에 대하여 대칭적인 각각의 위치들에 배열된다. 게다가, 선(A)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면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은 광 디스크(D)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3등분 한다.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한부(13)는 선(A)이 통과하는 광 디스크(D)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솟아올라와 있다. 이동 제한부(14)는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의 일부분을 쪼개고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한부(14)는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경사지게 위로 솟아오른 암부(arm section; 141) 및 암부(14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인접부(142)를 갖는다.
암부(14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의 일부분을 쪼갬으로써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솟아오르고 바닥면(10A)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인접부(142)는 힘을 받으면 탄력있게 편향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움직인다.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될 때, 인접부(142)는 캐비넷 내부에 수용된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구멍 부분에 인접한다. 암부(142)는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구멍 부분에 인접하기 때문에, 암부(141)는 바닥면(10A)을 향해 평향되고 디스크 주 몸체는 편향된 암부(141)의 탄력에 의해 위로 밀려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내면에 인접하고 디스크 주 몸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메모리 수용부(20)는 위에서 기술된 구성을 가진 디스크 수용부(1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메모리 수용부(20)는 시트(seat; 21) 및 맞물림부(22)들을 포함한다. 메모리 수용부(20) 내에 실장될 메모리(M)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가지는 회로 기판 및 평면이 직사각형인 커버 케이스(cover case)를 포함한다. 커버 케이스는 메모리가 전자 기기에 잘못된 방식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전자 기기에 연결될 연결 가장자리를 표시하기 위해 한쪽 모서리가 깎여 있다.
시트(21)는 수용부(1)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실장될 메모리(M)의 외형보다 약간 더 작은 지지면(211)을 포함한다. 지지면(211)에는 메모리(M)가 실장될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맞물림부(22)들은 L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어 각각 실장될 메모리(M)의 커버 케이스의 네 모서리들의 외형들에 부합하고 다른 벽들처럼 수용부(1)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솟아올라와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맞물림부들(22) 각각은 수용부(1)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올라와 있는 직립부(221) 및 메모리(M)에 인접하도록 메모리(M)의 길이 방향을 바라보는 대응하는 직립부(221)의 표면의 상부 말단에 형성된 고정 돌기(222)를 포함한다.
메모리(M)이 메모리 수용부(20) 내에 수용될 때, 메모리(M)는 화살표(212)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전방 말단에 미끄러지도록 힘을 받고 연이어 메모리(M)의 기저 말단쪽이 시트(21)의 지지면(211)을 향하여 눌려진다. 그 다음에, 메모리(M)의 전 면은 대응하는 고정 클로들(222)의 부분들에 의해 막힌다. 그러나, 직립부들(221)이 직립부들 사이의 간격을 넓히도록 바깥으로 편향됨에 따라, 메모리(M)가 고정 클로들(222)을 밀고 나아갈 수 있다. 메모리(M)가 고정 클로들(222)을 밀고 나아가면, 원래의 모양을 회복하고 메모리(M)가 메모리 수용부(20) 내에 적절히 실장되고 지지된다.
이제, 디스크 케이스의 제 1 실시형태의 효과들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처음에,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광 디스크(D)를 실장할 때, 방패형 캐비넷의 원호형 부분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삽입되고, 고정 클로들(12)이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측부 가장자리들과 맞물리게 될 때까지 미끄러지도록 힘을 받고 광 디스크(D)는 고정되게 지지된다.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낼 때, 방패형 광 디스크(D)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누르기 위한 압력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로부터 인가된다.
받침 역할을 하는 지지 돌출 융기부(13)들 중 하나의 상면을 중심으로 광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고정 클로들(12)의 고정 부분들을 들어 올리기 위한 힘을 생성하도록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로부터 풀리고 광 디스크(D)의 전방 말단이 이동 제한부(14)의 상향력에 의해 직립벽(11)들의 상부 가장자리 위에 들어 올려진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들이 고정 클로들(12)에 의해 지지되면서 광 디스크(D)의 전방 말단이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고정 클로들(12), 지지 돌출 융기부들(13) 및 디스크 수용부(10)의 대응하는 말단들이 직선 상에 정렬될 때 잘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광 디스크(D)의 들어 올려진 부분을 잡아서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낸다. 선택적으로, 다른 지지 돌출 융기부(13)가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원호형 부분의 가장자리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위로부터 눌려지면 광 디스크(D)가 위에서 기술된 과정을 따라 꺼내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실시형태는 다음의 장점들을 제공한다.
광 디스크(D)가 직립벽(11)들 및 고정 클로(12)들에 의해 잡히는 상태에서 디스크 수용부(10)의 내부에 광 디스크(D)가 고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광 디스크(D)는 이송시에 움직이지 않는다. 즉,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케이스 내에서 움직일 위험 없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부재들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돌출한 지지 돌출 융기부(13)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이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단지 광 디스크(D)의 가장자리를 누름으로써 지렛대 효과에 의해 고정 클로들(12)이 광 디스크(D)로부터 분리되고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지지 돌출 융기부(13)들이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 선(A)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광 디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광 디스크(D)를 누름으로써 고정 클로들(12)과 분리시키려는 힘이 작용하여 광 디스크(D)가 매우 쉽게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내질 수 있다.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이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들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12)이 실장된 광 디스크(D)를 바닥면(10A)을 향하여 누르는 힘이 2개의 지지 돌출 융기부(13)에 의해 균등하게 분배되어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고정되고 매우 신뢰성 있게 지지될 수 있다.
광 디스크(D)의 캐비넷에 인접한 고정 클로들(12)의 각각의 클로부(122)의 표면이 광 디스크(D)의 외부를 향하고 기저부(121)로 접근할수록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두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클로부(122)가 캐비넷의 상면에 신뢰성 있게 인접하여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고정되고 매우 신뢰성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디스크 수용부(10)가 이동 제한부(1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될 때 이동 제한부(14)에 의한 힘에 의해 디스크 주 몸체가 캐비넷의 내면을 향하여 눌려져, 디스크 주 몸체가 캐비넷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실장된 광 디스크(D)의 디스크 케이스가 흔들리더라도 디스크 주 몸체가 소리 나게 움직이지 않는다.
메모리 수용부(20)가 디스크 케이스의 수용부(1)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게임 프로그램 또는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을지라도, 메모리(M) 내에 게임의 진행을 기록하고 진행이 기록된 메모리(M)를 메모리 수용부(20) 내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게임을 다시 시작할 때 메모리 수용부(20) 내에 실장된 메모리(M)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근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자신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는, 캐비넷 내에 디스크 주 몸체를 실장함으로써 형성된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수용된 디스크의 외주를 따르는 위치들에서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구부릴 수 있는 고정 돌기들, 및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수용된 디스크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는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진 상태로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복수의 고정 클로들에 의해 정상 위치에 고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가지면, 사용자는 고정 클로들이 배열된 위치들을 제외하면 수용부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만질 수 있기 때문에 수용부에 수용된 디스크를 쉽게 꺼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크가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를 수용부로부터 꺼내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크의 바닥면의 가장자리 및 일부분에 닿아서 사용자는 디스크를 쉽게 위 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크를 수용부로부터 매우 쉽게 꺼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디스크가 전자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진행 상태가 또 다른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을 때, 기록 매체 수납부는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의 위치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의 진행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작은 저장 메모리일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가 게임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기록 매체 수납부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면, 기록 매체가 게임에 따라서 적절히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의 진행 상태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편하고 기록 매체가 기록 매체 수납부 내에 지지된다.
< 제 2 실시형태 >
도 7은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술될 것이며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참조 기호들에 의해 표시될 것이고 더 이상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디스크 수용부(10)는 방패형 광 디스크(D)의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들을 따라 뻗어 있는 한 쌍의 직립벽들(11)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기술된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이동 제한부(14) 중, 암 부(141)는 평면이 원형인 인접부(142)를 지지하는 외팔보처럼 작용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광 디스크(D)의 외주를 따라 광 디스크(D)를 실질적으로 전부 둘러싸는 직립벽(31)이 제공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와 다르다.
게다가, 제 2 실시형태의 이동 제한부(34)는,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돌출되고 각각의 암부들(341)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반원 인접부들(342)을 가지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이동 제한부와 다르다.
이상에서 열거된 차이점들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벽(31)은 고정 클로들(12)이 배열된 부분들을 제외하면 광 디스크(D)의 방패형 외형과 부합하는 외형 선을 가진다.
직립벽(31)의 상부 말단은, 광 디스크(D)가 실장될 때 광 디스크(D)의 상면이 상부 말단 밑에 위치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만들어져 있다.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양쪽 말단들을 연결하는 선 상의 직립벽(31)의 양쪽 말단들에는 직립벽(31)의 상부 말단보다 낮은 각각의 오목부(311)이 제공되어 광 디스크(D)의 측면을 노출시킨다.
이동 제한부(34)는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마주보며 배열되고 위로 돌출된 한 쌍의 기울어진 암부들(341) 및 각각의 암부들(341)의 상부들에 배열된 한 쌍의 반원 인접부들(342)을 포함한다. 인접부들(34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 광 디스크(D)가 실장되고 인접부들(342)이 광 디스크(D)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의해 낮은 외형을 가지도록 변형될 때 인접부들(342)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낼 때, 광 디스크(D)가 직립벽(31)의 오목부들(311)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 디스크의 말단부에서 밑으로 압력을 받아,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받침대 역할을 하는 지지 돌출 융기부(13) 중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이상에서 기술된 디스크 케이스는 이전에 기술된 제 1 실시형태의 장점들에 추가하여 밑에서 열거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직립벽(31)이 광 디스크(D)의 외주를 따라 광 디스크(D)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수용부(10)는 수용부(1)의 전체적인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립벽(31)에 의해 보강되어, 광 디스크(D)를 실장한 이후에 외부 힘이 디스크 케이스에 가해지더라도 디스크 케이스는 변형되지 않고 내부에 실장된 광 디스크(D)는 신뢰성 있게 보호된다.
게다가, 오목부들(311)이 직립벽(31)의 일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부에 실장된 광 디스크(D)를 꺼낼 때 어디를 눌러야 하는지 매우 편리하게 명확히 볼 수 있다.
< 제 3 실시형태 >
도 8은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상술된 제 2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단일 케이스 내에 하나의 광 디스크(D)를 수용한다.
제 3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2 개의 광 디스크들(D)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3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2개의 디스크 수용부들(10) 및 단일 메모리 수용부(20)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용부들(10) 각각은 광 디스크(D)의 외주를 따라 광 디스크(D)를 실질적으로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된 직립벽(41)을 갖고, 2개의 직립벽들(41)은 수용부(1)의 중심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직립벽들(41)까지의 높이는 제 2 실시형태의 직립벽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반면에, 제 3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의 직립벽들(41)이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위치들에 형성된 오목부들(411)이 제공되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직립벽들(41) 각각에는 직립벽의 방패형 외형의 네 모서리들 근처에 배열되는 4개의 오목부들이 형성된다.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오목부들(411)의 높이는 제 2 실시형태와 같아서 광 디스크들(D)이 실장될 때 광 디스크들(D)의 캐비넷 측면들이 노출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상술된 디스크 케이스는 이전에 기술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들의 장점들에 추가하여 이하에서 열거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단일 케이스가 2개의 광 디스크들(D)을 수용하기 때문에 수퍼-무비-프로덕션(super-movie-production) 또는 대용량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한 일련의 광 디스크들(D)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광 디스크 착탈 구조가 단일 광 디스크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제 3 실시형태 의 디스크 케이스는 다른 유형들의 디스크 케이스들과 함께 문제없이 광 디스크 선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 제 4 실시형태 >
도 9 및 도 10a 내지 10c는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에서는,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힘을 받음에 따라 고정되게 지지되고, 고정 클로들 각각은 대응하는 직립벽(11)의 실질적으로 중간인 위치에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 4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수용된 광 디스크들(D) 각각이 디스크 수용부(10)의 네 모서리들 근처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52) 및 2개의 고정 클립들(53)에 의해 대응하는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고정되게 지지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고정 클립들(53)은 광 디스크(D)를 잡기에 적합하다.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 중, 메모리 수용부(20)는 메모리(M)의 네 모서리들에 배열된 맞물림부들(22)을 가지고, 메모리(M)는 맞물림부들(22)의 각각의 직립부들(221)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222)에 의해 메모리(M)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기저 시트(21)를 향하여 눌려짐에 따라 고정되게 지지된다.
제 4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메모리 수용부(60)가 기저 시트(21)의 외주 전체를 따라 기저 시트(21)를 실질적으로 전부 둘러싸는 직립부(621) 및 직립부(621)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고정 클로들(622, 623)을 가지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차이점들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 4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디스크 수용부들(10) 각각은 수용된 광 디스크(D)의 네 모서리들에 실질적으로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52) 및 2개의 고정 클립들(53)을 가진다.
고정 클로들(52)은 수용된 광 디스크(D)의 방패형 외형의 상부 가장자리의 2개의 양쪽 말단들 근처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52) 각각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솟아오른 기저부(521), 및 기저부(521)를 기저부의 전방 말단에서 디스크 수용부(10) 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클로부(522)를 가진다. 고정 클로들(52)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제 1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의 경우와 같이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립들(53)은 대응하는 광 디스크(D)의 방패형 외형의 하부 원호형 부분의 양쪽 말단들 근처에 각각 배열된다.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립들(53) 각각은 광 디스크(D)를 잡는 클립 주 몸체(531), 및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과 클립 주 몸체(531)를 연결하는 연결부(532)를 가진다.
클립 주 몸체(531)는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 상에 배열된 축부(531C)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집게부들(pinching pieces; 531A, 531B)을 가진다.
상부 집게부(531A)의 전방 말단은 다른 집게부(531A)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하부 집게부(531B)의 전방 말단은 상부 집게부(531A)보다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집게부(531A, 531B)를 분리시키는 거리는 광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지만, 집게부(531A)의 돌출 전방 말단에서는 광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아진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면, 광 디스크(D)가 클립 주 몸체(531)에 의해 집혀질 때, 집게부(531B)는 광 디스크(D)에 수직인 방향으로 편향되고 돌출부는 광 디스크(D)의 상면에 인접하여 집은 상태를 유지한다.
링크부(link section; 532)는 하부 집게부(531B)의 기저 말단에 연결된 판형부(532A)를 가지고, 집게부(531B)에 연결된 제 1 힌지(hinge)부(532B)와 바닥면(10A)에 연결된 제 2 힌지부(532C)에 의해 집게부(531B)와 바닥면(10A)을 연결한다.
판형부(532A)가 제 1 힌지부(532B)와 제 2 힌지부(532C)에 의해 바닥면(1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닥면(10A) 및 집게부(531B) 사이에 연장된 판형 부재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얇게 함으로써 제 1 힌지부(532B)와 제 2 힌지부(532C)가 형성된다.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52) 및 고정 클립들(53)에 의해 실장되고 고정되게 지지될 때, 클로들(52) 및 클립들(53)은 스키(ski)의 바인딩 메커니즘(binding mechanism)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이 진행된다.
(1) 처음에, 사용자는 광 디스크(D)의 전방 말단을 위로부터 고정 클로들(52) 밑으로 비스듬히 넣고, 광 디스크(D)의 전면이 고정 클로들(52) 각각의 기저부(521)를 향해 눌려질 때까지 광 디스크(D)를 민다(도 10A).
(2) 그 다음에, 광 디스크(D)의 하면이 고정 클립들(53) 각각의 하부 집게부(531B)의 상면에 접할 때까지 사용자는 광 디스크(D)의 후방 말단부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을 향해 낮춘다(도 10B).
(3) 사용자가 광 디스크(D)를 바닥면(10A)을 향해 누름에 따라, 고정 클립들(53) 각각의 클립 주 몸체(531)는 축부(531C)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광 디스크(D)를 제 1 집게부(531A) 및 제 2 집게부(532B) 사이에서 집어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적절히 실장되고 고정되게 지지된다(도 10c).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되고 고정되게 지지된 광 디스크(D)를 꺼낼 때, 사용자는 클립(clip) 주 몸체(531)의 제 1 집게부(531A)를 (광 디스크(D)를 집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한) 축부(531C)의 외부에서 바닥면(10A)을 향해 밀어 클립 주 몸체(531)를 축부(531C)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광 디스크(D)는 고정 클로들(52)에 가깝게 위치된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의 상면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사용자는 광 디스크(D)를 꺼낼 수 있다.
도 9로 되돌아와, 메모리 수용부(60)는 기저 시트(21) 및 맞물림부(62)를 가져 메모리는 맞물림부(62)의 내부에 수용된다.
맞물림부(62)는 직사각형 메모리의 짧은 변들 중 하나에 개구를 생성하도록 부분적으로 잘려 있고, 맞물림부(62)의 나머지 부분은 기저 시트(21)를 둘러싸기 위해 배열된 연속적인 직립부(621) 및 직립부(621)의 상부 말단으로부터 돌출한 고정 클로들(622, 623)을 가진다.
고정 클로(622)는 개구가 없는 짧은 쪽 직립벽(621) 상에 형성되어 메모리의 전방 말단을 누른다.
고정 클로들(623)은 2개이고 메모리의 긴 쪽 가장자리들을 각각 누르기에 적합하다. 고정 클로들은 긴 쪽 직립부(621)에 서로 마주보며 배열된다.
메모리가 맞물림부(62) 내에 실장될 때, 사용자는 처음에 메모리의 전방 말단을 고정 클로(622) 밑에 넣고, 고정 클로들(623)이 직립부(621)의 유연성에 의해 서로 멀어질 때까지 메모리를 기저 시트(21)를 향해 누른다. 메모리가 기저 시트(21)에 인접하면 고정 클로들(623)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메모리를 누르고 정상 위치에 고정되게 지지한다.
상술한 제 4 실시형태는 이전의 실시형태들의 장점들에 추가하여 이하에서 열거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광 디스크들(D) 각각은 2개의 고정 클로들(52) 및 2개의 고정 클립들(53)에 의해 대응하는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되고 고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고정되게 지지되어 광 디스크(D)가 이송되는 동안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광 디스크들(D) 각각은 고정 클립들(53)의 클립 주 몸체들(531)을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쉽고 간단히 대응하는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되고 꺼내질 수 있 다. 추가적으로, 광 디스크들(D) 각각은, 광 디스크를 위에서 누르지 않고 꺼내질 수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근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자신의 장점들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이 수용된 디스크의 캐비넷의 한 가장자리 근처에 형성되고 집게부가 반대편 가장자리 근처에 배열되어 캐비넷을 두께 방향으로 잡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가 고정 클로들에 의해 눌려지고 고정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집게부에 의해 잡혀지고 고정되게 지지되어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고정되게 지지되고 이송동안 매우 신뢰성 있게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 제 5 실시형태 >
도 11 내지 14는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에서는, 광 디스크(D)의 외형에 부합하는 방패형 외형을 가진 디스크 수용부(10)의 대응하는 측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에 고정 클로들(12) 각각이 배열된다. 광 디스크(D)는 고정 클로들(12)에 의해 디스크 케이스 내에 고정되게 지지된다.
제 5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수용부(10)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와 디스크 수용부(10)의 원호형 부분의 중간 정도에 각각 배열되는 고정 클로들(12A)에 의해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고정되게 지지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추가적으로, 제 5 실시형 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제 5 실시형태의 리드부(2)에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를 유지하고 광 디스크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바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61)가 리드부의 중간쯤에 제공되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 5 실시형태의 메모리 수용부(60)는 제 4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메모리 수용부와 동일하다.
이하에서 위에서 열거된 차이점들이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고정 클로들(12)과 달리, 본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A)은 수용된 광 디스크(D)를 수용부(1)의 개구측으로부터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은 방패형 외형을 갖는 디스크 수용부(10)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와 디스크 수용부(10)의 원호형 부분의 중간 정도에 각각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고정 클로들(12A)은 서로 마주보며 배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 클로들(12A)은 방패형 외형을 가진 광 디스크(D)를 대칭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는 중심선에 위치되어 배열되고 광 디스크(D)의 각각의 말단부들과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지지 돌출 융기부(13)는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오목부들(311)은,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과 디스크 수용부(10)의 중심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선과 직립벽(31)의 교차점들에서 각각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 각각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12A1), 광 디스크(D)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클로부(12A2), 및 직립부(12A1)와 클로부(12A2) 사이에서 다른 방향들로 구부러지는 우 회부(12A3)를 가진다. 상술된 고정 클로들(12)의 클로부들(122)의 경우와 같이, 광 디스크(D)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클로부(12A2)의 인접면은 클로부(12A2)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우회부(12A3)를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져 수용부(1)의 바닥면에 접근한다.
고정 클로(12A)의 우회부(12A3)는 직립부(12A1)로부터 클로부(12A2)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S형 단면을 가진다. 즉,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될 때, 우회부(12A3)는 광 디스크(D)에 대하여 방사 방향인 바깥으로 편향되기에 적합하다. 우회부(12A3)의 전방 말단은 직립벽(31)보다 디스크 수용부(10)의 중심에 더 가까운 위치로 돌출하여 클로부(12A2)가 광 디스크(D)와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A)의 경우와 같이, 디스크 케이스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본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A)은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도 11 및 13에 도시된 것처럼, 유지부(61)는 맞물림 돌기들(5)이 리드부(2)의 내면 상과 클로들(6) 사이에 형성되는 리드부(2)의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서 측면이 L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61)는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된 유지부(61)의 표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된 클로들(6)의 각각의 표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로들(6)처럼, 유지부(61)와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에 넣어진 설명서와 같은 전단지가 유지부(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지부(61)가 디스크 수용부(10)를 부분적으로 닫아, 수용부(1)가 리 드부(2)에 의해 닫혀진 반면에 직립벽(31)에 의해 정해진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크 수용부(10)가 리드부(2)의 바닥면을 바라보며 위치된 유지부(61)의 표면과 반대편에 있는 유지부(61)의 표면(61A)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어지므로, 디스크 케이스가 운송되는 동안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A)로부터 분리되고 직립벽(31)의 바깥으로 나오더라도, 직립벽(31)에 의해 정해지고 표면(61A)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진 디스크 수용부(10)의 공간으로부터 우연히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케이스를 닫아 표면(61A)이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에 접할 때, 표면(61A)은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누른다. 디스크 케이스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유지부(61)는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상술된 제 5 실시형태는 이전에 기술된 제 1 및 제 4 실시형태들의 장점들에 추가하여 이하에서 열거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디스크 수용부(10)와 마주보며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A)은 광 디스크(D)와 맞물리고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됨에 따라, 고정 클로들(12A)의 우회부들(12A3)이 스프링들처럼 광 디스크(D)에 대하여 방사 방향인 바깥으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바닥면(10A)을 향하여 힘을 받을 뿐만 아니라 광 디스크(D)에 대하여 방사 방향 상 안쪽으로 적절한 압력을 받으므로 광 디스크(D)는 신뢰성 있고, 안정되며, 고정되게 지지된다.
게다가, 디스크 케이스가 닫혀 있을 때 유지부(61)의 표면(61A)이 디스크 수 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으므로,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A)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크 케이스가 닫힐 때 유지부(61)의 표면(61A)이 디스크 수용부(10)를 위에서 부분적으로 덮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직립벽(31)에 의해 정해진 디스크 수용부(10)의 공간 내에 안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크 케이스가 닫힐 때 표면(61A)이 광 디스크(D)의 상면에 인접하면, 광 디스크(D)가 유지부(61)에 의해 바닥면(10A)을 향하여 눌려져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서 불필요하게 움직이고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리드부(2)의 바닥면을 바라보며 위치된 유지부(61)의 표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리드부(2)의 바닥면을 바라보며 위치된 클로들(6)의 각각의 표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더 크도록 유지부(6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61)는 광 디스크(D)와 전단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단지가 유지부(61)에 의해 잡혀 있을 때 전단지를 지지하여 전단지가 클로들(6)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12A)이 직립벽(31)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 및 디스크 수용부(10)를 정하는 직립벽(31)의 원호형 부분의 중간 정도에 각각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12A)은 광 디스크(D)의 상부 가장자리 중간과 광 디스크(D)의 원호형 부분의 중간에 각각 맞물려 광 디스크(D)를 지지하여 광 디스크(D)는 신뢰성 있고 고정되게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 클로들(12A)은 방 패형 외형을 갖는 광 디스크(D)를 대칭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는 중심선에 위치하고 광 디스크(D)의 각각의 말단 부분들과 맞물리기에 적합한 위치들에 배열되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12A) 각각은 광 디스크(D)를 신뢰성 있고 고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정상 위치에서 신뢰성 있고, 안정되며, 고정되게 지지된다.
위에서 지적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은 직립벽(31)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와 직립벽(31)의 원호형 부분의 중간 정도에 각각 배열되고, 추가적으로 한 쌍의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거나 수직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내질 때, 회전을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지지 돌출 융기부들(13) 중 대응하는 하나의 상면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광 디스크(D)는 리드부(2)의 회전 방향 또는 수용부(1)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받침대로서 벨트형부(3)를 이용하여, 벨트형부(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고정 클로들(12A)이 디스크 수용부(10)의 측부 가장자리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배열과 비교한다면, 광 디스크(D)는 최소한의 손동작을 이용하여 닫힌 디스크 케이스로부터 꺼내질 수 있다. 즉,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케이스로부터 매우 쉽게 꺼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친숙한 디스크 케이스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근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자신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고정 클로들 각각은: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 디스크의 캐비넷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클로부; 및 직립부로부터 우회하며, 직립부 및 클로부 사이에 형성되고 디스크의 측면을 향하고 있는 우회부를 가지고, 우회부의 전방 말단은 수용부의 내부를 향하여 직립벽을 넘어서 돌출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클로들이 우회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수용부 내에 수용될 때 고정 클로들이 편향되고 디스크와 맞물리게 되어 적절한 압력을 디스크에 인가하게 되어 디스크는 정상 위치에 신뢰성 있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크가 수용부로부터 꺼내질 때 디스크가 고정 클로들로부터 분리되므로, 고정 클로들은 편향 상태로부터 회복되고 디스크가 위로 올라가게 되어 디스크는 수용 몸체로부터 매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 제 6 실시형태 >
도 15 내지 18은 제 6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단일 케이스 내에 단일 광 디스크(D)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단일 유지부(61)가 리드부(2) 상에 제공된다.
반면에,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제 6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각각이 제 5 실시형태의 디스크 수용부(10)와 동일한 2개의 디스크 수용부들(10)을 가진다. 즉, 제 6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2개의 광 디스크들(D)을 수용한다. 제 6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2개의 유지 클로들(7)이 본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의 리드부(2) 상에 형성되고, 유지 클로들 각각이 제 5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기술 된 클로(6)와 유지부(61)로서 작용한다.
이제, 차이점들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6 및 17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유지 클로들(7)은 수용부(1)가 리드부(2)에 의해 닫혀질 때 맞물림 돌기들(5)이 각각의 디스크 수용부들(10)을 마주보며 형성되고 위치된 양쪽 말단들 근처의 리드부(2)의 내면 상에 형성된다.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것처럼, 유지 클로들(7) 각각은 리드부(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측면이 실질적으로 L형인 유지부(71) 및 리드부(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평면이 실질적으로 U형이어서 유지부(71)의 전방 말단에서 유지부(71)를 수평적으로 둘러싸는 또 다른 유지부(72)를 가진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유지부(71)는 리드부(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711) 및 직립부(71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측면이 실질적으로 L형인 벨트형부(3)를 향하여 밑으로 휘어져 연장된 굴곡부(712)를 가진다. 리드부(2)의 바닥면을 바라보며 위치된 굴곡부(712)의 표면은 실행 설명서와 같은 전단지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인접부(712A)를 형성한다. 굴곡부(712)는 유연하므로 전단지의 두께에 따라 휘어져서 굴곡부는 전단지를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유지부(72)는 리드부(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721) 및 직립부(72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유지부(71)를 수평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이 실질적으로 U형인 직립부(72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덮개부(722)를 가진다. 덮개부(722)는 유지부(71)의 인접부(712A)를 따라 유지 클로들(7)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에 넣어진 전단지를 지지한다. 리드부(2)의 바닥 면을 마주보며 위치된 표면에 대향하는 덮개부(722)의 표면(722A)은, 수용부(1)가 리드부(2)에 의해 닫힐 때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디스크 수용부(10)를 위로부터 부분적으로 닫는다. 유지부(72)는,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된 유지부(72)의 바닥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된 유지부(71)의 인접부(712A)의 표면과 리드부(2)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전단지가 유지부(71)에 의해 잡혀질 때 유지부(72)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술한 유지부(61)처럼, 유지부(72)의 덮개부(722) 내에 형성된 표면(722A)은 디스크 케이스가 닫혀질 때 직립벽(31)에 의해 정해진 디스크 수용부(10)를 부분적으로 덮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12A)이 광 디스크로부터 분리되고 광 디스크(D)가 들어올려지더라도 광 디스크(D)는 직립벽(31)에 의해 정해진 디스크 수용부(10)의 공간 내에서 유지된다. 추가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케이스가 닫혀 있는 동안 폐쇄부의 표면(722A)이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에 인접할 때, 표면(722A)은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누른다.
유지부들(71, 72)에 의해 구성된 유지 클로들(7)은, 디스크 케이스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제 6 실시형태는 위에서 기술된 제 5 실시형태들의 장점들에 추가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2개의 유지 클로들(7)이 수용부(1) 내에 형성된 2개의 디스크 수용부들(10)을 부분적으로 닫도록 되어 있는 리드부(2) 상의 각각의 위치들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부(2)가 구조적으로 단순화되고, 유지 클로들(7) 각각은 전단지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유지부(71) 및 수용부(1)가 리드부(2)에 의해 닫혀질 때 대응하는 디스크 수용부(10)의 공간 내에 광 디스크(D)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유지부(72)에 의해 구성된다. 즉, 수용부(1) 내에 형성된 디스크 수용부들(10)의 개수와 같은 수의 유지부들(72)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리드부(2)의 구성요소들의 개수는 유지부들(71) 및 유지부들(72)이 분리되어 제공된다면 상당할 것이다. 반대로, 본 실시형태는 각각이 2개의 유지부들(71, 72)을 통합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실현되는 유지 클로들(7)이 제공되기 때문에, 리드부(2)의 구성요소들의 개수는 상당히 감소되고 리드부(2)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된다.
< 제 7 실시형태 >
도 19 내지 25 및 도 33은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의 제 7 실시형태인 디스크 케이스를 도시한다. 디스크 케이스는 게임 프로그램 또는 비디오 정보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수용한다.
디스크 케이스는 광 디스크(D)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 및 디스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1)의 개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2)를 포함한다. 수용부(1)와 리드부(2)는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한 벨트형부(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벨트형부(3)와 수용부(1)의 경계 및 벨트형부(3)과 리드부(2)의 경계는 각각의 힌지 구조 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드부(2)는 수용부(1)를 전부 닫기 위해 리드부(2)를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벨트형부(3)를 중심으로 수용부(1)를 향하여 회전된다.
벨트형부(3)에 연결된 수용부(1)의 가장자리 벽에 대향하여 위치된 수용부(1)의 가장자리 벽에는 2개의 맞물림 그루브들(4)이 내부에 제공된다. 반면에, 벨트형부(3)에 연결된 리드부(2)의 가장자리 벽에 대향하여 위치된 리드부(2)의 가장자리 벽에는 맞물림 돌기들(5)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리드부(2)에 의해 수용부(1)를 닫을 때, 맞물림 돌기들(5)은 디스크 케이스를 확고히 닫기 위해 상호 맞물림을 위한 각각의 맞물림 그루브들(4) 내에 넣어진다.
리드부(2)에는 맞물림 돌기들(5)이 형성된 가장자리 벽을 따르는 말단 부분 근처의 영역에서 리드부(2)의 내면 상에 유지부(62)가 제공된다.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설명서, 영화의 전단지 등이 유지부(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용부(1)는 광 디스크(D)를 수용하고, 광 디스크(D)를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용부(10)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광 디스크(D)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원형을 가진 디스크 주 몸체를 수용하는, 평면이 방패형인 캐비넷을 포함한다. 내부에 수용된 디스크 주 몸체는 원형을 가진 광 판독가능형 디스크이고 게임 프로그램 또는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합성 수지로 만든 캐비넷의 측부 가장자리에 개구가 제공되어 광 디스크(D)가 전자 기기 내에 실장될 때 디스크 주 몸체 상에 기록된 정보는 개구를 통 하여 광적으로 판독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는 디스크 수용부의 내부에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외형에 부합하는 외형을 가진 수용 공간, 및 방패형 외형을 갖는 수용 공간의 외주 가장자리들을 둘러싸는 직립벽(31)을 갖는다. 직립벽(31)은 전체 광 디스크(D)를 둘러싼다.
직립벽(31)은 합성 수지로 만든 수용부(1)의 바닥면의 직립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크 케이스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직립벽(31)이 디스크 케이스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립벽(31)은 수용된 광 디스크(D)에 대응하는 측부 벽면들로부터 안쪽으로 각각 돌출하고 마주보며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A)이 직립벽(31)의 중간에 실질적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은 수용된 디스크(D)의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을 통하여 지나간다.
고정 클로들(12A)은 수용된 광 디스크(D)를 개구측으로부터 수용부(1)의 바닥면을 향하여 누르기 위한 구성요소들로서 광 디스크(D)를 정상 위치에 고정되게 지지한다.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 각각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기저부(121) 및 기저부(121)의 전방 말단에서 기저부(121)를 굽힘으로써 형성된 클로부(122)를 가진다.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광 디스크(D)에 인접한 클로부(122)의 인접면은 클로부(122)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기저부(121)를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져 수용부(1)의 바닥면에 접근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한 쌍의 지지 돌출 융기부 들(13)은 지지 돌기들로서 수용부(1)의 바닥면과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하면에 인접하여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뜬 상태에서 지지한다.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A)과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은 제 5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과 지지 돌출 융기부들과 동일하다. 위에서 기술된 고정 클로들(12)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정 클로들(12A)은 수용부(1)의 개구측으로부터 수용부(1)의 바닥면을 향하여 수용된 광 디스크(D)를 누르기에 적합하고 광 디스크(D)를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게 지지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12A)은 방패형인 디스크 수용부(10)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 및 디스크 수용부(10)의 하부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에 각각 배열된다. 그러므로, 고정 클로들(12A)은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 클로들(12A)은 방패형인 광 디스크(D)를 대칭적으로 두 부분들로 나누는 중심선 상에 위치되어 배열되고 광 디스크(D)의 각각의 말단부들과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은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오목부들(311)은 디스크 수용부(10)의 중심에서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선과, 직립벽(31)과의 교차점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직립벽(31)의 상부 말단은, 광 디스크(D)가 실장될 때 광 디스크(D)의 상면이 직립벽의 상부 말단 위에 위치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A)을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양쪽 말단들을 연결하는 선 상인 직립 벽(31)의 양쪽 말단에는, 직립벽(31)의 상부 말단보다 낮은 각각의 오목부들(311)이 제공되어 광 디스크(D)의 측면을 노출시킨다.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낼 때, 광 디스크(D)는 직립벽(31)의 오목부들(311)의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 광 디스크(D)의 한 쪽 말단에서 밑으로 눌려져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지렛대로서 작용하는, 지지 돌출 융기부들(13) 중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직립벽(31)이 직립벽(31)의 외주를 따라 광 디스크(D)를 실질적으로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크 수용부(10)는 직립벽(31)에 의해 보강되고 수용부(1)의 전체적인 힘을 향상시켜 광 디스크(D)를 실장한 이후에 외력이 디스크 케이스에 인가되더라도 디스크 케이스가 변형되지 않아 내부에 실장된 광 디스크(D)는 신뢰성 있게 보호된다.
추가적으로, 오목부들(311)이 직립벽(31)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부에 실장된 광 디스크(D)를 꺼낼 때 어디를 눌러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그러므로, 제 7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와 제 5 실시형태(도 11 내지 14)의 디스크 케이스 사이의 차이들이 이하에서 열거된다.
(7-1) 메모리 수용부(60)는 생략되었으며 디스크 수용부(10)는 수용부(1)의 중심에 배열된다.
(7-2) 디스크 수용부(10)의 외주를 둘러싸는 직립벽(31)의 상면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보다 더 낮게 되어 있다.
(7-3) 디스크 수용부(10)의 중심에 배열된 이동 제한부(84)는 제 5 실시형태의 이동 제한부와 다르다.
(7-4) 리드부(2) 상에 배열된 유지부(62)는 제 5 실시형태의 유지부와 다르다.
(7-1)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디스크 수용부(10)는 긴 변과 짧은 변을 가진 직사각형 외형을 가진 수용부(1)의 중심 정도에 배열된다.
(7-2)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의 외주를 둘러싸는 직립벽(31)의 상면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보다 낮게 낮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외주 가장자리는 손가락 끝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눌려질 때, 손가락 끝에 의한 압력이 광 디스크(D)에 인가되어 광 디스크(D)는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지지 돌출 융기부들(13) 중 대응하는 하나를 중심으로 기울어진다(도 21 참조). 그 다음에, 결과적으로 외주 가장자리의 아래로 밀려진 부분의 반대편 광 디스크(D)의 말단부가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광 디스크(D)가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광 디스크(D)를 쉽게 잡아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광 디스크(D)가 밑으로 더 밀려짐에 따라, 광 디스크(D)를 미는 손가락 끝은 직립벽(31)의 상면과 부딪친다. 그러면 손가락 끝은 광 디스크(D)를 더 밑으로 누를 수 없다. 광 디스크(D)가 광 디스크(D)의 양쪽 말단의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A)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혀지고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A)의 집는 힘 에 의해 디스크 수용 몸체 내에 지지되므로, 디스크 수용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안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꺼내질 때 디스크 수용 몸체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7-3) 도 22 및 24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의 중심에 배열된 이동 제한부(84)는 바닥면(10A)의 U형부(84A)를 깍고 바닥면의 중심부를 바닥면(1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동 제한부(84)는 바닥면(10A)으로부터 기울어져 솟아오른 암부(841) 및 암부(84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인접부(842)를 가진다.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암부(841)는 바닥면(10A)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다.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는 힘이 인접부(842)에 인가될 때 암부(841)가 탄력적으로 편향된다. 암부(841)는 암부의 중심에 절단부(84B)를 가진다. 암부(841)의 측부의 크기는 절단부(84B)의 측부 크기 또는 도 22의 수평적 크기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암부(841)의 탄력은 절단부(84B)의 측부 크기의 함수로서 정해진다. 그러므로 절단부(84B)의 크기와 암부(841)의 측부 크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바닥면(10A)과 인접부(842) 사이의 거리 또는 인접부(842)의 높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바닥면(1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광 디스크(D)를 미는 인접부(842)의 힘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실장될 때, 인접부(842)는 캐비넷 내부에 수용된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구멍 부분에 인접한다. 인접부(842)가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구멍 부분에 인접함에 따라, 암부(841)가 바닥면(10A)을 향하여 편향되고 디스크 주 몸체는 편향된 암부(841)의 탄력에 의해 위로 힘을 받아 광 디스크(D)의 내면에 인접하고 디스크 주 몸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7-4) 리드부(2) 상에 형성된 유지부(62)는 전단지를 잡기에 적합하고, 수용부(1)의 디스크 수납 개구가 리드부(2)에 의해 닫혀질 때, 유지부(62)가 디스크 수용부(10)를 부분적으로 덮어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유지부(62)는 리드부(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621) 및 직립부(62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리드부(2)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벨트형부(3)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622)를 가지고 측면이 실질적으로 L형이 된다. 연장부(622)의 중심에는 벨트형부(3)에 가깝게 위치한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시작하는 U형 절단부가 제공되고, 연장부(622)는 벨트형부(3)로부터 리드부(2)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된 다음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부의 상부 말단을 향하여 부드럽게 휘어진 집게부(623)를 형성한다. 유지부(62)는 리드부(2)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의 디스크 수납 개구들이 리드부(2)에 의해 닫혀질 때 연장부(622)가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1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케이스가 닫혀 있을 때 바닥면(10A)을 마주보며 위치된 연장부(622)의 표면(622A)과 광 디스크(D)의 상면 사이에 틈(E)이 형성된다. 연장부(622)의 제공에 의해, 디스크 케이스가 닫힐 때 맞물림 클로들(12A)과 광 디스크(D)가 서로 분리되어 광 디스크(D)를 들어 올리더라도, 연장부(622)의 표 면(622A)은 광 디스크(D)의 상면에 인접하여 디스크 수용부(10)의 영역 내에 광 디스크(D)를 유지한다. 추가적으로, 연장부(622)의 표면(622A)과 광 디스크(D)의 상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622)가 광 디스크(D)의 상면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광 디스크(D)가 큰 두께를 가지고 연장부(622)의 표면(622A)이 광 디스크(D)의 상면과 인접한다면, 도 25의 연장부(622)가 위로 편향되어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10)의 바닥면(10A)을 향하여 밀어낸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머물도록 형성되고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집게부(623)는 리드부(2)의 바닥면과,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하는 집게부(623)의 표면(623A) 사이에 잡혀진 전단지를 지지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부(623)는 평면이 U형인 연장부(622)의 중심 정도에 형성된 부분이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부(623)는 벨트형부(3)에 가깝게 위치된 집게부(623)의 말단으로부터 리드부(2)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 다음에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한 집게부(623)의 표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휘어진다.
집게부(623)는 유연하고, 집게부에 의해 잡혀진 전단지의 두께에 따라 벨트형부(3)에 가깝게 위치된 집게부(623)의 말단을 중심으로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하기에 적합하다. 결과적으로, 전단지는 리드부(2)의 바닥면과 집게부(623)의 표면(623A) 사이에 신뢰성 있게 잡힌다.
집게부(623)는, 리드부(2)의 바닥면과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한 연장부(622)의 표면(622B) 사이의 간격까지의 두께를 가진 전단지를 잡고 지지할 수 있 다. 전단지가 이러한 두께를 가진다면, 집게부(623)의 표면(623A)은 도 24의 2점 쇄선에 의해 가리켜진 것처럼 리드부(2)의 바닥면을 마주보며 위치한 연장부(622)의 표면(622B)과 함께 실질적으로 위로 솟구치는 모양이 된다. 그러면 집게부(623)의 전방 말단부는 연장부(622)의 표면(622A)으로부터 약간 위로 돌출한다.
디스크 케이스가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닫혀지고 집게부(623)가 잡고 지지할 수 있는 가장 큰 두께를 가진 전단지가 집게부(623)에 의해 잡혀지고 지지될 때, 집게부(623)의 상향 돌출 전방 말단부는 디스크 케이스 내에서 임의의 부재에 의해 막혀 있지 않다. 집게부(623)의 전방 말단부가 연장부(622)의 표면(622A)의 수평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더라도, 집게부(623)의 전방 말단부는 디스크 케이스의 다른 부재에 인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집게부(623)를 갖는 유지부(62)가 디스크 케이스 내에 배열될 때, 디스크 케이스는 전단지를 잡고 지지할 수 있고 전단지의 두께는 디스크 케이스의 다른 부재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스크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최대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근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자신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크가 디스크의 말단에서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질 때, 디스크의 반대편 말단이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디스크가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가 직립벽 및 고정 클로들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수용부 내에서 고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이송시에 디스크가 움직이지 않 고, 광 디스크는 별도로 준비한 포장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디스크 수용 몸체 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디스크 수용 몸체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반면에 디스크가 수용부로부터 꺼내질 때, 사용자가 디스크의 말단에서 디스크를 위에서 미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면, 디스크의 타단은 지렛대 효과에 의해 솟아오르고 고정 클로들이 디스크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디스크를 수용 몸체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가 디스크의 말단에서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지고 기울어져 디스크의 반대편 말단이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할 때,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은 수용된 디스크의 양쪽 말단들에서 수용된 디스크를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위치들로부터 돌출하고 디스크의 가장자리에서 디스크를 탄력 있게 잡기에 적합한 높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크를 디스크의 말단에서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누름에 따라, 디스크는 디스크의 반대편 말단이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때, 디스크가 디스크의 가장자리에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에 의해 잡혀지고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의 잡는 힘에 의해 디스크 수용 몸체 내에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수용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있으면서 디스크가 수용부로부터 꺼내질 때 디스크가 디스크 수용 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이 수용된 디스크의 양쪽 말단들에서 수용된 디스크를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한 위치들로부터 돌출하고,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연장된 융 기부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융기부들이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뻗어 있기 때문에, 융기부 상에 위치한 디스크의 부분들과 다른 디스크의 외주 부분을 누름으로써 고정 클로들을 분리하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크는 더욱 쉽게 수용 몸체로부터 꺼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이 디스크의 방사 방향의 말단들에서 수용된 디스크의 디스크 주 몸체를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위치들로부터 돌출할 때, 융기부들은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들에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융기부들은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들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에 의해 실장된 디스크를 누르려는 힘이 균등하게 분배되는 방식으로 2개의 융기부들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는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디스크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고정 클로들 각각의 표면은, 디스크의 외면을 향할수록 더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면들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캐비넷의 두께가 크기 오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고정 클로들은 디스크 캐비넷의 상면에 신뢰성 있게 인접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신뢰성 있게 고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동 제한부가 수용부의 바닥면 상에 배열되어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디스크가 한 쌍의 고정 클로들과 맞물리고 고정되게 지지될 때, 디스크 주 몸체가 바닥면으로부터 밀려 캐비넷 내의 디스크 주 몸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가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디스크 주 몸체가 이동 제한부에 의해 캐비넷 내에서 고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수용 몸체가 수용된 디스크와 함께 흔들리더라도 디스크 주 몸체는 소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리드부에는, 리드부가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제공되고, 유지부는: 리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 리드부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직립부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연장부의 기저 말단과 리드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집게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부가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디스크가 고정 클로들로부터 분리되어 위로 상승하더라도, 유지부의 연장부가 디스크에 인접하여 디스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전단지 등이 집게부와 리드부의 바닥면 사이에서 잡혀지고 지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몸체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에 대해 위에서 기술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크가 디스크의 외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디스크 수용 몸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가 고정 클로들에 의해 눌려지고 고정되게 지 지되기 때문에, 디스크는 고정 클로들이 배열되는 곳들을 제외하면 수용부 내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말단에서 쉽게 상승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매우 쉽게 디스크를 꺼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몸체를 이용하여, 디스크와, 디스크를 수용하고 디스크가 쉽게 꺼내지는 것을 허용하는 디스크 주 몸체가 단일 패키지(package) 내로 포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 제 8 실시형태 >
도 26은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8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2개의 디스크 수용부(10)가 수용부(1) 내에서 배열되고 대응하는 2개의 유지부들(62)이 리드부(2)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 7 실시형태의 상술한 디스크 케이스(도 19 내지 25)와 다르다. 디스크 수용부들(10)의 개수와 유지부들(62)의 개수를 제외하면, 제 8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는 제 7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와 동일하다.
< 제 1 내지 제 8 실시형태들에 대한 실현가능한 변형예들 >
상술한 제 1 내지 제 8 실시형태들 각각은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결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개의 점과 같은 지지 돌기들이 광 디스크(D)의 외주를 중심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점과 같은 돌기들이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12)을 연결하는 선(A)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선들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 제 9 실시형태 >
도 27 내지 30은 제 9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27은 제 9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A1)를 도시한다.
디스크 케이스(A1)는 게임 프로그램, 비디오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디스크 수용 몸체이다. 이러한 디스크 케이스(A1)는 수용된 광 디스크(D)와 결합하여 정보 제공 몸체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디스크 케이스(A1)와 광 디스크(D)가 단일 패키지로 포장되어 정보 제공 몸체를 형성하고 통상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디스크 케이스(A1)는 오목한 단면을 가지고 광 디스크(D)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수용부(A2) 및 오목한 단면을 가지고 수용부(A2)의 디스크 수납 개구를 닫기에 적합한 리드부(A3)를 포함하고, 수용부(A2)와 리드부(A3)는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한 벨트형부(A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벨트형부(A4)와 수용부(A2)의 경계 및 벨트형부(A4)와 리드부(A3)의 경계는 각각의 힌지 구조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드부(A3)는 리드부(A3)를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벨트형부(A4)를 중심으로 수용부(A2)를 향하여 회전될 수 있어 수용부(A2) 전부를 닫는다.
벨트형부(A4)에 연결된 수용부(A2)의 가장자리 벽의 반대편에 위치된 수용부(A2)의 가장자리 벽의 내부에는, 도 27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배열되고 수용부(A2)와 통합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집게부(A5)가 제공된다. 한편, 벨트형부(A4)에 연결된 리드부(A3)의 가장자리 벽에 대향하게 위치된 리드부(A3)의 가장자리 벽에는, 벨트형부(A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전방 말단을 가진 한 쌍의 맞물림 돌기들(A6)이 제공된다. 맞물림 돌기들(A6)은 도 27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열된다. 그러므로 수용부(A2)를 리드부(A3)에 의해 닫을 때, 맞물림 돌기들(A6)은 맞물림 돌기들(A6)이 각각의 집게부들(A5)에 의해 잡혀져 디스크 케이스(A1)를 확고히 닫을 때까지 각각의 집게부들(A5)로 밀어 넣어진다.
리드부(A3)의 바닥면 상에는 맞물림 돌기들(A6)이 형성된 리드부(A3)의 가장자리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유지부(62)가 제공된다. 유지부(62)는 리드부(A3)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게임 프로그램 실행 설명서, 영화 전단지 등이 유지부(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유지부(62)는 제 7 실시형태의 유지부(62)와 구조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유지부(62)에 대하여 더 이상 기술하지 않겠다.
디스크 수용부(A10)는 광 디스크(D)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부(A2) 내에 형성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더라도, 광 디스크(D)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캐비넷과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캐비넷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 주 몸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광 디스크 주 몸체는 광 판독가능형 광 디스크이고, 게임 프로그램, 동영상 및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와 같은 비디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27에서 2점 쇄선(D)에 의해 가리켜진 것처럼, 캐비넷은 방패형 평면을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캐비넷의 외주의 형태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직선 부분들, 직선 부분들의 대응하는 말단들을 연결하고 대응하는 말단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직경을 가진 반원 부분, 및 반원의 직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중심을 가지고 한 쌍의 직선부들의 다른 말단들을 연결하는 원호부를 포함한다. 반 원부의 직경의 중심은 디스크 주 몸체의 중심 및 캐비넷의 중심과 일치한다.
캐비넷의 바닥면에는 광 디스크 주 몸체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 및 개구를 열고 닫기 위한 셔터가 제공된다. 개구 및 셔터는 광 디스크 주 몸체가 수용된 캐비넷 상의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광 디스크(D)가 전자 기기 내에 실장될 때, 셔터가 개구를 열어 디스크 주 몸체 상에 기록된 정보가 광적으로 판독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8은 도 27의 선(ⅩⅩⅧ-ⅩⅩⅧ)을 따라 절단된 디스크 케이스(A1)의 개략 단면도이다.
디스크 수용부(A10)는 외형이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외형과 부합하는 수용 공간을 디스크 수용부의 내부에 가지기 때문에, 광 디스크(D)는 수용 공간 내에 꼭 맞게 수용된다. 도 27 및 28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수용부(A10)는 광 디스크(D)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A12), 지지 돌기(A12)의 외주를 따라 배열된 4개의 고정 클로들(A13),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에 배열된 이동 제한부(84), 및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광 디스크(D)를 안내(guide)하기 위한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직립벽들(A15)을 포함한다.
디스크 수용부(A10)가 수용부(A2)의 중심 정도에 형성되고 이동 제한부(84)는 수용부(A2)의 중심에 배열된다.
지지 돌기(A12)는 광 디스크(D)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 돌기(A12)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크기보다 약간 더 작은 크기를 가지고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솟아올라와 있다.
그러므로 고정 돌기(A12)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에 부합하고 제 1 원호부(A121), 한 쌍의 직선부들(A122) 및 제 2 원호부(A123)를 포함하는 외형을 가진다. 더욱 정확히 기술하면, 제 1 원호부(A121)는 광 디스크(D)의 상술한 캐비넷의 반원부에 대응하는 반원부이다. 직선부들(A122)은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직선부들에 대응하고 제 1 원호부(A121)의 양쪽 말단들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직선부들이다. 제 2 원호부(A123)는 광 디스크(D)의 캐비넷의 원호부에 대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원호부(A123)는 제 1 원호부(A121)로부터 먼 직선부들(A122)의 말단들을 연결하고, 한 쌍의 직선부들(A122)의 말단들을 연결하는 선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과 제 1 원호부(A121)의 외부에 위치된 점(X)에서 중심을 가진다.
광 디스크(D)는 지지 돌기(A12)의 상면 상에 수납되고, 결과적으로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광 디스크(D)는 지지 돌기(A12)에 의해 광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되고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떠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고정 클로들(A13)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배열된다. 더욱 정확히 기술하면, 고정 클로들(A13)은 지지 돌기(A12)의 외부에 배열되고 고정 클로들 중 2개는 제 1 원호부(A121) 쪽에 위치되는 반면에, 나머지 2개는 제 2 원호부(A123) 쪽에 위치된다. 고정 클로들(A13)은 광 디스크(D)의 대응하는 원호들에 접하는 각각의 선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실질적으로 방패형인 광 디스크(D)의 외주 가장자리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고정 클로들(A13) 각각이 광 디 스크(D)와 맞물린 영역이 최대가 되고, 고정 클로들(A13)에 의해 고정된 광 디스크(D)의 말단면이 고정 클로들(A13)의 대응하는 표면들에 접하여 고정 클로들(A13)의 고정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A13)에 의해 신뢰성 있게 고정되고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신뢰성 있고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 1 원호부(A121) 쪽에 위치한 2개의 고정 클로들(A13A)은 광 디스크(D)의 반원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을 향하여 누르기에 적합하여 광 디스크(D)를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게 지지한다.
한편, 제 2 원호부(A123) 쪽에 위치한 2개의 고정 클로들(A13B)은 광 디스크(D)의 원호부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을 향하여 누르기에 적합하여 광 디스크(D)를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게 지지한다.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휘어질 수 있고,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디스크 수용부(A10)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편향되고 광 디스크(D)를 안쪽으로 미는 힘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고정 클로들(A13A)의 각각의 중심들과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들(A)이 서로 직교하도록 고정 클로들(A13A)이 배열된다. 고정 클로들(A13A)은 지지 돌기(A12)의 제 1 원호부(A121)의 중심과 제 2 원호부(A123)의 중 심을 연결하고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가 광 디스크(D)의 반원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꺼내질 때, 광 디스크(D)는 2개의 고정 클로들(A13A)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꺼내진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가 꺼내질 때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A13A)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고 다른 고정 클로(A13A)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꼬여져 발생하는 불필요한 부담이 방지된다.
광 디스크(D)를 꺼내는 작업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29는 도 27에서 선(ⅨⅩⅩ-ⅨⅩⅩ)을 따라 절단된 고정 클로들(A13A) 중 하나의 개략 단면도이다.
고정 클로(A13A)는 수용부(A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A131), 및 직립부(A13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여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를 고정하는 고정부(A132)를 가진다. 직립부(A131)와 고정부(A132)는 수용부(A2)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고정 클로(A13A)의 돌출 높이는 광 디스크(D)의 두께보다 더 크다.
직립부(A131)는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직립부(A131)는 바깥 쪽으로 약간 편향되어 광 디스크(D)로 힘이 가해진다.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측정된 고정부(A132)의 돌출 높이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상면의 높이보다 더 크다. 고정부(A132)는 위로 갈수록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더 멀어지게 기울어진 상향부(A132A)와, 아래로 갈수록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더 멀어지게 기울어진 하향부(A132B)를 포함한다. 하향부(A132B)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 또는 도 29의 하부를 향하여 눌러, 광 디스크를 고정되게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고정되고 광 디스크(D)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고정 클로(A13A)는 휘어질 수 있고 직립부(A131)가 디스크 수용부(A10)를 향하여 기울어지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고정 클로는 바깥 쪽으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고정 클로(A13A)는 바깥 쪽으로 편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광 디스크(D)는 안 쪽으로 미는 힘을 받아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고정부(A132)의 하부로서 형성된 하향부(A132B)는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멀어질수록 밑으로 내려가게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는 특정 값과 약간 다른 두께를 가지더라도, 고정 클로(A13A)는 하향부(A132B)의 기울어짐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바깥 쪽으로 편향되어 고정 클로는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에 압력을 신뢰성 있게 인가한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정상 위치에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제 2 원호부(A123)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A13B)는 상술한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된 위치들에 위치된다. 고정 클로들(A13B) 각각으로부터 직 선(B)까지의 거리는 제 1 원호부(A121)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A13A) 각각으로부터 직선(B)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클로들(A13B)은 고정 클로들(A13A)보다 직선(B)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배열되어, 직선(B)과 평행하며 고정 클로들(A13B) 각각의 맞물림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C1)과, 직선(B)과 평행하며 고정 클로들(A13A) 중 대응하는 고정 클로의 맞물림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C2) 사이에 간격(Y)이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직선(B)에 수직이고 광 디스크(D)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C3)에 비대칭적인 광 디스크(D)를 신뢰성 있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정 클로들(A13B)이 고정 클로들(A13A)의 위치들보다 직선(B)으로부터 더 먼 위치들에 배열되고 고정 클로들(A13B)이 직선(B)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들 근처의 광 디스크(D)를 고정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광 디스크(D)는 직선(C3)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원호부의 양 쪽 말단들에서 안정화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고정 클로들(A13B)은 고정 클로들(A13A)과 구조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은 더 이상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고정 클로들(A13A, A13B)의 상술한 위치 배열을 이용하여, 고정 클로들이 광 디스크(D)의 네 모서리들에 위치되어 광 디스크(D)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로들(A13A, A13B)이 광 디스크(D)의 네 모서리들에 위치되어, 광 디스크(D)를 고정하는 고정 클로들(A13A, A13B)이 네 모서리에 배열되지 않는 배열과 비교한다면, 광 디스크(D)는 작은 압력과 힘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고 안정되게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2개의 고정 클로들(A13B)이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의 원호부에 인접하는 2개의 고정 클로들(A13B)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가 원호부의 중점에서 들어 올려져 꺼내질 때 광 디스크(D)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고정 클로들(A13A)의 경우처럼, 광 디스크(D)가 꺼내질 때 고정 클로들(A13B)에 의한 불필요한 부담이 광 디스크(D)에 인가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A13A)이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과 90°를 형성하는 위치들에 배열되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A)이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약 1/4만큼 서로 분리되어 있다. 게다가, 고정 클로들(A13B)이 고정 클로들(A13A)을 직선(B)으로부터 분리시킨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직선(B)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고정 클로들(A13B)은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약 1/4만큼 서로 분리되어 있고 고정 클로들(A13A) 각각은 고정 클로들(A13B) 중 이웃하는 고정 클로로부터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약 1/4만큼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임의의 방향에서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쉽게 꺼내질 수 있어 광 디스크(D)가 훨씬 쉽게 꺼내진다.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되고 광 디스크(D)의 직선부들에서 수용된 광 디스크(D)의 말단면에 인접하는 위치들에 배열될 때, 직립벽들(A15)은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 내로 안내하기 위한 디스크 안내부들로서 작용한다. 직립벽들(A15)은 수용부(A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다. 광 디스크(D)를 마주보며 위치한 직립벽(A15)의 표면들은 전방 말단부들보다 기저부들 에서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기울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까지 직립벽들(A15)의 경사들을 따라 쉽게 이동될 수 있어 광 디스크(D)가 훨씬 쉽게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직립벽들(A15)이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광 디스크(D)를 수용할 때 광 디스크(D)가 직립벽들(A15)의 직선부들 각각에 인접하여 직립벽들(A15)을 바깥으로 편향시킨다. 결과적으로, 직립벽들(A15)은 안 쪽으로 향하는 힘을 광 디스크(D)에 인가하여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내는 작업이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를 꺼낼 때, 처음에, 사용자는 광 디스크(D)의 외주 가장자리를 한 손의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광 디스크(D)의 중심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각각의 측면들을 만진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측면들 중 하나를 들어올림에 따라, 광 디스크(D)는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다른 측면 근처에 위치한 지지 돌기(A1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A13A, A13B)로부터 분리되어,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내질 수 있다. 지지 돌기(A12)가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안 쪽에 있으므로, 광 디스크(D)의 외주 가장자리는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광 디스크(D)의 말단면과 바닥면을 한 손의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쉽게 만져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9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A1)는 다음의 장점들을 제공한다.
(9-1)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케이스(A1)의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과 유사하고 약간 더 작은 외형을 가진 지지 돌기(A12)에 의해 수납되고 지지된다. 지지 돌기(A12)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 27에 도시된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광 디스크(D)를 수용할 때 광 디스크(D)의 전방 말단과 후방 말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광 디스크(D)가 수용되는 방향을 실수하지 않는다.
(9-2)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의 반원부와 원호부에서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기에 적합한 고정 클로들(A13; A13A, A13B)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A10)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고정 클로들(A13)이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위치들과 다른 위치에서 한 손의 엄지와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D)의 측부 가장자리를 만짐으로써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지지 돌기(A12)는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과 유사하고 약간 더 작은 외형을 가지고 광 디스크(D)가 지지 돌기(A12)에 의해 수납되기 때문에,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지지 돌기(A12)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떠 있게 된다. 사용자 는 광 디스크(D)를 꺼낼 때 광 디스크(D)의 말단면과 바닥면을 한 손의 엄지 및/또는 다른 손가락 중 하나를 이용하여 만질 수 있어 사용자는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으로부터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9-3) 광 디스크(D)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로들(A13; A13A, A13B)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바깥 쪽으로 편향된다. 그 다음에 광 디스크(D)를 안 쪽으로 미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고정 클로들(A13)의 하향부들(A132B)에 의해 인가되고 디스크 수용부(A10)의 바닥면(A10A)을 향하는 압력뿐만 아니라 고정 클로들(A13)에 의해 인가되는 내향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다.
(9-4) 2개의 고정 클로들(A13A)과 2개의 고정 클로들(A13B)은 지지 돌기(A12)의 제 1 원호부(A121)의 외부 및 제 2 원호부(A123)의 외부 각각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향하고 고정 클로들(A13A, A13B)에 의해 인가된 내향력을 받아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9-5) 제 1 원호부(A121)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A) 및 지지 돌기(A12)의 제 2 원호부(A123)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B)은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데, 직선(B)은 제 1 원호부(A121)의 중점 및 제 2 원호부(A123)의 중점을 지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원호부(A121) 쪽에 배 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A)은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고, 제 2 원호부(A123)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B)은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가 반원부 또는 원호부의 가장자리에서 들어 올려져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내질 때,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A 또는 A13B)이 광 디스크(D)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광 디스크(D)는 큰 부담 없이 쉽게 꺼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A13A)과 고정 클로들(A13B) 각각으로부터의 고정력이 광 디스크(D)의 반원부와 원호부에 각각 인가될 수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D)를 정상 위치에서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다.
(9-6) 제 2 원호부(A123)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B)은 제 1 원호부(A121)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A)보다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선(B)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고정 클로들(A13B)은 직선(C3)을 기준으로 보여지는 것처럼 광 디스크(D)의 반원부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광 디스크(D)의 원호부의 양 쪽 말단들에서 광 디스크(D)를 고정하기에 적합하여 광 디스크(D)는 정상 위치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눌려져 고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9-7) 디스크 수용부(A10)의 제 1 원호부(A121) 쪽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A13A)은, 고정 클로들(A13A)의 중점들과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들(A)이 서로 직교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이 배열을 이용하면, 고정 클로들(A13A)에 의한 압력과 힘이 광 디스크(D)에 효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흔들림은 억제되고 광 디스 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다.
(9-8) 고정 클로들(A13A)은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에서 각이 90°가 되도록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되고, 제 2 원호부(A123)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A13B)은 고정 클로들(A13A)보다 직선(B)으로부터 더 분리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광 디스크(D)를 광 디스크(D)의 네 모서리들에서 고정하여 디스크 수용부(A10) 내의 광 디스크(D)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훨씬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2개의 이웃하는 고정 클로들이 광 디스크(D)의 외주의 1/4만큼 분리되는 방식으로 광 디스크(D)의 외주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임의의 방향으로 쉽게 꺼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A13A)이 광 디스크(D)의 원호부를 고정하고 고정 클로(A13B)가 광 디스크(D)의 반원부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위치된다면,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은 고정 클로들(A13A, A13B)의 상술한 배열에 기인하여 고정 클로들(A13A, A13B)의 위치들과 부합하지 않아 광 디스크(D)를 성공적으로 고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9-9)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고정 클로들(A13A, A13B)의 대응하는 맞물림 위치들과 광 디스크(D)에 접한 각각의 선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고정 클로들(A13A, A13B) 각각은 광 디스크(D)의 말단면에 네모지게 접하여 고정 클로들(A13A, A13B) 각각의 고정력은 광 디스크(D)의 말단면에 효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정상 위치에서 눌려져 매우 안정되고 고정되게 지지된다.
(9-10) 직립벽들(A15)은 디스크 수용부(A10) 상에 형성되어 지지 돌기(12)의 직선부들의 외부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직선부들을 마주보며 위치한 곳에서 수용부(A2)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올라와 있다. 디스크 수용부(A10)를 바라보는 직립벽들(A15) 각각의 표면은 디스크 수용부(A10)의 전방 말단보다 기저 말단에서 디스크 수용부(A10)에 더 가까운 방식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될 때 광 디스크(D)는 직립벽들(A15)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A10) 내로 안내되어 광 디스크(D)를 매우 간단하게 수용한다.
추가적으로, 직립벽들(A15)이 지지 돌기(A12)의 직선부들(A122)의 외부에서 직선부들(A122)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광 디스크(D)가 지지 돌기(A12)에 의해 수납되는 방향 또는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되는 방향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직립벽들(A15)이 광 디스크(D)의 말단면들에 인접하기에 적합하므로, 디스크 수용부(A10) 내의 광 디스크(D)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는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더욱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9-11) 디스크 케이스(A1)와 광 디스크(D)는 정보 제공 몸체를 구성한다. 그 러므로 광 디스크(D), 및 광 디스크(D)의 외주의 외형과 부합하는 외형을 가지고 광 디스크(D)를 꼭 맞게 수용하기에 적합한 지지 돌기(A12)를 가진 디스크 케이스(A1)는 단일 정보 제공 몸체로서 사용자에게 상업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근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자신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는 캐비넷 내에 디스크 주 몸체를 실장함으로써 형성된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 개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를 가진다. 수용부는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의 캐비넷의 외주를 따르는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지지 돌기, 및 지지 돌기의 외부에서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를 개구측으로부터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누르기에 적합한 복수의 휘어질 수 있는 고정 클로들을 가져, 정상 위치에서 디스크를 고정되게 지지하고 디스크에 내향력을 인가한다. 지지 돌기의 크기는 디스크의 외주의 크기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수용 몸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는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진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클로들에 의해 정상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고정 클로들이 배열된 점들을 제외한 수용부 내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손가락을 디스크의 말단면에 얹을 수 있어 사용자는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를 쉽게 꺼낼 수 있다.
지지 돌기의 크기는 디스크의 외주의 크기보다 더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 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를 꺼낼 때 손가락들 중 하나를 디스크의 말단면에 쉽게 얹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수용부로부터 디스크를 꺼낼 때 말단면으로부터 디스크의 바닥면으로 연장된 디스크의 표면 영역에 손가락들 중 하나를 얹을 수 있어 사용자는 쉽게 디스크를 위로 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크를 수용부로부터 매우 쉽게 꺼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휘어지기 쉬운 고정 클로들에 의해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는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는 압력과 디스크에 대하여 안 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안정되게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지지 돌기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부들, 직선부들의 대응 말단들을 연결하고 한 쌍의 직선부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직경을 가진 반원형 제 1 원호부, 및 제 1 원호부의 중점과 한 쌍의 직선부들 사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위치되며 제 1 원호부의 외부에 위치된 점에서 중심을 가지는 제 2 원호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서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고정 클로들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디스크가 비대칭적인 외형을 가지더라도,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되고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되고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되어 디스크는 고정 클로들 각각에 의해 안 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디스크에 인가된 힘은 실질적으로 디스크의 중심을 향하여 디스크는 매우 안정되게 정상 위치에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는 고정 클로들로부터 균등하게 인가된 힘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디스크는 디스크 수용부 내에 매우 안정되게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과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한편,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 및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은 중심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디스크가 제 1 원호부 또는 제 2 원호부 쪽에 위치된 디스크의 가장자리에서 들어 올려질 때, 디스크는 올려진 가장자리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그러므로 디스크가 하나씩 고정 클로들로부터 분리된 경우와 비교한다면 디스크에 국부적으로 인가된 부담이 감소되고, 디스크가 고정 클로들로부터 분리될 때 디스크에 작용하는 힘이 2개의 분리된 고정 클로들에 대응하 는 디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에 분배된다. 그러므로 디스크는 국부적 부담을 받는 것이 방지되고 매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게다가,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 사이의 거리는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고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 및/또는 손가락들 중 하나를 중심선에 직각인 선에 위치한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의 양쪽 측부 부분들 상에 얹어 측부 부분들 중 하나를 올린다면, 디스크는 제 1 원호부 쪽 및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2 쌍의 고정 클로들 중 2개의 고정 클로들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꺼내지는 방향에 관계없이 디스크에 인가된 국부적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디스크가 꺼내질 때 디스크에 인가된 부담이 분배되고 억제되며, 동시에 디스크가 매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는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은 디스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 외부에 위치된다. 디스크가,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고 반원 가장자리의 중점과 원호 가장자리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직선에 의해 2개의 영역들로 분할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원호부 쪽이 반원부 쪽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진다. 상술한 배열을 이용하면, 제 2 원호부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이 디스크를 안정되게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디스크가 중심선에 직교하는 선에 의해 분할될 때, 디스크의 반원부와 원호부는 서로 비대칭적이며 원호부는 반원부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진다.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이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더 작은 거리만큼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한다면, 중심선에 직교하는 선 방향으로 디스크의 원호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디스크를 고정하므로 디스크를 안정되게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은, 고정 클로들과 고정 클로들에 의해 고정된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실질적으로 90°를 형성하게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원호부 쪽의 두 위치들에 각각 배열된 고정 클로들 각각은 디스크의 중심을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지지 돌기의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에 더 가까운 각각의 위치들에 위치한다면, 제 1 원호부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에 직각인 방향의 디스크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힘이 약화된다. 반면에,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지지 돌기의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양쪽 말단들에 더 가까운 각각의 위치들에 위치된다면, 제 1 원호부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한 방향의 디스크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힘이 약화된다. 반대로, 2개의 고정 클로들이, 고정 클로들과 고정 클로들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실질적으로 90°를 형성하게 위치될 때,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다.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은 고정 클로들과 고정 클로들에 의해 고정된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90°를 형성하고 제 2 원호부에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은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서로 분리될 때, 제 1 원호부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와 제 2 원호부에 배열된 한 쌍의 고정 클로들을 분리시키는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디스크는 디스크의 중심선에 직교한 방향과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쉽게 꺼내질 수 있어, 디스크를 수용부로부터 꺼내는 것이 매우 쉽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클로들 각각은 고정 위치에서 디스크의 대응하는 원호에 접하는 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클로들 각각이 고정 위치에서 디스크의 대응하는 원호에 접하는 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의 말단면과, 디스크의 말단면을 마주보며 배열되고 디스크를 고정하는 고정 클로의 표면은 서로 네모지게 바라본다. 그러므로 고정 클로의 고정력은 디스크의 가장자리의 대응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디스크를 정상 위치에서 누르고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2개의 고정 클로들이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되어 있고 다른 2개 의 고정 클로들이 지지 돌기의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되어 있어 디스크를 고정하고 제 2 원호부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이 제 1 원호부 쪽에 배열된 고정 클로들보다 제 1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과 제 2 원호부의 가장자리의 중점을 연결하는 중심선으로부터 더 멀리 분리되어 있을 때, 수용부에 수용되고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며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고 중심선에 수직인 선에는 비대칭적인 디스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디스크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위치한 디스크의 말단에서 들어 올려짐으로써 수용부로부터 꺼내질 때, 디스크는, 디스크의 말단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며 광 디스크의 대응하는 원호들에 접하는 각각의 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고정 클로들로부터 시간 지연을 가지며 분리된다. 그 다음에, 고정 클로들 중 하나가 디스크로부터 분리되고 다른 고정 클로는 디스크가 기울어지도록 작용하여 디스크가 꺼내질 수 있어, 디스크는 작은 힘으로 디스크 수용부로부터 부드럽게 꺼내질 수 있다. 그러면 디스크를 매우 쉽게 꺼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디스크 안내부들이 지지 돌기의 외부에서 한 쌍의 직선부들을 따라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솟아올라와 있어 디스크를 안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는 수용부 내에 수용될 때, 디스크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므로 디스크를 수용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쉽게 행해질 수 있다.
<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들 >
제 9 실시형태의 디스크 케이스(A1)가 단일 디스크 수용부(A10)를 가지는 반 면에, 본 발명은 결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크 케이스(A1)는 복수의 디스크 수용부(A10)를 가지며 많은 광 디스크(D)를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31은 제 9 실시형태를 변형하여 얻어진 2개의 디스크 수용부들(A10)을 가지는 디스크 케이스(A1A)를 도시한다.
디스크 케이스(A1A)는 수용부(A2)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각각의 위치들에 배열된 2개의 디스크 수용부들(A10)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2개의 유지부들(62)은 디스크 케이스(A1A)가 닫힐 때 리드부(A3)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며 각각의 디스크 수용부들(A10)을 부분적으로 덮기에 적합한 리드부(A3) 상의 대응하는 위치들에 배열되어 있다. 디스크 케이스(A1A)의 지지 돌기들(A12) 각각은 도 31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원호부(A121) 및 하부에 위치된 제 2 원호부(A123)를 가진다. 그러나, 지지 돌기들(A12) 중 모두 또는 하나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 케이스(A1A)는 2개의 광 디스크들(D)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디스크 케이스들의 개수는 디스크 케이스들 내에 수용될 광 디스크들(D)의 개수와 관련하여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 디스크들(D) 상에 기록된 영화 또는 게임 프로그램은 효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크 케이스(A1A)가 외형면에서 디스크 케이스(A1)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 케이스(A1A) 내의 공간의 크기와 개폐 구조는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된 제 9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클로들(A13A)은, 고정 클로들(A13A)의 각각의 중심들과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의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선들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되 어 있고 고정 클로들(A13B)이 고정 클로들(A13A)보다 지지 돌기(A12)의 제 1 및 제 2 원호부들(A121, A123)의 중점들을 연결하는 직선(B)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고정 클로들(A13A)과 고정 클로들(A13B)이 직선(B)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내질 때, 광 디스크(D)는, 광 디스크(D)가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꺼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들어올려지는 위치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2개의 고정 클로들(A13A 또는 A13A와 A13B)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D)가 광 디스크의 외형에 따라 국부적 부담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에 광 디스크는 디스크 수용부로부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고정 클로들(A13A)과 디스크 수용부(A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들(A)의 교차각은 90°보다 더 작거나 더 클 수 있다. 선택적으로, 2개의 고정 클로들(A13A)이 디스크 수용부(A10)의 지지 돌기(A12)의 제 1 원호부(A121)의 중점과 제 2 원호부(A123)의 중점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클로들(A13A, A13B)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된 각각의 위치들에 배열될 때, 고정 클로들(A13A, A13B)에 의해 발휘되는 힘이 효과적으로 광 디스크(D)에 인가되어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광 디스크(D)를 디스크 수용부(A10)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고정 클로들(A13; A13A, A13B)은 수용부(A2)로부터 솟아올라 제 9 실시형태에서 기술된 것처럼 기울어져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고정 클로들이 광 디스크(D) 를 고정하기만 하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클로들(A13A, A13B) 각각은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부(A131), 고정부(A132), 및 직립부(A131)와 고정부(A132)를 연결하며 측면이 S형태가 되도록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휘어질 수 있는 우회부(12A3)를 포함하는 고정 클로(A13C)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클로들(A13C)이 사용될 때, 고정 클로들(A13C) 각각의 우회부(A133)가 용수철처럼 편향되어 광 디스크(D)에 대한 힘이 적절한 압력으로서 작용하므로 광 디스크(D)는 정상 위치에서 신뢰성 있고 안정적이며 고정되게 지지된다.
상술한 고정 클로(A13C)의 우회부(12A3)는 실질적으로 S형태인 측면을 가지고 있지만, 복수회 회전하는 우회부로 대체될 수 있다.
<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들의 변형예들 >
이동 제한부(14, 34, 84)는 상술한 실시형태들 각각에서 광 디스크(D)의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에 배열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정 클로들이 캐비넷을 밑으로 누르는 반면에 이동 제한부가 디스크 주 몸체에 대하여 위로 힘을 가하여 서로 협력하며 광 디스크를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게 지지하기 때문에 이동 제한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쌍으로 된 고정 클로들(12, 12A)이 직립벽들(11, 31)의 배열과 관련하여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상술한 기술에 한정하여 배열되지 않는다. 다른 고정 클로들(52, 53)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지지 돌출 융기부들(13)이 나아가는 방향과 직립벽(31)의 오목부들(311)의 위치들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유지부(61, 62) 또는 유지 클로(7)는 맞물림 돌기들(5)이 배열된 가장자리 근처의 리드부(2)의 바닥면 상에 배열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배열되어 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지부(61, 62) 또는 유지 클로(7)는, 리드부(2)의 바닥면 상에 배열되어 수용부(1)가 리드부(2)에 의해 닫힐 때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를 부분적으로 덮는 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부(61, 62) 또는 유지 클로(7)는 벨트형부(3)에 가깝게 위치된 리드부(2)의 가장자리 근처에 배열될 수 있다. 유지부들(61, 62)과 유지 클로(7)의 외형들은 이상에서 기술된 외형들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들(61, 62)의 표면들(61A, 62A) 및 유지 클로(7)의 유지부(72)의 표면(722A)은, 디스크가 닫힐 때, 즉, 수용부(1)가 리드부(2)에 의해 닫힐 때, 디스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광 디스크(D)에 인접하기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표면들(61A, 62A, 722A)은, 광 디스크(D)가 고정 클로들(12A)로부터 분리될 때 직립벽(31)에 의해 정의되는 디스크 수용부(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디스크 수용부(10)를 위에서 덮는 한 광 디스크(D)에 인접할 필요가 없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을 실제적인 목적들을 위해 실시하기 위하여, 특정 구조 및 외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 이상에서 기술된 구조 및 외형이 아니어도 된다.
광 디스크(D)는 이상에서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 방패형 외형을 가지지만, 다른 외형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가지는 광 디 스크도 역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케이스는 광 디스크가 아닌 자기-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레코드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화들, 다른 비디오 영상들 및 게임 프로그램들이 기록된 자기-광 기록형 기록 매체들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들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9)

  1. 캐비넷(cabinet) 내에 디스크 주 몸체를 실장함으로써 형성된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기 위한 리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벽;
    상기 수용된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anchoring claw)들; 및
    상기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분리된 위치들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바닥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로들은 삽입된 디스크와 함께 서로 마주보는 위치들에서 직립벽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의 말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질 때, 상기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의 반대편 말단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기울어지도록 상기 지지 돌기들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의 말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눌려지고 상기 디스크의 반대편 말단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기울어질 때, 상기 고정 클로들은 수용된 디스크의 방사상으로(radially) 대향하는 말단들에서 상기 수용된 디스크를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는 각각의 위치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이며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서 상기 디스크를 탄력 있게 집는 높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로들은 상기 수용된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주 몸체의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말단들에서 누르고 고정되게 지지하는 위치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돌기들 각각은 상기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뻗어있는 융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들은 상기 고정 클로들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인접하는 고정 클로들 각각의 표면은 상기 디스크의 외부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더 가까워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제한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고정 클로들과 맞물리고 고정되게 지지될 때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주 몸체의 이동을 상기 캐비넷 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크 주 몸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 제한부가 상기 디스크 주 몸체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에는,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디스크가, 상기 리드부가 상기 수용부의 디스크 수납구를 닫은 상태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리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직립부, 상기 리드부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직립부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기저부 말단을 향하고 또한 상기 리드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용 몸체.
  9.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몸체로서, 정보 제공 몸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디스크 저장 정보; 및
    상기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수용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수용 몸체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크 수용 몸체이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몸체.
KR1020067018132A 2004-03-12 2005-03-14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KR10081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132A KR100819311B1 (ko) 2004-03-12 2005-03-14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1418 2004-03-12
JPJP-P-2004-00095865 2004-03-29
JPJP-P-2004-00140482 2004-05-10
JPJP-P-2004-00272526 2004-09-17
KR1020067018132A KR100819311B1 (ko) 2004-03-12 2005-03-14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77A KR20070018877A (ko) 2007-02-14
KR100819311B1 true KR100819311B1 (ko) 2008-04-03

Family

ID=4164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132A KR100819311B1 (ko) 2004-03-12 2005-03-14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3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368A (en) * 1993-08-19 1995-10-10 Zehnder; Richard Holder for CD cassettes
US5515967A (en) * 1994-10-31 1996-05-14 Fitzsimmons; W. Tyler CD-Rom retailer
EP1014375A2 (de) * 1998-12-22 2000-06-28 Sony DADC Austria AG Mini-Disk Hül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368A (en) * 1993-08-19 1995-10-10 Zehnder; Richard Holder for CD cassettes
US5515967A (en) * 1994-10-31 1996-05-14 Fitzsimmons; W. Tyler CD-Rom retailer
EP1014375A2 (de) * 1998-12-22 2000-06-28 Sony DADC Austria AG Mini-Disk Hü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77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3653B1 (en) Disk containing body and information providing body
KR910008173Y1 (ko) 원형 정보 수록 디스크 수납 유지 장치
KR970007121B1 (ko) 광학적으로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저장하는 디스크케이스
US200501558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platelike information carriers
JPH0995380A (ja) 光学的記録ディスク収納用シート
US5383553A (en) Case for receiving at least one data storage disk
KR100819311B1 (ko) 디스크 수용 몸체 및 정보 제공 몸체
AU664881B2 (en) Storage container for mini-disk cartridges
JP2001344925A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EP0977203A2 (en) Disc catridge storage case
JPH10308084A (ja) 保管用ディスクケース
JP3099296B1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ケース及びディスク収納補助トレイ
JP354153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JP2004090952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
JP4352638B2 (ja) 記録媒体収納ケース
JP2004182236A (ja) 記憶媒体収容ケース
JP3748001B2 (ja) 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
WO2007022457A2 (en) Package for universal media disc
JP2651900B2 (ja) 光ディスク収納体
JP2002019872A (ja) ディスク収納用ケース
JPH0594191U (ja) 情報記録カード収納容器
JP200210456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2004182266A (ja) レンタルおよび販売用記録媒体のケ−ス
JPH0577077U (ja) 光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2002302183A (ja) ディスク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