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261B1 -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261B1
KR100819261B1 KR1020010063742A KR20010063742A KR100819261B1 KR 100819261 B1 KR100819261 B1 KR 100819261B1 KR 1020010063742 A KR1020010063742 A KR 1020010063742A KR 20010063742 A KR20010063742 A KR 20010063742A KR 100819261 B1 KR100819261 B1 KR 10081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season
time
operation data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158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2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기에 따른 백라이트(back light)오프 상태 유지 시간과 정상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백라이트의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상기 백라이트의 동작모드를 검사하여,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가 절기별 동작 모드이면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읽어 온 후,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 해야하는 시간이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정상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시간이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시킨다.
백라이트, 절기별 동작 모드, 절기별 동작 데이터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CK LIGH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동작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back light)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라이트는 이동 통신 단말의 표시화면이나 키패드의 배경 조명으로서,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가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이나,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의 종류의 파악이 용이하게 한다. 백라이트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온/오프되며, 일반적으로 키입력이나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에 따라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으로 오프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상 백라이트의 오프상태가 유지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가 항상 오프상태로 유지되거나, 외부의 입력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온되도록 하는 것은 주변 환경의 밝기와 상관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때에 따라 사용에 있어 불편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전류의 소비를 야기한다. 특히, 백라이트는 온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소비되는 전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대기 시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는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기에 따른 백라이트(back light)오프 상태 유지 시간과 정상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백라이트의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상기 백라이트의 동작모드를 검사하여,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가 절기별 동작 모드이면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읽는 과정과,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 해야하는 시간이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정상상태를 유지해야하 는 시간이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시키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100)는 이동 통신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표시부(40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액정화면(미 도시함)에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부(30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통신단말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되는 절기별 동작 모드 선택 메뉴에 대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며,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제어 시 또는 가입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키입력부(50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미 도시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입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백라이트부(200)는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키입력부(500)의 키패드와 표시부(400)의 액정화면 밑에 장착된다. 백라이트부(200) 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절기별 동작 선택 메뉴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기별 백라이트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절기별 백라이트 동작 모드란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사용시 조명이 필요 없는 낮 시간 동안에는 백라이트를 항상 오프상태로 유지하고, 조명이 필요한 밤시간 동안에는 외부의 입력에 따라 백라이트를 일정시간 온하는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상기 절기별 동작모드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하절기 동작 모드와 동절기 동작 모드로 구분된다. 절기별 동작 데이터는 절기에 따라 오프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낮 시간과 정상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밤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절기별 동작 데이터는 하절기 동작 데이터와 동절기 동작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절기는 4월부터 9월까지의 기간에 해당하고, 상기 동절기는 10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해당한다.
상기 절기별 동작 모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하는 과정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동작 흐름도이다.
백라이트 동적 선택 모드하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부(100)는 1001단계에서 백라이트 동작 모드에 따른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동작 모드에 따른 메뉴는 "8초 동안 온", "20초 동안 온", "절전 기능", "절기별 동작" 등으로 구성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메뉴를 보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한다.
100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절기별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지 확 인하여 절기별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1005단계로 진행하고, 절기별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이 없으면 1007단계로 진행한다. 10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른 동작 모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한다. 10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날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후 100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날짜가 동절기에 해당하는 날짜인지 판단하여 동절기에 해당하는 날짜이면 111단계로 진행하고, 하절기에 해당하는 날짜이면 113단계로 진행한다. 11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동절기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모드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 11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하절기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백라이트의 절기별 동작 모드가 설정된 후 백라이트부 동작 요구에 대한 제어부 동작 흐름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 동작 흐름도이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요구가 있으면 203단계로 진행한다.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요구는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나 임의의 키입력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백라이트 동작 모드를 검사한 후 2005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절기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여 절기별 동작 모드가 판단되어 있으면 207단계로 진행하고, 절기별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219단계로 진행한다. 21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2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동절기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동절기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209단계로 진행하고 동절기 동작 모드 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211단계로 진행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동절기 동작 데이터를 리드하고 213단계로 진행한다. 21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하절기 동작 데이터를 리드하고 213단계로 진행한다. 21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동절기 동작 데이터 또는 하절기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백라이트 오프시간대인지를 판단하여 백라이트 오프 시간대이면 215단계로 진행하고, 백라이트 오프 시간 대가 아니면 216단계로 진행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백라이트를 오프하고 종료한다. 21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백라이트를 일정시간 동안 온시키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라이트 동작 모드에 있어서 절기별 동작모드를 추가하여, 절기에 따라 밤, 낮의 길이가 다른 것을 구분하여 백라이트부(200)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기에 따라 낮시간 동안에는 백라이트를 오프하고, 밤 시간 동안에는 백라이트를 정상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키패드 또는 표시 화면 하부에 장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상기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백라이트의 절기별 동작 모드 설정 요구가 입력되면, 서로 다른 날짜로 지정된 복수의 날짜 기간에 각각에 대응하는 각 절기 중 현재 날짜가 포함되는 특정 절기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절기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요구가 있으면, 상기 특정 절기에 대응하며, 상기 백라이트의 오프 상태 유지 시간과 정상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읽는 과정과,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해야하는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포함되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정상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포함되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기별 동작 모드는 하절기 동작 모드와, 동절기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는 하절기 동작 데이터와 동절기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절기 동작 데이터는 하절기의 낮 시간과 밤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과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동절기 동작 데이터는 동절기의 낮 시간과 밤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과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를 온 시키는 요구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와 키입력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하는 백라이트 제어 방법.
  4.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 또는 표시 화면 하부에 장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와,
    사용자로부터 백라이트의 절기별 동작 모드 설정 요구가 입력되면, 서로 다른 날짜로 지정된 복수의 날짜 기간에 각각에 대응하는 각 절기 중 현재 날짜가 포함되는 특정 절기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절기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이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를 온 시키는 요구가 있으면, 상기 특정 절기에 대응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오프 상태 유지 시간과 정상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기별 동작 데이터를 리드(read)하여,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에 따라,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해야하는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포함되면 상기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시각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정상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포함되면 상기 백라이트를 일정 시간 동안 온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기별 동작 모드는 하절기 동작 모드와, 동절기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절기별 동작 데이터는 하절기 동작 데이터와 동절기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절기 동작 데이터는 하절기의 낮 시간과 밤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과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동절기 동작 데이터는 동절기의 낮 시간과 밤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정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과 오프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를 온 시키는 요구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와 키입력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하는 백라이트 제어 장치.
KR1020010063742A 2001-10-16 2001-10-16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1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742A KR100819261B1 (ko) 2001-10-16 2001-10-16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742A KR100819261B1 (ko) 2001-10-16 2001-10-16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158A KR20030032158A (ko) 2003-04-26
KR100819261B1 true KR100819261B1 (ko) 2008-04-02

Family

ID=2956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742A KR100819261B1 (ko) 2001-10-16 2001-10-16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21B1 (ko) * 2003-04-24 201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온/오프 주기 설정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46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백라이트 발광다이오드 제어장치
KR19990026130A (ko) * 1997-09-23 1999-04-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점등 및 소등방법
KR19990055491A (ko) * 1997-12-27 1999-07-15 서평원 씨디엠에이 방식의 단말기에 백 라이트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1999005572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Cdma이동통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65728A (ko) * 1998-01-16 1999-08-05 박원배 휴대폰의 표시판 및 키판 제어 장치
KR20000060704A (ko) * 1999-03-18 2000-10-16 서평원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46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백라이트 발광다이오드 제어장치
KR19990026130A (ko) * 1997-09-23 1999-04-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점등 및 소등방법
KR19990055491A (ko) * 1997-12-27 1999-07-15 서평원 씨디엠에이 방식의 단말기에 백 라이트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1999005572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Cdma이동통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65728A (ko) * 1998-01-16 1999-08-05 박원배 휴대폰의 표시판 및 키판 제어 장치
KR20000060704A (ko) * 1999-03-18 2000-10-16 서평원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158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0926C1 (ru) Выборочное освещение областей электронного дисплея
US6798395B1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provided with backlight
EP0907158B1 (en) Display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economy of backlight illumination
KR101196988B1 (ko)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위한 백라이트 제어
KR100782852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EP182673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421378B2 (e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010021064A (ko) 전력 절약 백라이트 제어를 갖는 휴대용 단말 장치
JP2008219659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00488213C (zh) 移动电话及其背光模式的实现方法
EP1202243A2 (en) Mobile telephone with adjustable display lighting
KR10081926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5309751A (ja) 電子装置、電子装置の省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018077A (zh) 移动终端的节电方法
JPH1084408A (ja) 携帯型電子機器
JP3138577B2 (ja) 携帯電話装置
KR20010001459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4175730B2 (ja) 情報処理装置
JPH08194445A (ja) 光表示装置を備えたマイク装置
JPH1152930A (ja) 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6140981A (ja) 無線呼出受信機
JPH1110217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9172481A (ja) 携帯型電子機器
US20140167650A1 (e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H113040A (ja) 照明灯付き携帯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