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997B1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997B1
KR100816997B1 KR1020070049796A KR20070049796A KR100816997B1 KR 100816997 B1 KR100816997 B1 KR 100816997B1 KR 1020070049796 A KR1020070049796 A KR 1020070049796A KR 20070049796 A KR20070049796 A KR 20070049796A KR 100816997 B1 KR100816997 B1 KR 10081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terminal
control terminal
distribu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주)성우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피앤씨 filed Critical (주)성우피앤씨
Priority to KR102007004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5Local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분/배전반에 각각 제어 단말기를 배치하고, 관리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제어 단말기로부터 전력선 통신을 기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상기 분/배전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단말기와 제어 단말기 사이에 통제 단말기를 부가 배치하여 상기 제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무선통신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력선 통신, 배전반, 분전반, 스위치, 전력선 모뎀, 무선모뎀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Distributing Board Total Manage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어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상기 도 1의 통제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1의 관리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배전반 각각에 제어 단말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치비용의 추가 없이 분/배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은 각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선으로서, 일반적으로 구 리와 같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은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이라면 어디라도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설치범위 또한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터넷은 정보의 공유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된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접속된 기기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인터넷의 보급을 위해서는 기존에는 인터넷 전용선이라는 별도의 라인을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각 가정에 설치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일정 속도 이상의 정보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인터넷의 보급이 전력선을 기준으로 빠르게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연립, 상가, 아파트 등 다양한 건물들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각 건물에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거나 하는 등의 조절을 위하여 분/배전반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전반의 관리를 위하여 관리자가 다수개의 분/배전반을 계측 및 제어하여 각 분/배전반의 안전상태를 체크하여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배전반 관리는 검사자가 잘못 체크하거나, 검사자의 몸 상태에 따라 계측 및 제어되지 않는 분/배전반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동일 시간에 모든 분/배전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분/배전반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의 대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건물 등에 설치된 분/배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분전 및 배전하는 분/배전반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표시하고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배전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배전반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관리 단말기와;상기 제어 단말기와 관리 단말기 간의 송수신 정보 및 제어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간의 송수신 정보를 유,무선으로 중계하는 통제 단말기; 및 상기 각 단말기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전력선;으로 이루어진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분/배전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수행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센서부와; 상기 전력선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전력선 모뎀; 및 상기 분/배전반의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검출부;로 이루어 지고,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전력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지원을 위한 제3 전력선 모뎀과;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 제어를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운영프로그램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제 단말기는 상기 관리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항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전력선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모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제1 통신모듈은 랜 연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모뎀이며, 상기 제2 통신모듈은 RS-232C, RS-422 및 RS-485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제 단말기는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외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모듈은 무선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전력선(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를 분/배전하는 분/배전반(10), 분/배전반(10)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100), 제어 단말기(100)들을 통합관리 하는 관리 단말기(300), 상기 제어 단말기(100) 및 관리 단말기(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제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제 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제어 단말기(100) 및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분/배전반(10)을 상기 제어 단말기(100)가 제어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상기 통제 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관리 단말기(300)의 관리를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전력선(30)에 연결되며, 상기 관리 단말기(300) 또한 전력선(3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상기 제어 단말기(100)로부터 분/배전반(1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각 분/배전반(10)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상기 제어 단말기(100)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300)로부터 제어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단말기(100)에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배전반(10)은 분/배전반(10)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 단말기(100)는 스위치 센서부스위치 센서부(110), 전력 검출부(120), 제1 전력선 모뎀(130) 및 제어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센서부(110)는 분/배전반(10)의 전원을 턴-온 및 턴-오프하는 스위치(20)의 스위칭 상태를 센싱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센서부(110)는 제어단말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20)의 턴-온 및 턴-오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단말 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치 센서부(110)의 턴-온 및 턴-오프 상태에 대한 값을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위치(20) 상태 제어를 전달 받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검출부(120)는 상기 분/배전반(10)의 전력을 검출한다. 이러한 전력 검출부(120)는 상기 분/배전반(1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분/배전반(10)에 흐르는 전력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전력을 검출할 수 도 있 다. 상기 전력 검출부(120)는 상기 전력 검출값을 상기 제어단말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제1 전력선 모뎀(130)은 전력선(30)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단말기(100)의 신호를 전력선(30)에 송신하거나, 전력선(30)에 흐르는 신호 중 상기 제어 단말기(100)에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1 전력선 모뎀(130)은 상기 제어 단말기(100)가 수집한 스위칭 상태, 전력 검출 값 등을 상기 전력선(30)을 통하여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말 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치 센서부(110), 상기 전력 검출부(120) 및 상기 제1 전력선 모뎀(13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단말기(100)는 내전압 즉 절연내력이 높고, VCB 직접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복전 후 차단기 자동 투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측정과 보호기능의 분리 조작이 용이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VCB 온/오프 제어키의 보호가 가능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True RMS 및 기본파 계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전압, 전류, 전력, 무효전력, 전력량, 무효전력량, 역률, 주파수 계측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 단말기는 고속 DSP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력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IrDA 포트 내장으로 PDA와 실시간 계측 및 전력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 단말기(100)는 상기 PDA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제 단말기(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의 실시 예에 다른 통제 단말기(200)는 제1 통신모듈(210), 제2 통신모듈(220), 제3 통신모듈(230), 제2 전력선 모뎀(250) 및 통제단말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통신모듈(210)은 랜 접속을 통하여 인터넷 지원이 가능한 모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통신모듈(210)은 관리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통신모듈(210)은 통제단말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3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모듈(210)은 제어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3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 통신모듈(220)은 직렬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통신모듈(220)은 상기 제어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다. 상기 제2 통신모듈(220)은 상기 제어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신호 예를 들면, 스위치 상태에 대한 신호 및 전력 검출 신호 등을 상기 통제단말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모듈(210)에 전달한다.
상기 제3 통신모듈(230)은 무선통신 모듈 예를 들면, CDMA 칩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모듈(230)은 휴대 단말기(4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상기 제3 통신모듈(230)을 통하여 통제 단말 기(200)를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제2 전력선 모뎀(250)은 상기 통제 단말기(200)를 전력선(30)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모뎀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력선 모뎀(250)은 상기 관리 단말기(300) 및 상기 제어 단말기(100)와 전력선(30)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제단말 제어부(240)는 상기 제1 통신모듈(210), 제2 통신모듈(220), 제3 통신모듈(230) 및 제2 전력선 모뎀(250)을 제어하며,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통제단말 제어부(240)는 제2 통신모듈(220)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모듈(210)을 통하여 관리 단말기(3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단말 제어부(240)는 상기 제2 통신모듈(22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제3 통신모듈(230) 및 제2 전력선 모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통제단말 제어부(240)는 상기 제1 통신모듈(210), 제2 전력선 모뎀(250) 및 상기 제3 통신모듈(2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모듈(220)을 통하여 제어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계측 표시, 경보상태, 분/배전반(10)의 스위치 온/오프 제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랜 등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고장점 세팅 관리 및 고장 예측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400)와 연계되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4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긴급 상황에 대한 음성 통보 및 레터링 서비스와 같은 대화 기능을 포함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통제 단말기(200)는 RS-232C, RS-422, RS-485, 이더넷, 디지털 입력/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예를 들면 PD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IrDA 통신으로 통제 단말기(200) 또는 제어 단말기(100) 주변에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단말기(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 단말기(300)는 통신모듈(310), 입력부(320), 제3 전력선 모뎀(330), 제어부(340), 표시부(350) 및 메모리(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310)은 상기 통제 단말기(200)의 제1 통신모듈(2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모듈(310)은 상기 제1 통신모듈(210)과 유사 또는 동일한 통신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모듈(310)은 제1 통신모듈(210)과 같이 랜 연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모뎀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관리 단말기(300)가 지원하는 운영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및 분/배전반(10) 상태를 지시하거나 각 분/배전반(10)의 스위치(20)를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등을 생성하여 제어부(340)에 전달한다.
상기 제3 전력선 모뎀(330)은 상기 관리 단말기(300)를 전력선(30)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상기 제3 전력선 모뎀(330)을 통하여 상기 통제 단말기(200), 상기 제어 단말기(100)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각 구성의 운용을 제어하고, 상기 각 구성 간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350)는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주파수, 역률 및 Demand 계측 및 고조파 분석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350)는 상기 각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50)는 상기 각 정보 중 특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창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제어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신호 즉, 각 분/배전반(1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관리 단말기(300)를 운용할 수 있는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분/배전반(10) 제어 상태에 대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특정 운영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운영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설정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메타 자동인식 기능과 사용자 등록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자동통신 스케줄링 기능, 알람 및 이벤트 로그 기능, 데이터 베이스 지원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일보/주보/월보/년보로 수집된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알람 발생 시, SMS 및 Email 발송 기능을 제 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단말기(300)는 상기 SMS 기능 지원을 위하여 상기 통제 단말기(2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제어 단말기(100)를 각 분/배전반(10)에 설치하고,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단말기(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리 단말기(300)와 제어 단말기(100) 사이에 통제 단말기(200)를 배치하여, 다수의 제어 단말기(100)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필요한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각 단말기 구성이 통신 네트웍에 중복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각 단말기 구성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웍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 및 상기 통제 단말기는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는 전력선 통신으로 네트웍에 접속되며, 상기 통제 단말기는 랜 선을 통하여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단말기 및 상기 통제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IrDA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예를 들면 PDA와 같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 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분/배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분/배전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력을 분전 및 배전하는 분/배전반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표시하고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배전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배전반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관리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와 관리 단말기 간의 송수신 정보 및 제어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간의 송수신 정보를 유,무선으로 중계하는 통제 단말기; 및
    상기 각 단말기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전력선;으로 이루어진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분/배전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수행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센서부와;
    상기 전력선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전력선 모뎀; 및
    상기 분/배전반의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검출부;로 이루어 지고,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전력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지원을 위한 제3 전력선 모뎀과;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 제어를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운영프로그램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제 단말기는
    상기 관리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항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전력선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모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듈은 랜 연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모듈은 RS-232C, RS-422 및 RS-485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 단말기는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외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49796A 2007-05-22 2007-05-22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1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96A KR100816997B1 (ko) 2007-05-22 2007-05-22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96A KR100816997B1 (ko) 2007-05-22 2007-05-22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997B1 true KR100816997B1 (ko) 2008-03-27

Family

ID=3941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796A KR100816997B1 (ko) 2007-05-22 2007-05-22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7093A (zh) * 2020-10-27 2021-04-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低压集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325A (ko) * 2003-10-15 2005-04-20 김순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325A (ko) * 2003-10-15 2005-04-20 김순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7093A (zh) * 2020-10-27 2021-04-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低压集抄方法和装置
CN112687093B (zh) * 2020-10-27 2022-07-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低压集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U2012101351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JP5249647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AU2012100197B4 (en) Power sensor
MX2012008468A (es) Panel de interruptor de circuito.
CN101826755A (zh) 智能配电网及用电实时监控管理系统
AU2011101402C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JP2010517135A (ja) 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
KR100712957B1 (ko) 자동리셋장치가 구비된 배전자동화장치
KR20130061938A (ko) Plc 통신기반 단상전력 수용가의 누전 및 과부하 검출 시스템
JP2005312112A (ja) 電力線搬送制御システム
KR20180054246A (ko) IoT 기반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한 과부하를 포함하는 아크겸용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장치
KR10081699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00067197A (ko)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KR20090105779A (ko) 고압수용가의 파급장애 검출과 원격검침을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997714B1 (ko) 티씨피/아이피를 이용한 절전형 파워 아웃렛 및 상기 아웃렛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AU2011101409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AU201110138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U201110140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20150074666A (ko) 디지털 전원분배 시스템
AU201110084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20110124576A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비 전력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