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197A -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197A
KR20100067197A KR1020080125657A KR20080125657A KR20100067197A KR 20100067197 A KR20100067197 A KR 20100067197A KR 1020080125657 A KR1020080125657 A KR 1020080125657A KR 20080125657 A KR20080125657 A KR 20080125657A KR 20100067197 A KR20100067197 A KR 2010006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125B1 (ko
Inventor
안생열
Original Assignee
(주)우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광테크 filed Critical (주)우광테크
Priority to KR102008012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1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은 변압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각종 전기설비 계통인 전력사용기기로 배전하며, 상기 변압기 및 다수의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송수신하고 전력의 개폐동작을 하는 분전부, 상기 분전부와 무선통신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 상기 분전부 및 상기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확인한 결과를 일정한 기간별로 통계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계화된 결과에 따라 상기 분전부의 개폐 및 전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유무선통신에 의한 분전부에 대한 원격제어, 말단의 전력사용기기의 누전, 고장, 화재에 대한 실시간 확인 및 날짜에 의한 통계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무선통신, PLC, 지그비, 블루투스, RFID, LED 통신

Description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관리시스템은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특정의 전력이 흐르는 배전로나 작업자를 감시, 제어하여 목표하는 결과나 값을 얻는 시스템으로 기본 형태에는 피드포워드(feedforward)와 피드백(feedback) 두 가지가 있다. 전력관리시스템은 전기적 ?기계적 방법, 유체의 압력 등 이들의 복합된 방법으로 작동하고, 건물의 온도 및 습도 조절 등 실제로는 모든 면이 제어 시스템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관리 시스템은 출원번호 10-1998-0707298인 전기 설비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력 소비를 사용자측에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설비로부터의 사용자 피크 전력 수요 변화를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분전부에 대한 원격제어에 대한 기술이 없어 사용자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공급관리 시스템으로는 출원번호 20-2003-0026078인 전력공급자의 전력설비인 배전선로의 전력공급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 가공선로와 지중선로의 구분을 하지 않고 모든 변압기, 스위치, 맨홀, 전력구 등의 필요 정보들을 검출하여, 전파법에 의한 특정 소출력의 근거리무선통신방식 단말기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무선통신시스템과 상용의 장거리통신수단인 PCS폰모듈을 혼용하여 종합정보 관리용 Internet Web Server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소정의 새로운 데이터들을 재생산하여 담당 관리자뿐만 아니라 관련된 부서의 PC나 PDA, Mobile Phone 등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배전선로의 전력설비관리를 하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각각의 전기설비 부하를 복합적으로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제어하는 측면이 부족한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과학적이고 말단의 전기설비부하에 대한 감시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전력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설비 등 부하에 대하여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제어, 누전, 고장, 화재 등에 대한 실시간 확인 및 날짜에 의한 통계관리가 가능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은, 변압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각종 전기설비 계통인 전력사용기기로 배전하며, 상기 변압기 및 다수의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송수신하고 전력의 개폐동작을 하는 분전부; 상기 분전부와 유무선통신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 상기 분전부 및 상기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확인한 결과를 일정한 기간별로 통계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계화된 결과에 따라 상기 분전부의 개폐 및 전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전부는, 상기 수신된 저압의 전력을 분기회로마다 전력을 분기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폐기로 형성되어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다수의 전력사용기기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A, 상기 변압기 및 상기 분전부에 누전, 고장, 화재등이 있는지 여부, 부하율, 온도 및 압력,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기B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 에서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관리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분전부에 대한 상기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유무선통신모듈; 상기 분전부의 유무선통신부와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전력사용기기로의 전력전송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전력수신에 누전이 있는지 여부, 상기 전력사용기기, 변압기, 상기 분전부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부하율, 온도 및 압력,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 정전여부 및 누전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 수신하여, 수신된 결과를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에 따라 상기 개폐부 및 상기 분전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유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분전부으로 송신하는 제어모듈;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분전부의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한 전력사용기기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폐부로 전력공급을 막도록 상기 유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분전부의 상기 유무선통신부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개폐기제어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전력사용기기로의 전력송신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상기 분전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OFF)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은, 분전부가 변압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다수의 전력사용기기로 배전하는 제1 단계; 상 기 분전부는 상기 전력사용기기, 상기 변압기 및 자신의 상태를 감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력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한 전력관리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통계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분전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분전부을 원격제어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에 의해, 분전부의 전기 설비 등과 같은 전기부하에 대한 원격제어, 누전, 고장, 화재등에 대한 실시간 확인 및 날짜에 의한 통계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부(30)와 이에 대한 전력을 관리하는 분전부(30)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계량기(10), 변압기(20), 분전부(30), 전력사용기기(50) 및 전력관리장치(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부(30)의 작동이 온(ON)될 경우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으로부터 고압 전력을 공급받은 후, 계량기(10), 변압기(20)를 거쳐 분전부(30) 쪽 분 전반(31)에 저압측 상용 전력이 공급된다.
계량기(10)는 한국전력의 송전선으로부터 고압 전력을 공급받을 경우 현재의 전력이 계량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다. 즉, 계량기(10)는 물리량의 크기나 변화를 적당한 장치나 물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물리량, 즉 길이?각도?전기 펄스 등으로 변환하여 눈금이나 숫자로써 나타낸다.
변압기(20)는 계량기(10)를 통과하여 송전선으로 수신되는 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한 뒤, 분전부(30)으로 전송한다.
분전부(30)는 변압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각종 전기설비 계통인 전력사용기기(50)로 배전한다. 분전부(30)에는 분전반(31), 다수의 감지기(35a 내지 35d)를 포함하는 감지부(35), 무선통신부(37) 및 다수의 개폐기(33a, 33b)를 배치하여 전로(電路)의 개폐나 기기(機器)의 제어와 감시를 쉽게 한다. 한편, 분전부(3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전력사용기기(50)는 컴퓨터, 제어기기, 기계장치 등의 전력을 소비하는 기계 및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즉, 전력사용기기(50)는 분전부(30)를 통해 분배되어 공급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70)는 분전부(30)와 무선통신에 의해서 ① 전력사용기기(50)로의 전력전송에 누전이 있는지 여부, ② 전력사용기기(50)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③ 변압기의 부하율, 온도 및 압력, ④ 분전부(30)의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 ⑤ 정전여부 및 누전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부(33), 분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의 감지된 결과를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전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전부(30)는 분전반(31), 개폐부(33), 감지부(35) 및 유무선통신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분전반(31)은 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장치를 말한다. 한편, 주택의 분전반은 컷 아웃스위치를 배열하여 고정한 간단한 것이지만, 빌딩의 경우는 적어도 각 층마다 강철로 만든 분전반이 벽 속에 설치되어 있고 완전한 개폐문이 달려 있다. 본 발명에서 분전반(31)은 개폐기(33a, 33b)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분전한다.
개폐부(33)는 다수의 개폐기(33a, 33b)로 형성되며 스위치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개폐부(33)는 말단의 전력사용기기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감지부(35)는 다수의 감지기(35a, 35b, 35c, 35d)로 형성된다.
제1 감지기(35a)는 제1 전력사용기기(50a)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제1 전력사용기기(50a)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2 감지기(35b)는 제2 전력사용기기(50b)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료 전력량, 제2 전력사용기기(50b)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3 감지기(35c)는 제3 전력사용기기(50c)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료 전력량, 제3 전력사용기기(50c)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4 감지기(35d)는 변압기(20) 및 분전부(30)에 누전이 있는지 여부, 변압기의 부하율, 온도 및 압력, 변압기(20) 및 분전부(30)의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33), 분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감지된 결과는 전력관리장치(70)로 송신함으로써,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유무선통신부(37)는 감지부(35)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력관리장치(70)로 송신하며, 전력관리장치(7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은 무선랜, WiFi, Wibro, PLC,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LED를 이용한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력관리장치(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관리장치(70)는 유무선통신모듈(71), 제어모듈(73), 분석모듈(75), 개폐기제어모듈(7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유무선통신모듈(71)은 분전부(30)의 감지부(35)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분전부(30)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은 무선랜, WiFi, Wibro, PLC,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LED를 이용한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도 사용될 수 있다.
분석모듈(73)은 분전부(30)의 유무선통신부(37)와의 통신에 의해서 ① 전력사용기기(50)로의 전력전송 및 변압기(20)로부터의 전력수신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 ②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③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의 부하율, 온도 및 압력, ④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의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 ⑤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에 대한 정전여부 및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감지된 결과를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석모듈(75)에 의해 통계화된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모듈(75)은 분석모듈(73)의 분석에 따라 개폐부(33), 분전부(30)를 제어하는 신호를 유무선통신모듈(71)에 의해 분전부(3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하는 신호는 각 전력사용기기(50)로의 전력송신을 차단하기 위한 분전부(30)의 개폐부(3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분전부(3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OFF) 신호일 수 있다.
개폐기제어모듈(77)은 분전부(30)의 유무선통신부(37)를 통해 전송된 장애요소 수신시 해당 개폐부(33)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즉, 분전부(30)의 유무선통신부(37)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개폐기제어모듈(77)이 판단할 경우 해당 개폐부(33)를 통해 전력의 공급을 막도록 무선통신모듈(71)을 통해 무선통신부(37)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분전부(30)가 변압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전력사용기기(50)로 배전한다(S10).
분전부(30)는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및 자신의 상태를 감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력관리시스템(70)으로 전송한다(S20).
분전부(30) 내에는 다수의 감지기(35a 내지 35d)를 포함하는데, 제1 감지기(35a)는 제1 전력사용기기(50a)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제1 전력사용기기(50a)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또한, 제2 감지기(35b)는 제2 전력사용기기(50b)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료 전력량, 제2 전력사용기기(50b)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제3 감지기(35c)는 제3 전력사용기기(50c)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료 전력량, 제3 전력사용기기(50c)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한 편, 제4 감지기(35d)는 변압기(20) 및 분전부(30)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 변압기의 부하율, 온도 및 압력, 변압기(20) 및 분전부(30)의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실시간 감지된 데이터들은 유무선통신부(37)를 통해 전력관리장치(70)로 실시간 전송된다.
전력관리시스템(70)은 수신된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통계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분전부(30)로 전송한다(S30).
즉, 전력관리시스템(70)은 분전부(30)의 유무선통신부(37)와의 통신에 의해서 ① 전력사용기기(50)로의 전력전송 및 변압기(20)로부터의 전력수신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 ②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이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③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의 부하율, 온도 및 압력, ④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의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 ⑤ 전력사용기기(50), 변압기(20), 분전부(30)에 대한 정전여부 및 누전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감지된 결과를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상기 분석에 따라 전력관리시스템(70)은 개폐부(33), 분전부(30)을 제어하는 신호를 분전부(3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 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리장치을 사용함으로써, 분전부에 대한 전력관리를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부와 이에 대한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계량기 20: 변압기
30: 분전부 50: 전력사용기기
70: 전력관리시스템

Claims (5)

  1. 변압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압의 전력을 각종 전기설비 계통인 전력사용기기로 배전하며, 상기 변압기 및 다수의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그 결과를 송수신하고 전력의 개폐동작을 하는 분전부; 및
    상기 분전부와 유무선통신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 상기 분전부 및 상기 전력사용기기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확인한 결과를 일정한 기간별로 통계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계화된 결과에 따라 상기 분전부의 개폐 및 전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부는,
    상기 수신된 저압의 전력을 분기회로마다 전력을 분기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폐기로 형성되어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다수의 전력사용기기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A, 상기 변압기 및 상기 분전부에 누전, 고장, 화재등이 있는지 여부, 부하율, 온도 및 압력,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기B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관리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분전부에 대한 상기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유무선통신모듈;
    상기 분전부의 유무선통신부와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전력사용기기로의 전력전송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전력수신에 누전, 고장, 화재 등이 있는지 여부, 상기 전력사용기기, 변압기, 상기 분전부가 사용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량, 부하율, 온도 및 압력, 역률, 주파수, 고조파, 상간 불평형 여부 정전여부 및 누전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 수신하여, 수신된 결과를 일, 월, 년 별로 통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에 따라 상기 개폐부 및 상기 분전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유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분전부으로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부의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한 전력사용기기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폐부로 전력공급을 막도록 상기 유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분전부의 상기 유무선통신부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개폐기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전력사용기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상기 분전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OFF) 신호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KR1020080125657A 2008-12-11 2008-12-11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KR10109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57A KR101097125B1 (ko) 2008-12-11 2008-12-11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57A KR101097125B1 (ko) 2008-12-11 2008-12-11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197A true KR20100067197A (ko) 2010-06-21
KR101097125B1 KR101097125B1 (ko) 2011-12-22

Family

ID=4236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57A KR101097125B1 (ko) 2008-12-11 2008-12-11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1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28B1 (ko) * 2010-12-23 2011-03-25 주식회사 남전사 온도검출을 통한 화재 방지용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35174B1 (ko) * 2010-06-29 2012-04-16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지상변압기 내부 고장판단장치 및 방법
WO2016060317A1 (ko) * 2014-10-13 2016-04-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반도체 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및 방법
KR20160144537A (ko) * 2015-06-08 2016-12-19 한국전기연구원 불검출상황을 탐지할 수 있는 무순단 절체 전력계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9506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고속 데이터 수집에 기반한 수요 자원 분석 및 전력설비 운전 진단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74B1 (ko) * 2010-06-29 2012-04-16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지상변압기 내부 고장판단장치 및 방법
KR101024628B1 (ko) * 2010-12-23 2011-03-25 주식회사 남전사 온도검출을 통한 화재 방지용 전자식 전력량계
WO2016060317A1 (ko) * 2014-10-13 2016-04-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반도체 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및 방법
KR20160144537A (ko) * 2015-06-08 2016-12-19 한국전기연구원 불검출상황을 탐지할 수 있는 무순단 절체 전력계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9506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고속 데이터 수집에 기반한 수요 자원 분석 및 전력설비 운전 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125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72B1 (ko)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0420491B1 (ko) 분전반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US201202964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KR101097125B1 (ko)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US8774707B2 (en) Utility grid wireless node with powered emergency device
US201200047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1938A (ko) Plc 통신기반 단상전력 수용가의 누전 및 과부하 검출 시스템
KR20200089473A (ko)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대분전반
KR101794580B1 (ko) 지능형 세대 분전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1488183B1 (ko)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20120052622A (ko)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KR200432760Y1 (ko) 가정용 최대수요전력 감시 장치
KR101146847B1 (ko) 주거단지의 에너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000006898A (ko) 전력부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식전력량계
KR101656833B1 (ko) 공공 기상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자동 목표 전력 관리 시스템
KR100997714B1 (ko) 티씨피/아이피를 이용한 절전형 파워 아웃렛 및 상기 아웃렛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111368A (ko)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119256A (ko) 차단기별 부하 전력 상태 감시를 위한 차단기 일체형 전력계측방법
CN202276086U (zh) 开关柜温湿度监控及状态显示装置
KR20030082494A (ko) 배전선로 종합정보 수집시스템
KR10081699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분/배전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036567A (ko) 웹 기반의 전력 수요 예측, 전력 및 에너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