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163B1 - 인공 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163B1
KR100816163B1 KR1020070023294A KR20070023294A KR100816163B1 KR 100816163 B1 KR100816163 B1 KR 100816163B1 KR 1020070023294 A KR1020070023294 A KR 1020070023294A KR 20070023294 A KR20070023294 A KR 20070023294A KR 100816163 B1 KR100816163 B1 KR 10081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oling
fixed
shaf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경
Original Assignee
최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경 filed Critical 최혜경
Priority to KR102007002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sledging or ski trail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가 형성된 음료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통 내경면에 결빙된 얼음층을 얇게 컷팅하여 얼음이 음료수용부재의 테이블에 수납보관된 음료용기 상부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진열 또는 수납보관된 음료용기가 차거운 상태에서 보관되도록 함과 더불어 커팅되어 떨어지는 얼음이 마치 눈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요자의 시선집중 및 눈을 이용한 냉장방식을 통해 음료가 신선한 상태로 저장되고 있다는 느낌이 수요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각 부품의 조립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성이 부가되어 장소의 선택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인공 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 눈 제조장치{ARTIFICIAL SNOW PRODUC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인공 눈 제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인공 눈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눈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냉각통과 회전광고판의 구성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와 커팅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눈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 음료수용부재 109 : 냉각통
110 : 밀폐판 112 : 제1베어링블럭
113 : 회전축 115 : 고정너트
116 : 회전부재 120 : 커팅부재
121 : 물주입홈 123 : 물공급관
127 : 구동모터 128 : 보강부재
129 : 고정부 133 : 고정브라켓
135 : 구동샤프트 139 : 연동샤프트
140 : 고정케이싱 143 : 제1연동축
147 : 제2연동축 149 : 회전광고판
160 : 냉각장치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가 형성된 음료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에 수납보관된 음료용기의 상부로 인공의 눈이 적설되게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체의 내부에 회전체를 설치하여 인공의 눈을 제조하는 강설장치는 야외와 같이 저온영역에서 함박눈 상태로 연속적인 강설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스키장 등과 같은 야외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강설장치를 응용하여 실내에서 보관할 수 있는 맥주와 같은 음료가 계절에 관계없이 눈에 쌓인 상태로 보관 및 진열될 수 있도록 한 "인공 눈 제조장치(출원번호 10-2006-0002239)"가 2006년 01월 09일자로 출원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인공 눈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냉각통(10)과, 냉각통(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장치(20)와, 회전장치(20)의 외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다수의 컷팅장치(30)와, 회전장치(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0), 냉각통(1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50)와, 냉각통(10)의 내경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장 치(60)와, 냉각통(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70) 및 눈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냉각통(10)의 내경면에 생성되는 얼음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물분배장치(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통(10)은, 그 측벽이 내통(1)과 외통(2)으로 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내통(1)의 외주벽에는 사각의 냉매파이프(3)가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냉매파이프(3)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으로 구성되는 냉각장치(50)에 연결되어 냉매의 압축순환을 통해 냉각통(10)의 내경면를 냉각시킨다.
아룰러, 상기 내통(1)과 외통(2) 사이의 중공부에는 부동액(4)이 충진되어 냉매파이프(3)와 열교환을 하면, 오랜 시간 동안 저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저온 상태의 냉기를 냉각통(10)의 내통(1)에 전달함으로써, 물이 보다 쉽게 얼 수 있도록 하며, 냉각통(10) 내부의 냉기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통(10)의 외부에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층(5)이 결합되어 냉각통(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전달되는 열이나 냉기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회전장치(20)는, 냉각통(10)의 상부벽에 수직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회전본체(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된 내부에는 부동액(12)이 충진된다.
아울러, 회전본체(11)의 상부회전축(13)은 내부가 중공되어 물공급관(61)이통과되게 하였으며, 그 상단은 구동장치(40)의 구동베벨기어(31)와 치합되도록 피동베벨기어(32)가 축설된다.
한편, 상기 회전장치(20)의 회전본체(11) 외주면에는 다수의 컷팅장치(30)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지그재그 또는 나선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컷팅장치(30) 는 회전본체(11)에 고정봉(21)이 장착되며 그 끝단에 칼날부(22)를 결합시켜 냉각통(10)의 내경면의 얼음을 긁어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한 구동베벨기어(1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와 구동베벨기어(31)에 치합된 피동베벨기어(32)로 구성되어 있다.
물공급장치(60)의 물공급관(6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소량만큼만 저장할 수 있는 물수용부(62)가 회전장치(20)의 상부회전축(13) 중공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수용부(6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니플(63)이 설치되어 상부회전축(13)의 외주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컷팅장치(30)의 고정봉(21)에 설치된 노즐(64)까지 호스(65)로 연결되어 노즐(64)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 물공급장치(60)의 물공급관(61) 상에는 물분배장치(80)가 설치되며, 물분배장치(80)는 제1전자밸브(81)와 제2전자밸브(82)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전자밸브들은 물공급관(61)과 연결되어 있으며, 부동액의 온도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공 눈 제조장치는, 구동장치(40)의 구동베벨기어(31)와 피동베벨기어(32)가 치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소음발생이 심한 문제점이 있으며, 냉각통(10)의 경우, 내, 외통(1)(2)의 이중구조로 성형함에 있어 내, 외통(1)(2)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부동액(4)이 충진되도록 밀폐성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부동액의 누수현상이 우려되며, 오랜 사용 시 부동액의 교체 및 재충진 등 그 유지관리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냉매파이프(3)를 내통(1)의 외경면에 모두 용접시공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며, 제품의 정밀도도 감소하고, 이에 따라, 원형이 아닌 타원형 내통이 제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공 눈 제조장치는 천정에 매달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한번 설치될 경우 한 장소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이동이 요구될 경우 전문가에 의해 이동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이 자유롭고, 부동액을 충진하지 않으면서도 냉매파이프를 냉각통에 일일이 용접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도록 냉각통과 냉매파이프를 인서트사출하여 냉각통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며, 냉각통과 테이블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하여 장소에 제한없이 최적의 상태로 조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성을 부가되어 장소의 선택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게하며, 냉각통 내경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는 커팅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이 보호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소음으로 정속운전될 수 있게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101)과, 테이블(101)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102)가 형성된 음료수용부재(103)를 포함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밴딩된 냉매파이프(104)와 온도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센서삽입통(105)을 지그로 고정하여 주물용 금형에 삽입하고, 상, 하단에 날개부(106)가 돌출된 수직 원통형 또는 상협하광형상으로 테이퍼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인서트사출시킨 후 외경면 둘레에 단열 재(107)를 형성하고 커버부재(108)로 단열재(107)를 고정한 냉각통(109)과; 상기 냉각통(109) 상단에 볼팅결합되는 밀폐판(110)에 결합되며, 냉매파이프(104)의 양단에 연결되어 냉각싸이클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통(109)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160)와; 상기 밀폐판(110)에 형성된 제1통공(111)의 제1베어링블럭(112)을 상향관통하는 회전축(113) 상단의 나사부(114)에 고정너트(115)가 체결되며, 회전축(113) 하부는 회전축(113)보다 지름이 큰 다각형 외경으로 형성된 회전부재(116)와; 상기 회전부재(116)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설치되도록 외경 각면에 고정단(117)이 볼팅고정되며, 고정단(117)으로부터 냉각통(109) 내경면의 근접위치까지 연장되는 아암(118)의 끝단에 칼날부(119)가 설치고정된 다수개의 커팅부재(120)와; 상기 회전축(113) 상부면에 형성된 물주입홈(121)과 연결되어 원격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며, 전자개폐식 전자밸브(122)가 설치된 물공급관(123)과; 상기 커팅부재(120)의 아암(118)에서 결합되며, 회전축(113) 외경면에서 물주입홈(121)의 하부로 천공되는 다수 개의 나사공(124)에 결합된 니플(125)로부터 연결된 호스(126) 끝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냉각통(109) 내경면으로 토출하는 커팅부재(120)의 아암(118)에 고정되는 분사노즐(126)과; 상기 센서삽입통(105)에 삽입된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냉각통(109) 측벽의 온도를 검출하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전자밸브(122)의 개폐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음료수용부재(103)의 받침부(102) 내측에서 구동축(127a)이 상향을 향하도록 기립설치된 구동모터(127)의 동력을 커팅부재(1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테이블(101) 상부에 하부 플랜지(128a)가 볼팅고정되며, 상단에는 상부 플랜지(128b)의 중심에 형성된 제2통공(128c)에 제2베어링블럭(128d)이 결합된 원통형 보강부재(128)와; 원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129)가 중심에 형성되고, 고정부(129)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바(도 3과 도 4, 도 6에는 '+'자형으로 표현되었으므로 도시되지 않음) 끝단에 평면 링형태의 받침판(130)이 형성되어 냉각통(109)의 하단에 볼팅고정되며, 고정부(129)의 제3통공(131)에 제3베어링블럭(132)이 결합된 고정브라켓(133)과; 상기 구동모터(127)의 구동축(127a)과 커플링(134)으로 축결합되며, 보강부재(128)의 내측으로 수직기립되어 제2통공(128c)으로 관통되는 구동샤프트(135)와; 상기 보강부재(128)의 상부 플랜지(128b)에 하부 고정원판(136a)이 볼팅결합되고, 상부 고정원판(136b)은 고정브라켓(133)의 고정부(129)에 볼팅결합되는 중공된 보조브라켓(136)과; 상기 회전부재(116)의 저부 중심에 형성된 다각형 회전홈(137)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의 다각형 외경면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제3통공(131)으로 하향관통되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샤프트(135)의 상단에 커플링(138)으로 축이음된 연동샤프트(13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을 덮을 수 있도록 밀폐판(110) 상부에 볼팅결합되는 캡형상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싱(140)과;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 상단에 축설된 제1스퍼기어(141)와; 상기 고정케이싱(140)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된 고정편(142)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고정케이싱(140)의 상부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동축(143)의 하 단에 축설되어 제1스퍼기어(141)에 치합되는 제2스퍼기어(144)와; 상기 제1연동축(143)의 상단에 축설되는 제3스퍼기어(145)와; 상기 고정케이싱(140) 내측에 결합된 지지판(146)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결합되고, 상단은 고정케이싱(14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며, 물공급관(123)이 하향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연동축(147)에 축설되어 제3스퍼기어(145)에 치합되는 제4스퍼기어(148)와; 상기 제2연동축(147) 상단에 고정결합되어 제2연동축(147)과 함께 동반회전하며,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광고판(149)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부재(120)는 회전부재(116)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18° 기울어져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물공급관(123)에 결합되어 물주입홈(121)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펌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물공급관(123) 상에 분배관(151)을 설치하고, 콘트롤러에 설정된 냉각온도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분배관(151)이 콘트롤러에 의해 전자개폐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전자밸브(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료수용부재(103)의 받침부(102) 하단에 설치된 다수 개의 캐스터(15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료수용부재(103)의 받침부(102)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너트(154)에 체결되어 음료수용부재(103)의 높낮이와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나사(15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26)에 열선(도시하지 않음)을 권취시키고, 구동모 터(127)가 정지된 후 재가동하기 전에 콘트롤러에 설정된 시간 동안 콘트롤러가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101)과, 테이블(101)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102)로 이루어진 음료수용부재(103)와, 냉각통(109), 냉각장치(160), 회전부재(116), 커팅부재(120), 물공급관(123), 분사노즐(126), 콘트롤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료수용부의 받침부(102) 내부에는 구동모터(127)의 구동축(127a)이 상향으로 기립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127)를 기립고정시키는 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에 볼팅고정하는 통상의 고정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채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동모터(127)의 고정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음료수용부재(103)의 받침부(102) 하단에는 다수 개의 캐스터(153)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눈 제조장치가 캐스터(153)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때 그때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음료수용부재(103)의 받침부(102)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너트(15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나사(155)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캐스터(153)에 의해 장소가 이동된 후에는 높이조절나사(155)를 높이조절너트(154)에 더 체결하거나 풀어서 캐스터(153)가 바닥면으로부 터 이격되게 함과 동시에 음료수용부재(103)를 포함하는 그 밖의 구성요소가 높이조절나사(155)에 의해 지지고정되게 하여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공 눈 제조장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127)의 구동축(127a)에는 구동샤프트(135)가 기립된 상태에서 커플링(134)으로 축이음되고, 이때, 상기 구동샤프트(135)는 보강부재(128)의 하부 플랜지(128a)에 설치되는 베어링(15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35)와 보강부재(128)는 동력전달수단의 한 구성요소로서, 보강부재(128)는, 테이블(101) 상부에 하부 플랜지(128a)가 볼팅고정되며, 상단에는 상부 플랜지(128b)의 중심에 형성된 제2통공(128c)에 제2베어링블럭(128d)이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샤프트(135)는 원통형 보강부재(128)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기립설치되며, 구동샤프트(135)의 안정적인 기립설치와 회전을 위하여 보강부재(128)의 상부 플랜지(128b)의 제2통공(128c)으로 관통되는 구동샤프트(135)가 제2베어링블럭(128d)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28)의 상부 플랜지(128b) 상단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보조브라켓(136)의 하부 고정원판(136a)이 볼팅결합되고, 보조브라켓(136)의 상부 고정원판(136b)은 고정브라켓(133)의 중심에 형성된 원판형 고정부(129)에 볼팅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부(129)에는 제3통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3통공(131)에는 제3베어링블럭(132)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129)에서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바가 연장형성되 고, 이 고정바의 끝단에는 평면 링형태의 받침판(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각통(109)은, 나선형으로 밴딩된 냉매파이프(104)와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센서삽입통(105)을 지그로 고정하여 주물용 금형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인서트사출하여 도 3과 도 4와 같은 수직 원통형으로 주물제작될 수 있게 하거나, 도 6과 같이 상협하광형상으로 테이퍼진 원통형 형상으로 주물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물제작되는 냉각통(109)의 상, 하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06)가 돌출성형되도록 하고, 상, 하단 날개부(106)사이의 외경면 둘레에는 단열재(107)를 부착한 후 커버부재(108)를 날개부(106) 외경면에 볼팅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커버부재(108)를 날개부(106) 외경면에 볼팅고정시킨 후 우레탄을 커버부재(108) 내측에 발포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된 냉각통(109)은 고정브라켓(133)의 받침판(130)에 도 4와 같이 볼팅고정되며, 냉각통(109)의 상단에는 냉각통(109)의 상단을 차단하는 밀폐판(110)을 볼팅결합시키되, 밀폐판(110) 중심에 형성된 제1통공(111)에는 제1베어링블럭(112)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냉각통(109)의 냉매파이프(104) 양단에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냉각장치(160)가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순환시킴으로써, 냉매파이프(104)에 의한 냉각통(109)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통(109)의 내경면을 차갑게 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물공급관(123)과 분사노즐(126)을 통해 분사된 물이 냉각통(109)의 내경면에서 결빙되게 한다.
상기한 냉각장치(16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판(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냉각통(109)의 내부에는 회전부재(116)가 구동샤프트(13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이 회전부재(116)에 결합된 커팅부재(120)가 냉각통(109) 내경면의 얼음을 긁거나 커팅하여 긁히거나 커팅된 얼음분말 또는 얼음가루가 음료수용부재(103)의 상부로 낙하하게 한다.
상기한 회전부재(116)의 상단은 봉형상으로 된 회전축(113)이 냉각통(109) 상단에 결합되는 밀폐판(110)의 제1통공(111)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제1베어링블럭(112)을 상향관통하며, 이 회전축(113) 상단에는 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제1베어링블럭(112)을 상향관통한 회전축(113)의 나사부(114)에 고정너트(115)를 체결하면 고정너트(115)가 제1베어링블럭(112)에 받쳐지게 되므로 회전축(113)을 포함하는 회전부재(116)가 제1베어링블럭(1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 하부는 회전축(113)보다 지름이 큰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회전부재(116)의 저부 중심에는 다각형으로 회전홈(137)을 성형하고, 이 회전홈(137)에는 다각형의 외경면으로 성형된 연동샤프트(139)의 상부가 회전홈(137)에 삽입되게 하고, 봉형상으로 성형된 연동샤프트(139)의 하부를 고정부(129)의 제3통공(131)으로 하향관통시켜 구동샤프트(135)의 상단에 커플링(138)으로 축이음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116)에 결합되는 커팅부재(120)는, 회전부재(116)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설치되도록 다각형 외경면 각면에 고정단(117)이 볼팅고정되며, 이 고정단(117)에는 아암(118)이 냉각통(109) 내경면의 근접위치까지 연장형성되고, 아암(118)에는 칼날부(119)가 설치고정되어 냉각통(109)의 내경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거나 커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부재(120)는 회전부재(116)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18° 기울어져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칼날부(119)가 냉각통(109)의 내경면과 수직으로 접하면서 얼음을 긁게 되면 칼날부(119)에 부하발생하여 자칫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비스듬하게 접촉하면서 얼음을 긁거나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113)의 상부면에는 물주입홈(121)이 하향으로 일정깊이까지 천공되고, 이 물주입홈(121)에는 원격에서 직수되는 물을 물주입홈(121)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물공급관(123)이 결합되는 바, 상기 물공급관(123)에는 전자개폐식 전자밸브(122)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물공급관(123)에서의 물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관(123)에는 분배관(151)과 분배관(151)을 전자개폐하는 보조전자밸브(152)를 더 설치하여 콘트롤러에 의해 전자밸브(122)와 보조전자밸브(152)의 개폐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러에는 냉각통(109) 측벽의 온도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을 설정된 양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센서삽입통(105)에 삽입된 온도센서가 냉각통(109) 측벽의 온도를 검출하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온도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공급관(123)에는 펌프(150)를 결합시켜 결합되어 물주입홈(121)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눈 제조장치가 설치되는 건물의 높이와 물공급관(123)으로 공급되는 수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에 형성된 물주입홈(121)의 하단으로 관통되도록 회전축(113)에는 다수 개의 나사공(124)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124)에는 호스(126)의 일단이 연결되게 하는 니플(125)을 각각 체결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니플(125)에 연결된 각 호스(126)의 타단은 아암(118)에 고정되는 분사노즐(126)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콘트롤러의 전자밸브(122) 또는 보조전자밸브(152)의 개폐제어에 따라 분사노즐(126)에서 냉각통(109)의 내경면을 향하여 공급되는 물이 분사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폐판(110)의 상부에는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광고판(149)을 설치하여 이 회전광고판(149)이 회전부재(116)의 회전과 함께 동반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인공제설자치가 가동되는 상황을 인접한 사용자 및 타인에게 알려주도록 함은 물론 회전광고판(149)에 희망하는 그림, 도형, 홍보문구를 인쇄 또는 부착하여 소비자의 시선이 집중되게 함으로써, 실내장식효과 뿐만 아니라 광고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광고판(149)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을 포함하는 일정영역의 밀폐판(110)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캡형상 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싱(140)을 밀폐판(110)에 볼팅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케이싱(140)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성형된 고정편(142)에 하부에는 제1연동축(143)의 하단이 베어링과 함께 지지되게 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고정케이싱(140)의 상부 저면에는 제1연동축(143)의 상단이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로 고정케이싱(140) 내측에 제1연동축(143)이 결합되게 하되, 하단에는 제2스퍼기어(144)를 축설시키고, 상단에는 제3스퍼기어(145)를 축설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케이싱(140) 내측에 결합된 지지판(146)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연동축(147)의 하단이 베어링(157)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결합되게 하고, 제2연동축(147)의 상단은 고정케이싱(140) 상부를 관통하게 하되, 베어링(158)이 제2연동축(147) 상단 외경과 고정케이싱(140) 상부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도록 하여 제2연동축(147)이 회전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동축(147)의 상부에는 제3스퍼기어(145)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4스퍼기어(148)를 축설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 상단에는 캡형상으로 된 회전광고판(149)의 상단 중심이 결합되게 하여 제1스퍼기어(141)->제2스퍼기어(144)->제3스퍼기어(145)->제4스퍼기어(148)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면 제2연동축(147)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광고판(149)도 동반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16)의 회전축(113) 상부에 형성된 물공급관(123)에 연결되는 물공급관(123)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연동축(147)을 도 3과 도 4와 같이 관통하게 하여 물공급관(123)과 연결되게 하되, 물공급관(123)에는 펌프(150)가 결합되게 하여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게 함으로써, 물공급관(123)으로 공급되는 물이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장치(160)에 의해 냉각통(109)이 냉각된 상태에서 콘트롤러의 전자밸브(122) 또는 보조전자밸브(152) 개폐제어에 의해 설정된 양의 물이 물공급관(123)을 통해 물주입홈(121)으로 공급되며, 물주입홈(121)의 나사공(124)과 니플(125), 호스(126), 커팅부재(120)의 아암(118)에 결합된 분사노즐(126)을 통해 냉각통(109)의 내경면에 물이 분사되면, 냉각통(109)의 내경면으로 분사된 물이 결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127), 구동샤프트(135), 연동샤프트(139), 회전부재(116)의 회전에 의해 커팅부재(120)의 칼날부(119)가 냉각통(109)의 내경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거나 커팅하면, 긁히거나 커팅된 얼음분말 또는 가루가 마치 눈처럼 음료수용부재(103)의 테이블(101)에 수납보관된 음료용기로 떨어지므로 음료용기를 냉장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116)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13)과 제1스퍼기어(141)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이 제2스퍼기어(144), 제1연동축(143), 제2스퍼기어(144), 제3스퍼기어(145), 제4스퍼기어(148), 제2연동축(147)의 순서로 전달됨에 따라 제2연동축(147)과 회전광고판(149)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광고판(149)이 부착된 것에 따라 장식효과, 이벤트효과, 알림효과 등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109)의 내경면의 온도는 분사노즐(126)에서 분 사된 물을 급속냉각시켜야 하므로, 약 -2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인공 눈 제조장치의 운전시간을 콘트롤러에 설정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운전시간의 설정과 그 설정에 의한 콘트롤러의 운전제어는 통상적인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가 설정된 운전방식에 따라 구동모터(127)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킬 경우 물공급관(123)을 통한 물의 공급도 중단된 상태이므로 냉각통(109) 내부의 분사노즐(126)에 체류하고 있는 물이 냉각통(109)의 내부온도에 의하여 결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노즐(126)이 막힐 수도 있으므로, 분사노즐(126)에는 열선을 권취시키고,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콘트롤러에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러가 설정된 운전방식에 따라 구동모터(127)를 정지시킨 후 재가동하기 전에는 콘트롤러에 설정된 시간 동안 분사노즐(126)에 장착된 열선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126)에 체류된 물이 결빙됨으로써 발생하는 분사노즐(126)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 번째, 냉각통은 냉매파이프와 센서삽입통을 인서트시킨 상태에서 주물용 금형으로 주물제작함에 따라 제작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냉매파이프를 일일이 용접함으로써 발생하는 불량률 및 정밀성 저하문제를 해결하고, 우레탄 발포를 통한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냉단열효과를 최대한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 받침부 하단에 설치된 캐스터와 높이조절나사에 의하여 간편한 이동과 견고한 설치고정을 통해 다양한 인테리어를 사용자가 구현할 수 있으며, 설치시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 회전부재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회전부재 회전 시 부하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소음 및 진동발생을 최소화하며, 정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된 제품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네 번째, 회전부재의 외경을 다각형으로 성형하고, 각 외경면에 커팅부재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여 원주면에 커팅부재를 결합시켰던 종래보다 커팅부재와 회전부재의 결합력 및 내구력을 증강시킬 수 있어 냉각통에 결빙된 얼음을 긁거나 커팅할 때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커팅부재의 칼날부, 아암을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가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 번째, 테이블과 냉각통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성이 부가되어 장소의 선택을 수시로 변경하면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삭제
  2.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가 형성된 음료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밴딩된 냉매파이프와 온도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센서삽입통을 지그로 고정하여 주물용 금형에 삽입하고, 상, 하단에 날개부가 돌출된 수직 원통형 또는 상협하광형상으로 테이퍼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인서트사출시킨 후 외경면 둘레에 단열재를 형성하고 커버부재로 단열재를 고정한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 상단에 볼팅결합되는 밀폐판에 결합되며, 냉매파이프의 양단에 연결되어 냉각싸이클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통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밀폐판에 형성된 제1통공의 제1베어링블럭을 상향관통하는 회전축 상단의 나사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회전축 하부는 회전축보다 지름이 큰 다각형 외경으로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설치되도록 외경 각면에 고정단이 볼팅고정되며, 고정단으로부터 냉각통 내경면의 근접위치까지 연장되는 아암의 끝단에 칼날부가 설치고정된 다수개의 커팅부재와;
    상기 회전축 상부면에 형성된 물주입홈과 연결되어 원격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며, 전자개폐식 전자밸브가 설치된 물공급관과;
    상기 커팅부재의 아암에서 결합되며, 회전축 외경면에서 물주입홈의 하부로 천공되는 다수 개의 나사공에 결합된 니플로부터 연결된 호스 끝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냉각통 내경면으로 토출하는 커팅부재의 아암에 고정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센서삽입통에 삽입된 온도센서가 냉각통 측벽의 온도를 검출하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음료수용부재의 받침부 내측에서 구동축이 상향을 향하도록 기립설치된 구동모터의 동력을 커팅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테이블 상부에 하부 플랜지가 볼팅고정되며, 상단에는 상부 플랜지의 중심에 형성된 제2통공에 제2베어링블럭이 결합된 원통형 보강부재와;
    원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가 중심에 형성되고, 고정부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바 끝단에 평면 링형태의 받침판이 형성되어 냉각통의 하단에 볼팅고정되며, 고정부의 제3통공에 제3베어링블럭이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커플링으로 축결합되며, 보강부재의 내측으로 수직기립되어 제2통공으로 관통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 플랜지에 하부 고정원판이 볼팅결합되고, 상부 고정원판은 고정브라켓의 고정부에 볼팅결합되는 중공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회전부재의 저부 중심에 형성된 다각형 회전홈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의 다각형 외경면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제3통공으로 하향관통되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샤프트의 상단에 커플링으로 축이음된 연동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3. 음료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에 일정높이의 받침부가 형성된 음료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밴딩된 냉매파이프와 온도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센서삽입통을 지그로 고정하여 주물용 금형에 삽입하고, 상, 하단에 날개부가 돌출된 수직 원통형 또는 상협하광형상으로 테이퍼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인서트사출시킨 후 외경면 둘레에 단열재를 형성하고 커버부재로 단열재를 고정한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 상단에 볼팅결합되는 밀폐판에 결합되며, 냉매파이프의 양단에 연결되어 냉각싸이클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통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밀폐판에 형성된 제1통공의 제1베어링블럭을 상향관통하는 회전축 상단의 나사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회전축 하부는 회전축보다 지름이 큰 다각형 외경으로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설치되도록 외경 각면에 고정단이 볼팅고정되며, 고정단으로부터 냉각통 내경면의 근접위치까지 연장되는 아암의 끝단에 칼날부가 설치고정된 다수개의 커팅부재와;
    상기 회전축 상부면에 형성된 물주입홈과 연결되어 원격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며, 전자개폐식 전자밸브가 설치된 물공급관과;
    상기 커팅부재의 아암에서 결합되며, 회전축 외경면에서 물주입홈의 하부로 천공되는 다수 개의 나사공에 결합된 니플로부터 연결된 호스 끝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냉각통 내경면으로 토출하는 커팅부재의 아암에 고정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센서삽입통에 삽입된 온도센서가 냉각통 측벽의 온도를 검출하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음료수용부재의 받침부 내측에서 구동축이 상향을 향하도록 기립설치된 구동모터의 동력을 커팅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을 덮을 수 있도록 밀폐판 상부에 볼팅결합되는 캡형상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싱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상단에 축설된 제1스퍼기어와;
    상기 고정케이싱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된 고정편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고정케이싱의 상부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동축의 하단에 축설되어 제1스퍼기어에 치합되는 제2스퍼기어와;
    상기 제1연동축의 상단에 축설되는 제3스퍼기어와;
    상기 고정케이싱 내측에 결합된 지지판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결합되고, 상단은 고정케이싱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며, 물공급관이 하향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연동축에 축설되어 제3스퍼기어에 치합되는 제4스퍼기어와;
    상기 제2연동축 상단에 고정결합되어 제2연동축과 함께 동반회전하며,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광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재는 회전부재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18° 기울어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에 결합되어 물주입홈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 상에 분배관을 설치하고, 콘트롤러에 설정된 냉각온도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분배관이 콘트롤러에 의해 전자개폐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전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재의 받침부 하단에 설치된 다수 개의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재의 받침부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너트에 체결되어 음료수용부재의 높낮이와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열선을 권취시키고, 구동모터가 정지된 후 재가동하기 전에 콘트롤러에 설정된 시간 동안 콘트롤러가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눈 제조장치.
KR1020070023294A 2007-03-09 2007-03-09 인공 눈 제조장치 KR10081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94A KR100816163B1 (ko) 2007-03-09 2007-03-09 인공 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94A KR100816163B1 (ko) 2007-03-09 2007-03-09 인공 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163B1 true KR100816163B1 (ko) 2008-03-21

Family

ID=3941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294A KR100816163B1 (ko) 2007-03-09 2007-03-09 인공 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58306A (zh) * 2024-04-01 2024-05-03 山东凯欣绿色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果蔬速冻低温保鲜设备
CN117958306B (zh) * 2024-04-01 2024-05-31 山东凯欣绿色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果蔬速冻低温保鲜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5518A (ja) * 1989-05-06 1990-12-06 Toyo Eng Works Ltd 降雪ショーケース
JPH08155520A (ja) * 1991-03-14 1996-06-18 Kobe Steel Ltd 連続圧延機の圧延材張力制御装置
JP2000161825A (ja) 1998-11-27 2000-06-16 Wetmaster Co Ltd 降雪装置
KR100277986B1 (ko) 1998-03-12 2001-02-01 윤종용 접철식다리장착형트레이
KR200363240Y1 (ko) 2004-07-05 2004-10-01 (주)아진 반도체 테스트장치의 냉매 분사노즐
KR20050026321A (ko) * 2003-09-09 2005-03-15 이효복 원통형 냉각통을 이용한 인공 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병맥주 진열테이블
KR100577986B1 (ko) 2006-01-09 2006-05-11 (주) 스노우아트 인공 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5518A (ja) * 1989-05-06 1990-12-06 Toyo Eng Works Ltd 降雪ショーケース
JPH08155520A (ja) * 1991-03-14 1996-06-18 Kobe Steel Ltd 連続圧延機の圧延材張力制御装置
KR100277986B1 (ko) 1998-03-12 2001-02-01 윤종용 접철식다리장착형트레이
JP2000161825A (ja) 1998-11-27 2000-06-16 Wetmaster Co Ltd 降雪装置
KR20050026321A (ko) * 2003-09-09 2005-03-15 이효복 원통형 냉각통을 이용한 인공 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병맥주 진열테이블
KR200363240Y1 (ko) 2004-07-05 2004-10-01 (주)아진 반도체 테스트장치의 냉매 분사노즐
KR100577986B1 (ko) 2006-01-09 2006-05-11 (주) 스노우아트 인공 눈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58306A (zh) * 2024-04-01 2024-05-03 山东凯欣绿色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果蔬速冻低温保鲜设备
CN117958306B (zh) * 2024-04-01 2024-05-31 山东凯欣绿色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果蔬速冻低温保鲜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99C (zh) 用于生产小型透明冰块的装置
CN105953513B (zh) 一种具有冰激凌机的冰箱
CA2367992C (en) Ice maker
US20130327080A1 (en) Beverage dispenser for partially frozen beverages with an improved drive and sealing system
US20030080644A1 (en) Removable and corrosion resistant stator assembly for an inductive drive mechanism
WO2007033165A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18239A1 (en) Refrigerator
EP1865276B1 (en) Ice maker
KR100816163B1 (ko) 인공 눈 제조장치
KR200218038Y1 (ko) 빙설입자 제조장치
WO2007081077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rtificial snow
KR20090116495A (ko) 슬러시 제조장치
KR20110126313A (ko) 증발관 및 이를 이용한 오거식 제빙장치
KR101263308B1 (ko) 조각얼음 제빙장치
CN209445665U (zh) 冰箱
KR100567404B1 (ko) 원통형 인공 눈 제조장치를 구비한 병맥주 진열 테이블
RU2486750C2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аккуму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олока
US20100000249A1 (en) Refrigerator
US6223550B1 (en) Ice maker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JP4461857B2 (ja) 製氷装置
CN103162502A (zh) 一种制冷器具
CA2387219C (en) Drive system for a frozen food product dispenser
CN200989707Y (zh) 冰箱
CN218096775U (zh) 一种用于药品、疫苗、试剂的医药冷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