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690B1 -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690B1
KR100815690B1 KR1020010068463A KR20010068463A KR100815690B1 KR 100815690 B1 KR100815690 B1 KR 100815690B1 KR 1020010068463 A KR1020010068463 A KR 1020010068463A KR 20010068463 A KR20010068463 A KR 20010068463A KR 100815690 B1 KR100815690 B1 KR 10081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load
learning
classification
equation
ho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434A (ko
Inventor
윤영집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6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8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6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압연시 수식모델에 의해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구분내의 학습뿐만 아니라 근접한 레코드의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점진적으로 적응시켜 나가는 방법을 도입하므로써 열간압연하중의 예측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강의 열간압연시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접 레코드들을 구하고, 구한 인접레코들에 대하여 근접레코드간 GRF상관계수를 구하고, GRF,N,ijk 실적발생시 GRF,N,i+αj+βk+γ에 적용할 상관계수 Cijk 보정값(Kαβτ)을 구하고, GRF상관계수 및 Kαβτ를 이용하여 GRF,N,i+αj+βk+τ를 구한 후, 이 GRF,N,i+αj+βk+τ를 이용하여 하기 식(9)에 의해
(수학식 9)
FN+1 = GRF,N,i+αj+βk+τ ×FModel,N+1
압연하중을 예측하는 열간압연하중예측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열간압연, 하중, 학습, 예측, 수식모델

Description

열간압연하중예측방법{Method for Predicting Roll Force in Hot Rolling}
도 1은 열간압연 학습파일(file)의 일례 구성도
도 2는 압연재의 성분, 두께, 폭 구분(레코드)별 압연하중학습계수의 상관관계도로서, 도 2의(a)는 성분별 학습계수 상관성을 나타내고, (b)는 두께구분별 학습계수 상관성을 나타내고, (c)는 폭구분별 학습계수 상관성을 나타냄.
도 3은 본 발명법 및 종래방법에 의해 열간압연하중을 학습하는 경우에 대한 레코드별 압연하중학습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3의(a)는 종래방법에 의한 경우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경우를 나타냄
본 발명은 열간압연시 수식모델에 의해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구분내 뿐만 아니라 근접한 레코드의 강을 열간압연시에도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열간압연하중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 조업시에는 열간압연전에 수식모델에 의해 예측하여 설정한 압연하중과 실제조업결과 측정된 압연하중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오차는 강판의 두께정도를 떨어뜨리고 통판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열간압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연하중식은 하기 식(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F=f{K,Ld,B,T,H,U,r,e . . . }
(여기서, K: 압연재의 변형저항, Ld: 투영접촉길이, B: 압연재의 판폭, T: 압연재의 예측온도, H: 압연재의 출측판두께, U: 마찰계수, r: 압하율, e: 변형속도)
실제조업에서는 강판온도의 불균일성, 압연조건별 마찰계수의 변화등의 요인으로 발생되는 오차(실측 압연하중-상기 수식(1)에 의해 구한 압연하중)를 줄이기 위하여 압연하중 학습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의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압연하중 학습방법은 성분, 두께, 폭을 기준(레코드)으로 도 1과 같은 테이블을 구성하여 하기 식 (2) 및 식(3)과 같은 방식으로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결정하게 된다.
Figure 112001028626537-pat00016
(여기서, GRF : 당해재 압연하중 학습계수, FActual : 압연하중 실측값, FModel : 수식(1)에 의해 구한 압연하중)
Figure 112001028626537-pat00017
{여기서, GRF,N: 차재 압연하중에 보정할 압연하중 학습계수, GRF,N-1 : 당해재 보정한 압연하중 학습계수, Gain: 학습효율과 학습안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학습 Gain(0.4-0.9)}
상기 식 (3)에서 결정된 압연하중 계수 GRF,N는 도 1에 해당 레코드에 저장되고 차후 동일한 성분, 두께, 폭구분(이하, "동일구분"이라 칭함)의 압연재가 작업될 경우 하기 식(4)에서와 같이 압연하중 보정값으로 사용된다.
Figure 112001028626537-pat00018
(여기서, FN+1: 차재에 설정할 압연하중 예측치, FModel,N+1: 식(1)에 의해 구한 압연하중)
압연하중을 예측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동일구분내의 압연재가 많은 경우 압연조건변화에 따라 학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압연하중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일구분내의 압연재가 적은 경우에는 압연조건변화를 적절히 학습하지 못하여 두께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강종압연시와 생산 사이즈 확대시와 같이 동일구분 압연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해 있는 레코드를 참조하기 때문에 두께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동일구분내의 학습뿐만 아니라 근접한 레코드의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점진적으로 적응시켜 나가는 방법을 도입하므로써 열간압연하중의 예측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히,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의 열간압연시 강의 성분, 두께 및 폭을 요소로 하는 동일 압연재 레코드 또는 이들 요소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압연재 레코드에 대하여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수식(5)에 의하여 인접 레코드들을 구하는 단계:
성분구분: i - P/4 ∼ i + P/4
두께구분: j-Q/8 ∼ j + Q/B
폭구분 : k - R/4 ∼ k + R/4
(여기서, P,Q,R: 압연하중 학습파일중 성분, 두께, 폭 전체구분 개수)
상기와 같이 구한 인접레코들에 대하여 하기 식 (6)에 의해 근접레코드간 GRF상관계수를 구하는 단계;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1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2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3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4
(여기서, GRF: 압연하중 학습계수, Ci: 근접 레코드간 성분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j: 근접 레코드간 두께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k: 근접 레코드간 폭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ijk: 근접구분간 GRF 상관계수)
하기 식(7)에 의해 Kαβτ를 구하는 단계;
Figure 112001028626537-pat00019
(여기서, Kαβτ: GRF,N,ijk 실적발생시 GRF,N,i+αj+βk+γ에 적용할 상관계수 Cijk보정값, α,β, 및 γ: 정수, α: 성분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β: 두께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γ: 폭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상기와 같이 구한 GRF상관계수 및 Kαβτ를 이용하여 하기 식(8)에 의해 GRF,N,i+αj+βk+τ를 구하는 단계;
Figure 112001028626537-pat00020
상기와 같이 구한 GRF,N,i+αj+βk+τ를 이용하여 하기 식(9)에 의해
Figure 112001028626537-pat00021
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압연하중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간압연시 수식모델에 의해 예측하여 설정한 압연하중과 실제 조업결과 측정된 압연하중 사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적용되는 학습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강판의 두께, 폭, 성분 구분별 학습계수의 상관관계로부터 학습할 레코드(Record)와 적용 게인(Gain)을 결정하여 학습예측식에 사용되는 학습계수를 점진적으로 적응시켜 가므로써 열간압연시 수식모델에 의해 예측하여 설정한 압연하중과 실제 조업결과 측정된 압연하중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의 열간압연시 강의 성분, 두께 및 폭을 요소로 하는 동일 압연재 레코드 또는 이들 요소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압연재 레코드에 대하여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적용된다.
통상, 압연하중 학습파일 구성은 해당 압연라인에서 생산되는 강종 및 규격 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성분별 구분은 탄소량과 망간함유량을 기준으로 8구분, 두께별 구분은 1.2mm-22.0mm구간에서 40구분, 폭구분은 700mm-1880mm 구간에서 8구분하여 압연하중 학습파일을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분, 두께, 폭구분별 압연하중 학습계수는 그 특성상 연속성을 지니게 되어 근접한 레코드간에는 일차의 상관관계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각 구분간 상관관계는 하기 식(6)과 같이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5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6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7
Figure 112001028626537-pat00008
(여기서, GRF: 압연하중 학습계수, Ci: 근접 레코드간 성분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j: 근접 레코드간 두께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k: 근접 레코드간 폭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ijk: 근접구분간 GRF 상관계수)
상기 성분 i, 두께 j, 폭 k 구분에 속하는 압연실적이 발생한 경우 점진적으로 적응시켜야 할 근접 레코드는 하기 식(5)와 같은 범위에서 한정되어 적용된다.
(수학식 5)
성분구분: i - P/4 ∼ i + P/4
두께구분: j-Q/8 ∼ j + Q/B
폭구분 : k - R/4 ∼ k + R/4
(여기서, P,Q,R: 압연하중 학습파일중 성분, 두께, 폭 전체구분 개수)
압연하중 보정계수는 압연하중 예측치에 직접 곱해지므로 학습효과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식(6)에 의해 구해진 상관계수를 상기 식(5)의 범위의 모든 레코드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학습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므로 하기 식(7)에서와 같은 상관계수 게인을 적용한다.
(수학식 7)
Kαβτ=2-|α×0.5β×τ|
(여기서, Kαβτ: GRF,N,ijk 실적발생시 GRF,N,i+αj+βk+γ에 적용할 상관계수 Cijk보정값, α,β, 및 γ: 정수, α: 성분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β: 두께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γ: 폭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따라서, GRF,N,ijk 실적발생시 점진적으로 적응되는 근접구간 레코드의 압연하중 학습계수(GRF,N,i+αj+βk+γ)는 하기 식(8)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수학식 8)
GRF,N,i+αj+βk+τ= GRF,N,ijk ×Cijk ×Kαβτ + GRF,N-1,i+αj+βk+τ ×(1 - Kαβτ)
상기와 같이 구한 학습계수 즉, GRF,N,i+αj+βk+τ를 상기 식(4)에 적용하여 하기 식(9)와 같은 압연하중예측식을 구하여 성분 i+α, 두께 j+β, 폭 k+γ구분의 강판압연시 압연하중예측에 적용하므로써 열간압연시 압연하중예측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수학식 9)
FN+1 = GRF,N,i+αj+βk+τ ×FModel,N+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법과 종래방법에 따라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결정하고,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는 종래방법에 의해 결정된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압연하중 학습계수를 나타낸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 열간압연하중 학습계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도 3의(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구분의 학습실적에만 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른구분 압연시에는 압연하중예측치와 실적치의 오차가 발생한 후에야 조업환경 변화에 적 응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열간압연하중 학습계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와 같이 조업환경변화가 압연하중학습계수에 포함되어 근접항 레코드의 학습계수값을 최적화해 준다.
도 3에서의 레코드 3에 해당하는 코일 압연시 압연하중과 두께편차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종래방법에 의한 학습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학습계수 -28.2% -22.4%
압연하중에측값 1580ton 1710ton
압연하중실측값 1740ton 1740ton
두께편차 발생량 +320㎛ +6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학습하는 경우가 종래방법에 의해 학습하는 경우에 비하여 압연하중 예측오차 및 두께편차가 적게 발생됨을 알 수 알 수 있다
즉, 종래방법에 의해 학습하는 경우에는 압연하중 예측치와 실측치의 오차가 발생한 후에야 그 값이 학습됨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해 학습하는 경우에는 도 3(b)에서의 레코드 4에 해당하는 실적발생시 레코드 3의 압연하중 학습계수가 최적화되기 때문에, 압연하중 예측오차 및 두께편차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하중계수의 구분별상관계수를 도출하고 점진적인 학습을 적용할 근접 레코드와 상관계수 게인을 결정하여 압연하중예측정도 를 높이므로써, 동일구분의 압연매수가 작거나, 초도압연시 정확한 하중을 예측할 수 있어 강판의 두께정도를 향상시키고 통판성을 안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강의 열간압연시 강의 성분, 두께 및 폭을 요소로 하는 동일 압연재 레코드 또는 이들 요소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압연재 레코드에 대하여 열간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수식(5)에 의하여 인접 레코드들을 구하는 단계:
    (수학식 5)
    성분구분: i - P/4 ∼ i + P/4
    두께구분: j-Q/8 ∼ j + Q/B
    폭구분 : k - R/4 ∼ k + R/4
    (여기서, P,Q,R: 압연하중 학습파일중 성분, 두께, 폭 전체구분 개수)
    상기와 같이 구한 인접레코들에 대하여 하기 식 (6)에 의해 근접레코드간 GRF상관계수를 구하는 단계;
    (수학식 6)
    Figure 112007086979796-pat00009
    Figure 112007086979796-pat00010
    Figure 112007086979796-pat00011
    Figure 112007086979796-pat00012
    (여기서, GRF: 압연하중 학습계수, Ci: 근접 레코드간 성분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j: 근접 레코드간 두께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k: 근접 레코드간 폭구분에 따른 GRF 증가율, Cijk: 근접구분간 GRF 상관계수)
    하기 식(7)에 의해 Kαβτ를 구하는 단계;
    (수학식 7)
    Kαβτ=2-|α×0.5β×τ|
    (여기서, Kαβτ: GRF,N,ijk 실적발생시 GRF,N,i+αj+βk+γ에 적용할 상관계수 Cijk보정값, α,β, 및 γ: 정수, α: 성분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β: 두께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γ: 폭구분에 있어서 기작업된 코일 레코드와 적용될 학습구분레코드와의 차이)
    상기와 같이 구한 GRF상관계수 및 Kαβτ를 이용하여 하기 식(8)에 의해 GRF,N,i+αj+βk+τ를 구하는 단계;
    (수학식 8)
    GRF,N,i+αj+βk+τ= GRF,N,ijk ×Cijk ×Kαβτ + GRF,N-1,i+αj+βk+τ×(1 - Kαβτ)
    상기와 같이 구한 GRF,N,i+αj+βk+τ를 이용하여 하기 식(9)에 의해
    (수학식 9)
    FN+1 = GRF,N,i+αj+βk+τ ×FModel,N+1
    압연하중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압연하중예측방법
KR1020010068463A 2001-11-05 2001-11-05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KR10081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63A KR100815690B1 (ko) 2001-11-05 2001-11-05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63A KR100815690B1 (ko) 2001-11-05 2001-11-05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34A KR20030037434A (ko) 2003-05-14
KR100815690B1 true KR100815690B1 (ko) 2008-03-20

Family

ID=2956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63A KR100815690B1 (ko) 2001-11-05 2001-11-05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905B1 (ko) * 2018-09-19 2020-05-29 주식회사 포스코 예측 모델을 이용한 압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158A (ko) * 1995-12-30 1997-07-22 김종진 냉간압연에서의 마찰계수 예측방법
KR19980049290A (ko) * 1996-12-19 1998-09-15 김종진 냉간압연시 변형저항 결정방법
KR19980052460A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고정도의 열간 압연하중 예측 방법
KR20040049623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압연기의 압연하중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158A (ko) * 1995-12-30 1997-07-22 김종진 냉간압연에서의 마찰계수 예측방법
KR19980049290A (ko) * 1996-12-19 1998-09-15 김종진 냉간압연시 변형저항 결정방법
KR19980052460A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고정도의 열간 압연하중 예측 방법
KR20040049623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압연기의 압연하중 예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34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8417B (zh) 在热态下的板轧制中的轧制负荷预测的学习方法
KR100815690B1 (ko) 열간압연하중 예측방법
JP3253013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クラウン・形状制御方法
JP3467677B2 (ja) 圧延機における圧延荷重の学習制御方法
KR100325539B1 (ko) 후강판압연중최종패스압연하중예측정도개선을위한보정함수결정방법
JP2001252709A (ja) 熱間圧延の仕上圧延機出側温度予測方法
JPH071561A (ja) リップ隙間調整方法
JPS61269912A (ja) 鋼板の冷間圧延におけるロ−ル間隙設定方法
JPH06259107A (ja) プロセスラインにおける学習制御方法
KR100931453B1 (ko) 스테인레스 사삼영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열간변형저항 예측방법
KR100293223B1 (ko) 후판압연에있어작업롤마모량결정방법
KR100236159B1 (ko) 강판의 평탄도 제어방법
KR20010063533A (ko) 후강판 압연중 압연하중 예측 방법
US65711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intermediary profile of a metal strip
JPH08243619A (ja) 圧延荷重予測方法
JPH07265927A (ja) 板クラウン予測モデルの修正方法
JPH11277118A (ja) 圧延機のレベリング調整方法
JP2002263719A (ja) 板クラウン予測式の修正方法
US20050122496A1 (en) Method of exposure error adjustment in photolithography for multiple products
JPH08238509A (ja) 冷間圧延時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10249422A (ja) 圧延における自動板厚制御方法
JPH07108309A (ja) 熱間仕上げ圧延機のロール間隙設定方法
JP2978061B2 (ja) 圧延機のロール間接触域算定方法
KR20010063511A (ko) 후강판 압연중 밀상수 보정에 의한 압하위치 보정방법
JP3498126B2 (ja) 圧延機ダイナミックセットアップ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