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483B1 -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 Google Patents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483B1
KR100815483B1 KR1020070044839A KR20070044839A KR100815483B1 KR 100815483 B1 KR100815483 B1 KR 100815483B1 KR 1020070044839 A KR1020070044839 A KR 1020070044839A KR 20070044839 A KR20070044839 A KR 20070044839A KR 100815483 B1 KR100815483 B1 KR 10081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ump
anisotropic
pump beam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훈
이대식
블라디미르 야쉰
강욱
임근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4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483B1/ko
Priority to DE102008021691A priority patent/DE102008021691A1/de
Priority to JP2008123587A priority patent/JP534712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H01S3/09415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the pumping beam being parallel to the lasing mode of the pumped medium, e.g. end-pu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18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ytterb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crystal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이 좁은 줄무늬 형태의 출력빔 모양을 갖는 방사에 의하여 펌핑될 때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안에서 집속되는 스폿의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줄무늬 형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바 및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등을 사용하여 종단 펌핑 형태로 고체 레이저를 펌핑할 때 레이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방향(빠른 방향)에서 더 작은 치수를 갖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느린 방향)에서 더 큰 치수를 갖는 비대칭 단면과 휘도를 갖는 펌프 빔을 발생시키는 펌프 방사원과;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제1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비구면 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펌프빔의 편광을 90도 회전시키는 편광회전기와; 상기 편광회전기를 통과한 펌프빔을 상기 제2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형 렌즈와; 상기 펌프빔을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에 집속하는 집속렌즈와; 결정학적으로 서로 수직인 제1축 및 제2축을 갖고, 이들 축이 펌프빔의 편광에 따라 서로 다른 흡수도를 갖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방사원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펌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를 제공한다.
광펌핑,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펨토초 레이저, 편광, 브루스터 각

Description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Diode pumped laser apparatus using anisotropic laser crystal}
도 1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좁은 줄무늬 형태의 비대칭 빔의 단면모양 및 축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입사 평면에서 레이저 매질의 축과 브루스터 각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5는 상온에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Yb:KYW의 편광에 따른 흡수(Absorption : solid line)와 방출(Emission: dotted line) 스펙트럼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Yb:KYW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좁은 줄무늬 11 :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12 : 편광방향 13 : a축
14 : 레이저 다이오드 15,25 : 비구면 렌즈
16 : 제1실린더형 렌즈 17,27 : 제2실린더형 렌즈
18 : 집속렌즈 19 : 레이저 공진기
20 : 이색성 공진기 미러 21 : 편광회전기
H : 높이 W : 폭
θ : 부르스터각
본 발명은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이 좁은 줄무늬 형태의 출력빔 모양을 갖는 방사에 의하여 펌핑될 때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안에서 집속되는 스폿의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줄무늬 형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바 및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등을 사용하여 종단 펌핑 형태로 고 체 레이저를 펌핑할 때 레이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이저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등에 의하여 광펌핑되는 고체 레이저 시스템 분야에서 중대한 발전이 있어 왔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크기가 작고 실제 사용하기에 유용하며, 섬광 램프와 같은 광원과 관련된 가열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펌핑 소스로서 적합하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집속될 수 있어서 종단 펌핑 구조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로 펌핑되는 기존의 고체 레이저 장치와 같이, 높은 효율을 갖는 레이저 방사 횡방향 모드 TEM00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빔과 공진기 내에서 진동하는 레이저 빔이 서로 잘 겹친다면 종단 펌핑 시스템은 횡단 펌핑 시스템보다 더욱 효과적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레이저 결정 내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모드 부피가 레이저 공진기의 TEM00 모드와 잘 일치할 때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시스템에서 최대의 효율이 얻어진다.
많은 레이저 다이오드들이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 문제는 레이저 다이오드(그리고, 특별히 높은 출력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빔 출력 영역을 갖고 있으며, 출력 빔의 폭이 높이보다 훨씬 더 큰 비대칭적인 모양을 갖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또한, M2로 표현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빔의 두 수직인 방향에서의 휘도 분포는 매우 비대칭적이다.
좁은 줄무늬 형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전형적인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에 좁은 높이 방향(빠른 축)에서의 발산각은 넓은 폭 방향(느린 축)에서의 발산각보다 더 크다.
그러나, 폭 치수가 높이 치수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높이 치수에서의 휘도는 폭 치수에서의 휘도보다 여전히 10배 이상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굉장히 비대칭적인 분포를 갖게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 빔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리고 대칭적인 분포를 갖는 공진기 빔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이 요구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빔을 공진기 빔과 같이 일치시키기 위해,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펌프빔의 가로세로 비를 변경하기 위하여 프리즘, 렌즈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소자들이 채용된다.
이러한 접근 방법들 중의 하나로, 레이저 다이오드 빔을 먼저 비구면 렌즈를 통과시켜 다른 두 축(빠른 축과 느린 축)을 평행하게 만든다.
실린더 형태의 광학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표준의 레이저 공진기에서, 공진기 내부의 레이저 모드는 다소 둥그스럼하다.
따라서, 레이저 빔과 펌프 빔 사이에 모드 정합을 이루기 위하여, 펌프 빔은 이득 매질(빛이 증폭되는 물질) 내부에서 원형의 스폿이 되도록 집속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빔 품질 계수 M2 을 갖는 레이저 빔의 광 경로에 렌즈가 놓이면, 통과한 빔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반경 크기 w0로 집속된다.
Figure 112007034329259-pat00001
여기서, λ는 펌프빔의 파장이고, f는 렌즈의 초점 길이, 그리고 wlens는 렌즈에서 빔의 반경 크기이다. 그리고, 렌즈에서 빔의 곡율 반경은 초점길이 f 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을 가정하였다.
위에 언급된 식(1)은 고정된 파장에서 주어진 초점 길이 f를 갖는 렌즈 이후에 빔 반경은 M2/wlens에 비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구면 집속 렌즈 이후에 둥근 형태의 스폿을 얻기 위하여, 펌프 빔은 느린 방향에서 빔 품질 계수의 비, M2 slow/M2 fast에 따라 확대되어야 한다.
이러한 확대는 보통 케플란 또는 갈릴레오 형태의 실린더 확대경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대개 M2 slow/M2 fast≒15 정도인 넓은 면적을 갖는 좁은 줄무늬 형태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에 렌즈에서 레이저 빔은 느린 방향으로 강하게 확장될 것이다.펌프빔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큰 직경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게 만든다.
펌프 빔을 좁은 면적에 집속할 때, 다이오드의 높은 휘도 때문에, 이득매질 에서 매우 높은 펌프 세기를 얻을 수 있다. 삼 준위와 유사한 기구에서는 투명 세기를 보다 쉽게 극복하기 위하여 이러한 높은 펌프 세기가 특히 요구된다.
Yb:KGW, Yb:KYW 결정과 같이 삼 준위와 비슷한 기구에서 동작하는 몇몇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들은 편광에 의존하는 여러 파장 흡수 밴들들을 갖고 있다. 전기장의 벡터 방향이 레이저 결정의 a-축에 평행일 때 최대 흡수가 이루어진다.
결정의 끝 면에서 반사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레이저 매질을 브루스터 각도로 절단한다. 이 경우에 펌프빔이 레이저 결정에 입사할 때 레이저 결정의 굴절률 때문에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펌프빔의 크기는 입사 평면에서 증가한다.
굴절률이 큰 레이저 결정의 경우에 입사평면에서 레이저 빔의 크기와 빔의 비대칭이 심각하게 증가한다. 넓은 면적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은 대개 느린 축 방향의 편광 벡터를 갖는 TE(Transverse Electric) 모드로 편광된 출력을 갖는다.
따라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의 효과적인 펌핑을 위해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편광 방향을 레이저 결정의 흡수가 최대가 되는 방향에 일치시키고, 브루스터 각의 입사 평면에 놓이게 해야 한다.
느린 축 방향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빔의 휘도는 기본적으로 빠른 축 방향의 휘도보다 작다. 이는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빔이 집속될 때 레이저 다이오드 빔의 심각한 비대칭성을 야기하고, 레이저 공진기와 모드 비정합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A.Shirakawa 등의 논문(A. Shirakawa, K.Takaichi, H.Jagi et al, Optics express, 11,2911(2003))에 따르면 레이저 다이오드의 펌프 빔이 공기 중에서 31㎛×165㎛로 비대칭적으로 집속이 되는데, 이것이 레이저 결정 내에서는 1.5배 증가하고 레이저 공진기와의 모드 비정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어려운 점들에도 불구하고,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할 수 있고 회절이 거의 제한되는 TEM00 모드에서 높은 효율로 높은 출력에서 작동하는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를 개발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는 비등방성 특성을 갖는 물질들은 특정한 응용에 적합한 특성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네오디뮴(Nd)이 도핑된 매질에 비하여, Yb:KGW와 Yb:KYW 같은 이터븀(Yb)을 포함한 결정들은 큰 밴드폭과 긴 상위 상태의 수명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들은 펨토초 펄스폭과 높은 평균출력을 갖는 모드 잠김 레이저를 디자인할 때 중요하고 조정가능한 변수들을 제공한다. 추가로, 비등방성을 갖는 이터븀이 도핑된 결정의 어떤 특성들은 다이오드 펌핑에 매력적이다.
즉, 파장 940nm에서 980nm의 다이오드 펌프 파장에서 흡수 계수가 매우 높고, 펌프빔 파장과 발진 빔 파장 사이의 양자 결점이 낮아서 높은 출력의 다이오드 펌프 빛을 레이저 결정에 효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Yb:KGW와 Yb:KYW 같은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들은 보다 높은 펌프 출력을 사용하는 특정한 레이저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펌프빔의 강한 비대칭성으로 종단 펌핑 구조에서 출력과 효율이 제한되었다.
한편, 높은 효율을 갖는 레이저에 대한 수요가 있다. 레이저의 효율이 낮으면 원하는 레이저 출력을 얻기 위하여 보다 높은 펌핑 출력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요구된다.
특히 좁은 줄무늬 형태의 레이저 다이오드 소스에서 출력을 높이면 다이오드 접합의 온도가 증가하고 레이저 다이오드 소스의 수명이 줄어든다. 이는 긴 수명시간을 요구하는 응용에 받아들여지기가 어렵다.
또한 낮은 효율의 레이저는 원하는 레이저 출력을 얻기 위하여 펌프 소스를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는 비용이나 복잡성에 민감한 응용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다.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사용하지만 넓은 범위의 펌프 출력에서 높은 품질의 빔을 제공하는 고효율 및 고출력의 레이저에 대한 수요가 있다. 그리고 감소된 열적 복굴절을 갖는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에 대한 수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다이오드 바 및 다이오드 어레이와 같은 매우 비대칭적인 회절특성을 갖는 펌핑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횡축 방향의 세기분포를 재구성하여 궁극적으로 집속된 빔이 흡수 길이에서 거의 원형의 스폿을 가짐으로써, TEM00 모드에서 작동하고 편광된 출력을 발생시키면서도 효율이 매우 높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펌핑 빛을 고밀도에서 레이저 매질 속으로 집속할 수 있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빠른 방향)에서 더 작은 치수를 갖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느린 방향)에서 더 큰 치수를 갖는 비대칭 단면과 휘도를 갖는 펌프 빔을 발생시키는 펌프 방사원과;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제1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비구면 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펌프빔의 편광을 90도 회전시키는 편광회전기와; 상기 편광회전기를 통과한 펌프빔을 상기 제2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형 렌즈와; 상기 펌프빔을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에 집속하는 집속렌즈와; 결정학적으로 서로 수직인 제1축 및 제2축을 갖고, 이들 축이 펌프빔의 편광에 따라 서로 다른 흡수도를 갖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방사원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펌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편광회전기와 제2실린더형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편광회전기를 통과한 펌프빔의 크기를 상기 제2방향에서 확대시키는 제1실린더형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되는 펌프빔은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형렌즈에 의해 타원형 빔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이 펌프빔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되는 펌프빔의 편광방향이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의 a축을 따라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빔 입구와 출구에서 브루스터 각으로 절단되고, 공기 굴절률에 대한 레이저 결정의 굴절률 비에 따라 상기 부루스터 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Yb3+이온이 첨가된 텅스테이트 매질인 Yb:KYW 또는 Yb:KGW 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회전기는 반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 방사원은 빔을 내보내는 각각의 에미터가 선 형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바 및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좁은 줄무늬(10) 형태의 비대칭 빔의 단면모양 및 축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용의 와트급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높이(H)에 대한 폭(W)의 비는 100에서 1의 차수이다. 폭(W) 방향의 느린 축에서 발산각은 대략 10도 정도이고, 빔 품질 계수 M2는 대략 15 정도이다.
한편 높이(H)방향의 빠른 축에서 발산각은 대략 30도 정도이지만, 빔 품질 계수 M2는 대략 1이다. 따라서 레이저 빔 출력은 대개 느린 축 방향을 따라 편광되게 된다.
도 2는 입사 평면에서 Yb:KYW와 같은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11)으로 만들어 진 레이저 활성 물질의 축과 브루스터 각(θ)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개구는 대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11)에서 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결정의 a축(13)을 따라서 느린 축이, 즉 편광 방향(12)이 놓이게 한다. 느린 축 방향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휘도가 낮기 때문에 느린 축 방향에서 펌프빔의 크기는 대개 빠른 축 방향에서의 빔 사이즈를 초과한다.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11)은 펌프방사원의 펌프빔과 레이저 공진기(19)의 레이저 빔이 TM 편광일때 반사 손실을 없애기 위하여 브루스터 각도(θ)로 절단된다.
그리고 브루스터 각(θ)으로 절단된 결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편광 벡터는 입사 평면에 놓인다. 그래서, 느린 축 방향에서 빔의 크기는 브루스터 표면에서의 굴절 때문에 추가적으로 더 증가한다.
이는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장방형의 횡단면 모양을 갖는 펌프빔으로 나타난다.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Yb3+ 이온이 첨가된 텅스테이트 매질인 Yb:KYW 또는 Yb:KGW 결정이다.
상기 Yb3+이온이 첨가된 텅스테이트 매질은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에 이용될 수 있는 분광학적 특성과 레이저의 특성들을 갖고 있어서 최근 몇 년 동안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 문헌 : N. V. Kuleshov, A. A. Lagatsky, A. V. Podlipensky, and V. P. Mikhailov, and G. Huber, “Pulsed laser operation of Yb-doped KY(WO4)2 and KGd(Wo4)2, Optics Letters Vol. 22, No. 17, pp. 1317-13
(1997)).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모노클리닉 C2/c 구조 (monoclinic C2/c structure)를 갖고 있다. 단위 셀의 패러미터들은 Yb:KGW의 경우에 a = 0.8095 nm, b = 1.043 nm, c = 0.7588이고, Yb:KYW의 경우에 a = 0.805 nm, b = 1.035 nm, c = 0.754 nm이다.
원자 단위로 5%의 Yb 이온이 도핑된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 Yb:KYW의 상온에서 편광에 따른 흡수와 방출 스펙트럼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참고 문헌 : 상기 문헌).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방향이 a-축과 평행일 때, 즉 E||a 일 때 파장 981.2 nm 에서 흡수가 가장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레이저 발진에 가장 적합한 파장 1025 nm 방출선의 폭은 16 nm 정도이다.
상기의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대개 개량된 초클라스키(Czochralski)방법으로 길러진다. 도 6의 사진은 그 한 예로, Yb 이온이 5%의 원자 단위 비율로 도핑된 두께 3 mm의 Yb:KYW 레이저 결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빔의 입구와 출구가 브루스터 각도로 절단되고 정밀하게 광택 연마가 된 것이다. Yb:KYW는 공기중에서 θ = tan-1(n)로 정의되는 브루스터 각도 63.7°이다. 이때, n은 굴절률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 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비대칭은 도 3a 및 도 3b의 광펌핑 구조로 개선될 수 있다.
레이저 결정(11)을 종단 펌핑 구조로 펌핑할 경우에, 본 발명의 광 펌핑 구조는 좁은 줄무늬 형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14), 레이저 다이오드 바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펌프 방사원을 포함하고, 비구면 렌즈(15)와 두개의 제1 및 제2실린더형 렌즈(16,17)를 사용하여 이 펌프 빔을 평행광이 되게 하고, 집속 렌즈(18)를 사용하여 레이저 결정(11)의 입구 표면에 빔을 집속한다.
이때, 상기 펌프 방사원은 제1방향(빠른 방향)에서 더 작은 치수를 갖고, 제1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방향(느린 방향)에서 더 큰 치수를 갖는 비대칭 단면과 휘도를 갖는 펌프 빔을 발생시킨다.
상기 비구면 렌즈(15)는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조사된 펌프빔을 제1방향에서 평행하게 만들고, 제1실린더형렌즈(16)는 비구면렌즈(15)를 통과한 펌프빔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1실린더형렌즈(16)의 다음(오른쪽)에 위치한 제2실린더형렌즈(17)는 상기 펌프빔을 제2방향에서 평행하게하는 역할을 한다.
레이저 공진기(19)에서 발진되는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레이저 결정(11)에 집속시키고 레이저 다이오드(14)에서 출력되는 펌프빔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이색성 공진기 미러(20)를 배열한다.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에서 이러한 광펌핑 구조를 레이저 결정의 한 쪽 끝 또는 양쪽 끝에 배열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느린 축을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레이저 다이오드의 초기 편광은 레이저 결정의 입사 평면에 수직인 면에 놓이게 되고 이는 TE 편광 모드가 된다.
한편, 브루스터 각(θ)이라는 특별한 입사각이 있는데, TM(Transverse Magnetic) 편광 모드인 경우에 경계에서의 반사가 제로가 된다. 즉, 펌핑 파워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 펌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편광방향을 TE 모드에서 TM 모드로 변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편광 방향을 90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반파장판을 광 펌핑 구조에 배열한다. 반파장판은 펌프빔이 평행광이 되는 곳에 배열한다.
높은 펌프 빔 밀도를 얻기 위하여, 비구면 렌즈(15)를 사용하여 빠른 축과 느린 축 방향의 빔을 평행하게 만들어 레이저 다이오드(14)의 빔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증명되어 왔다.
레이저 다이오드(14)에서 출력된 빔은 발산각의 차이 때문에 비구면 렌즈(15) 위치에서 대개 빠른 축 방향에서의 빔 크기가 느린 축 방향에서의 빔 크기보다 크다.
이러한 비대칭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느린 축 방향에서만 빔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즉, 느린 축 방향에서의 빔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린더형 렌즈(16,17)를 광 펌핑 구조에 배열한다. 제1실린더형 렌즈(16)는 제2방향에서 펌프빔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실린더형 렌즈(17)는 상기 펌프빔을 제2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확대경의 비율은 대략 빠른 축 방향과 느린 축 방향에 대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빔 품질 계수 M2의 비에 해당된다.
레이저 결정(11) 내부에서 집속되는 빔을 거의 원형 스폿 형태로 얻기 위하여 레이저 결정(11)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집속 렌즈(18)의 위치에서 빠른 축 방향의 빔 크기가 느린 축 방향의 빔 크기보다 조금 작게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 레이저 장치를 입사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상기 광 펌핑 구조에서 채용된 실린더형 렌즈(16,17)의 대안으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비구면 렌즈(25)를 사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빔을 빠른 축 방향에서 평행하게 만들고 다음에 실린더형 렌즈(27)를 사용하여 느린 방향에서 평행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에, 느린 축을 따라 늘어진 타원 형태의 단면 모양을 갖는 평행하게 된 빔은 레이저 결정(11)에 집속시켜 거의 원형의 스폿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 다이오드 바 및 다이오드 어레이와 같은 매우 비대칭적인 회절특성을 갖는 펌핑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레이저 결정 내부에서 횡축 방향의 세기분포를 재구성하여 궁극적으로 집속된 빔이 흡수 길이에서 거의 원형의 스폿을 가짐으로써, TEM00 모드에서 작동하고 편광된 출력을 발생시키면서도 효율이 매우 높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펌핑 빛을 고밀도에서 레이저 매질 속으로 집속할 수 있다.

Claims (7)

  1.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빠른 방향)에서 더 작은 치수를 갖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느린 방향)에서 더 큰 치수를 갖는 비대칭 단면과 휘도를 갖는 펌프 빔을 발생시키는 펌프 방사원과;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제1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비구면 렌즈(15)와;
    상기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펌프빔의 편광을 90도 회전시키는 편광회전기(21)와;
    상기 편광회전기를 통과한 펌프빔을 상기 제2방향에서 평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형 렌즈(17)와;
    상기 펌프빔을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에 집속하는 집속렌즈(18)와;
    결정학적으로 서로 수직인 제1축 및 제2축을 갖고, 이들 축이 펌프빔의 편광에 따라 서로 다른 흡수도를 갖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1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방사원로부터 출력된 펌프빔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펌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회전기와 제2실린더형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편광회전기를 통과한 펌프빔의 크기를 상기 제2방향에서 확대시키는 제1실린더형 렌즈(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되는 펌프빔은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형렌즈에 의해 타원형 빔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이 펌프빔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방사원으로부터 출력되는 펌프빔의 편광방향이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의 a축(13)을 따라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빔 입구와 출구에서 브루스터 각(θ)으로 절단되고, 공기 굴절률에 대한 레이저 결정의 굴절률 비에 따라 상기 부루스터 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은 Yb3+이온이 첨가된 텅스테이트 매질인 Yb:KYW 또는 Yb:KGW 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회전기는 반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방사원은 빔을 내보내는 각각의 에미터가 선 형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14), 레이저 다이오드 바 및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 장치.
KR1020070044839A 2007-05-09 2007-05-09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KR10081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39A KR100815483B1 (ko) 2007-05-09 2007-05-09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DE102008021691A DE102008021691A1 (de) 2007-05-09 2008-04-30 Diodengepumpte Laservorrichtung unter Verwendung von anisotropem Laserkristall
JP2008123587A JP5347127B2 (ja) 2007-05-09 2008-05-09 異方性レーザー結晶を利用したダイオードポンピングされたレーザ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39A KR100815483B1 (ko) 2007-05-09 2007-05-09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483B1 true KR100815483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839A KR100815483B1 (ko) 2007-05-09 2007-05-09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47127B2 (ko)
KR (1) KR100815483B1 (ko)
DE (1) DE1020080216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2825A (zh) * 2020-08-19 2020-11-17 科谱(宁波)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器的增益介质冷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8480A (ja) * 2009-05-28 2012-11-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改善されたポンプ光の吸収を備えたダイオードでポンピングされた固体−状態のレーザ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611A (ko) * 1983-09-26 1985-05-15 야마모도 다꾸마 레이저 광원장치
KR930022653A (ko) * 1992-04-14 1993-11-24 김광호 레이저다이오드
KR19980065177A (ko) * 1997-03-01 1998-10-15 윤덕용 캔틸레버와 광원의 집적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66U (ja) * 1993-08-02 1995-03-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固体レーザ装置
JPH10135571A (ja) * 1996-10-25 1998-05-22 Hitachi Metals Ltd 半導体レーザの集光光学系
JPH10242551A (ja) * 1997-02-28 1998-09-11 Nikon Corp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レーザ装置
DE10043269C2 (de) * 2000-08-29 2002-10-24 Jenoptik Jena Gmbh Diodengepumpter Laserverstärker
JP2004128421A (ja) * 2002-10-07 200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照射方法およびレーザ照射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AT413946B (de) 2004-07-13 2006-07-15 Mattner Frank Dr Impfstoff gegen die alzheimer-krankhe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611A (ko) * 1983-09-26 1985-05-15 야마모도 다꾸마 레이저 광원장치
KR930022653A (ko) * 1992-04-14 1993-11-24 김광호 레이저다이오드
KR19980065177A (ko) * 1997-03-01 1998-10-15 윤덕용 캔틸레버와 광원의 집적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2825A (zh) * 2020-08-19 2020-11-17 科谱(宁波)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器的增益介质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7127B2 (ja) 2013-11-20
DE102008021691A1 (de) 2008-11-13
JP2008283189A (ja)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101B1 (en) Laser with absorption optimized pumping of a gain medium
US6157663A (en) Laser with optimized coupling of pump light to a gain medium in a side-pumped geometry
JP5603880B2 (ja) 円錐屈折に基づく新規な光デバイス
US7835416B2 (en) Laser device and optical amplifier
Eichenholz et al. Diode-pumped self-frequency doubling in a Nd 3+: YCa 4 O (BO 3) 3 laser
US8477825B2 (en) Polarization maintaining multi-pass imaging system for thin-disk amplifiers and oscillators
US7991028B1 (en) Tunable solid state laser system
Erhard et al. Pumping schemes for multi-kW thin disk lasers
US20170117681A1 (en) Solid-state laser
Bruesselbach et al. A 2.65-kW Yb: YAG single-rod laser
US20080013586A1 (en) Narrow band diode pumping of laser gain materials
WO19930228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employing a high density of excited ions in a lasant
KR100815483B1 (ko)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펌핑된 레이저장치
US3798571A (en) Slab laser system with means to overcome the positive lens effect caused by the thermal gradient in the laser rod
KR101034241B1 (ko) 비등방성 레이저 결정을 펌핑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
US7003011B2 (en) Thin disk laser with large numerical aperture pumping
Scheps et al. End-pumped Nd: BEL laser performance
Bibeau et al. CW and Q-switched performance of a diode end-pumped Yb: YAG laser
JP3967754B2 (ja) 側面ポンピングレーザー
Šulc et al. High-efficient room-temperature CW operating Tm: YAP laser with microchip resonator
Scheps et al. Internally folded Nd: YAG and Nd: YVO/sub 4/lasers pumped by laser diodes
Berrou et al. Comparative study of high power Tm: YLF and Tm: LLF slab lasers
RU2239920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нверсии в активном элементе лазера
Berrou et al. Power scaling end-pumped slab lasers: comparison of Tm: YLF and Tm: LuLF
WO2004021334A2 (en) Thin disk laser with large numerical aperture pum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